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Helicobacter pylori 양성, 음성 환자에서 각종 상부위장관 질환과 나이에 따른 펩시노겐 I/II 비

        백창렬,정인식,남관우,권정현,장재혁,서정필,박재명,조유경,이인석,김상우,최명규 대한소화기학회 2007 대한소화기학회지 Vol.50 No.2

        Background/Aims: Although previous reports suggested that pepsinogen (PG) I/II ratio was the index of gastric atrophy, PG I/II ratio was also related to other factors such as Helicobacter pylori (H. pylori) infection, various gastrointestinal diseases, and aging.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erum PG I/II ratio and age or upper gastro-intestinal diseases according to H. pylori infection status. Methods: A total of 529 individuals (307 male; mean age, 57.2 years) were divided into 4 groups (94 gastric ulcers, 35 duodenal ulcers, 105 reflux esophagitis, and 295 atrophic gastritis) according to endoscopic diagnosis. H. pylori infection was determined by H. pylori IgG antibody (ELISA) and PG was measured by latex immunoassay. Results: H. pylori infected patients showed markedly increased serum PG II levels (24.0±14.7 ng/mL vs. 13.8±16.6 ng/mL, p<0.001) and low PG I/II ratio (3.9±2.0 vs. 6.0±2.5, p<0.001) than non-infected subjects. In H. pylori infected patients, mean PG I/II ratios in the gastric ulcer and atrophic gastritis group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of the duodenal ulcer and reflux esophagitis group (p<0.001, ANOVA, Turkey's multiples comparison test). The mean ratio of open type atrophic gastritis was lower than that of close type atrophic gastritis (3.0±1.4 vs. 3.8±1.7, p<0.005). PG I/II ratio gradually decreased with age in H. pylori-infected patients with atrophic gastritis (R2=0.9, p=0.005, linear regression analysis). Conclusion: Serum PG I/II ratio reflects H. pylori infection and gastric atrophy. In the presence of H. pylori infection, gastric atrophy progresses with age. (Korean J Gastroenterol 2007;50:84-91) 목적: 혈청 펩시노겐 (PG) I/II 비는 위점막 위축의 표식인자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위점막의 위축은 Helicobacter pylori (H. pylori) 감염과 여러 상부위장관 질환, 연령에 따라서 차이를 보이고 있어 이들의 관련성은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다. 이번 연구는 여러 상부위장관 질환을 가진 환자에서 H. pylori의 감염 여부, 연령 등의 요인과 PG I/II 비와의 관련성을 알아 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총 529명의 환자(남자 307명, 평균나이 57.2세)를 내시경 소견으로 4개의 질환군(위궤양 94명, 십이지장궤양 35명, 역류식도염 105명, 위축위염 295명)으로 분류하였다. H. pylori 감염은 IgG 항체가로 진단하였으며 PG는 라텍스응집면역비탁법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결과: 모든 대상 환자에서 H. pylori 양성군이 음성군보다 PG II가 높았으며(24.0±14.7 ng/mL vs. 13.8± 16.6 ng/mL, p<0.00) PG I/II 비는 낮았다(3.9±2.0 vs. 6.0± 2.5, p<0.00). H. pylori 양성 위축위염에서 PG I/II 비는 개방형보다 폐쇄형에서 낮았다(3.0±1.4 vs. 3.8±1.7, p<0.01). H. pylori 양성군에서 PG I/II 비는 십이지장궤양과 역류식도염 환자보다 위축위염과 위궤양 환자에서 의의있게 낮았다(p<0.00, ANOVA, Turkey's multiples comparison test). 위축위염의 평균 PG I/II는 H. pylori 양성인 경우 연령에 증가에 따라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다(R2=0.9, p=0.01, linear regression analysis). 결론: 혈청 PG I/II 비는 H. pylori 감염 진단과 위점막 위축의 유용한 지표가 될 수 있으며, 연령 증가에 따른 위축위염의 진행은 H. pylori 감염과 관련이 있어 보인다.색인단어: 펩시노겐, Helicobacter pylori, 상부위장관 질환, 나이

      • KCI등재

        구불창자내시경술로 제거한 이탈된 담관 배액관 1예

        백창렬,최종영,박재명,조유경,이인석,김상우,최명규,정인식 대한소화기내시경학회 2007 Clinical Endoscopy Vol.34 No.6

        Endoscopic retrograde biliary drainage is a well-established, minimally invasive procedure for treating biliary obstructions caused by malignant or benign diseases. Although there is a low rate of complications with biliary stenting, late complications of stent migration can occur, occasionally resulting in bowel inflammation, obstruction or perforation. We report a case of a migrated biliary stent that induced an obstruction of the colon following ERBD in the stricture of hepatic ducts after a liver transplant, and was removed endoscopically. (Korean J Gastrointest Endosc 2007;34:343-345) 내시경 담관 배액법은 담관의 협착에 의한 폐쇄성 황달에 대해 담즙 배액을 목적으로 많이 선택되는 덜 침습적인 방법이다. 담관 배액법의 합병증은 드문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후기 합병증으로 배액관의 이탈이 있을 수 있는데, 이로 인해 장관의 염증, 폐색 천공이 있을 수 있다. 저자들은 56세 남자에서 간이식술 후 간관 협착으로 내시경 담관 배액관 삽입을 시행한 후 이탈된 배액관에 의해 대장 염증과 폐색 증상을 보여 구불창자내시경술로 배액관 제거가 가능하였던 1예를 경험하여 보고하는 바이다.

      • KCI등재후보

        광역동 치료를 이용한 조기 식도암의 근치적 치료 1예

        백창렬,최명규,김계월,이인석,오정환,박재명,이준욱,조유경,김상우,정인식 대한소화기내시경학회 2006 Clinical Endoscopy Vol.33 No.1

        조기 식도암의 근치적인 치료로는 외과적 절제술이 이용되나 최근 수술에 대한 합병증, 환자의 삶의 질, 식도의 보존 등을 고려하여 덜 침습적인 방법으로 내시경 치료술이 많이 선택되고 있다. 광역동 치료는 광과민제를 투여 후 광원 전달 장치를 이용하여 광원을 조사하면서 종양을 선택적으로 파괴시키는 방법으로 식도암에 있어서 고식적인 치료뿐만 아니라 근치적인 치료로도 사용되고 있으며, 국내에서는 2004년 8월부터 허가되어 사용되고 있다. 광역동 치료의 국소치료는 림프선 전이가 없는 표재성 식도암에서 근치적인 치료로 기대되고 있다. 저자들은 3년 전 식도암 점막 절제술과 방사선 치료로 완치된 73세 남자의 추적검사에서 새로이 발생된 조기 식도암을 진단하고 페기종과 방사선 섬유증 등의 만성 폐질환으로 수술이 불가능하여 광역동 치료로 성공적인 근치적 치료를 시행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Although the surgical treatment of early esophageal cancer is a well-known curative modality, less invasive endoscopic methods have attracted significant attention recently on account of the fewer postoperative complications, better quality of life and preservation of the integrity of the esophagus. Among the various endoscopic techniques employed, photodynamic therapy (PDT) has been used to allow the selective destruction of malignant tissue through a photochemical effect after the administration of a photosensitizer for curative and palliative treatment purposes. This report describes a case of a 73-year-old man with early esophageal cancer, which had been diagnosed by fluorodeoxyglucose-positron emission tomography (FDG-PET) and endoscopy and a long history of chronic pulmonary diseases such as emphysema and radiation fibrosis. The patient was cured successfully with photodynamic therapy using porfimer sodium as the photosensitizer. (Korean J Gastrointest Endosc 2006;33:37-41)

      • KCI등재후보

        외국의 내시경역행담췌관조영술 인증의 제도

        백창렬,고성우,조광범 대한췌담도학회 2019 대한췌담도학회지 Vol.24 No.2

        내시경역행담췌관조영술(ERCP)은 췌담도 질환의 필수적인 주요한 진단 및 치료 술기이다. 하지만 ERCP는 위 및 대장내시경 보다 고도의 술기와 경험을 필요로 하고, 심각한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다. 기존의 문헌보고에서 ERCP의 시술 경험이 많아질수록 치료 성공률이 증가하고 합병증은 감소한다는 것은 잘 알려져 있어 주의 깊은 교육과정이 필요하다. 국내에서도 대한췌장담도학회를 중심으로 전임의를 위한 ERCP 교육 가이드라인을 제정하는 등 ERCP의 체계적인 교육에 대한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으나 아직까지 국내 의료여건상 문서화 및 표준화된 교육과정과 인증절차 확립의 어려움을 가지고 있다. 본고는 외국의 다양한 ERCP 교육과정과 인증제도 현황을 살펴보고 향후 국내에서 ERCP 인증 과정 개발에 도움이 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An endoscopic retrograde cholangiopancreatography (ERCP) is endoscopically complicated procedure which carries a higher risk of serious adverse events, and it is more challenging compared with general endoscopy. On a national basis, the accepted standards of practice in ERCP are needed to be outlined to ensure consistent clinical standards in patient management. Certificated system for general endoscopy has been implemented since 2006 in Korea. However, an established system for certification of ERCP does not exist, which requires longer training than general endoscopy. Recently, much has been reported about the need to measure and improve the quality of endoscopy services, but still the variability exists in standards used by hospitals for credentialing physicians to ERCP in Korea. There is an urgent need to settle the credentialing process to enhance practice and to protect patients, which suits our society. This article investigated the system of ERCP certification in overseas, and should be helpful to establish the standard certification system of ERCP in Korea.

      • 동종 조혈모세포이식 후 발생한 치명적 홍역 폐렴 1예

        백창렬,이동건,최정현,정현화,조유경,박훈준,이승훈,박윤희,이교영,민우성,김춘추,신완식 대한감염학회 2001 감염 Vol.33 No.4

        As a result of the enlarging pool of unvaccinated children and young adults, there has been an increase in measles in our countries. In these situation, it has been reported that measles associated pneumoinia is easily complicated with fatal respiratory failure, espycially in immunocompromised patients. Herein we report the case of lethal measles pneumonia after allogenic hematopoietic stem cell transplantation in adults proven by autopsy. Recently, one case of measles was encountered in 39-year-old female patients after allogenic bone marrow transplanted case (chronic myelogenous leukemia), who progressed into interstitial pneumonia pattern, despite treatment including antibiotics, immunoglobulin. The patient died of giant cell pneumonia compatible with that of measles which was comfirmed in the section of necropsy lung specimen. (Korean J Infect Dis 33:301∼309, 2001)

      • KCI등재

        3차 의료기관을 방문한 급성 상부위장관출혈 환자의 임상 양상

        백창렬,이인석,오정환,박재명,조유경,김상우,최명규,정인식 대한소화기학회 2007 대한소화기학회지 Vol.50 No.1

        Background/Aims: Acute upper gastrointestinal bleeding (UGIB) is still responsible for significant morbidity in spite of various therapeutic advances. The aims of this study were to evaluate the success rate in managing UGIB and predicting factors that affected clinical courses. Methods: From August 2003 to April 2005, medical data (registered in a standard database categories) of 318 patients who underwent endoscopic examination to evaluate UGIB were analyzed. Early and final treatment success rates were evaluated on the next day and 14 days after the initial endoscopic procedures respectively (or the day of discharge). Results: Main causes of UGIB were peptic ulcer (50.9%), varices (28.3%), Mallory-Weiss syndrome (10.3%). Endoscopic treatments were tried in 200 patients (63.0%). Number of patients who underwent operation and deaths were 4 (1.3%) and 13 (4.1%), respectively. Early and final success rates were 86.2% and 94.0%. Independent prognostic factors related with early success rates were volume of transfusion (OR 0.80, 95% CI 0.72-0.89, p<0.001) and bleeding during the ventilator care (OR 0.03, 95% CI 0.01-0.31, p<0.001), whereas those factors related with final success rates were volume of transfusion (OR 0.79, 95% CI 0.69-0.90, p<0.001), bleeding during the stay in intensive care unit (ICU) (OR 0.12, 95% CI 0.13-0.49, p<0.001). Conclusions: Early and final success rates of bleeding control were 86.2% and 94.0% in acute UGIB. Volume of transfusion, bleeding during ICU state or ventilator state were important predictive factors of the treatment failure. (Korean J Gastroenterol 2007;50:26-35) 서론: 급성 상부위장관출혈의 진단과 치료에서 응급내시경은 중요한 역할을 차지하고 있다. 저자들은 급성 상부위장관출혈 환자에서 응급내시경 검사 결과에 따라 내시경 또는 약물 치료를 시행한 후 지혈 성공률과 예후 인자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대상 및 방법: 상부위장관출혈로 내시경실을 방문하여 응급내시경을 검사하고, 내시경 소견에 따라 내시경 또는 약물 치료를 시행한 환자를 대상으로 임상경과를 관찰하였다. 지혈 성공 여부는 초기 지혈성공률(응급내시경 검사 후 24시간)과 최종 지혈성공률(퇴원일 또는 응급내시경 검사 후 14일)로 판정하였다. 결과: 2003년 8월부터 2005년 4월까지 318명의 환자에서 응급내시경을 시행하였다. 출혈의 주 원인은 소화성 궤양(50.9%), 정맥류(28.3%), 말로리바이스증후군(10.3%)이었다. 내시경 지혈술은 62.9% (200/318명)에서 시행하였다. 초기 지혈성공률과 최종 지혈성공률은 각각 86.2%, 94.0%이었다. 지혈에 실패한 4명(1.3%)은 수술하였고, 13명(4.1%)은 출혈과 연관되어 사망하였다. 다변량분석에서 초기지혈 성공률과 연관된 인자는 수혈량(OR 0.80, 95% CI 0.72-0.89, p<0.001)과 인공호흡기 장착상태(OR 0.03, 95% CI 0.01-0.31, p<0.001)였고 최종지혈 성공과 관련된 인자는 수혈량(OR 0.79, 95% CI 0.69-0.90, p<0.001)과 중환자실에서 출혈한 경우(OR 0.12, 95% CI 0.13- 0.49, p<0.001)이었다. 결론: 급성 상부위장관출혈 환자에서 응급내시경 소견에 따른 초기 지혈성공률과 최종 지혈성공률은 각각 86.2%와 94.0%였다. 총수혈량이 많거나, 중환자실 재원상태 또는 인공호흡기 장착 시 출혈한 경우는 예후가 불량하므로 치료에 주의를 요한다. 색인단어: 상부위장관출혈, 임상경과, 예후인자

      • SCIESCOPUSKCI등재

        한국인의 과민성 장 증후군 환자에서 소장세균과다증식증의 유병률

        백창렬 ( Chang Nyol Paik ),최명규 ( Myung Gyu Choi ),남관우 ( Kwan Woo Nam ),권정현 ( Jung Hyun Kwon ),장재혁 ( Jae Hyuck Chang ),서정필 ( Jung Pil Suh ),이인석 ( In Seok Lee ),박재명 ( Jae Myung Park ),조유경 ( Yu Kyung Cho ) 대한소화기기능성질환·운동학회 2007 Journal of Neurogastroenterology and Motility (JNM Vol.13 No.1

        목적 : 과민성장증후군 환자에서 소장세균과다증식증(small intestinal bacterial overgrowth, SIBO)이 중요한 병태생리로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인 과민성 장 증후군 환자에서 호기검사를 이용한 SIBO 유병율과 과민성 장 증후군의 아형, 증상에 따른 유병율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건강한 성인 45명 (남자 19명, 평균 나이 40.8세)과 IBS 환자 37명(남자 19명, 평균 나이 42.2세)을 대상으로 하였다. 모든 참여자는 락툴로오스10 g을 복용한 후 180분 동안 15분마다 호기에서 수소와 메탄 농도를 측정하였다(락툴로오스 호기검사, LBT). 이들 중 33명(대조군 20명, 환자군 13명)은 최소한 7일 간격 이후 포도당 호기 검사(glucose breath test, GBT)를 시행하였다. 결과 : 1) 락툴로오스 투여 후 45분과 120분 사이에 측정된 수소 농도는 환자군에서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2) LBT에 의한 SIBO의 유병율은 환자군과 대조군에서 각각 48.7%와 26.5%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3) 과민성 장 증후군 아형에 따른 SIBO 유병율은 설사형 44.4%, 변비형 66.7%, 혼합형 33.3%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4) GBT 양성율은 IBS 환자에서 7.1%, 대조군에서 20%로 차이가 없었다. 결론 : 락툴로오스 호기검사를 이용한 SIBO의 유병율은 과민성 장 증후군 환자에서 건강성인에 비해 유의하게 높아 한국인에서 SIBO는 과민성 장 증후군의 중요기전이라고 추정되었다. Background/Aims: Small intestinal bacterial overgrowth (SIBO) has been known as one of the important pathophysiologic findings in IBS pati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prevalence of SIBO by using a breath test (BT) in Korean patients with IBS. Methods: Forty nine controls and 39 IBS patients underwent a lactulose BT (LBT) every 15 minute for 180 minutes. At least 7 days later, the glucose BT (GBT) was performed every 10 minute for 120 minutes in 33 (patients: n=13, control: n=20) who had undergone the LBT. Results: 1) The H2 detected from 45 to 120 minutes in the LBT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patients with IBS than that for the controls. 2) The prevalence of SIBO with LBT in the IBS patient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in the controls (48.7% vs. 26.5%, respectively p<0.05). 3) The prevalence of SIBO with LBT in the subgroups of the IBS patients was 44.4% for the IBS-D, 66.7% for the IBS-C and 33.3% for the IBS-A (p=ns). 4) The positive rates of GBT in the control and IBS patients were 20% and 7.1%, respectively (p=ns). Conclusions: The prevalence of SIBO as diagnosed with using LBT was significantly higher in Korean patients with IBS, suggesting that SIBO was an important etiologic factor of IBS. (Kor J Neurogastroenterol Motil 2007;13:38-44)

      • SCOPUSKCI등재

        Helicobacter pylori 양성, 음성 환자에서 각종 상부위장관 질환과 나이에 따른 펩시노겐 1/2 비

        백창렬 ( Chang Nyol Paik ),정인식 ( In Sik Chung ),남관우 ( Kwan Woo Nam ),권정현 ( Jung Hyun Kwon ),장재혁 ( Jae Hyuck Chang ),서정필 ( Jung Pil Suh ),박재명 ( Jae Myung Park ),조유경 ( Yu Kyung Cho ),이인석 ( In Seok Lee ),김상 대한소화기학회 2007 대한소화기학회지 Vol.50 No.2

        목적: 혈청 펩시노겐 (PG) I/II 비는 위점막 위축의 표식 인자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위점막의 위축은 Helicobacter pylori (H. pylori) 감염과 여러 상부위장관 질환, 연령에 따라서 차이를 보이고 있어 이들의 관련성은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다. 이번 연구는 여러 상부위장관 질환을 가진 환자에서 H. pylori의 감염 여부, 연령 등의 요인과 PG I/II 비와의 관련성을 알아 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총 529명의 환자(남자 307명, 평균나이 57.2세)를 내시경 소견으로 4개의 질환군(위궤양 94명, 십이지장궤양 35명, 역류식도염 105명, 위축위염 295명)으로 분류하였다. H.pylori 감염은 IgG 항체가로 진단하였으며 PG는 라텍스응집면역비탁법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결과: 모든 대상 환자에서 H. pylori 양성군이 음성군보다 PG II가 높았으며(24.0±14.7 ng/mL vs. 13.8±16.6 ng/mL, p<0.00) PG I/II 비는 낮았다(3.9±2.0 vs. 6.0±2.5, p<0.00). H. pylori 양성 위축위염에서 PG I/II 비는 개방형보다 폐쇄형에서 낮았다(3.0±1.4 vs. 3.8±1.7, p<0.01). H. pylori 양성군에서 PG I/II 비는 십이지장궤양과 역류식도염 환자보다 위축위염과 위궤양 환자에서 의의있게 낮았다(p<0.00, ANOVA, Turkey`s multiples comparison test). 위축위염의 평균 PG I/II는 H. pylori 양성인 경우 연령에 증가에 따라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다(R2=0.9, p=0.01, linear regression analysis). 결론: 혈청 PG I/II 비는 H. pylori 감염 진단과 위점막 위축의 유용한 지표가 될 수 있으며, 연령 증가에 따른 위축위염의 진행은 H. pylori 감염과 관련이 있어 보인다. Background/Aims: Although previous reports suggested that pepsinogen (PG) I/II ratio was the index of gastric atrophy, PG I/II ratio was also related to other factors such as Helicobacter pylori (H. pylori) infection, various gastrointestinal diseases, and aging.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erum PG I/II ratio and age or upper gastro-intestinal diseases according to H. pylori infection status. Methods: A total of 529 individuals (307 male; mean age, 57.2 years) were divided into 4 groups (94 gastric ulcers, 35 duodenal ulcers, 105 reflux esophagitis, and 295 atrophic gastritis) according to endoscopic diagnosis. H. pylori infection was determined by H. pylori IgG antibody (ELISA) and PG was measured by latex immunoassay. Results: H. pylori infected patients showed markedly increased serum PG II levels (24.0±14.7 ng/mL vs. 13.8±16.6 ng/mL, p<0.001) and low PG I/II ratio (3.9±2.0 vs. 6.0±2.5, p<0.001) than non-infected subjects. In H. pylori infected patients, mean PG I/II ratios in the gastric ulcer and atrophic gastritis group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of the duodenal ulcer and reflux esophagitis group (p<0.001, ANOVA, Turkey`s multiples comparison test). The mean ratio of open type atrophic gastritis was lower than that of close type atrophic gastritis (3.0±1.4 vs. 3.8±1.7, p<0.005). PG I/II ratio gradually decreased with age in H. pylori-infected patients with atrophic gastritis (R2=0.9, p=0.005, linear regression analysis). Conclusion: Serum PG I/II ratio reflects H. pylori infection and gastric atrophy. In the presence of H. pylori infection, gastric atrophy progresses with age. (Korean J Gastroenterol 2007;50:84-91)

      • SCOPUSKCI등재

        3차 의료기관을 방문한 급성 상부위장관출혈 환자의 임상 양상

        백창렬 ( Chang Nyol Paik ),이인석 ( In Seok Lee ),오정환 ( Jung Hwan Oh ),박재명 ( Jae Myung Park ),조유경 ( Yu Kyung Cho ),김상우 ( Sang Woo Kim ),최명규 ( Myung Gyu Choi ),정인식 ( In Sik Chung ) 대한소화기학회 2006 대한소화기학회지 Vol.50 No.1

        서론: 급성 상부위장관출혈의 진단과 치료에서 응급내시경은 중요한 역할을 차지하고 있다. 저자들은 급성 상부위장관출혈 환자에서 응급내시경 검사 결과에 따라 내시경 또는 약물 치료를 시행한 후 지혈 성공률과 예후 인자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대상 및 방법: 상부위장관출혈로 내시경실을 방문하여 응급내시경을 검사하고, 내시경 소견에 따라 내시경 또는 약물 치료를 시행한 환자를 대상으로 임상경과를 관찰하였다. 지혈 성공 여부는 초기 지혈성공률(응급내시경 검사 후 24시간)과 최종 지혈성공률(퇴원일 또는 응급내시경 검사 후 14일)로 판정하였다. 결과: 2003년 8월부터 2005년 4월까지 318명의 환자에서 응급내시경을 시행하였다. 출혈의 주 원인은 소화성 궤양(50.9%), 정맥류(28.3%), 말로리바이스증후군(10.3%)이었다. 내시경 지혈술은 62.9% (200/318명)에서 시행하였다. 초기 지혈성공률과 최종 지혈성공률은 각각 86.2%, 94.0%이었다. 지혈에 실패한 4명(1.3%)은 수술하였고, 13명(4.1%)은 출혈과 연관되어 사망하였다. 다변량분석에서 초기지혈 성공률과 연관된 인자는 수혈량(OR 0.80, 95% CI 0.72-0.89, p<0.001)과 인공호흡기 장착상태(OR 0.03, 95% CI 0.01-0.31, p<0.001)였고 최종지혈 성공과 관련된 인자는 수혈량(OR 0.79, 95% CI 0.69-0.90, p<0.001)과 중환자실에서 출혈한 경우(OR 0.12, 95% CI 0.13-0.49, p<0.001)이었다. 결론: 급성 상부위장관출혈 환자에서 응급내시경 소견에 따른 초기 지혈성공률과 최종 지혈성공률은 각각 86.2%와 94.0%였다. 총수혈량이 많거나, 중환자실 재원상태 또는 인공호흡기 장착 시 출혈한 경우는 예후가 불량하므로 치료에 주의를 요한다. Background/Aims: Acute upper gastrointestinal bleeding (UGIB) is still responsible for significant morbidity in spite of various therapeutic advances. The aims of this study were to evaluate the success rate in managing UGIB and predicting factors that affected clinical courses. Methods: From August 2003 to April 2005, medical data (registered in a standard database categories) of 318 patients who underwent endoscopic examination to evaluate UGIB were analyzed. Early and final treatment success rates were evaluated on the next day and 14 days after the initial endoscopic procedures respectively (or the day of discharge). Results: Main causes of UGIB were peptic ulcer (50.9%), varices (28.3%), Mallory-Weiss syndrome (10.3%). Endoscopic treatments were tried in 200 patients (63.0%). Number of patients who underwent operation and deaths were 4 (1.3%) and 13 (4.1%), respectively. Early and final success rates were 86.2% and 94.0%. Independent prognostic factors related with early success rates were volume of transfusion (OR 0.80, 95% CI 0.72-0.89, p<0.001) and bleeding during the ventilator care (OR 0.03, 95% CI 0.01-0.31, p<0.001), whereas those factors related with final success rates were volume of transfusion (OR 0.79, 95% CI 0.69-0.90, p<0.001), bleeding during the stay in intensive care unit (ICU) (OR 0.12, 95% CI 0.13-0.49, p<0.001). Conclusions: Early and final success rates of bleeding control were 86.2% and 94.0% in acute UGIB. Volume of transfusion, bleeding during ICU state or ventilator state were important predictive factors of the treatment failure. (Korean J Gastroenterol 2007;50:26-35)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