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Mycoplasma pneumoniae 폐렴 환아에서 급성기 및 회복기의 호산구 지표의 비교

        나규민,강은경,강희,박양,고영률,Nah, Kyu Min,Kang, Eun Kyeong,Kang, Hee,Park, Yang,Koh, Young Yull 대한소아청소년과학회 2002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CEP) Vol.45 No.10

        목 적: Mycoplasma pneumoniae 감염과 천식은 급성기에 호산구 지표의 증가가 관찰되며 두 질병간에 공통적인 병리기전이 작용하는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 호산구 지표는 천식의 질병경과를 반영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이에 저자들은 Mycoplasma pneumoniae 폐렴의 임상경과에 따른 호산구 지표의 변화를 분석하는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 2000년 10월부터 2001년 8월까지 외래에서 진단된 Mycoplasma pneumoniae 폐렴 환자군 33명을 대상으로 급성기 및 회복기 말초혈액 TEC, 혈청 ECP를 측정하여 비교하였으며 이들을 다시 천명음양성군과 음성군으로 나누어 비교하였다. 또한, 급성기 Mycoplasma 항체가와 말초혈액 TEC, 급성기 Mycoplasma 항체가와 혈청 ECP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결 과 : 전체 33명의 환자군에서는 급성기 말초혈액 TEC, 혈청 ECP가 회복기 때보다 유의하게 높았으며(P=0.018, P=0.005) 천명음 양성군과 음성군간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천명음 양성군 내에서는 급성기 말초혈액 TEC, 혈청 ECP가 회복기에도 유의한 감소를 보이지 않았으나 천명음 음성군 내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06, P=0.018). 급성기에 Mycoplasma 항체가와 말초혈액 TEC, Mycoplasma 항체가와 혈청 ECP 사이에는 각각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었다. 결 론: Mycoplasma pneumoniae 폐렴에서 호산구 지표인 말초혈액 TEC와 혈청 ECP는 급성기에 증가하고 회복기에 감소하여 Mycoplasma pneumoniae 폐렴의 임상경과를 반영하며, 급성기에 천명음이 청진된 환아는 청진되지 않은 환아에 비해 회복기에 도 호산구성 염증이 지속되는 것으로 추정된다. Purpose : Several studies have shown that increases of eosinophil markers are common findings of asthma and Mycoplasma pneumoniae infection, and eosinophil markers reflect the clinical stage of asthma.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nge of eosinophil markers according to the clinical stage of Mycoplasma pneumonia. Methods : The patient group consisted of 33 outpatient children with Mycoplasma pneumonia. Peripheral blood total eosinophil count(TEC) and serum eosinophilic cationic protein(ECP) level were measured at both acute and recovery stages and were compared between both stages. The patient group was subdivided into the wheezing(n=16) and the nonwheezing group(n=17), and the TECs and the ECPs of one group were compared with those of the other group. The correlation between Mycoplasma antibody titer and the eosinophil markers of acute stage were analyzed. Results : In the whole patient group, the TECs and the ECPs of the acute stage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the recovery stage(P=0.018, P=0.005), but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the TEC and the ECP between the wheezing and the nonwheezing group. In the wheezing group,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TEC and the ECP between acute and recovery stages. There were no correlations between acute stage Mycoplasma antibody titer and the eosinophil markers. Conclusion : Eosinophil markers reflect the clinical stage of Mycoplasma pneumonia and eosinophilic inflammations may continue even after the acute stage in wheezing patients with Mycoplasma pneumonia.

      • 3세 이하 Mycoplasma pneumoniae 폐렴환자의 임상적 고찰

        이성수,윤경림,강현호,조병수,차성호,Lee, Sung-Soo,Youn, Kyung-Lim,Kang, Hyeon-Ho,Cho, Byoung-Soo,Cha, Sung-Ho 대한소아감염학회 1999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Vol.6 No.1

        Purpose : Mycoplasma pneumoniae pneumonia has been to be developed frequently in school age children and adolescence and hard to see under 3 year-old children. But it seems to be increased in number of patients with Mycoplasma pneumoniae pneumonia under 3-year old in clinical practice in these days. We have aimed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clinical findings of Mycoplasma pneumonia under 3 year-old children. Methods : We had performed retrospective review of medical records of 30 patients with Mycoplasmal pneumonia under 3-year old children who admitted to Department of Pediatrics, Kyunghee University Hospital from Jan. 1994 to Dec. 1997. The diagnostic criteriae was Cold agglutinin titer>1:64 or Mycoplasma antibody titer>1:80. Results : Mycoplasmal pneumonia was 30 out of 235 cases(12.7%) of total pneumonia under 3 year old children. Male female ratio was 1.3 : 1 and age distributions were 0~1y : 0, 1~2y : 8, 2~3y : 22 cases. Clinical symptoms and signs were cough(100.0%), sputum(83.3%), fever(80.0%) rhinorrhea(33.3%), vomiting(33.3%), moist rale(86.7%), decreased breathing sound(26.7%), wheezing(20.0%), and pharyngeal injection(30.0%). Thirteen out of 30 cases(43.3%) had unilateral infiltration, 10 cases(33.4%) had bilateral infiltration, 1 case(3.3%) had pleural effusion, and 6 cases(20.0%) had negative findings on chest radiography and there was no cases of atelectasis. On laboratory findings, 6 out of 30 cases(20.0%) had leukocytosis, 1 case(3.3%) had neutrophilia, 10 cases(30.0%) had eosinophilia, 17 cases(56.7%) had increased ESR, and 18 cases(60.6%) had positive CRP. Positive cold agglutinin titers(>1 : 64) were 19 cases(63.3%), and positive mycoplasma antibody(M-ab) titers(>1 : 80) were 27 cases(93.3%). Mycoplasma antibody test was more valuable than cold agglutinin test for the diagnosis of Mycoplasmal pneumonia and there was no correlation between cold agglutinin titer and mycoplasma antibody titer. Mycoplasma-polymerase chain reaction(M-PCR) was done with 13 cases, 12 out of 13 cases(92.3%) were positive. M-PCR test was valuable to the diagnosis of Mycoplasmal pneumonia but it will be needed to further study for their clinical application. Among 30 cases, 5 cases(16.7%) had complications, 3 cases(10.0%) had skin rash, 1 case(3.3%) had pleural effusion, 1 case(3.3%) had arthralgia, but all complications were mild and recovered without residual sequelae. Conclusion : The occurrence of Mycoplasmal pneumonia under 3 year-old children was not rare from this study. Clinical characteristics of Mycoplasmal pneumonia under 3-year old were normal radiologic findings in many cases, low complication rate, mild clinical course, and tend to rapid recovery compared with general manifestations of Mycoplasmal infectionsin children and adolescence. There were likely to be missed patients with Mycoplasmal pneumonia which did not diagnose by conventional serologic tests that had low sensitivity and specificity. We have to pay attention to the Mycoplasmal infection of the young children with pneumonia during epidemic periods of Mycoplasmal infection. 목 적 : 3세 이하에서 Mycoplasma pneumoniae 폐렴은 드문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최근 영유아에서도 Mycoplasma pneumoniae 폐렴이 많이 발생되고 있어서 3세 이하에서의 Mycoplasma pneumoniae 폐렴의 임상적 특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1994년 1월부터 1997년 12월까지 4년간 경희대학교 부속병원 소아과에 입원한 환아 중 Mycoplasma pneumoniae 폐렴으로 진단된 3세 이하 환아 30명을 대상으로 의무기록 을 후향적으로 조사하여 임상양상, 혈청학적 소견, 방사선 소견, 합병증 및 치료 효과를 비교 분석 하였다. 결 과 : 1) 3세 이하에서 폐렴으로 입원한 환아 235명중 30명(12.7%)이 Mycoplasma pneumoniae 폐렴이었고 남녀비는 1.3 : 1로 남아에서 다소 높았다. 2) 발생시기는 여름 및 가을, 초겨울에 걸쳐 넓게 분포하였고 1994년과 1997년에 호발하였다. 3) 임상증상은 기침, 객담, 발열 순이었고, 그 외 콧물, 구토 증세도 나타났으며, 청진소견 상수포음이 26례(86.7%)로 가장 많았고, 그 외에 천명, 호흡음 감소가 나타났다. 4) 방사선 소견상 24례(80.0%)에서 폐침윤을 보였고, 일측성이 13례(43.3%), 양측성이 10 례(33.4%)였고, 흉막삼출이 있었던 경우는 1례(3.3%)였으며, 무기폐를 보인 경우는 없었고, 정상 소견이 6례(20.0%)였다. 6) 혈액검사당 백혈구 수는 정상인 경우가 24례(80.0%)였고, 호중구 증가를 보인 경우는 1례(3.3%)에 불과했으며, 호산구 증가는 10례(33.3%)에서 보였으며, 혈침속도 증가는 56.7%, CRP 양성률은 60.0%였다. 7) 냉응집소치가 양성인 경우는 19례(63.3%)였으며, Mycoplasma 항체치가 양성인 경우는 27례(90.0%)로 Mycoplasma 항체치가 더 높은 양성률을 보였으며 두 검사간 상관관계는 없었다. 또한 13례를 대상으로 시행한 Mycoplasma PCR 검사상 12례(92.3%)에서 양성반응을 보여 Mycoplasma pneumoniae 폐렴의 진단에 유용한 검사로 생각되나 이에 대한 임상적용 은 앞으로 더 연구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8) 합병증으로는 피부발진 3례(10.0%)와 흉막삼출 1례(3.3%), 관절통 1례(3.3%)가 발생되었으나 경증이었고 후유증 없이 모두 완쾌되었다. 결 론 : Mycoplasma pneumoniae 폐렴은 3세 이하에서도 드물지 않게 발생되고 있으며, 임상양상의 특징으로는 방사선상 폐침윤이 없는 경우가 많고 합병증 발생이 적으며 증세가 경미하여 회복이 빠른 것 등이다. 3세 이하 폐렴 환아 중 진단되지 않고 누락된 환아가 다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며 이 환아들을 포함하면 실제 발생률은 더 높을 것으로 사료된다.

      • 최근 10년간 Mycoplasma pneumoniae 폐염의 임상양상에 대한 고찰

        이강우,류호준,김일경,성호,최창희,Lee, Gang Woo,Ryu, Ho Jun,Kim, Il Kyung,Seong, Ho,Choi, Chang Hee 대한소아감염학회 1999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Vol.6 No.1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know the epidemiology and clinical characteristics in patients with M. pneumoniae pneumonia during study period retrospectively. Methods : We had reviewed 500 patients with Mycoplasma pneumoniae pneumonia who were hospitalized at the pediatric ward of Seoul Adventist Hospital from July 1986 through June 1996. we had analysed clinical and laboratory problems of pulmonary and extrapulmonary manifestations including demographics and epidemiological characteristics. Results : Peak occurrence of the disease was 3 years interval and seasonal occurrence of the disease had no difference. 43.4% of patients was below 4 years old and male to female ratio was nearly 1:1. The most common site of infiltration on chest PA was right lower lobe and the most common type of pneumonia was interstitial pneumonia(43%). Pulmonary complications were atelectasis(11cases), emphysema(5cases), pleural effusion(27cases) and sinusitis(13cases) and extrapulmonary manifestations were hepatitis(109cases), skin rash(29cases), proteinuria(20cases) and hematuria(16cases). cold agglutinin test was carried out in 500cases and mycoplasma antibody test was carried out in 448cases. sensitivity of mycoplasma antibody test was 53.3%. Conclusion : Mycoplasma pneumoniae pneumonia showed epidemics at intervals of 3 year in its major occurrence. it exhibits a tendency that occurs at younger age group not in school age group. diagnosis of the disease need more accurate method due to low sensitivity of mycoplasma antibody test. also we need to carried out other laboratory test(for example, LFT, U/A). 목 적 : Mycoplasma pneumoniae 폐염은 소아 및 학동기 폐염의 주된 원인이고 영아기 또 는 유아기 호흡감염으로 차차 증가하고 있는 비세균성 폐염으로 경한 침범으로부터 늑막삼 출을 동반한 심한 폐염등의 다양한 양상을 보이는데 흉부방사선 소견과 함께 냉응집소 및 Mycoplasma 항체가의 측정으로 초기에 진단이 가능하다. 저자들은 흉부방사선 소견과 냉응 집소 및 Mycoplasma 항체가의 관계를 중심으로 최근 10년간의 환자의 연도별 분포양상과 폐내 혹은 폐외 합병증 등을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 1986년 7월 1일부터 1996년 6월 30일까지 만 10년간 서울위생병원 소아과에 폐염으로 입원한 2세이상의 환아중 냉응집소 또는 Mycoplasma 항체가 양성으로 보인 환아 및 추적관찰에서 4배이상의 증감을 보인 환아 50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결 과 : 연도별로 1987년 67례(2.8%), 1990년 78례(3.5%), 1993년 121례(3.4%), 1994년에 57 례(2.73%)가 보여 대체로 3년 주기로 호발하였고 뚜렷한 계절적인 차이가 없었으며 연령분포는 2~4세가 217례(43.4%)로 가장 많았고 남녀 비는 1:1로 차이가 없었다. 흉부방사선 소견에서 폐염의 양상은 간질성이 213례(43%)로 가장 많았고 폐염 병소의 위치는 일측성이 417례(83%)였으며 일측성중 우측하엽이 183례(37%)로 가장 많았다. 폐외의 합병증은 간기능 수치의 증가가 109례(21.8%), 현미경적 혈뇨가 16례(3.2%), 단백뇨가 20례(4%), 피부병변이 29례(5.8%)였고, 폐내의 합병증은 무기폐가 11례(2.2%), 폐기종이 5례(1%), 늑막삼출이 27례(5.4%) 보였다. 늑막삼출은 대엽성 및 소엽성 폐염에서 16례(59%)로 가장 많았고 늑막 삼출의 정도는 대개 경미하였으며 삼출액은 전부 장액성이었으며, 냉응집소치에 대한 Mycoplasma 항체검사의 민감도는 53.3%였다. 결 론 : Mycoplasma pneumoniae 폐염은 대체로 3년의 유해주기를 보였고 계절별의 뚜렷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연령분포에서 2~4세가 대상환아의 43.4%을 차지하여 M. pneumoniae 폐염이 어린 소아에서 드물다는 일반적인 학설과 상반되는 것으로 향후 그 추이를 관찰을 요하며 간기능 수치가 대상환아의 21.8%로 증가되어 간기능검사등을 포함한 최소한의 검사의 필요성이 있고 냉응집소치와 Mycoplasma 항체가의 상관성이 낮아 향후 중합효소연쇄반응을 이용한 Mycoplasma pneumoniae의 DNA을 측정하는 등 진단의 정밀도를 높이는 방법이 강구되어야겠다.

      • 중합효소연쇄반응을 이용한 Mycoplasma pneumoniae의 검출

        김재룡,하정옥,박용훈,이영환,신손문,문한구 대한감염학회 1996 감염 Vol.28 No.3

        배경:Mycoplasma 폐렴의 진단법으로 사용되는 혈청학적 검사법과 배양검사법은 몇가지 제한이 있어 신속성과 정확성을 충족하지 못한다. 이를 보완한 중합효소연쇄반응법은 그 민감도와 특이도가 뛰어난 것으로 알려져 있어, 중합효소연쇄반응법을 이용한 M.pneumoniae DNA 검출이 실제 임상에서 신속하고 정확한 검사법으로 유용한 지를 알아보았다. 방법:1995년 5월부터 9월까지 영남대학교 의과 대학 부속병원 소아과에 폐렴으로 입원한 환아 중 mycoplasma 폐렴이 의심되는 17명의 환아를 대상으로 급성기와 회복기의 혈청을 이용한 mycoplasma 특이 항체 검사와 급성기의 가검물을 이용한 PCR을 실시하였다. 환아의 가검물로는 가래, 늑막강 삼출물 및 비인두강내 분비물을 이용하였다. 결과:Mycoplasma 특이 항체 역가가 음성인 경우에는 PCR에서도 전부 음성으로 나와서 100% (4예의 일치를 보였으나, mycoplasma 특이 항체 역가와 PCR 결과가 동시에 양성으로 나타난 경우는 85%(11예)였다. 그러나 Mycoplasma 특이 항체 역가는 의미있었으나 (각각 1:1,280, 1:2,560) PCR에서는 음성으로 나온 경우가 2예 있었는데, 이들은 각각 결핵과 전염성 단핵구증으로 확인되어 그 특이도와 민감도는 mycoplasma 특이 항체 검사법 보다 뛰어난 것으로 생각된다. 결론:PCR을 이용한 M. pneumoniae DNA의 검출은 높은 민감도와 특이도를 가지므로, 현재 흔히 사용하는 혈청학적 검사와 배양검사의 문제점을 보완한 확진법으로 임상에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Background: Since culturing Mycoplasma pneumoniae(M. pneumoniae) is time-consuming and laborious, serological tests are widely used for the diagnosis. However, it takes time for a sufficient titer accumulation to take place for the serological tests to work. In addition, the accuracy of the serological tests is questionable since it is often difficult to distinguish current infection from the prior ones. Thus, we investigated the efficacy of PCR which amplified M. pneumoniae DNA as an alternative diagnostic test with greater accuracy and convenience. Methods: For seventeen patients with possible mycoplasma pneumonia, who came to the department of Pediatrics, Yeungnam University Hospital between May and September of 1995, serological tests and PCR are simutaneously carried out. Sputum, pleural effusion and nasal secretion are collected from the patients for PCR with two sets of primers from P1 attachment-protein gene of M. pneumoniae. Results: Of total 17 patients, 11 patients were PCR positive, and 6 patients are PCR negative. All of 11 PCR-positive patients showed high titers (1:320-1:5,120) of anti-mycoplasma antibody test. Two out of 6 PCR-negative patients had positive results in anti-mycoplasma antibody test. which were 1:1,280 and 1:2,560, respectively. Further workups for these patients revealed tuberculosis and infective mononeucleosis, respectively. The results of the first PCR test are identical to that of the second PCR test with a different primer. Conclusion: Compared to the serological tests, PCR is more sensitive and accurate in diagnosing mycoplasma pneumonia. Further research is warranted to facilitate the method of clinical sample collection as well as to determine the optimal timing for the sample collection.

      • SCOPUSKCI등재

        최근 6년간(1998-2003) 소아 Mycoplasma 폐렴의 임상 양상

        김지현,채수안,이동근,Kim, Ji-Hyun,Chae, Soo Ahn,Lee, Dong-Keun 대한소아청소년과학회 2005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CEP) Vol.48 No.9

        목 적 : 소아기 지역 사회 획득 폐렴의 주요 원인인 Mycoplasma pneumoniae 폐렴의 최근 임상 양상의 변화를 알아 소아 폐렴 환아의 치료에 도움을 받고자 하여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 1998년 1월부터 2003년 12월까지 6년 동안 중앙대학교 필동병원 소아과에 입원하여 Mycoplasma 항체치가 1 : 160 이거나, 혹은 추적검사상 4배 이상 증가했던 0-15세 사이의 393 명을 대상으로 하여 이들의 의무 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고 이전의 연구 결과와 비교하였다. 결 과 : 1) 남녀비는 1.06 : 1이었고, 평균연령은 $4.32{\pm}2.94$세였다. 2-3세가 18.6%로 가장 많았으며, 2세 미만에서도 14.7%나 발생했다. 2003년에 가장 많았고, 2000년에 10, 11월, 2002년에 4월, 2003년에는 10, 12월에 많았다. 2) 26.7%에서 알레르기 질환의 과거력이 있었으며 10.7% 환아의 2촌 범위 내에서 알레르기 질환이 있었다. 43.3%가 이전에 폐렴으로 입원하였고, 23.9%에서는 폐렴을 2번 이상 앓았었다. 알레르기 검사를 시행한 환아의 65.7%가 양성이고, 가장 흔한 원인은 집먼지진드기였다. 12.2%에서는 mycoplasma 폐렴이 천식의 유발 혹은 악화인자로 작용했다. 3) 호흡기 증상은 기침, 객담, 순이었고, 폐외증상은 복통, 구토 순이었다. 악설음이 85.4%에서 들렸고, 천명이 18.3%에서 들렸으며, 32.3%에서 청진 소견이 방사선과 일치하였다. 4) 2.5%에서 무기폐, 1.8%에서 흉막삼출이 동반되었다. 기관지 폐렴, 간질성 폐렴, 엽상 음영 순이었고, 우측에 더 많았다. 5) 한랭응집소치와 Mycoplasma 항체치 사이에 유의한 상관성은 없었다. 결 론 : Mycoplasma pneumoniae 폐렴의 호발 연령이 이전 연구결과 보다도 낮아진 것을 알 수 있고, 따라서 학동기 이전의 폐렴 환아들에서 특히 영유아에서도 이에 대한 감별진단을 하는 것이 치료에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또한 천명 동반율이 높아지고, 다른 알레르기 질환의 과거력과 가족력이 있는 경우와, 재발성 폐렴과 연관된 경우가 많았다. Purpose : We performed a study of clinical findings of Mycoplasma Pneumonia in children, to know differences between recent clinical manifestations of Mycoplasma pneumonia and previous studies. Methods :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93 children who were diagnosed as Mycoplasma pneumonia with high titers of Mycoplasma antibody(${\geq}1$ : 160) or fourfold rises of Mycoplasma antibody at Chung Ang University Hospital from January 1998 to December 2003. We practiced a retrospective study on the clinical manifestations of Mycoplasma pneumonia based on their medical records. Results : Male to female ratio was 1.06 to 1 and mean age was $4.32{\pm}2.94years$. The highest incidence was in the age of 2 to 3 years(18.6 percent). Most frequent months were October, and November in 2000, April in 2002, and October and, December in 2003. Twenty six point seven percent showed allergic diseases. Second degree relatives of 10.7 percent patients had allergic diseases. Forty three point three percent were admitted before this admission for pneumonia. Allergic tests were positive in 65.7 percent. Cough, and sputum were the most common symptoms and abdominal pain, and vomiting were the most frequent extrapulmonary symptoms. Atelectasis and pleural effusion were seen in 2.5 percent and 1.8 percent. Infiltrations were more common on the right side. Titers of each simultaneous test for cold agglutinin and mycoplasma antibody were not in proportion to each other (P=0.163). Conclusion : The onset age of mycoplasma pneumonia was found to be lower than it used to be. More patients had a past medical history or a family history of allergic disease, and more wheezing was heard and associated with recurrent pneumonia.

      • KCI등재

        소아 대·소엽성 폐렴의 임상 양상 및 원인에 대한 고찰

        이윤희,신영림,서원석,박재옥,신미용 대한 소아알레르기 호흡기학회 2009 Allergy Asthma & Respiratory Disease Vol.19 No.3

        Purpose : We aimed to evaluate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etiological organisms associated with lobar/lobular pneumonia in Korean children. Methods : Children hospitalized due to radiographically confirmed lobar/lobular pneumonia were evaluated prospectively between June 2006 and May 2008. Anti-Mycoplasma pneumoniae IgM/IgG (at admission and follow-up), blood cultures, throat swabs for bacterial detection or sputum culture, respiratory viruses (Respiratory syncytial virus, Adenovirus and Influenza A/B) antigen testing, and urinary antigen testing for S. pneumoniae were performed. Results : Two hundred eighty-eight immunocompetent children (mean age, 5.9 years) were enrolled. The age distribution showed a peak frequency at 2-6 years of age (<2 years, 8.7%; 2-6 years, 60.8%; 7-10 years, 22.6%; 11-15 years, 8.0%). Typical respiratory organisms were identified in 64.9% of cases. Identified organisms were Mycoplasma pneumoniae (50.7%), bacteria in (5.9%), viruses (2.1%) and mixed infection (5.9%). Mycoplasma pneumoniae was the most commonly identified organism in all age groups. The majority (88.9%) of bacterial pneumonias including mixed infection were caused by Streptococcus pneumoniae. Mycoplasma pneumonia was the most frequent at 5-6 years of age, but bacterial pneumonia was most frequent at 1-2 years of age. Lobar/lobular pneumonia began to increase from August and showed peak incidence in November and December. The levels of WBC, ESR, and CRP more significantly elevated in those with bacterial pneumonia than in children with mycoplasma pneumonia. Pleural effusion was present in 18.1% of cases. In these cases, the duration of fever and hospitalization was prolonged, and the ESR and CRP level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without pleural effusion. Conclusion : Mycoplasma pneumoniae was the most common organism causing lobar/lobular pneumonia in children. Mycoplasma pneumoniae was the most frequent causative organism at 5-6 years of age. On the other hand, bacterial pneumonia was more common at 1-2 years of age. Thus, age may be a significant factor for the diagnosis and treatment of lobar/lobular pneumonia in children. 목 적 : 과거 대·소엽성 폐렴은 주로 세균 감염이 원인으로 생각되었으나 최근에는 마이코플라스마 폐렴도 흔히 대소엽성 폐렴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졌다. 저자들은 우리나라 소아의 대소엽성 폐렴의 임상 양상 및 원인을 조사하여 치료에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방 법 : 2006년 6월부터 2008년 5월까지 대·소엽성 폐렴으로 순천향대학교 부천병원에서 입원 치료를 받은 소아 28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입원 시에 anti-Mycoplasma pneumoniae IgM/IgG, 혈액배양, 인후도말 또는 가래 배양 및 호흡기바이러스 항원 검사와 소변 폐구균 항원 검사를 시행하였고 입원 5-7일 후 Mycoplasma IgM/IgG 추적 검사를 시행하였다. 입원 전과 후의 발열기간과 입원 기간 등의 임상 양상을 조사하였다. 결 과 : 1) 발생 연령은 평균 5.9세였고 2세 미만 25명(8.7%), 2-6세 175명(60.8%), 7-10세 65명(22.6%), 11-15세 23명(8.0%)으로, 2-6세에 가장 호발하였다. 남녀 비는 147:141 이었다. 2) 187례(64.9%)에서 원인이 확인되었다. 마이코플라스마 폐렴이 146례(50.7%)로 가장 많았으며 세균성 폐렴은 17례(5.9%), 바이러스에 의한 경우는 6례(2.1%), 중복 감염이 확인된 경우는 17례(5.9%)였다. 세균 감염은 대부분 S. pneumoniae가 원인이었다. 3) 마이코플라스마 폐렴이 5-6세에 가장 많이 발생하였던 반면에, 단독 세균성 폐렴은 주로 1-2세에 발생하였다. 4) 대·소엽성 폐렴은 8월부터 증가하기 시작하여 11월과 12월에 가장 많이 발생하였다. 5) 단독 세균성 폐렴과 마이코플라스마 폐렴을 비교하였을 때 발열 기간이나 입원 기간은 차이가 없었지만, 세균성 폐렴에서 백혈구 수와 ESR, CRP가 유의하게 높았다. 6) 흉수는 18.1%에서 동반되었고 흉수가 동반되지 않은 경우에 비해 입원 전과 후의 발열기간과 재원기간이 길었으며, ESR과 CRP가 유의하게 높았다. 결 론 : 소아에서 대·소엽성 폐렴은 마이코플라스마 폐렴이 절반을 차지하였다. 호발 연령은 마이코플라스마 폐렴이 5-6세, 세균성 폐렴이 1-2세로 차이를 보였다. 대·소엽성 폐렴의 치료에 있어서 연령이 가장 먼저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국내소아에서 발생한 마이코플라스마 폐렴 메타분석

        김진우,서현경,유은경,박성진,윤소화,한만용,정혜영 대한소아청소년과학회 2009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CEP) Vol.52 No.3

        Purpose : This study aimed to perform a systematic review of the reports on Mycoplasma pneumoniae pneumonia in the last 30 years (1980-2006) to investigate the intervals between outbreaks, change in the peak incidence age, and diagnostic methods. We also aimed to validate the proper diagnostic criteria for M. pneumoniae pneumonia. Methods : We reviewed 62 original articles on M. pneumoniae pneumonia in Korean children. We analyzed the annual or seasonal variation, study areas, patient age, journal names, and the date of each report. Further, we checked the methods and criteria used for the diagnosis of M. pneumoniae pneumonia. We also confirmed the proper mycoplasma antibody cutoff using the mycoplasma IgM titer as the gold standard. Results : In the last 30 years, epidemic outbreaks of M. pneumoniae pneumonia occurred every 3 years, except in 1993- 1994 and 1996-1997. Seasonal variations were also present and were most prevalent in October and November. The number of preschool children, especially those aged 3 years or younger, with M. pneumoniae pneumonia has increased (P<0.05). The mycoplasma antibody titer of 1:640 or greater was appropriate for diagnosing M. pneumoniae pneumonia, with an acceptable sensitivity and specificity of detection. Conclusion : We analyzed the results of studies on M. pneumoniae pneumonia in Korean children during the last 30 years. Infection in younger children is increasing, and further research is required to reveal the major cause of the changing epidemics. 목 적 : 소아에서 발생한 마이코플라스마 폐렴에 대한 지난 30년동안의 국내 보고들을 분석하여 유행 시기, 호발 연령, 진단 방법과 기준의 변화를 알아보고자 한다. 방 법 : 국내에서 발간되는 학회지를 검색하여 찾은 총 261편 중, 본 연구 목적과 맞는 62편 11,388명을 분석하였다. 각 문헌의 발표 년도, 발표 잡지, 연구 기간, 연구 대상군의 나이, 연구 지역, 마이코플라스마 폐렴의 진단 방법과 검사기준을 확인하였다. 마이코플라스마 IgM을 절대적인 기준으로 하였을 때 적절한 마이코플라스마 항체가 기준치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결 과 : 국내에서 지난 30여 년 동안 마이코플라스마 폐렴은 3년 간격으로 유행하였으며, 1년 중 10월과 11월에 가장 많은 환자가 발생하였다. 3세 이하의 환자가 차지하는 비율이 점차 높아지고(P<0.01), 6세 이하 학동기 이전의 소아가 차지하는 비율도 증가하고 있었다. 마이코플라스마 감염의 기준으로 마이코플라스마 항체가를 1:640 이상을 선택하는 것이 적절하였다. 결 론 : 지난 30여 년 동안 유행한 마이코플라스마의 보고를 분석하였다. 앞으로 확진을 통한 진단기준 확립과 호발시기의 변화, 3-4년 주기 원인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 1996년과 1997년 소아에서 유행한 Mycoplasma pneumoniae의 Genotype에 따른 임상적 연구

        임홍희,안병문,김은령,최석호,문영호,김일수,Lim, Hong Hee,Ahn, Byung Moon,Kim, Eun Ryoung,Choi, Sug Ho,Moon, Young Ho,Kim, Il Soo 대한소아감염학회 1998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Vol.5 No.1

        목 적 : 최근 Mycoplasma pneumoniae를 P1 유전자 배열의 차이에 따라 1군(Group 1)과 2군(Group 2)으로 분류하는데, 두 군간에는 면역 반응, 질환의 중증도에 있어 다소간의 차이가 있고, Mycoplasma pneumoniae가 주기적으로 유행하는 것은 두 군중 어떠한 한 군의 빈도가 특히 증가되는 것과 관련이 있다는 보고도 있다. 이에 저자들은 1996년과 1997년도에 유행하였던 Mycoplasma pneumoniae를 분류하여 유행한 군을 알아보고, 두 군간에 임상 양상의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 1996년 11월부터 1997년 10월 사이에 성애병원 및 광명 성애병원에 방사선 소견, 혈청 마이코플라스마 특이항체 검사와 임상가검물의 PCR로 마이코플라스마 폐렴으로 진단된 15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두 군으로의 분류는 대상 환아의 급성기 임상가검물에서 핵산을 추출한 후 P1 유전자의 배열의 차이를 기초로 제작한 시발체를 이용한 PCR법으로 하였고, 이들의 임상 양상과 마이코플라즈마 항체가를 후향적으로 비교하여 보았다. 결 과 : 1) 1군은 137명(88.4%), 2군은 18명(11.6%)으로 주로 1군이 유행하였고, 두 군 모두 가을과 겨울에 걸쳐 유행하였다. 2) 1군과 2군 모두 남아에서 특히, 4세에서 6세 사이에 호발하였다. 3) 평균 발열기간(1군 $7.5{\pm}3.1$일, 2군 $6.8{\pm}2.7$일)과 평균 입원기간(1군 $6.6{\pm}3.0$일, 2군 $7.5{\pm}2.1$일)에서 두 군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05). 4) 급성기 마이코플라스마 항체가가 1:2560 이하인 저항체가군은 1군이 131명(95.6%), 2군은 16명(88.9%)이었으며, 1:5120 이상인 고항체가군은 1군이 6명(4.4%), 2군은 2명(11.1%)이었다. 결 론 : 1996년과 1997년 사이에는 1군이 호발하였고, 두 군간의 성별 분포, 호발 연령, 평균 발열기간, 평균 입원기간에는 의미있는 차이는 없었으나 고항체가군은 2군에서 높은 빈도를 보였다. 그러나 단기간의 연구로 인한 표본의 차이로 두 군간의 면역 반응, 질환의 중증도를 비교하기에는 무리가 있었고, 특히 연구 기간중 1군의 호발이 Mycoplasma pneumoniae의 유행 주기와 관계가 있었는지를 알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 The P1 protein of Mycoplasma pneumoniae mediates the attachment of the pathogen to its host cell and elicits a strong humoral immune response during infection with this organism. Mycoplasma pneumoniae strains can be classified into two groups(I and II) by PCR method of P1 cytadhesin gene. In this study, we evaluated the prevalence, epidemiological and clinical characteristics of each group. Methods : From 155 patients with Mycoplasma pneumoniae, who admitted to the Department of Pediatrics, Sung-Ae and Kwangmyung Sung-Ae Hospital between November 1996 and October 1997, we collected their throat swabs or nasopharyngeal aspirates for DNA extraction and serum for indirect hemagglutination test of Mycoplasma pneumoniae. The group specific PCR amplification were performed using specific oligonucleotide primers designed for P1 gene genotyping. Results : Group I(137 patients, 88.4%) occurred frequently than group II(18 patients, 11.6%). In both group, the most prevalent season was winter in 1996(Nov. to Dec.) and fall in 1997(Aug. to Oct.) The prevalent age was four to six years old. The number of male was more than female in both group; Group 1(1.2:1), Goup 2(1.6:1). No significant relationship were found between two groups in duration of fever and hospital days(P>0.05). The rate of high antibody titers(>1:5120) was lower in group I(6/137, 4.4%) than group II(2/18, 11.1%). Conclusion : Group I was much more prevalent than group II during 1996~1997 in Korea.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in epidemiological and clinical parameters except the rate of high antibody titers. Further follow-up survey will be needed for the epidemiologic and clinical studies of Mycoplasma pneumoniae in Korea.

      • 소아 대,소엽성 폐렴의 임상 양상 및 원인에 대한 고찰

        이윤희 ( Yoon Hee Lee ),신영림 ( Young Lim Shin ),서원석 ( Won Suk Suh ),신미용 ( Mee Yong Shin ),박재옥 ( Jae Ock Park ) 대한소아알레르기호흡기학회(구 대한소아알레르기 및 호흡기학회) 2009 소아알레르기 및 호흡기학회지 Vol.19 No.3

        목적: 과거 대·소엽성 폐렴은 주로 세균 감염이 원인으로 생각되었으나 최근에는 마이코플라스마 폐렴도 흔히 대소엽성 폐렴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졌다. 저자들은 우리나라 소아의 대소엽성 폐렴의 임상 양상 및 원인을 조사하여 치료에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방법: 2006년 6월부터 2008년 5월까지 대·소엽성 폐렴으로 순천향대학교 부천병원에서 입원치료를 받은 소아 28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입원 시에 anti-Mycoplasma pneumoniae IgM/IgG, 혈액배양, 인후도말 또는 가래 배양 및 호흡기바이러스 항원 검사와 소변 폐구균 항원 검사를 시행하였고 입원 5-7일 후 Mycoplasma IgM/IgG 추적검사를 시행하였다. 입원 전과 후의 발열기간과 입원 기간 등의 임상 양상을 조사하였다. 결과: 1) 발생 연령은 평균 5.9세였고 2세 미만 25명(8.7%), 2-6세 175명(60.8%), 7-10세 65명(22.6%), 11-15세 23명(8.0%)으로, 2-6세에 가장 호발하였다. 남녀 비는 147:141 이었다. 2) 187례(64.9%)에서 원인이 확인되었다. 마이코플라스마 폐렴이 146례(50.7%)로 가장 많았으며 세균성 폐렴은 17례(5.9%), 바이러스에 의한 경우는 6례(2.1%), 중복 감염이 확인된 경우는 17례(5.9%)였다. 세균 감염은 대부분 S. pneumoniae가 원인이었다. 3) 마이코플라스마 폐렴이 5-6세에 가장 많이 발생하였던 반면에, 단독 세균성 폐렴은 주로 1-2세에 발생하였다. 4) 대·소엽성 폐렴은 8월부터 증가하기 시작하여 11월과 12월에 가장 많이 발생하였다. 5) 단독 세균성 폐렴과 마이코플라스마 폐렴을 비교하였을 때 발열 기간이나 입원 기간은 차이가 없었지만, 세균성 폐렴에서 백혈구 수와 ESR, CRP가 유의하게 높았다. 6) 흉수는 18.1%에서 동반되었고 흉수가 동반되지 않은 경우에 비해 입원 전과 후의 발열기간과 재원기간이 길었으며, ESR과 CRP가 유의하게 높았다. 결론: 소아에서 대·소엽성 폐렴은 마이코플라스마 폐렴이 절반을 차지하였다. 호발 연령은 마이코플라스마 폐렴이 5-6세, 세균성 폐렴이 1-2세로 차이를 보였다. 대·소엽성 폐렴의 치료에 있어서 연령이 가장 먼저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Purpose: We aimed to evaluate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etiological organisms associated with lobar/lobular pneumonia in Korean children. Methods: Children hospitalized due to radiographically confirmed lobar/lobular pneumonia were evaluated prospectively between June 2006 and May 2008. Anti-Mycoplasma pneumoniae IgM/IgG (at admission and follow-up), blood cultures, throat swabs for bacterial detection or sputum culture, respiratory viruses (Respiratory syncytial virus, Adenovirus and Influenza A/B) antigen testing, and urinary antigen testing for S. pneumoniae were performed. Results: Two hundred eighty-eight immunocompetent children (mean age, 5.9 years) were enrolled. The age distribution showed a peak frequency at 2-6 years of age (<2 years, 8.7%; 2-6 years, 60.8%; 7-10 years, 22.6%; 11-15 years, 8.0%). Typical respiratory organisms were identified in 64.9% of cases. Identified organisms were Mycoplasma pneumoniae (50.7%), bacteria in (5.9%), viruses (2.1%) and mixed infection (5.9%). Mycoplasma pneumoniae was the most commonly identified organism in all age groups. The majority (88.9%) of bacterial pneumonias including mixed infection were caused by Streptococcus pneumoniae. Mycoplasma pneumonia was the most frequent at 5-6 years of age, but bacterial pneumonia was most frequent at 1-2 years of age. Lobar/lobular pneumonia began to increase from August and showed peak incidence in November and December. The levels of WBC, ESR, and CRP more significantly elevated in those with bacterial pneumonia than in children with mycoplasma pneumonia. Pleural effusion was present in 18.1% of cases. In these cases, the duration of fever and hospitalization was prolonged, and the ESR and CRP level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without pleural effusion. Conclusion: Mycoplasma pneumoniae was the most common organism causing lobar/lobular pneumonia in children. Mycoplasma pneumoniae was the most frequent causative organism at 5-6 years of age. On the other hand, bacterial pneumonia was more common at 1-2 years of age. Thus, age may be a significant factor for the diagnosis and treatment of lobar/lobular pneumonia in children. [Pediatr Allergy Respir Dis(Korea) 2009;19:271-281]

      • 연령에 따른 Mycoplasma pneumoniae 폐렴 발병의 최근 경향

        이효상,최경민 대한소아감염학회 2008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Vol.15 No.2

        Purpose : It has been previously reported that for patients with Mycoplasma pneumoniae pneumonia was previously recognized that overt illness is unusual under the age of three and the peak incidence of illness occurs in school-aged children. However, a higher incidence of this illness in younger children has been recently noted. Thus we investigated the incidence of M. pneumoniae pneumonia. Methods : The study subjects were 414 children who were diagnosed with M. pneumoniae pneumonia from January 2004 to December 2006 at Myong Ji Hospital were enrolled. The diagnostic criteria consisted of an anti-mycoplasma antibody (AMA) titer greater than 1: 320 or a four-fold rise in the titer at follow up. Results : The age distribution was as follows: before 2 years of age: 58 patients (14%), 2-4 years of age 157 patients (37.9%) and 5-15 years of age 199 patients (48.1%). The yearly incidence for the children before 5 years of age was 52 (44%), 49 (44.6%) and 114 (61.3%), respectively. The distribution according to the antibody titer was as follows; 1: 320 in 130 patients, 1:640 in 63 patients and greater than 1:1,280 in 221 patients. The hospital stay according to the antibody titer was not significant according to either age or the AMA titers. Conclusion : M. pneumoniae pneumonia showed a peak incidence in preschool children with a higher prevalence in children under the age of three than was previously recognized. The emergence of M. pneumoniae pneumonia as a cause of community acquired pneumonia in younger children calls for an epidemiologic study to investigate the changes of the pathogens in this age group and to recommend the proper treatment. (Korean J Pediatr Infect Dis 2008;15:162-166) Purpose : It has been previously reported that for patients with Mycoplasma pneumoniae pneumonia was previously recognized that overt illness is unusual under the age of three and the peak incidence of illness occurs in school-aged children. However, a higher incidence of this illness in younger children has been recently noted. Thus we investigated the incidence of M. pneumoniae pneumonia. Methods : The study subjects were 414 children who were diagnosed with M. pneumoniae pneumonia from January 2004 to December 2006 at Myong Ji Hospital were enrolled. The diagnostic criteria consisted of an anti-mycoplasma antibody (AMA) titer greater than 1: 320 or a four-fold rise in the titer at follow up. Results : The age distribution was as follows: before 2 years of age: 58 patients (14%), 2-4 years of age 157 patients (37.9%) and 5-15 years of age 199 patients (48.1%). The yearly incidence for the children before 5 years of age was 52 (44%), 49 (44.6%) and 114 (61.3%), respectively. The distribution according to the antibody titer was as follows; 1: 320 in 130 patients, 1:640 in 63 patients and greater than 1:1,280 in 221 patients. The hospital stay according to the antibody titer was not significant according to either age or the AMA titers. Conclusion : M. pneumoniae pneumonia showed a peak incidence in preschool children with a higher prevalence in children under the age of three than was previously recognized. The emergence of M. pneumoniae pneumonia as a cause of community acquired pneumonia in younger children calls for an epidemiologic study to investigate the changes of the pathogens in this age group and to recommend the proper treatment. (Korean J Pediatr Infect Dis 2008;15:162-166)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