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학생들의 Zeno의 역설(반분 역설과 아킬레스 역설) 과제 해결 과정에 대한 연구 : 학생들의 표현을 중심으로

        이동근 대한수학교육학회 2019 학교수학 Vol.21 No.2

        This study is a follow-up study of Lee (2019) and Lee (2018). This study is a case study based on 12 teaching experiment data on three high school students(second). It focuses on the 8th to 12th teaching experiment data related to the research topic. In particular, it discusses how students who accept potential Infinite perspective when they encounter the half paradox and the Achilles paradox. And analyzed how students solve the paradoxical situation. This study can provide information on how students with a conceptual idea solve their concerns about reachability. This seems to be the basis for learning studies related to students' infinite concepts. 본 연구는 학생들의 극한 문제의 풀이 과정에서 ‘대수적 절차’와 ‘그래프를 이용한 방식’의 연결에 대한 이동근(2019)의 연구와, 다양한 형태의 등비급수 과제들에 대한 학생들의 표현에 대하여 연구한 이동근(2018)의 연구에 대한 후속 연구로서 학생들의 ‘도달 가능성’에 대한 표현을 구성적 관점에서 분석한 연구이다. 본 연구는 세 명의 고등학생들을 연구 대상으로 하여 진행한 12차시의 교수실험 자료에 근거한 사례연구이며, 연구주제와 관련된 8차시에서 12차시까지의 교수실험 자료를 중심으로 논하고 있다. 특히 가무한 관점에서 무한을 받아들이는 학생들이 반분 역설과 아킬레스 역설을 접하였을 때 어떻게 받아들이는지와 또 어떻게 역설적 상황을 해결해가는지에 대하여 학생들의 표현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가무한 개념을 가진 학생들이 ‘도달 가능성’에 대한 문제를 어떻게 해결해가는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는 학생들의 무한 개념과 관련된 학습 연구에 기초가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

        기후변화의 영향평가를 위한 대순환모형과 지역기후모형의 비교 연구

        이동근,정휘철,김재욱 한국환경영향평가학회 2006 환경영향평가 Vol.15 No.4

        Impacts of global warming have been identified in many areas including natural ecosystem.A good number of studies based on climate models forecasting future climate have beenconducted in many countries worldwide. Due to its global coverage, GCM, which is a mostfrequently used climate model, has limits to apply to Korea with such a narrower andchanges with a climate model fully reflecting characteristics of Korean climate. In this respect,this study was designed to compare and analyze the GCM and RCM in order to determine asuitable climate model for Korea.In this study, spatial scope was Korea for 10 years from 1981 to 1990. As a research method,current climate was estimated on the basis of the data obtained from observation at the GHCN.Future climate was forecast using 4 GCMs furnished by the IPCC among SRES A2 Scenario asfor the purpose of comparing data obtained from observation with GCM and RCM.As a result of this study, average annual temperature of Korea between 1981 and 1990 wasfound to be around 12.03˚C, with average daily rainfall being 2.72mm. Under the GCM,average annual temperature was between 10.22 and 16.86℃, with average daily rainfallCorresponding Author: Jae-Uk Kim, Graduate School of Environmental Studies, Seoul National University, San 56-1, Shillim-dong, Gwanak-gu, Seoul, 151-742, Korea Tel: 82-2-880-4885 E-mail: japa95@hanmail.net

      • KCI등재

        고등학교 수학 수업에서 과정 중심 평가 수업을 위한 피드백 중심 수업 자료 개발에 관한 연구

        이동근,한창훈 한국수학교육학회 2022 수학교육논문집 Vol.36 No.1

        This study is a study that developed class materials that can apply Process-Focused Assessment to classes by paying attention to feedback using teacher learning community programs centered on teachers belonging to the same school in the field. In particular,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aim of developing class materials applicable to actual classes. At this time, We thought about how to provide appropriate feedback when applying course-based evaluation in school field classes. It was conducted according to the procedure of data development research by Lee & Ahn(2021). As for the procedure of data development itself, an evaluation plan was established by establishing a strategy to reconstruct achievement standards and confirm understanding based on curriculum analysis. Next, an evaluation task, a scoring standard table, and a preliminary feedback preparation table were developed. In addition, based on these development materials, a learning guidance plan that can predict scenes when applying actual classes was developed as a result. This study has value as a practical study that can contribute to providing a link between theory and field schools. It is also meaningful in that it considered how the teacher would grasp when to provide feedback in performing rocess-Focused Assessment. Likewise, in providing feedback by teachers, it is meaningful in that it reflects in the data development how to prepare in advance and take classe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 Finally, it seems that the possibility of field application can be improved in that the results of the 4th class developed in this study are presented in a form applicable to the class directly in the field. 본 연구는 현장의 동일교 소속 교사들을 중심으로 교원학습공동체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피드백에 주목하여 과정 중심 평가를 수업에 적용할 수 있는 수업 자료를 개발한 연구이다. 특히 실제 수업에 적용 가능한 수업 자료를 개발하는 것을 목적에 두고 진행한 연구이다. 이때 학교 현장 수업에서 과정 중심 평가를 적용할 때 어떻게 적절한 피드백을 제공할 것인지 고민하였다. 이동근, 안상진(2021)의 자료 개발 연구의 절차를 따라 진행하였으며, 자료 개발 자체의 절차는 교육과정 분석에 근거한 성취기준의 재구성과 이해도 확인 전략을 수립하여 평가계획을 수립하였다. 다음으로 평가과제와 채점 기준표 및 사전 피드백 준비표를 개발하였다. 또한 이들 개발 자료들에 근거하여 실제 수업적용 시의 장면을 예상할 수 있는 학습 지도안을 결과물로 함께 개발하였다.

      • KCI등재후보

        Uridylate kinase를 이용한 원핵생물의 분류

        이동근,김철민,김상진,하배진,하종명,이상현,이재화 한국생명과학회 2003 생명과학회지 Vol.13 No.6

        원핵생물 (Procaryote)의 분류에 16S rRNA유전자가 많이 이용되어 있으나 제한된 해상력과 유전자의 수에 차이가 있는 등의 문제가 있어 이를 보완할 수 있는 새로운 생체분자를 찾고 그 분류 결과를 16S rRNA의 결과와 비교하였다. COG (Clusters of Orthologous of protein) 방법을 이용하여 43종의 미생물중에서 진핵생물을 제외한 42종의 원핵생물 (procaryote)에서만 발견되는 3종류의 COG인 Transcription elongation factor인 COG0195과 bacterial DNA primase인 COG0358 그리고 uridylate kinase인 COG0528를 구하였다. 이중 유사도와 유전자 수를 바탕으로 새로운 분류의 키로 uridylate kinase를 설정하여 분석한 결과, 같은 속 (genus)에 속하는 세균들은 아주 높은bootstrap value를 갖고 분류도에서 같은 위치에 분포하고 고세균 (Archaebacteria) 내부의 응집성이 높은 등의 유사성을 보였다. 한편 alpha와 epsilon 그룹의 Proteobacteria가 분류도에서 다르게 위치하고 진정세균 (Eubacteria)의 Spi-rochaetales에 속하는 Treponema pallidum (Tpa)와 Borrelia burgdorferi (Bbu)가 고세균과 유연관계가 높게 나타나는 등 차이점도 보였다. Uridylate kinase를 이용한 분류는, 아주 높은 보존성에 의해서 생기는 16S rRNA 유전자를 이용한 문제점을 보완하여 원핵생물의 정확한 분류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었다. The 16S rRNA gene is the most common gene in the phylogenetic analysis of procaryotes. However very high conservative of 16S rRNA has limitation in the discrimination of highly related organisms, hence other molecule was applied in this study and the result was compared with that of 16S rRNA. Three COGs (Clusters of Orthologous of protein) were only detected in 42 procaryotes ; transcription elongation facto. (COG0195), bacterial DNA primase (COG0358) and uridylate kinase (COG0528). Uridylate kinase gene was selected because of the similarity and one single copy number in each genome. Bacteria, belong to same genus, and Archaebacteria were same position with high bootstrap value in phylogenetic tree like the tree of 16S rRNA. However, alpha and epsilon Proteobcteria showed different position and Spirochaetales of Eubarteria was grouped together with Archaebacteria unlike the result of 16S rRNA. Uridylate kinase may compensate the problem of very high conservative of 16S rRNA gene and it would help to access more accurate discrimination and phylogenetic analysis of bacteri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