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칠레 대기환경 감시시스템 개선 방안에 관한 고찰

        박일수,강창국,장유운 한국외국어대학교 중남미연구소 2014 중남미연구 Vol.33 No.1

        An air quality monitoring network in Chile including the northern, central and southern areas of Chile has been in operation since 1994. The network has 210 monitoring stations in both metropolitan and rural areas throughout Chile. Concentrations of ten air pollutants (PM, SO2, NOx, CO, CH4, O3), heavy metals, and hydrocarbons are measured. The Chilean Ministry of Environment has started a comprehensive effort focused on the stable operation and improvement of the national air quality monitoring system (Sistema de Informacion Nacional de Calidad del Aire , SINCA) with a special focus on metropolitan areas since 2012. Real-time data are available on the Web site of the Ministry of Environment where air quality conditions are ranked among five categories as good, common, bad, serious, and very serious. At present, various national air quality monitoring systems in Chile are independent regarding installation and operation. QA/QC systems and data management systems are individualized depending on the regional government and private operation institutions. In order to achieve a systematic approach to managing the overall system, a more standardized has been established and implemented by each region. It is desirable that the monitoring stations use standard QA/QC procedures and implement standard approaches to quality assurance and verification. The air quality monitoring station in Santiago (Red de Monitoreo de Contaminantes Atmosfericos, MACAM) should be designed by the national standard monitoring center. For the mid-to-long term, the basic guiding principles for the operation of SINCA should be shifted to management by the Ministry of Environment and an improved system for data management in the regional and private monitoring stations should be implemented. It is recommended that the techniques used in the national air quality monitoring information system (NAMIS) operated by the Korea Environment Corporation be shared with the SINCA network in Chile. This would offer the benefits of standard operating procedures (data communication protocols, QA/QC procedures, and training in technology, analyses and data collection) in the Chilean monitoring networks. 칠레의 대기환경 감시망은 지역 특성에 따라 북부, 중부, 그리고 남부 지역으로 관리되고 있다. 전국 15개 지역과 수도권 지역에서는 210개의 대기오염 측정소가 구축되어 있으며, 일반대기오염물질(PM, SO2, NOx, CO, CH4, O3)과 중금속 및 휘발성 유기오염물질 등 10개 항목이 측정되고 있다. 칠레 환경부는 2012년 4월부터 본격적인 대기환경 감시망관리운영의 업무에 착수하였으며 특히 수도권을 중심으로 한 대기환경 감시시스템의 안정적인 운영과 개선에 중점을 두고 있다. 대기오염 측정 자료는 환경부 웹사이트를 통해 실시간 공개되고 있으며, 적절, 보통, 나쁨, 심각, 아주 심각 등 5단계로 대기오염 상태를 발표하고 있다. 현재 운영 중인 국가 대기환경 감시망은 설치 주체 및 운영주체가 개별화 되어 있으며 정도관리 및 자료관리 체계도 지역별 내지 사설운영 기관에 따라 개별화 되어 있다. 체계적인 관리제도와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하여 각 지역별로 표준화 방안 등 관리 및 개선 방안이 마련되어야 하겠다. 단기 개선 개획으로는 산티아고 대기측정망네트워크를 국가 표준 측정망으로 설정하고 이에 대한 정도관리 표준절차, 측정기 정도검사, 자료 검증방법 등의 표준 수행 방안을 수립하고 시행하여야 하겠다. 중장기 개선 계획으로는 현재 국가 대기환경 감시측정망의 운영 기본지침이 보건부를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으나 이를 환경부 중심의 관리체제로 전환하고 지역 및 사설측정망의 측정 정도관리와 자료의 취합 ․ 품질관리 등을 총괄할 수 있는 제도 개선이 필요하다. 우리나라에서 운영되고 있는 대기환경 감시 시스템을 칠레에 기술 이전하여 실시간 감시 체계와 정도관리의 표준 운영체계가 구축될 수 있도록 기술적 교육 등 협력체계를 구축해야 하겠다.

      • KCI등재

        데이터 기반 환경감시를 위한 환경정보시스템 분석 및 시사점 도출

        김명제,윤정호,김동우,이상혁,손승우 한국환경정책학회 2022 環境政策 Vol.30 No.2

        Industries that emit pollutants create hazards in the physical environment in the domains of air quality, water quality, and waste. Data sensors to detect these hazards are gradually becoming more intelligent and sophisticated. Systematizing environmental monitoring based on data can increase work accuracy and save time and money. This study compared and analyzed the environmental information system currently operated by the Ministry of Environment and related ministries, together with the monitoring capabilities of field experts, and evaluated the usability of data in the system and the feasibility of improving relevant monitoring skills. This analysis identified environmental information systems with high usability for environmental monitoring tasks for each air quality, water quality, and waste sector. The technical knowledge to use the information system to monitor data was also identified. Applying the information systems and monitoring knowledge identified in this study and improving the related laws and regulations will enhance the efficiency and objectivity of environmental monitoring. 환경오염물질 배출업소는 대기, 수질, 폐기물 등 다양한 환경매체 별로 환경범죄를 발생시킬 수 있으며, 이는 점차 지능화・고도화되는 추세이다. 이에 대응할 수 있도록 데이터를 기반으로 환경감시 업무를 체계화시키면 업무의 정확성을 높이고 시간과 비용을 절약할 수 있다. 본 연구는 환경부 및 유관 기관에서 현재 운영 중인 환경정보시스템과 환경감시 현장 전문가들이 활용하는 노하우를 비교・분석하여 시스템 내 데이터의 활용 가능성과 노하우 적용의 언택트화 가능성을 평가하였다. 분석결과 대기, 수질, 폐기물 부문별로 환경감시 업무로의 활용성이 높은 환경정보시스템을 각각 도출하였고, 시스템을 통해 필요한 데이터 연계가 가능한 노하우도 도출하였다. 본 연구에서 도출한 환경정보시스템과 환경감시 노하우의 환경감시 업무로의 활용 가능성과 함께 관련 법, 규정 등의 개선이 이루어진다면 환경감시 업무의 효율성과 객관성이 커질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후보

        부지환경종합관리시스템 개발과 적용

        박주완,윤정현,김창락,조성일 한국방사성폐기물학회 2008 방사성폐기물학회지 Vol.6 No.3

        방사성폐기물 처분시설에 대한 운영 전, 운영 중 및 폐쇄 후 단계에서의 부지환경자료의 지속적 수집 및 관리를 목적으로 한 체계적인 데이터베이스와 전산분석 시스템 구축의 필요성에 의하여 부지환경종합관리시스템(SITES: Site Information and Total Environmental Data Management System)을 개발하였다. 본 시스템은 부지환경 자료관리 및 안전성 재평가에 활용할 수 있는 통합적인 시스템으로서 부지환경데이터관리시스템(SECURE), 통합안전성평가시스템(SAINT), 부지환경감시시스템(SUDAL), 그리고 SITES지리정보시스템(SITES-GIS)의 4개의 모듈로 구성되어 있다. 각 모듈은 자체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자료의 검색, 저장 및 보고서 작성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부지환경자료를 통합안전성평가시스템에서 직접이용 가능토록 되어 있다. 통합안전성평가시스템은 다수의 평가자가 동시에 이용가능하며, 대상 부지별 안전성평가 결과의 품질보증 체제가 확보되어 있다. 부지환경감시시스템은 평가 예측자료와 환경감시 자료와의 비교분석 및 시각화가 가능하며, 또한 일반인을 위한 주기적 환경감시 자료를 인터넷 홈페이지와 연계하여 공개 가능토록 되어 있다. 부지환경종합관리시스템은 현재 중·저준위 방사성폐기물 처분을 위한 월성원자력환경관리센터에 적용되고 있으며, 원자력관계시설 및 기타 유해환경산업시설에 대한 부지 및 환경 감시기능의 수준을 고도화하는 데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SITES(Site Information and Total Environmental Data Management System) has beendeveloped for the purpose of systematically managing site characteristics and environmental dataproduced during the pre-operational, operational, and post-closure phases of a radioactive wastedisposal facility. SITES is an integration system, which consists of 4 modules, to be available formaintenance of site characteristics data, for safety assessment, and for site/environment monitoring;site environmental data management module(SECURE), integrated safety assessmentmodule(SAINT), site/environment monitoring module(SUDAL) and geological information modulefor geological data management(SITES-GIS). Each module has its database with the functions ofbrowsing, storing, and reporting data and information. Data from SECURE and SUDAL areinterconnected to be utilized as inputs to SAINT. SAINT has the functions that multi-user canaccess simultaneously via client-server system, and the safety assessment results can be managedwith its embedded Quality Assurance feature. Comparison between assessment results andenvironmental monitoring data can be made and visualized in SUDAL and SITES-GIS. Also,SUDAL is designed that the periodic monitoring data and information could be opened to thepublic via internet homepage. SITES has applied to the Wolsong low- and intermediate-levelradioactive waste disposal center in Korea, and is expected to enhance the function ofsite/environment monitoring in other nuclear-related facilities and also in industrial facilitieshandling hazardous materials.

      • 항만 방사선감시기의 검색환경 분석 연구

        김보경,김상열,박호,이지연 한국항해항만학회 2017 한국항해항만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7 No.추계

        본 연구는 항만에 설치된 방사선감시기의 검색기능 극대화를 위하여 방사선감시기의 검색환경을 분석하고 물류흐름 관점에서 운영환경 개선방안 도출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 목적 달성을 위해 원자력안전위원회에서 제시한 방사선 위험화물의 수입 물동량 분석을 수행하여 방사선감시기 설치 타당성을 확보하였다. 문헌조사와 현장 전문가 인터뷰를 통해 항만의 방사선감시기 설치환경 및 운영에 따른 물류 장애요인을 분석하였다. 또한, 항만 내 방사선감시기 설치가 가능한 위치를 3단계(본선하역작업, 야드 이송 및 적재 작업, 게이트 반출)로 구분하여 각 위치별 장·단점을 분석하고 최적의 감시기 설치 위치를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감시기 설치 위치 단계별 비용, 물류흐름, 관리·운영적 측면을 고려하였을 때, 게이트 반출 단계가 방사선 감시기 설치를 위한 최적위치로 적합한 것으로 확인하였다. 방사선감시기의 운영최적화 방안으로는 첫째, 반출 게이트 내부의 2차 검색부지 확보를 통해 게이트 통과 전 방사선감시기를 통한 화물 검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둘째, 화물인도지시서(Delivery Order: D/O)를 활용한 신속한 화물정보 파악을 통해 물류흐름의 방해요인을 제거 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 드론을 이용한 환경재난 사후대응 기술 및 연구동향 분석 연구

        손승우 ( Seungwoo Son ),윤정호,조지혜,김태현,전형진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16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기초연구보고서 Vol.2016 No.-

        국가에서는 과거부터 발생한 수많은 환경재난에 대한 경험을 토대로 재난에 대응하기 위한 체계를 마련하고 지속적으로 개선하는 등의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하지만 환경이 급속도로 변함에 따라 기상이변에 따른 자연재난 증가, 사회·문화 갈등과 종교 갈등으로 인한 사회재난 증가 등 다양한 환경재난이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환경재난은 발생 전의 예방 단계부터 발생 후의 대응, 복구 등의 단계까지 각각의 과정이 매우 중요하다고 볼 수 있는데, 특히 환경재난이 발생하면 피해 범위나 규모가 빠르게 커지기 때문에 피해확산을 방지하는 것은 물론 신속한 복구 등의 대응조치도 매우 중요하다. 또한 환경재난으로 인해 발생하는 폐기물은 지하수 오염, 악취, 전염병 등의 2차 환경피해를 발생시키기 때문에 신속한 처리 및 운반이 필요한 실정이다. 최근 드론과 센서 등을 활용하여 환경을 감시하거나 대기 및 수질을 측정하는 등 환경 분야가 과학화·선진화되는 추세이다. 이에, 본 연구는 드론을 활용한 환경재난 지역 모니터링, 수색, 탐지, 인명구조 등에 대한 기술과 연구뿐만 아니라 환경감시를 위한 대기질 및 수질 측정, 모니터링 등에 대한 연구검토, 드론을 이용한 재해폐기물 체적 측정, 환경재난발생 시 사후대응을 위한 드론의 활용방안을 최종 목적으로 제시한다. 본 연구에서는 연구 수행을 위해 국내·외 드론 기술과 선행연구를 조사 및 분석하였다. 특히, 전 세계에서 발생한 재난에서 드론의 활용 사례를 분석하여 환경재난발생 시 드론의 활용방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드론을 이용한 대기 및 수질측정 등과 관련한 보고서, 선행연구 등을 분석하였으며, 드론을 활용하여 3D모델링 후 체적을 산출하여 폐기물에 대한 체적산출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드론을 활용한 환경재난 사후대응 방안은 아래와 같다. 1) 드론을 활용한 환경재난지역 실시간 재난정보 확보 환경재난 시에는 비교적 넓은 범위에서 피해가 발생하기 때문에 사람이 직접 현장을 점검하고 분석하기에는 많은 제약이 따른다. 또한 효율적이고 신속한 재난대응 및 복구를 지휘하고 진행하기 위해서는 재난현장의 정보가 실시간으로 필요하다. 드론을 활용하면 광범위한 현장을 실시간으로 촬영한 사진, 영상 등을 재난 지휘통제소에서 확인이 가능하고 이에 따라 신속한 대응 및 복구계획을 수립할 수 있다. 2) 드론을 활용한 환경재난지역 지도화 드론을 활용한 재난지역 지도화는 그간 실제 재난발생 사례에서 많이 활용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재난지역 지도화를 통해 전반적인 재난지역의 양적 피해 추정이 가능하며 이에 따라 복원 및 복구계획을 수립할 수 있다. 또한 재난발생 이전의 기존 현황 정보와 재난발생 후 구축한 재난지역 지도를 비교하고 분석하면 대응 및 복구를 위한 우선지역 선정, 복구방향 수립 등이 가능하다. 3) 드론을 활용한 위험지역 접근 및 인명수색·구조 방사능이나 화학물질이 방출될 경우와 폐기물 잔해로 인해 사람이 직접 접근하여 수색하거나 현황을 분석하기에 어려울 때 드론을 활용하여 간접적인 상황분석 및 탐지가 가능하다. 4) 드론을 활용한 재해폐기물 추정 신속한 폐기물 이동을 위해 드론을 활용하여 폐기물의 양을 신속하게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흙, 모래 등이 퇴적되어 있는 곳을 대상지로 선정하여 고정익 드론과 지상 LiDAR를 이용하여 체적 산출 및 비교·분석하였다. 그 결과, 드론을 활용한 체적(1만 7,082.05㎥)과 지상 LiDAR를 이용한 체적(1만 6,933.79㎥)에 큰 차이가 없었다. 본 연구에서 살펴본 드론의 활용기술은 환경 감시, 모니터링, 복원 등에 대한 환경계획이나 정책 수립 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되고, 드론기술뿐만 아니라 센서기술의 발달 및 적극적인 활용도 더욱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Based on past experience of having dealt with countless disasters, the South Korean government is making sustainable efforts to develop systems for better disaster response. However, drastic changes in the environment are causing continued occurrence of and changes in disasters that include natural hazards due to extreme weather events and human-instigated disasters arising from social, cultural and religious disputes. From prevention to response and restoration, every step of dealing with disasters holds its own importance. Since the extent and scope of damage tend to escalate in a rapid pace in the wake of a disaster, appropriate contingency plans are especially critical. Disaster waste and debris are responsible for secondary environmental damages such as groundwater contamination, stench and contagious diseases, which calls for their timely transport and processing. Recently, the field of environmental studies is witnessing scientific advances including the monitoring and measurement of atmosphere and water quality using drone technology or censors. In this regard, this study suggests R&D of drones for disaster area monitoring, search and rescue operations, and reviews studies on using drones for measuring and monitoring air and water quality, measuring the volume of disaster waste and planning post-disaster response methods. To achieve the research objective, the development of drone technology at home and abroad and related previous studies were reviewed and analyzed. In particular, cases of drone application in worldwide disasters were analyzed to propose the use of drones in the wake of disasters. Papers and previous studies on using drones for air and water quality measurement were analyzed. Also, feasibility of using drones for 3D modeling and volume calculation of waste was reviewed. Post-natural disaster response methods using drones are as follows. 1) Real-time collection of disaster information in disaster areas using drones Since natural disasters tend to inflict damages to a relatively sizable extent, there are many limitations for a person to manually check and analyze the disaster-struck region. In order for efficient and speedy response and restoration, real-time information of the disaster site is needed. Drones can take real-time photos and videos of the extensive disaster site, which the disaster command and control center can follow up and set up timely restorative plans accordingly. 2) Mapping of disaster area using drones Drones have actually been frequently used in the process of mapping disaster areas. Through mapping, the quantitative damage on the disaster-struck area can be measured, which can be used as a basis for restoration plans. Also, comparison between pre and post-disaster maps can serve as an effective guidance for future response direction. 3) Access danger areas and carry out search and rescue operations using drones In situations where manual access is difficult due to the release of radioactive and chemical materials or waste remains, drones can provide an indirect way of situation analysis and detection. 4) Measurement of disaster waste using drones For timely transport of waste, it is important to use drones to figure out the waste volume. This study selected a site with soil and sand deposit, calculated the volume and made a comparative analysis using a fixed wing drone and a LiDAR. Results showed that the volume calculated using drone (17082.05㎥) and calculation using the LiDAR (16933.79㎥) did not show a considerable difference. Drone application technology reviewed in this study could serve as a meaningful guidance in setting up plans and policies on environmental surveillance, monitoring and restoration. The importance of technological development and proactive use of censors in addition to drone technology are expected to grow further.

      • KCI등재

        환경의 동태성이 통제 메커니즘과 관료적 구조화를 매개로 기회주의에 미치는 영향

        설도원,오세조,성민 한국유통학회 2009 流通硏究 Vol.14 No.2

        환경의 중요성이 강조되는 가운데 유통경로 구성원 간 동반자적 관계의 성공을 위해 기업이 어떤 노력을 기울여야 하는지에 대한 연구가 시급하다. 유통경로 관리에서 유통환경을 명확히 이해하고, 그것이 유통경로 시스템에 주는 영향을 파악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는 점을 인지하면서도 환경의 영향에 대한 이론적ㆍ실증적 연구는 그다지 활발하지 못했던 것이 사실이다. 특히 기존의 유통경로 연구들은 환경이 유통경로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메커니즘을 다루지 않았다. 이 연구의 목적은 환경차원 중 환경의 동태성이 중요한 관계의 질인 기회주의에 직ㆍ간접적으로 어떤 영향을 주는지를 규명하는 데에 있다. 간접적인 경로로는 환경의 동태성이 통제전략(통제 메커니즘)과 통제구조(관료적 구조화)를 통해 기회주의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다. 이를 위하여 국내 대형할인점과 거래하는 공급업체를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 분석한 결과, 감시와 인센티브와 같은 통제전략을 증가시키는 환경의 동태성의 영향력은 나타난 반면, 참여화 같은 통제구조를 감소시키는 환경의 동태성의 영향력은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공급업체의 기회주의를 증가시키는 환경의 동태성의 직접적인 영향력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공급업체의 기회주의를 감소시키는 참여화의 영향력은 나타났으나 감시와 인센티브의 영향력은 나타나지 않았다. 이 연구는 요즘과 같이 환경의 동태성 수준이 높은 국내 유통시장, 특히 할인점에게 공급업체의 기회주의를 관리ㆍ통제하는 측면에서 어떠한 관리적 측면의 노력이 필요한지를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JaNeC을 위한 온라인 성능감시기의 설계 및 구현

        김명호,김남훈,최재영,Kim, Myung-Ho,Kim, Nam-Hoon,Choi, Jae-young 한국정보처리학회 2002 정보처리학회논문지 A Vol.9 No.4

        성능감시기는 분산처리 환경에서 프로그램의 성능을 추적하고 평가하기 위해 필수적인 것이다. 성능감시기는 출력방법에 따라 오프라인과 온라인으로 나눌 수 있다. 오프라인성능감시기는 프로그램이 종료된 후에 그 성능을 분석하는 것이고, 온라인 성능감시기는 프로그램의 수행 중에 분석하는 것이다. 따라서 프로그램의 빠른 분석과 디버깅을 위해서는 온라인 기능이 필수적이다. JaNeC은 Java로 구현된 분산처리 환경으로 이를 위한 오프라인성능감시기가 포함되어 있다. 그러나 이 성능감시기로는 JaNeC에서 수행되는 프로그램을 효율적으로 분석할 수 없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JaNeCe에서 수행되는 프로그램의 빠른 분석과 디버깅을 위해 온라인 성능감시기를 설계하고 구현하는 것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온라인 성능감시기는 분석하고자 하는 프로그램에 영향을 최소화하도록 설계되었으며, 효율적인 프로그램 분석을 위해 다양한 형태의 그래픽 출력을 제공한다. 또한 프로그램이 종료된 이후에도 다시 분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오프라인 성능감시기와의 인터페이스도 제공한다. A performance monitor is indispensable to trace and evaluate performance of a program under distributed processing environment. A performance monitor il classified as off-line and on-line according to its output method. An off-line performance monitor analyzes its performance after a program terminates, and an on-line performance monitor analyzes its one while a program runs. Therefore, the on-line function is essential to analyzing and debugging the program fast. JaNeC, distributed processing environment that is implemented in Java, contains an off-line performance monitor for this. However, this performance monitor may not analyze the program running on JaNeC efficiently. Consequently, this paper explains that an on-line performance monitor is designed and implemented for fast analysis and debugging of the program running on JaNeC. This on-line performance monitor is designed to minimize effects on a program to analyze, and provides various forms of graphic output, to analyze the program effectively. In addition, even after a program terminates, it provides interface with the off-line performance monitor, to analyze again.

      • KCI등재후보

        자율환경관리가 배출업소 관리 효과에 미치는 인식에 관한 연구

        김승완 경인행정학회 2009 한국정책연구 Vol.9 No.1

        환경규제의 정책수단은 1970년대 명령과 통제 중심의 직접규제수단에서 1980-90년대 간접규제수단인 경제적 유인수단으로 발전하였으며, 최근에는 보다 시장지향적인 환경관리기법으로 자율환경관리가 도입되어 추진되고 있다. 본 연구는 배출업소 관리에 있어서 자율환경관리의 대표적 정책수단인 자율점검제도에 대하여 지자체공무원과 민간환경감시단이 환경오염물질을 배출하는 배출업소 관리업무 효과에 대해서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가에 논의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자율점검제도에 의한 배출업소 관리효과를 증진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지자체공무원과 민간환경감시단은 모두 자율점검제도가 배출업소 관리효과에 있어서 어느 정도 효과는 있지만, 아직 많은 지방자치단체들에서 미흡하다고 인식하고 있다. 따라서 배출업소 관리에 있어서 자율점검제도를 증진하기 위해서는 첫째, 제도운영에 따른 기술지도와 지원제도를 활성화하고, 둘째, 자율점검제도를 보완할 수 있는 통합지도・점검체계를 구축하며, 셋째, 자율점검제도 우수 배출업소에 대한 인센티브 확대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고 지자체공무원과 민간환경감시단은 인식하고 있다. The political means of environmental regulation developed from the command and control weighted 'direct regulation' in 1970s to the indirect regulation encouraging to give more economic incentives in 1980-90s. Recently, Voluntary approach has been adopted through more future-oriented environmental control metho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bout to find out how public officials of local government and civil environmental monitors recognize the effectiveness of the controling work of the company discharges environmental contaminants, in relation with self-monitoring system, representative policy instrument of voluntary approach. Moreover, another aim of this study is about to search for the improving method for the control effectiveness of the emission company. Public officials of local government and civil environmental monitors recognize that self-monitoring system is somewhat effectual to controling the emission company but it is still insufficient. In order to improve self-monitoring system of the emission company, officials of the local government and the civil environmental monitor needs following recolonization. First of all, it is necessary to activate technical guidance and assistance system, second of all, building an unified guidance and inspection system Finally, needs to enlarge the incentive system for the superior emission company.

      • 센서(IoT 등) 기술을 활용한 환경오염물질 배출시설 스마트 관리 환경 구축

        천효창 ( Hyo-chang Cheon ),이재원 ( Jae-won Lee ),임용배 ( Yong-bae Lim ),모은정 ( Eun-jeong Mo ),김아연 ( A-yeon Kim ),박영준 ( Young-jun Park ),차승훈 ( Sung-hoon Cha ),조흔우 ( Heun-woo Cho ),윤정호 ( Jeong-ho Yoon ),전형진 ( H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구 한국폐기물학회) 2018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춘계학술발표논문집 Vol.2018 No.-

        환경오염물질 배출 사업장에서는 환경오염 물질 배출에 대한 규제에 대응하고 나아가 자체적인 환경오염 물질 배출 개선을 위한 환경 모니터링 시스템 운영이 필수적이다. 현재 환경관리공단에서는 일정 규모 이상의 사업장을 대상으로 TMS(Tele Metering System)를 설치하여 전국적으로 환경오염 배출 물질을 실시간 감시 중에 있으며, 환경오염 배출 기준치 초과 시에는 예·경보를 발생시키도록 대처하고 있다. 그러나 기존 대부분의 환경 모니터링 시스템들은 환경 배출 물질 초과 발생 시 원인 분석 기능이 없고 특정 측정 장소(굴뚝 상단의 배출구나 특정 수질 측정소 등)에서의 환경오염 물질 농도 데이터만 활용하고 있다. 특히 이력이 제대로 관리되지 않기 때문에 유사 문제 혹은 동일한 문제 발생 시에도 즉각적인 조치가 이루어지지 못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존 환경 모니터링 시스템의 한계점을 적극 보완하여 개선된 시스템을 기획하며, IoT 센싱 기술을 기반으로 하여 실시간으로 사업장 내 이상 상황을 인지하고 원인을 분석하여 해당 조치를 작업자에게 즉각적으로 지원하는 원스톱 환경 모니터링 및 감시 진단 시스템을 개발하고자 한다.

      • 센서(IoT 등) 기술을 활용한 환경오염물질 배출시설 스마트 관리 환경 구축

        천효창,이재원,임용배,모은정,김아연,박영준,차승훈,조흔우,윤정호,전형진,손승우,유재진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2018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학술대회 Vol.2018 No.05

        환경오염물질 배출 사업장에서는 환경오염 물질 배출에 대한 규제에 대응하고 나아가 자체적인 환경오염 물질 배출 개선을 위한 환경 모니터링 시스템 운영이 필수적이다. 현재 환경관리공단에서는 일정 규모 이상의 사업장을 대상으로 TMS(Tele Metering System)를 설치하여 전국적으로 환경오염 배출 물질을 실시간 감시 중에 있으며, 환경오염 배출 기준치 초과 시에는 예・경보를 발생시키도록 대처하고 있다. 그러나 기존 대부분의 환경 모니터링 시스템들은 환경 배출 물질 초과 발생 시 원인 분석 기능이 없고 특정 측정 장소(굴뚝 상단의 배출구나 특정 수질 측정소 등)에서의 환경오염 물질 농도 데이터만 활용하고 있다. 특히 이력이 제대로 관리되지 않기 때문에 유사 문제 혹은 동일한 문제 발생 시에도 즉각적인 조치가 이루어지지 못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존 환경 모니터링 시스템의 한계점을 적극 보완하여 개선된 시스템을 기획하며, IoT 센싱 기술을 기반으로 하여 실시간으로 사업장 내 이상 상황을 인지하고 원인을 분석하여 해당 조치를 작업자에게 즉각적으로 지원하는 원스톱 환경 모니터링 및 감시 진단 시스템을 개발하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