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히스패닉공동체: 스페인의 영원한 꿈 - 스페인 · 중남미 관계의 이상과 현실 -

        전홍조(Chun, Hong-jo) 한국외국어대학교 중남미연구소 2021 중남미연구 Vol.40 No.1

        본 연구는 19세기초 스페인의 중남미 식민지들의 독립 이후 스페인-중남미 관계의 흐름을 스페인의 시각에서 고찰하였다. 히스패닉공동체는 스페인이 과거 식민지들과 동일한 언어, 종교, 혈연을 바탕으로 구축하려는 국가공동체로서 19세기 이후 스페인의 대중남미 정책의 근간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스페인이 히스패닉공동체(이후 이베로 아메리카공동체) 구현을 위해 적용한 사상과 정책수단, 국내외 환경, 추진결과를 시대별로 분석, 평가하고, 향후 과제를 제시 하였다. 또한 스페인의 대중남미 역사적, 문화적 유대감과 인적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한국이 스페인을 통해 중남미와 협력을 강화하는 방안에 대해서도 다루었다. This study examines the history of relations between Spain and Latin America from the perspective of Spain after the independence of the Spanish colonies in Latin America in the early 19th century. The Hispanic Community is a community of nations that Spain has sought to build with its former colonies based on the same language, religion, and blood ties, and has been the pillar of Spain"s policy toward Latin America since the 19th century. This paper analyzes and evaluates the ideologies and policy tools which Spain applied to realize the Hispanic Community(later the Ibero-American Community), the domestic and foreign environments and its results by period, and also presents future tasks. In addition, it deals with how Korea could strengthen cooperation with Latin America through Spain by utilizing Spain’s historical and cultural ties and human networks with Latin American.

      • KCI등재

        중남미 출신 대학생의 재외한국학교 경험 유무에 따른 대학 학업 및 생활적응에 관한 연구

        최주희(Choi, Joo-Hee),조덕주(Jo, Duk-Joo) 한국외국어대학교 중남미연구소 2015 중남미연구 Vol.34 No.3

        본 연구는 중남미 소재 재외한국학교 및 재외동포교육 개선을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국소재 대학교에 재학 중인 중남미 출신의 재외동포학생들을 대상으로 재외 한국학교 재학 경험이 학업 및 대학 생활 등에 어느 정도 도움이 되는지 살펴보고자한 것이다. 연구 결과, 재외한국학교 경험이 있는 학생들이 경험이 없는 학생보다, 학업 측면(한국어능력, 강의이해도, 성적)과 생활 측면(전공만족, 대인관계)에서 모두 유의미하게 높거나 만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재외한국학교의 양적 확대 및 질적 제고가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explores to analyze the difference in Korean-Latin American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korean language level, understanding professor"s lecture, grade of university) and college life satisfaction(satisfying their majors, personal relationship, drop out) in accordance with or without their experiences of overseas korean schools. The results show that the students with experiences of korean schools are higher significantly than the students without experiences of korean schools in both the academic achievement and university life adjustment.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the increase the number of overseas korean schools and the qualitative review of curriculum of these schools are recommended for cultivating global talented human resources out of Korean-Latin American students.

      • KCI등재

        중남미의 MOOC(Massive Open Online Course)와 한국어교육의 방향성 제안

        김성조(Kim, Sung-Jo) 한국외국어대학교 중남미연구소 2016 중남미연구 Vol.35 No.1

        본 논문의 목적은 중남미의 MOOC현황을 분석하고 중남미에서의 MOOC를 통한 한국어교육의 방향성을 제안하는 것이다. 지금 우리는 인터넷의 시대에 살고 있고 인터넷은 교육의 도구로서 매우 유용하고 학생들에게 지식을 전수하기에 효과적인 도구다. 그래서 미국에서는 인터넷을 통해서 교육을 하고자 하는 필요가 대두되었고 2010년에는 ‘연결주의’라는 이름으로 처음 상호성에 입각한 온라인 교육이 이뤄졌다. 짧은 역사지만 MOOC는 굉장히 빠르게 성장했고 세상에서 많은 것을 변화시키고 있다. 중남미에서는 한국에 비해 정보통신 인프라가 비록 덜 갖춰졌지만 교육열과 변화하고자 하는 욕구는 상당히 높다. 본 연구를 통해서 우리는 중남미의 MOOC의 개념과 시작 그리고 세계 각 지역에서의 상황과 더불어 중남미의 MOOC의 상황을 살펴보고 한국어교육에의 적용 가능성을 고찰해 보고자 한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resent situation of MOOC in Latin America and to give a direction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Now we are living in the era of Internet and as a tool of education, internet is very useful and efficient way to deliever knowledge to the students. So In USA, there were some necessities to educate with internet and in 2010, in the name of connectivism, we had first open online education. In short history, MOOC is developing rapidly and changing many thing in the world. In Latin America, even though IT Infrastructure is not more edified than the Republic of Korea, the zeal of education and the desire to be changed is very high. In this study, we investigate the present situation of MOOC in Latin America and its task to develop korean language education.

      • KCI등재

        중남미인에 대한 한국인의 ‘왜곡된 시선"

        구경모(Gu, Gyoung-Mo) 한국외국어대학교 중남미연구소 2018 중남미연구 Vol.37 No.4

        본 연구는 중남미인에 대한 한국인의 부정적 시선이 주로 시간관과 관련 있는 것에 주목하였다. 양 문화권의 시간관념에 대한 해석은 에드워드 홀의 분석 틀을 이용하였다. 그는 시간관에 따라 전 세계를 폴리크로닉과 모노크로닉이라는 두 개의 문화유형으로 구분하였다. 그의 분석법에 따르면, 중남미인에 대한 한국인의 부정적 시선은 한국인이 폴리크로닉한 시간관을 가진 사람들을 무시하는 경향과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한국인의 시간관의 변화와 관련이 있다. 1960년대 이후 한국 정부는 국가주도 산업화 과정에서 그에 맞는 시간관을 갖도록 국민들에게 법과 제도로 강제하였다. 그로 인해 모노크로닉한 시간관이 단기간에 주입되면서 한국인들은 노동 생산성 중심의 시간 관리를 미덕으로 받아들였다. 반면에 전통적인 시간은 낭비와 허례허식, 미신 등의 악습으로 인식되었다. 이러한 과정에서 한국인들은 ‘근대적 시간’(모노크로닉한 시간)이 ‘전통적 시간’(폴리크로닉한 시간)보다 우월하다고 인식하게 되었다. 결론적으로 중남미인들에 대한 한국인들의 ‘왜곡된 시각’은 1960년대 이후의 산업화 정책으로 인한 한국인의 시간관념 변화에 기인한 바가 크다. This study focuses on the fact that Koreans negative views on Latin Americans are mainly related to the notion of time. The interpretation of notion of time in both culture is based on Edward Hall"s analysis framework. According to his analysis, the negative attitude of Koreans to Latin Americans is related to the tendency for Koreans to ignore people of polychronic time. This is related to the change of Korean people"s time. Since the 1960s, the Korean government has imposed laws and systems on the people so that they have a timeline appropriate to the process of state - led industrialization. As a result, the monochronic time sense was injected in a short period of time, and Koreans accepted the time management centered on labor productivity as a virtue. On the other hand, traditional times were recognized as maltreatment such as waste, idiocy, and superstition. In this process, Koreans became aware that `modern time` (monochronic time) was superior to `traditional time` (polychronic time). In conclusion, Koreans` `distorted gaze` on Latin Americans can be attributed to the change in the Korean concept of time due to the industrialization policy since the 1960s.

      • KCI등재

        한국과 중남미 간 무역의 구조적 특징 분석: 산업 내 무역을 중심으로

        김승년,이상직 한국외국어대학교 중남미연구소 2022 중남미연구 Vol.41 No.4

        In this paper, we analyze the changes in the trade structure between Korea and Latin American countries since the year 2000. We focus on eight Latin American countries that have substantial trade volume with Korea, while dividing the countries in two groups based on the FTA relations with Korea. Our empirical analyses find that inter-industry trade is dominant in the Korea-Latin American countries trade and the share of intra-industry trade has been small. Mexico and Panama show relatively high shares of intra-industry trade, but other countries have very high share of inter-industry trade. As Korea continued to export to Latin America mainly automobiles, electric goods and petrochemical products and import from Latin America mining products, agricultural and fishery products, the share of intra-industry trade was restricted at low level. We also find that FTA and Korea's FDI to Latin American countries have not led to the increase in the intra-industry trade which seems to be one of the reasons for the failure of the expansion of the volume of trade between Korea and Latin American countries. 본 연구는 한국과 중남미 간 무역구조의 변화를 통해 두 지역 간 무역의 성장과 특징을 분석하였다. 한국과 교역규모가 큰 8개 중남미 국가를 중심으로 FTA 여부를 기준으로 두 그룹으로 구분하여 2000년부터 2021년까지 무역구조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중남미 8개국 가운데 산업 내 무역의 비중이 높은 국가는 멕시코와 파나마였다. 멕시코는 최근 20여년 간 산업 내 무역이 수직적 산업 내 무역을 중심으로 증가세를 보였다. 파나마는 산업 내 무역이 2010년대 중반까지 높은 수준을 보였지만, 변동성이 컸고 최근에는 크게 하락하였다. 한국과 중남미 무역은 멕시코와 파나마를 제외하고는 주로 산업 간 무역을 중심으로 이루어졌고 최근까지 큰 변화 없이 지속되고 있다. 한국의 주요 수출 품목인 자동차, 전기, 석유화학 관련 제품이 수출되고 중남미의 광물 자원과 농산물, 수산물이 주된 수입 품목으로 유지됨에 따라 두 지역 간 산업 내 무역은 확대되기 어려웠다. 분석에 포함된 FTA 4개국도 산업 내 무역은 거의 나타나지 않았고, FDI 증가도 멕시코를 제외하고는 산업 내 무역으로 이어지지 못하였다. 산업 간 무역이 중심이 되는 한국과 중남미의 무역구조는 두 지역의 산업 간 비교우위가 뚜렷하다는 점에 주로 기인하지만, 산업 내 무역으로 연결되지 못함에 따라 교역규모도 정체하는 경향을 보였다.

      • KCI등재

        중남미 핀테크 생태계 개관 및 변화 추세 분석

        김영석 한국외국어대학교 중남미연구소 2023 중남미연구 Vol.42 No.3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current status and the changing trends of the Latin American fintech ecosystem.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 most developed sectors in the Latin American fintech ecosystem are digital payments, digital banks(neobanks), and digital lending. Second, Brazil and São Paulo lead the Latin American fintech ecosystem. Third, fintech startups, VC's fintech investment, and Exit through IPOs and M&As in Latin America , which had experienced accelerated growth in recent years, have shown a downward trend in 2022. Finally, The Latin American fintech industry has emerged as an industry with great prospects in line with the digital transformation, but it has been experiencing a short-term correction mainly due to a reversion of the global liquidity cycle in an otherwise long-term positive trajectory. 본 연구는 생태계 모델을 이용하여 중남미 지역 전체를 대상으로 중남미 핀테크 현황과 변화 추세에 대해 분석했다.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중남미 핀테크 생태계는 디지털 지급결제와 디지털 은행(네오뱅크) 그리고 디지털 대출 3분야를 중심으로 발전하고 있다. 둘째, 중남미 핀테크 생태계가 가장 발전된 국가와 도시는 브라질과 상파울루이다. 셋째, 2017년 이후 급증 추세를 보여 왔던 중남미의 핀테크 창업, 벤처캐피털(VC)의 핀테크 투자 그리고 기업공개(IPO)와 인수·합병(M&A)를 통한 투자자금의 회수(Exit)가 2022년을 기점으로 하락 추세로 전환되었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분석 결과를 종합하여 중남미 핀테크 산업의 지속 가능한 발전 가능성에 대해 평가하면, 중남미 핀테크 산업은 디지털 전환이라는 시대적 조류에 부응하여 출현한 신성장 산업으로 2022년 이후 글로벌 유동성 축소와 같은 외부 여건의 변화로 단기 조정을 받고 있으나 장기 성장 추세를 지속할 것으로 평가된다.

      • 이슈분석

        중남미연구소 외국학종합연구센터 한국외국어대학교 중남미연구소 외국학종합연구센터 한국외국어대학교 1996 라틴美洲 Report Vol.- No.3

        김영삼대통령은 9월 3일부터 14일까지 11박12일동안 중남미 5개국 순방을 성공적으로 마쳤다. 그동안 우리 나라는 한국국제협력단(KOICA)를 통해 개발도상국에 대해 지원해오고 있는 무상협력 사업으로 시설물 건설 지원형태의 프로젝트서업을 비롯해 기자게 공여, 연수생 교육, 각정 전문가 파견, 협외 봉사단 파견, 지역개발조사, 민간원조기관 지원 등 10여개 분야에서 협력을 실시해 왔다. 이번 김대통령의 중남미 순방은 민간기업의 중남미 지역에 대한 자원의 안정적인 공급지로 확보하기 위한 협력 등과 경제공동체를 통해 통합 시장화되고 있는 중남미에 대한 교역을 늘려 유망잠재시장으로 부상하는 중남미에 대한 진출을 확대하는 계기를 마련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현지 언론들은 우리 나라의 경제성장 경험을 높이 평가하고 있으며 '아시아의 호랑이. 아시아의 용'이라고 묘사하기도 했다.

      • KCI등재

        한국의 중남미 ODA와 경제협력과의 관련성 분석

        김승년(Kim, Seung-Nyeon),이상직(Lee, Sang-Jik) 한국외국어대학교 중남미연구소 2016 중남미연구 Vol.35 No.1

        본 논문의 목적은 한국의 중남미 국가에 대한 ODA의 특징을 살펴보고, 한국의 ODA와 이들 국가에 대한 경제협력 사이 관련성을 파악하는 데 있다. 이 지역과 한국간의 경제협력은 수출과 FDI의 변화를 통해 분석한다. 한국의 중남미 ODA는 최근 증가추세를 보여 왔으며, 한국 전체 ODA에서 중남미 지역이 차지하는 비중도 2014년 7.7%로서 전 세계의 중남미 ODA 비중 5.6%보다 높은 수준이다. 이 논문은 중남미의 ODA 수원국 27개 나라를 대상으로 상관분석, 그랜저인과검정, 순위분석을 적용하여 ODA와 경제협력 간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상관분석의 결과를 보면 ODA는 수출 및 FDI와 약한 양의 관계가 있다. 반면, 수원국 빈곤도와는 높은 음의 상관관계가 있다. 또 그랜저인과검정과 순위분석에서도 수원국의 낮은 소득수준이 ODA의 증가로 이어진다. 따라서 우리나라의 중남미 ODA는 이들 지역에 대한 경제협력과는 관련성이 상대적으로 약한 것으로 나타났고, 인도주의적인 요인과는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In this paper, we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ODA to Latin America and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ODA and economic cooperation for Korea and its Middle and South American counterparts. Economic cooperation can be measured by exports and FDI. Recently, the Korean ODA has increased and the portion in total Korean ODA in 2014 reached to 7.7% which is higher than DAC countries of 5.6%. We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Korean ODA and economic cooperation with 27 recipient countries in Latin America using correlation coefficient analysis, Granger causality test, and rank analysis. The empirical results show a weak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ODA and exports or FDI, while a strong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ODA and recipient country’s income. Income in the recipient country Granger causes ODA from Korea, and low income countries are ranked high based on the amount of ODA from Korea.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humanitarian factor is considered more important than the level of economic cooperation in Korean ODA policy to Latin Americ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