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연구행정 개념 및 효율성, 직무소진 : 과학기술 공공연구조직 탐색
황광선 경인행정학회 2021 경인행정학회 학술대회 Vol.2021 No.02
본 연구는 과학기술분야 정부출연연구기관의 행정부문을 ‘연구행정’으로 보고, 연구행정의 개념, 효율성에 대한 이해, 직무소진 메커니즘에 대한 탐색적인 시도를 하였다. 본 연구는 ‘연구행정(research administration)'을 순 수 연구 활동(R&D) 이외에 연구사업(Project) 수행과 관련하여 연구자가 아닌 행정인력 혹은 연구자가 직・간접 적으로 관여하여 처리하여야 하는 제반 행정업무로 이해한다. 연구행정의 효율성은 ‘행정 절차 및 행위에 의한 R&D 방해가 최소화되는 상태’로 정의할 수 있고, 절차적 효율성 측면, 연구자 중심의 효율성 측면, 연구행정 자 체 효율성 측면, 장기적 효율성 측면으로 이해가 가능하다. 본 연구는 연구행정 효율성을 위해 ‘행정전산시스템 고도화’가 중요하게 조명되어야 함을 피력한다. ‘행정전산시스템 고도화’는 R&D관리 규정 등이 전산시스템에서 대부분 구현’되는 것을 의미한다. ‘전산시스템 고도화’는 현실적인 우려와 의심을 가지고 있음과 동시에 연구행정 효율화에 기여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연구행정 효율성을 구성하는 직무소진은 중앙 정부 관료의 통제의 영향을 받고 있음을 실증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통제가 증가하면 직무소진이 커지는 경향 을 살펴봤다. 통제로부터 영향을 받아 커진 직무소진은 연구자-행정인 신뢰에 악영향을 주게 됨을 확인하고, 성 과에도 안 좋은 영향을 주는 흐름을 관찰하게 된다. 결론 부분에 과학기술분야 정부출연연구기관의 행정부문 발 전을 위한 제언을 하였다.
윤준희 경인행정학회 2013 경인행정학회 학술대회 Vol.2013 No.1
본 연구는 행정구역 통합의 과정별 주민의 태도(찬성/반대)에 따른 행정구역 통합논의의 주 요쟁점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행정구역 통합논의에서 통합의 근거로 제시하는 공공서비스 공급의 효율성 향상과 지역경제발전 차원에서 행정구역 통합에 찬성하는 주민과 반대하는 주민이 어떤 부분에서 인식의 차이를 갖는가에 관해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을 위해 공공서비스 공급의 효율성 차원에서 공무원 수, 주민 1인당 투자사업비, 주민 1인당 경제개 발비, 주민 1인당 지방세입에 관한 차이를 분석하였다. 또한, 지역경제발전의 차원에서 지역 내 유입인구, 제조업체 수, 제조업체 종사자 수, 그리고 지역 내 고용에 관한 인식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행정구역 통합논의 단계에서는 지역경제발전 차원에서만 통합에 찬성 하는 주민과 반대하는 주민 간에 인식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행정구역 통 합과정 단계에서는 효율성차원의 주민 1인당 투자사업비, 주민 1인당 지방세입, 그리고 지역 경제발전의 차원에서 제조업체 종사자 수에 관한 인식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 지막으로 행정구역 통합완료 단계에서는 통합논의 단계와 동일하게 지역경제발전 차원에서 만 행정구역 통합에 태도를 달리하는 주민 간에 인식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김대성 경인행정학회 2008 한국정책연구 Vol.8 No.2
본 연구는 최근 미국 행정이론학계에서 ‘언어적 전회(linguistic turn)’를 활용한 행정연구의 이론체계를 검토하고, 이의 이론적 함의를 찾고자 한다. 종전의 행정학 연구가 주로 행정의 제도, 구조, 행태, 환경 등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데 반해, 행정언어연구자들은 '행정언어(language)'에서 행정의 잠재 가능성을 모색한다. 이들 연구자들의 주요 관심사는 언어적 전회를 통해 민주적 행정이론 또는 민주적 거버넌스를 구축하는데 있다. 즉 그들은 신행정 이후 대안적 행정이론으로 지칭되는 해석학/현상학, 비판이론을 넘어 포스트모던 시각을 활용한 민주적 행정이론을 제시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들 행정이론 연구자들의 이론적 체계에 대한 검토를 통해 그들이 지향하는 대안적 행정의 주소를 파악하고, 행정이론학계에서 차지하는 좌표를 그려내고 있다.
구재현(丘在賢) 경인행정학회 2010 한국정책연구 Vol.10 No.1
사회의 급속한 발전과 거대화는 행정국가 시대를 가져왔다. 그러나 행정력의 강화는 행정체계의 발전만을 가져왔을 뿐, 그에 따른 철학적이고 윤리적인 반성적 체계는 그 속도를 따르지 못하고 있다. 행정철학은 이렇게 변질된 행정에 철학적, 윤리적 정당성을 부여하는 필수적인 작업이다. 본 논문은 한국적 행정철학의 개념정립을 위한 하나의 방법으로, 16세기 조선사회를 살아간 토정 이지함의 삶과 철학을 고찰해보고자 한다. 토정은 신분과 계급이 뚜렷한 사회의 명문가 출신으로 편안한 삶이 보장되었지만 이를 거부하고 평생 검소한 삶을 살았다. 특히 그는 행정가로서 자신이 가진 권리나 이에 따른 권위를 내세우기보다는 백성에 대한 의무감으로 이름 높았다. 토정은 애민, 민본, 혁신, 개혁으로 정리되는 자신의 행정철학을 확립하였다. 토정이 보인 공직자로서의 검소함과 인간에 대한 겸손함은 시대를 뛰어넘어 현대 공직윤리의 핵심이라 하여도 손색이 없을 것이다.
변혁적.거래적.서번트 리더십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서 내재적 동기의 매개효과에 대한 연구 : S행정기관을 중심으로
고지훈(Jihun Go),오정록(Jeong Rok Oh) 경인행정학회 2021 한국정책연구 Vol.21 No.3
본 연구는 선행연구 검토를 통해 행정조직 구성원의 조직몰입 향상을 위한 핵심적인 선행요인으로서, 현대적 리더십의 대표격인 변혁적・거래적 리더십 및 구성원 중심의 서번트 리더십과 함께, 직무 자체에 대한 자발적인 즐거움과 성취감 등인 내재적 동기의 중요성에 주목하였다. 이에 따라 본 연구의 목적은 부서장의 거래적・변혁적・서번트 리더십이 행정조직 구성원의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과 그 과정에서 구성원의 내재적 동기가 갖는 매개효과에 대해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 가설의 검증을 위해 S행정기관의 본부와 소속기관의 구성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총 406명의 데이터를 수집하여 회귀분석을 수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서장의 거래적・변혁적・서번트 리더십은 각각 행정조직 구성원의 조직몰입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서장의 거래적・ 변혁적・서번트 리더십은 각각 행정조직 구성원의 내재적 동기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행정조직 구성원의 내재적 동기는 조직몰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행정조직 구성원의 내재적 동기는 부서장의 거래적・변혁적・서번트 리더십이 구성원의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각각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다양한 관점에서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이 도출되었으며, 연구의 한계점에 관한 논의를 통해 후속 연구 방향이 함께 제시되었다. This study focused on the importance of intrinsic motivation, such as voluntary enjoyment and sense of accomplishment, along with transformational and transactional leadership and member-centered servant leadership, which are representatives of modern leadership, as key antecedents for improving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the members in the administrative organization through the review of prior research. According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analyze the effects of the transactional, transformational, and servant leadership of the department head on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the members in the administrative organization and the mediating effect of the intrinsic motivation of the employees. In order to verify the research hypothesis, a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the employees in the headquarters of the S administrative organization and its affiliated organizations. A total of 406 data were collected to performed the regression analysis,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transactional, transformational, and servant leadership of the department head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the members, respectively.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transactional, transformational, and servant leadership of the department head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intrinsic motivation of the members, respectively. Third, it was found that the intrinsic motivation of the members had a positive effe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Finally, the intrinsic motivation of members was found to mediate the effects of transactional, transformational, and servant leadership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respectively.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were derived from various perspectives, and the future research directions were also presented through a discussion on the limitations of the study.
사무행정학과 학제 실용화 방안을 위한 정책제언 : 미래사회에 대응하는 새로운 교과과정 모색
조은영(Eunyung Cho),김예승(Yeseung Kim) 경인행정학회 2020 한국정책연구 Vol.20 No.3
본 연구는 4차 산업혁명, 인구구조 등 미래사회에 대응하기 위한 사무행정학과 발전방안을 모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연구에서는 먼저 사무행정학의 개념을 확인하고, 국가직무능력표준의 사무행정직의 업무범위와 직무기술을 정리하였다. 이어 경인지역 사무행정학과 교육과정을 분석하여 사무행정학과 학제 실용화 방안을 모색하고 어떠한 정체성을 가져야 하는지 확인하였다. 분석 결과 사무행정학과의 교육과정은 실무교과목을 중심으로 운영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문서작업이나 회의 운영, 인사관리 등의 교육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변화하는 미래사회에서 필요한 역량은 공동업무수행 역량이며, 연구에서는 미래사회 대응을 위한 새로운 교육과정으로 데이터 관리, 의사소통, 조직 갈등관리 등이 교육될 필요가 있다는 것을 제안하였다. 또한, 미래사회의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국가직무능력표준 체계의 변화와 교육과정 모색이 필요함을 규명하고, 이를 정책적으로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a plan for the development of office administration department of colleges to respond to future society such as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population structure. To this end, the study first confirmed the concept of office administration, and summarized the work scope and job skills of the office administration office in the national competency standard. In addition, in order to prepare a plan for the development of the department of office administration, this study analyzed the curriculum of the department of office administration in GyeongGi-Do and Incheon confirmed what identity the department of office administration should have in order to cope with the future society.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confirmed that the curriculum of the Department of Office Administration was operated mainly on practical subjects, and it was found that education such as document work, meeting operation, and personnel management were provided. However, the competency required in the changing future society is to develop the ability to perform joint work, and this study suggested that data management, communication, and organizational conflict management are essential competencies as a new curriculum for responding to the future society. In addition, it was identified that it was necessary to change the national competency standard system and to seek a curriculum to respond to changes in the future society, and this was suggested in a policy.
연구개발(R&D) 촉진을 위한 정부의 역할과 지원행정체제 구축방안에 관한 연구
류호상(柳鎬相) 경인행정학회 2002 한국정책연구 Vol.2 No.1
민간부문의 기술혁신을 지원하는 현 과학기술행정체제에는 많은 문제를 가지고 있다. 예를 들어 여러 행정 기관에 기능이 중복되어 있고, 조정역할도 미흡하다. 본 논문의 목적은 과학기술행정기관의 중복성을 해소하고. 과학기술정책의 효율적인 조정을 위한 행정시스템의 재구축이다. 이를 위해서는 각 부처의 역할과 임무를 분명히 해야 하고, 정책갈등이 있는 경우 이를 통합ㆍ조정할 수 있는 새로운 과학기술행정지원체제의 구축이 필요하다.
근대사상에 나타난 행정가치 분석 : 현대행정에의 시사점
박욱성,김상철 경인행정학회 2011 한국정책연구 Vol.11 No.2
본 연구에서는 조선 근대 실학자와 서양 근대 사상가들의 정치사상을 본질적 가치와 수단적 가치로 분석하고, 근대 사상이 어떤 내용을 표방하였으며, 그리고 행정의 실제에 어떠한 가치로 나타났는지를 밝히고자 하였다. 이에 조선 근대의 개혁사상에서는 실학자들인 유형원, 이익, 홍대용, 정약용 등의 실용주의적 실학사상을 통한 민본사상을 연구하였다. 또한 서양 근대의 정치사상에서는 철학사상가인 로크, 루소, 벤담, 밀 등의 자연사상, 사회계약설, 공리주의 사상 등을 중심과제로 연구하였다. 이러한 조선 근대 실학자와 서양 근대 사상가들의 개혁사상을 심층 분석하여 행정가치를 탐색하였다. 행정가치는 행정의 각 단계마다 행위자인 공무원들이 행정행위에 앞서 반드시 참고하고 준수해야 할 지도적 행동원리나 실천에 옮겨야 할 최고의 행동규범으로서 작용한다. 행정가치 중 본질적 가치는 행정이 추구하는 궁극적인 가치로서 인간존엄성 확보와 자유, 평등, 정의 등의 가치를 말하며, 이들 가치를 실현하기 위해 수단적 가치인 민주성, 합법성, 능률성, 효과성, 형평성 등의 가치를 준거로 하여 분석하였다. 조선의 근대 실학사상에서는 사회개혁을 통해 수단적 가치가, 서양의 근대 정치사상에서는 정치개혁을 통해 본질적 가치가 각각 나타났다. 이러한 가치들은 정책과정에서 한국의 행정 관료들이 올바른 정책결정을 내리고 국민에게 봉사하는 관료자세를 확립하는데 큰 역할을 할 것이라고 판단된다.
행정학 교육 발전방향: 교과과정 개편 논의의 쟁점과 방향을 중심으로
조경호 경인행정학회 2010 한국정책연구 Vol.10 No.2
행정학 연구의 위기는 행정학 교육의 위기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그간 간헐적으로 행정학자 들 관점에서 행정학연구 방법론과 연구 콘텐츠 개선방향 연구는 있어왔지만 학부 행정학 교육 방향을 교과과정 쟁점 분석을 통해 제시한 연구는 매우 희소하다. 본 연구는 학부 행정학 교육 발전방향을 쟁점별로 검토하고, 우리 보다 먼저 학부 행정학 교육을 제도화 시킨 미국 대학 사 례 분석을 통해 쟁점 해소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본 연구는 다섯 가지 쟁점 사항들(수요자 vs. 공급자, 학문의 연구범주별 차이 관점, 환경적응성 관점 vs. 전략적 선택 시각, 대학의 특성별 차이 관점, 표준 vs. 자율)을 중심으로 행정학 교과과정 논의에서 필연적으로 고려해야 하는 사 항들을 제시하고 있다.
행정관료의 변형적 역할에 대한 비판 : 신공공서비스이론을 중심으로
김대성,이현선 경인행정학회 2008 한국정책연구 Vol.8 No.1
본 논문은 행정이론의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지칭되는 신공공서비스이론이 상정하는 행정관료역할의 한계를 비판하고자 한다. The Denhardts가 제시한 신공공서비스이론은 전통 행정이론, 신공공관리이론과 달리 행정과 행정관료의 역할이 시민봉사(serving)에 있다고 주장한다. 또한 그러한 주장을 위한 이론적 근거로서 ‘민주적 시민권(Theories of Democratic Citizenship)’, ‘공동체와 시민사회(Models of Community and Civil Society)’, ‘조직 인본주의와 담론이론(Organizational Humanism and Discourse Theory)’을 제시한다. 그러나 본 논문은 이들 행정이론이 함축한 행정관료 역할에 관한 시각차가 존재한다는 것을 지적한다. 이들 행정이론 모두 ‘규범적(normative)’ 정향을 갖고 있지만, 각각 상정하는 행정관료의 역할은 사뭇 다르다는 것이다. 특히 행정담론이론은 신공공서비스이론의 행정관료의 변형적 역할에 대해 비판적인 입장을 견지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신공공서비스이론이 행정이론의 큰 그림으로서 역할을 하는데 일정 부문 한계가 있다고 비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