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근거기반실무 교육 프로그램을 활용한 시뮬레이션 실습의 효과

        이선희(Lee Sunhee),조경아(Cho Kyongah)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6

        본 연구의 목적은 근거기반실무 교육 프로그램을 활용한 시뮬레이션 실습 교육이 간호대학생의 근거기반실무 지식, 근거기반실무 태도, 근거기반실무 역량, 근거기반 실무 적용의도 및 비판적 사고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함이었다. 본 연구는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설계의 실험연구이다. 연구 참여에 동의한 연구대상자는 근거기반실무 교육을 받은 경험이 없는 자로, 시뮬레이션 실습 교과목을 수강할 D대학교 간호학과 4학년 학생 48명이었다. 연구기간은 2019년 3월 2일부터 6월 10일까지였다. 근거기반실무 교육 프로그램을 활용한 시뮬레이션 실습 교육은 근거기반실무 5단계를 적용하는 것을 목표로 진행되었고, 1회기 당 4시간씩 총 6회기로 구성되었다. 프로그램의 효과는 t-test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근거기반실무 교육 프로그램을 활용한 시뮬레이션 실습 교육은 간호대학생의 근거기반실무에 대한 지식, 근거기반실무 태도, 근거기반실무 역량, 근거기반실무 적용의도, 비판적 사고를 유의하게 향상시켰다. 따라서 간호대학생의 근거기반실무 지식, 근거기반실무 태도, 근거기반실무역량과 근거기반실무 적용의도 및 비판적 사고를 증진시키기 위해 시뮬레이션 실습교육에 근거기반실무 교육 프로그램을 다각도로 활용할 것을 권장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Evidence-Based Practice Education using Simulation Practicum program on the knowledge-based practical knowledge, attitude, competence, and intention of future use and critical thinking of nursing students. This study is an experimental study pretest-posttest design of inequality control. The study participants were the students who had no experience in the Evidence-based Practical Education, and 48 students in the fourth grade-nursing students from D University who will take simulation courses. The study was conducted from March 2, 2019 to June 10, 2019. The Evidence-Based Practice Education using Simulation Practicum program was conducted with the goal of applying five levels of evidence-based practice to itself, and it consisted of 6 sessions, 4 hours per session. The effects of the program were analyzed by t-test. Research results showed that the Evidence-Based Practice Education using Simulation Practicum program significantly improved student’s Evidence-Based Practice knowledge(t=4.854, p<.001), Evidence-Based Practice attitudes(t=8.227, p<.001), Evidence-Based Practice competency(t=17.572, p<.001), Evidence-Based Practice intention to future use(t=6.343, p<.001) and critical thinking(t=9.699, p<.001).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use the Evidence-based Practice in order to improve students Evidence-Based Practice knowledge, Evidence-Based Practice attitudes, Evidence-Based Practice competency, Evidence-Based Practice intention to future use and critical thinking through the Evidence-Based Practice Education using Simulation Practicum program in various ways.

      • KCI등재

        근거기반실무를 활용한 응급간호 수업 운영의 효과

        김지영 한국콘텐츠학회 2021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1 No.10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vide emergency nursing class using evidence-based practice (EBP) and to examine its effects. This study was a one-group pretest-posttest experimental design. Data were collected from 54 students in the third year of nursing at a university, between September 2, 2019 and December 9, 2019. An emergency nursing class using EBP consisting of 5-step EBP components was provided through 13 sessions. Lectures, team-based learning, and case-based learning were provid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WIN 21.0 program with descriptive statistics and paired t-test. After the class, there were significant increase in EBP beliefs (t=-2.76, p=.008) and EBP competency (t=-5.035, p<.001). However,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was not significantly increased. The findings indicate that emergency nursing classes using evidence-based practice is an efficient teaching-learning method to improve EBP beliefs and competency. 본 연구의 목적은 근거기반실무를 활용한 응급간호 수업 운영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함이다. 본 연구는 단일군 전후설계연구이다. 본 연구는 일개 대학교의 3학년 간호대학생 54명을 대상으로 시행되었으며, 자료수집기간은 2019년 9월 2일부터 12월 2일이었다. 근거기반실무를 활용한 응급간호 수업은 근거기반실무의 5단계를 활용하여, 13차시로 진행되었다. 수업 운영은 강의, 팀기반학습, 사례기반학습으로 구성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WIN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으며, 기술통계와 paired t-test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근거기반실무를 활용한 응급간호 수업 후, 근거기반실무 신념(t=-2.76, p=.008), 근거기반실무 역량(t=-5.035, p<.001)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반면 비판적사고성향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연구 결과는 근거기반실무를 활용한 응급간호 수업이 간호 학생의 근거기반실무 신념과 역량을 향상시키는 효과적인 교육전략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

        간호사의 비판적 사고성향, 간호과정 수행능력과 근거기반실무역량과의 관계

        김경윤,이은주,Kim, Kyoung Yun,Lee, Eunjoo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 2016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Vol.27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relationship among critical thinking, nursing process competency and evidence based practice competency of nurses working in middle sized hospitals. A descriptive correlational study design was used.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262 nurses working in the three hospitals located in G and P city using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with scheffe,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hierarchical multiple linear regression using SPSS Statistics 21.0 program. Nurses' evidence-based practice competency had positive correlation with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r=.42, p <.001) and nursing process competency (r=.58, p <.001). Full model accounted for 65.1% of evidence-based practice competency by nursing process competency (${\beta}=.57$, p <.001),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beta}=.34$, p <.001), critical thinking educational experience (${\beta}=.11$, p=.004), Master's degree (${\beta}=.09$, p=.032). Conclusion: o increase evidence-based practice competency of nurses, it is required to develop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nursing process competency of nurses. 본 연구의 목적은 400병상 이상 종합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들의 비판적 사고성향, 간호과정 수행능력과 근거기반실무역량 수준을 파악하고, 비판적 사고성향, 간호과정 수행능력과 근거기반실무역량과의 관계를 파악하여 근거기반실무역량 향상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는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로 종합병원에 근무하는 262명의 간호사를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설문지를 통해 조사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을 사용하여 통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간호사의 비판적 사고성향과 간호과정 수행능력과 근거기반실무역량은 중정도 이상의 수준이었고 간호사의 근거기반실무역량은 비판적 사고성향 (r=.42, p <.001), 간호과정 수행능력 (r=.58, p <.001)과 정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비판적 사고성향 (${\beta}=.34$, p <.001)과 간호과정 수행능력 (${\beta}=.57$, p <.001)은 근거기반실무역량에 유의한 영향요인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서 간호사의 근거기반실무역량 향상을 위해서 간호사의 비판적 사고성향과 간호과정 수행능력의 향상을 위한 전략이 요구되어진다.

      • KCI등재

        간호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그릿, 전문직 자아개념, 간호실무준비도를 중심으로

        류세인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24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Vol.18 No.5

        본 연구는 졸업학년 간호대학생의 그릿, 전문직 자아개념, 간호실무준비도, 진로준비행동의 정도, 변수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으며 대상자의 진로준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였다. 이를 통해 간호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을 증진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하였다. 연구결과 그릿은 평균 3.27점, 전문직 자아개념은 평균 3.06점, 간호실무준비도는 평균 3.07점, 진로준비행동은 평균 2.87점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대상자의 그릿과 전문직 자아개념 및 간호실무준비도, 진로준비행동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진로준비행동은 그릿, 전문직 자아개념과 간호실무준비도와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간호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에 유의한 설명력을 갖는 변수는 간호실무준비도이며 설명력은 총 79.3%였다. 본 연구의 의의는 간호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에 간호실무준비도가 중요한 영향 요인임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향후 간호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을 증진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s of Grit, Professional Self-concept, and Nursing Practice Readiness on nursing student career preparation behavior.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rom September 15 to September 30, 2023. Participants were 130 students who completed self-report questionnaires covering career preparation behavior, grit, professional self-concept, and nursing practice readiness. The SPSS/WIN/PC 25.0 program was used for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al coefficients and multiple regression. Results: The average scores for career preparation behavior, grit, professional self-concept, and nursing practice readiness were 2.87, 3.27, 3.06 and 3.07 respectively. There were positive correlations among career preparation behavior, grit, professional self-concept, and nursing practice readiness. Nursing practice readiness were significant predictors of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e variable with significant explanatory power on nursing students' career preparation behavior was nursing practice readiness, and the explanatory power was 79.3% in total. Conclusion: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it confirmed that nursing practice readiness is an important factor influencing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nursing student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it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developing programs to improve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nursing students in the future.

      • KCI등재

        간호연구 질 평가 도구 및 보고지침 고찰

        김경희,김주현,임경춘,이경숙,정재심,최명애,채영란 기초간호학회 2012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Vol.14 No.3

        과학의 발전은 검증을 거친 이론을 실제에 적용하는 응용과정을 통해 지식체를 확대시킴으로써 가능해진다. 자연과학의 한 분야인 간호학에서도 간호 지식체를 개발하고 확대시키기 위해 이론 또는 실무중심의 다양한 간호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Lee, Park, Cho, & Park, 2011). 간호실무 현장에서 임상적 결정을 내릴 때 최상의 근거를 활용하고자 하는 근거기반실무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Sackett, Straus, Richardson, Rosenberg, & Haynes, 2000). 국내에서는 2004년 한국간호과학회 주관으로 개최된 추계학술대회에서 근거기반간호(evidence based nursing)가 소개되면서, 간호학 분야별 학회 및 간호사회 등 간호계의 전문가 단체를 중심으로 근거기반간호 활성화를 위한 노력이 지속적으로 전개되고 있다(Gu et al., 2012). 간호실무 현장에서 근거기반실무가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활용 가능한 근거 생성이 우선되어야 하는데, 이러한 근거는 간호연구를 통해서 이루어진다. 즉, 간호사가 대상자에게 근거기반간호를 제공하기 위해서 활용하는 최상의 근거는 과학적인 연구방법론을 통해 얻어진 결과 중에서 가장 타당하고 신뢰할 수 있는 결과를 의미한다.

      • KCI등재

        간호대학생의 근거기반실무 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김남영,김은아 한국자료분석학회 2014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16 No.5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대학생의 근거기반실무 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기 위한 서술적 관계 조사연구이다. G광역시와 C도에 소재한 5개 4년제 간호학과에 재학 중인 간호학생 430명을 대상으로 질문지를 이용하여 비판적 사고성향, 정보활용능력, 근거기반실무 역량에 대해 자료수집 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1.0 program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ANOVA, Pearson 상관계수(correlation coefficients), 단계별 다중회귀분석(stepwise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근거기반실무 역량은 정보활용능력(r=.725, p<.001), 비판적 사고성향(r=.551, p<.001)과 양의 상관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보활용능력, 비판적 사고성향, 연구방법론 수업 이수는 간호대학생의 근거기반실무 역량을 60.5% 설명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비판적 사고성향과 정보활용능력 및 연구방법론 수업 이수가 근거기반실무 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확인되었기 때문에, 학부과정에서 충분히 학습될 수 있도록 교수학습법을 개발하여 다양한 교과목에 접목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바탕으로 간호대학생은 졸업 후 임상현장에서 근거기반실무 역량을 발휘하게 되고, 임상간호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최적의 근거를 사용함으로써 실무의 향상을 이끌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relationships among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information literacy and evidence-based practice (EBP) competency, and especially to identify the factors influencing of EBP competency in nursing students. A cross-sectional design was used, with a convenience sample of 430 nursing students at 5 nursing colleges in G city and C provinc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self-evaluation questionnaires from May to June, 2011.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t-test, one-way ANOVA, and stepwise multiple linear regression with SPSS/WIN 21.0 program. The mean score of nursing student competency for EBP was 3.42±0.39 points. EBP competency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information literacy (r=.725, p<.001) and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r=.551, p<.001). Factors influencing of EBP competency in nursing students were identified as information literacy (β=.606, p<.001),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β=.210, p<.001), and completion of research methodology (β=.132, p<.001), and these factors explained 60.5% of the total variabil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to identify factors that influence EBP competency in nursing students. Therefore, it supports the implementation of the educational method as an integral aspect of improving EBP competency.

      • KCI등재

        근거기반실무를 활용한 기본간호학 수업 운영의 효과

        김윤희(Yun-Hee Kim),류세앙(Seang Ryu),김희영(Heeyoung Kim) 한국콘텐츠학회 2018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8 No.6

        근거기반실무 간호교육은 학습자의 수준에 따라 단계적으로 경험하며 숙련되도록 이끌어야한다. 본 연구는 근거기반실무의 일부를 통합한 간호학과 2학년의 기본간호학 수업을 운영하고 근거기 반실무의 기초역량 향상에 대한 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 설계는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유사실험설계이었다. 대상자는 2개 대학교의 간호학과 2학년 재학생 108명이었다. 실험군은 2016년 2학기 15주 수업기간 중 총 8주, 24시간의 근거기반실무를 활용한 기본간호학 수업에 참여하였고 대조군은 일반적 기본간호학 수업에 참여하였다. 자료는 자가보고형의 문제해결 적극성, 근거기반실무 적용의도, 그리고 비판적 사고성향 측정도구로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3.0 program을 이용하여 동질성은 Chi-square 검정과 독립표본 t-검정으로, 가설 검정은 독립표본 t-검정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해 문제해결 적극성과 근거기반실무 적용의도에서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 그러나 비판적 사고는 두 군 간에 차이가 없었다. 근거기반실무를 활용한 기본간호학 수업은 저학년 학생의 근거기반실무 기초역량인 문제해결 적극성과 근거기반실무 적용의도의 증가에 효과적이었다. 근거기반실무에 대한 학년별 목표에 적합한 교과과정에 의한 간호학생들의 근거기반실무 역량과 비판적 사고의 향상에 대한 장기적 노력이 더 필요하다. The nursing education with evidence-based practice (EBP) should set a differentiated education strategy according to the level of the learner, so that the students experience it step by step and it leads them to be skille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tegrate and operate the EBP in the fundamental nursing classes of the second grade students and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n improvement of EBP basic competency of them.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was used. The subjects were 108 students in the second year of nursing at the two universities.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the class for 8 weeks and 24 hours during the 15-weeks, second semester 2016 and the control group participated in general fundamental nursing class. Data were collected proactivity in problem solving, future use of EBP, and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instrument and analyzed using SPSS/WIN 23.0 program with Chi-square test, independent t-test. The experimental group had a significant increase in proactivity in problem solving and future use of EBP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between the two groups. Findings indicate that the fundamental nursing class used EBP was an effective lesson to improve proactivity in problem solving and future use of EBP, which is the EBP basic competency for the lower grader. Long-term efforts are needed to improve the EBP competence and critical thinking of nursing students by curriculum appropriate to grade-based goals of EBP.

      • KCI등재

        근거기반실무 과정을 활용한 성인간호학 임상실습 모듈의 시범운영

        류세앙(Ryu Seang),윤순원(Yun Sun We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6

        본 연구의 목적은 근거기반실무를 활용한 임상실습 모듈이 간호대학생의 근거기반 실무 지식, 태도, 역량, 적용의도 및 비판적 사고성향의 향상에 효과적인지 파악하기 위함이었다. 본 연구는 단일군 전후설계의 실험연구이다. 연구 참여에 동의한 연구대상자는 성인간호학실습에 임할 M대학교 간호학과 3학년 학생 30명이었다. 연구기간은 2016년 5월 2일부터 6월 10일까지였다. 성인간호학실습 모듈은 근거기반실무를 활용하여 간호과정을 수행하는 것을 목표로 2주 동안 진행되었고, 1회기 당 30분에서 3시간씩 총 6회기로 구성되었다. 모듈의 효과는 대응표본 t-test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근거기반실무를 활용한 성인간호학 임상실습모듈이 간호대학생들의 근거기반실무에 대한 지식(t=-10.67, p<.001), 태도(t=-2.34, p=.023), 역량(t=-9.03, p<.001), 적용의도(t=-2.40, p=.019)를 유의하게 향상시켰으나 비판적 사고성향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근거기반실무를 활용한 임상실습이 학생들의 지식, 태도, 역량은 물론 향후 실무에서의 적용의도를 향상시켰으므로 간호교육과정에 근거기반실무를 다각도로 활용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gure out whether Adult Nursing clinical practicum module using evidence-based practice is effective in improving the evidence-based practice knowledge, attitudes, competency, intention to use and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for Nursing students. This study is a one-group pretest-posttest experimental design. The study participants were third grade nursing students from M University who attended an adult nursing clinical practicum and 30 students agreed to participate in the study. The study period was conducted from May 2, 2016 to June 10, 2016. The Adult Nursing practicum module was conducted for two weeks with the aim of performing the nursing process using the evidence-based practice and consisted of 6 sessions, 30 minutes to 3 hours per session. The effects of the modules were analyzed by paired t-test. Research results showed that Adult Nursing clinical practicum module using evidence-based practice significantly improved student’s knowledge(t=-10.67, p<.001), attitudes(t=-2.34, p=.023), competency(t=-9.03, p<.001), and Intention to use(t=-2.40, p=.019) about evidence- based practice. But, there has not been a significant change in the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Since clinical practicum education using evidence-based practice has improved students knowledge, attitude, and competency as well as intention of future use, it is necessary to utilize evidence-based practice in nursing curriculum in various ways

      • KCI우수등재

        신규간호사의 간호실무준비도와 회복탄력성이 간호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김혜옥,남문희,김요나 간호행정학회 2022 간호행정학회지 Vol.28 No.4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influence of nursing practice readiness and, resilience on the nursing performance of new nurses. Methods: Participants were 234 new nurses with 6-24 months of working experience at the wards in university and general hospitals in the B area and C area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Win 24.0, and frequency percentag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were calculated, Mann-Whitney U test, Kruskal-Wallis test, analysis of variance,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were performed, and the variable selection method was set as stepwise. Results: Nursing performance significantly differed by weekly job-related education (Z=10.01, p=.007) and salary satisfaction (Z=13.04, p=.001). The nursing performance of new nurses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nursing practice (r=.70, p<.001) and resilience (r=.51, p<.001). The significant predictors of nursing performance were nursing practice readiness (β=.61, p<.001), resilience (β=.16, p=.003), and job training hours (β=.11, p=.02). The explanatory power of these factors was 52.0% of the variance. Conclusion: To enhance the nursing performance of new nurses, it is necessary to improve nursing practice readiness, provide job training, and strengthen resilience.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support programs at the institutional level for nursing performance. 연구목적: 본 연구는 신규간호사를 대상으로 간호실무준비도, 회복탄력성이 간호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연구대상자는 B지역, C지역 대학 병원 및 종합병원에 근무하고 있는 신규간호사 중 근무한 지 6개월이 지나고 24개월 이하인 자 234명이었다. 자료는 2021년 9월 13일부터 9월 18일까지 구조화된 자가 보고식 설문지를 사용하여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4.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맨위트니 유 검정(Mann-Whitney U test)과 크루스칼-월리스 검정(Kruskal-Wallis test), 분산분석(ANOVA), 피어슨상관관계(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고 변수 선택 방법은 단계적(Stepwise)으로 설정하였다. 연구결과: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간호업무성과는 주당 직무교육(Z=10.01, p=.007), 급여만족도(Z=13.04, p=.001) 에 따라 간호업무성과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간호업무성과는 간호실무준비도(r=.70, p<.001), 회복탄력성(r=.51, p<.001)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독립변수의 투입방식을 단계적 선택법으로 설정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간호업무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간호실무준비도(β=.61, p<.001), 회복탄력성(β=.16, p=.003), 직무교육 시간(β=.11, p=.02)순으로 나타났으며, 이들 변수의 간호업무성과에 대한 설명력은 52.0%이었다. 결론: 신규간호사의 간호업무성과 향상을 위해서는 간호실무준비도를 높이고, 회복탄력성을 강화하는 것이 요구된다. 또한 간호업무성과 향상을 위한 기관 차원의 프로그램 지원이 필요하다.

      • KCI등재

        간호분야 실무지침의 수용개작 방법론에 따른 정맥혈전색전증예방 간호실무지침의 개발

        조용애,구미옥,은영,김경숙,이선희,윤지현,황정화,이경윤,박미정 병원간호사회 2016 임상간호연구 Vol.22 No.2

        목적: 국내에서 사용할 수 있는 근거기반의 “정맥혈전색전 예방간호” 실무지침을 개발하기 위한 것이다. 방법: 2012년 병원간호사회에서 개발한 “간호분야 실무지침 수용개작”방법론에 따라 24단계의 수용개작 과정을 진행하였다. 결과: 정맥혈전색전 예방간호 실무지침 권고안은 16개 영역, 163개 권고안으로 구성되었다. 영역별 권고안 수는 일반적 지침 4개, VTE 위험요인 사정 4개, VTE 발생의 중재 2개, VTE 예방을 위한 기계적 중재 14개, VTE 예방을 위한 약물적 중재 30개, 내과환자의 VTE 예방 19개, 뇌졸중환자의 VTE 예방 10개, 암환자의 VTE 예방 16개, 임산부의 VTE 예방 14개, 원거리여행자의 VTE 예방 6개, 외과환자-복부수술환자 VTE 예방 5개, 흉부수술환자 VTE 예방 10개, 정형외과 환자 VTE 예방 10개, 신경외과 환자 VTE 예방 5개, 기타 외과환자 VTE 예방 4개, 비뇨기과 수술환자 VTE 예방 2개, 이비인후과 수술환자 VTE 예방 1개, 성형과 재건수술 환자 VTE 예방 1개, 통원수술환자 VTE 예방 3개, 환자를 위한 VTE 예방 교육 3개로 총 163개의 권고안이다. 권고등급은 각 권고안별로 제시되었으며, 권고등급은 총 173개이고, 권고등급은 A 등급이 24개(13.8%), B 등급이 106개(61.3%)이고, C 등급이 43개(24.9%)였다. 결론: 정맥혈전색전 예방간호 실무지침의 확산은 보다 과학적인 근거를 기반으로 수행되고, 표준화되며, 간호업무의 효율성이 개선되는데 기여할 것이다. 이에 정맥혈전색전 예방간호 실무지침을 병원간호사회를 통하여 전국의 병원에 확산하여 실무에서 활용할 것을 제언한다.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a useful evidence-based guideline for preventing venous thromboembolism(VTE) in Korea adapting previously developed VTE guidelines. Methods: The guideline adaptation process was performed using 24 steps according to the nursing practice guideline adaptation manual developed by Hospital Nurses Association in 2012. Results: The newly developed VTE prevention guideline was consisted of 16 domains and 163 recommendations. The number of recommendations in each domain were: 4 general issues, 4 risk factors, 2 intervention at occurrence of VTE, 14 mechanical interventions, 30 pharmacological interventions, 19 VTE prevention for medical patient, 10 stroke patient, 16 cancer patient, 14 pregnancy, 6 for long distance traveller, 5 for abdominal surgery, 10 thoractic surgery, 10 orthopedic surgery, 5 neurosurgery, 4 other surgical patient, 2 urological surgery, 1 ENT surgery, 1 plastic surgery, 3 day surgery, 3 education of VTE prevention. Fourteen point three percent, 61.1%, and 24.6% of the recommendations were graded A, B, and C, respectively. Conclusion: The findings suggest that the new VTE prevention guideline can be more efficiently used to prevent VTE in hospital setting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