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흡연 대학생의 니코틴 의존 수준에 따른 금연 자기효능감 영향요인

        박경 ( Kyeong Park ),조경아 ( Kyongah Cho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0 인문사회 21 Vol.11 No.6

        본 연구는 흡연 대학생의 니코틴 의존 수준에 따른 스트레스, 흡연에 대한 신념과 금연 자기효능감의 정도를 파악하고, 금연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J도 소재 대학의 흡연 대학생 246명을 대상으로 2020년 5월 1일부터 20일까지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5.0 프로그램으로 x<sup>2</sup>, t-test,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했다. 연구결과 니코틴 의존 수준에 따라 연령, 성별, 흡연하는 가족, 흡연기간, 흡연시작연령에 차이가 있었고, 흡연에 대한 신념과 스트레스는 고니코틴 의존군이 높았고, 금연 자기효능감은 저니코틴 의존군이 높았다. 금연 자기효능감의 영향요인은 저니코틴 의존군에서는 흡연에 대한 신념, 고니코틴 의존군은 흡연하는 가족과 스트레스로 나타났다. 추후 흡연 대학생의 금연성공을 위해 니코틴 의존 수준에 따라 차별화된 금연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평가를 위한 연구를 제언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influencing factors of smoking cessation self-efficacy according to the level of nicotine dependence of smoking college students. Data were collected using a structured questionnaire from May 1st to 20th, 2020 for 246 smoking college students in the J provinc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x<sup>2</sup>, t-tes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of the SPSS 25.0 program. The results showed that the smoking beliefs and stress were higher in the high nicotine dependency group, and smoking cessation self-efficacy was higher in the low nicotine dependency group. The influencing factors of smoking cessation self-efficacy were smoking belief in the low nicotine dependency group, and stress and the family who has smoking in the high nicotine dependency group. This study proposes a study to develop a differentiated smoking cessation program according to the level of nicotine dependence and evaluate its effectiveness for the success of smoking cessation in college students.

      • KCI등재

        근거기반실무 교육 프로그램을 활용한 시뮬레이션 실습의 효과

        이선희(Lee Sunhee),조경아(Cho Kyongah)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6

        본 연구의 목적은 근거기반실무 교육 프로그램을 활용한 시뮬레이션 실습 교육이 간호대학생의 근거기반실무 지식, 근거기반실무 태도, 근거기반실무 역량, 근거기반 실무 적용의도 및 비판적 사고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함이었다. 본 연구는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설계의 실험연구이다. 연구 참여에 동의한 연구대상자는 근거기반실무 교육을 받은 경험이 없는 자로, 시뮬레이션 실습 교과목을 수강할 D대학교 간호학과 4학년 학생 48명이었다. 연구기간은 2019년 3월 2일부터 6월 10일까지였다. 근거기반실무 교육 프로그램을 활용한 시뮬레이션 실습 교육은 근거기반실무 5단계를 적용하는 것을 목표로 진행되었고, 1회기 당 4시간씩 총 6회기로 구성되었다. 프로그램의 효과는 t-test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근거기반실무 교육 프로그램을 활용한 시뮬레이션 실습 교육은 간호대학생의 근거기반실무에 대한 지식, 근거기반실무 태도, 근거기반실무 역량, 근거기반실무 적용의도, 비판적 사고를 유의하게 향상시켰다. 따라서 간호대학생의 근거기반실무 지식, 근거기반실무 태도, 근거기반실무역량과 근거기반실무 적용의도 및 비판적 사고를 증진시키기 위해 시뮬레이션 실습교육에 근거기반실무 교육 프로그램을 다각도로 활용할 것을 권장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Evidence-Based Practice Education using Simulation Practicum program on the knowledge-based practical knowledge, attitude, competence, and intention of future use and critical thinking of nursing students. This study is an experimental study pretest-posttest design of inequality control. The study participants were the students who had no experience in the Evidence-based Practical Education, and 48 students in the fourth grade-nursing students from D University who will take simulation courses. The study was conducted from March 2, 2019 to June 10, 2019. The Evidence-Based Practice Education using Simulation Practicum program was conducted with the goal of applying five levels of evidence-based practice to itself, and it consisted of 6 sessions, 4 hours per session. The effects of the program were analyzed by t-test. Research results showed that the Evidence-Based Practice Education using Simulation Practicum program significantly improved student’s Evidence-Based Practice knowledge(t=4.854, p<.001), Evidence-Based Practice attitudes(t=8.227, p<.001), Evidence-Based Practice competency(t=17.572, p<.001), Evidence-Based Practice intention to future use(t=6.343, p<.001) and critical thinking(t=9.699, p<.001).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use the Evidence-based Practice in order to improve students Evidence-Based Practice knowledge, Evidence-Based Practice attitudes, Evidence-Based Practice competency, Evidence-Based Practice intention to future use and critical thinking through the Evidence-Based Practice Education using Simulation Practicum program in various ways.

      • KCI등재

        간호대학생의 SNS중독경향성과 자아존중감이 간호전문직관에 미치는 영향

        문숙자(Moon Sookja),조경아(Cho Kyongah)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11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SNS중독경향성과 자아존중감이 간호전문직관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대상자는 간호대학생 174명이고, 자료수집은 2018년 10월에 시행되었다. 연구결과 SNS중독경향성은 4점 만점에 1.99점, 자아존중 감은 5점 만점에 3.53점, 간호전문직관은 5점 만점에 3.72점이고, SNS중독경향성은 성별, 거주형태, 일주일간 SNS이용정도, 일평균 SNS이용시간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자아존중감은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었고, 간호전문직관은 학년과 전공만족도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자아존중감은 SNS중독경향성과 부적 상관이 있고, 간호전문직관과 정적 상관이 있었다. 간호전문직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자아존중감과 전공만 족도로 나타났고 설명력은 13.1%였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간호대학생의 간호전문직관 향상을 위해 자아존중감과 전공만족도를 증진시키는 전략이 필요함을 제안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SNS addiction tendency on the influence of self-esteem of nursing college students on nursing professionalism.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174 nursing students and data collection was carried out in October 2018. The results showed that the SNS addiction tendency was 1.99, self-esteem was 3.53, nursing professional intuition was 3.72. SNS addiction tendency was different according to gender, type of residence, use of SNS per week, and a daily average time of SNS usage. Self-esteem differed according to gender, and nursing professionalism differed according to grade and major satisfaction. Influential factors that affect nursing professionalism were self esteem and nursing satisfaction, which explained about 13.1% of the varia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o improve the nursing professionalism of nursing college students, strategies to enhance self-esteem and nursing satisfaction are needed.

      • KCI등재

        간호대학생의 정신건강정보이해능력과 인권감수성이 정신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에 미치는 영향

        서연희(Seo Yonhee),조경아(Cho Kyongah)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21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정신건강정보이해능력과 인권감수성이 정신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대상자는 서울특별시와 경기도 소재의 5개 대학에 재학중인 간호대학생 208명을 모집하였으며, 자료수집은 2019년 5월 28일부터 6월 11까지 자기기입식 설문지를 이용하여 수집하였다. 본 연구결과, 정신건강정보이해능력은 16점 만점에 11.50점, 인권감수성은 75점 만점에 55.03점, 사회적 거리감은 40점 만점에 23.85점이었으며, 사회적 거리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인권감수성(β=.301, p<.01), 정신질환 교육경험(β=306, p<.01), 정신건강정보이해능력(β=125, p=.05)으로 확인되어 전체 설명력은 19.5%로 나타났다. 이에 정신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을 완화시키기 위해서는 간호대학생의 정신건강정보이해능력과 인권감수성을 향상시키고 체계적인 교육 전략과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할 것을 제언한다.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mental health literacy and human rights sensitivity of nursing students on social distance in people with mental disorders. The participants comprised 208 nursing students from 5 universities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do. Data were collected using self-report questionnaires from May to June 2019.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t-tests, Pearson 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s a result of this study, mental health literacy was 11.50 out of 16, human rights sensitivity was 55.03 out of 75, and social distancing was 23.85 out of 40. The factors affecting social distance were human rights sensitivity (β=.301, p<.01), mental illness education experience (β=306, p<.01), and mental health literacy (β=125, p=.05); the explanatory power of the model was 19.5%. Therefore, in order to alleviate social distance towards people with mental disorders, it is necessary to improve mental health literacy and human rights sensitivity of nursing students, and the systematic education strategy and education program should be developed and appli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