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기초간호과학의 정립에 관한 소고

        최명애 한국기초간호학회 2023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Vol.25 No.1

        간호학은 인간을 대상으로 하는 실천적 특성을 가진 응용학문이며 인문과학, 자연과학, 사회과학을 기초로 한다. 1955년 간호교육이 시작된 이래 심리학과 사회학을 제외한 기초과목을 기초의과학으로 교육하여 왔으며 그 내용은 의학의 축소판으로 기초의학 교수들에 의해 강의되어왔다. 1900년대 들어 일부 간호대학과 간호학과에서는 기초의과학분야를 기초간호자연과학으로 통합하여 교육하고 있고 간호학에서 기초의과학을 교육하는 경우 의학에서 가르치고 있는 내용과는 다르게 간호 현장에 적용할 수 있도록 그 근거가 되는 자연과학적 지식들을 가르쳐야 한다고 했다. 대한기초간호자연과학회는 1998년 학회 창립 시에 간호학의 기초가 되는 과목에서 심리학, 사회학이 포함되지 않은, 간호 현장에 적용할 수 있도록 그 근거가 되는 기초의학 지식을 비롯한 자연과학 지식을 고유한 지식체로 재편집, 구성한 것을 기초간호자연과학이라고 했다. 간호현장에서 간호사들은 실무 수행 시 자기들에게 가장 어려운 점은 기초간호자연과학에 대한 기본지식이 매우 약한 것이라고 하였고 이들 내용의 보수교육에 대한 요구도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Choe 등은 임상간호사의 기초간호자연과학교과목 전체에 대한 만족도가 전부 낮은 것으로 보고했다. 이러한 현상은 간호학 기초과목의 교육이 간호학적 특성에 기초하여 이루어지지 못한 것 에서 비롯되었다고 생각한다. 한국에서 간호교육이 시작된 이래 40년 이상에 걸쳐 간호학 기초과목이 기초의학 교수들에 의해 의학교육의 모델을 모방하여 교육되어 왔고 의과대학에서 학습하는 기초과학 지식이 그대로 도입되어 간호학적 특성에 기초한 전공 기초교육이 이루어지지 못하였기 때문이다. 본인은 1984년에 서울대학교 의과대학에서 의학(생리학) 박사학위를 취득한 이후 간호학문에서 기초간호자연과학을 정립시켜야 하며 연구를 통해 간호 지식체를 생성하고 확장시켜야 한다 는 학자로서의 사명감과 책임감을 가지고 있었다. 1987년 서울대학교에 부임한 이후 이러한 포부를 실현할 수 있는 기회를 얻게 되었으며 20년 이상에 걸쳐 이를 실현하기 위해 노력했다. 한국의 간호교육에서 전공 기초과목의 강의가 어떻게 이루어져 왔는지를 살펴보고 기초의과학을 간호학적 틀에서 기초간호과학으로 어떻게 정립하였는지를 기술해 보고자 한다. 또한 본인이 기초간호과학을 기반으로 어떻게 연구주제를 확립하고 연구를 수행하였는지도 기술하고자 한다.

      • KCI등재

        임상간호사가 인지한 병태생리학 지식, 필요도와 임상실무와의 연계성

        조미경,신기수,최명애 기초간호학회 2013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Vol.15 No.3

        간호교육은 급속하게 변화하는 환경 내에서 안전하고 효과적인 간호를 제공하도록 졸업 후 전문직 간호사로서 갖추어야 할 실무 수행능력 배양에 초점을 두어야 한다. 간호사는 임상에서 비판적 사고 및 과학적 근거에 기반한 임상적 결정을 내릴 수 있어야 하고, 최상의 정보를 환자에게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수행함에 있어 기본이 되는 기초간호과학 지식은 간호사에게 있어 환자간호의 질과 효율성 및 안전성을 결정하는 데 중요한 필수요인 이 된다(Yoo et al, 2008). 그동안 임상에 근무하는 간호사들이 실무 수행 시 가장 큰 어려운 점은 기초간호과학에 대한 기본지식이 부 족하다는 것이었고, 기초간호과학 내용의 보수교육에 대한 요구도 가 매우 컸음은 이미 잘 알려진 사실이다(Choe & Shin, 1999). 임상간 호사들이 기초간호과학에 대한 기본지식이 매우 약하다고 호소하 는 것은 간호현상의 합리적 근거를 수립하는 데 기초가 되는 기초 간호과학 지식을 간호실무에 연결시키는 데 어려움이 있으며 간호 의 기반이 되는 지식의 부족에서 기인된 것이다(Choe, 2012). 국내에서 임상실무와 연계되는 기초간호과학의 교과내용을 개 발하기 위해 Choe 등(1999)은 임상에서 근무하고 있는 임상간호사 들이 필요로 하는 인체구조와 기능의 지식내용을 파악하였고 인체 구조와 기능에 이어 임상간호사들이 필요로 하는 병태생리학, 병원 미생물, 약물의 기전과 효과에 대한 지식내용을 파악하는 연구가 수행되었다(Choe et al, 2000). 그러나 학부과정에서 기초간호과학 교과목의 교과내용을 이수한 임상간호사들이 기초간호과학 지식 이 임상실무와 연계되는 정도를 어떻게 인지하고 있으며 또한 이러 한 지식을 임상 현장에 적용함에 따른 임상실무수행 시의 자신감 과 만족감은 어떠한지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없다.

      • KCI등재

        기초간호자연과학 교육과 연구에 대한 임상 간호사와 간호학 교수의 상호지향성 인식

        최명애,안경주,정재심 기초간호학회 2012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Vol.14 No.3

        간호학의 대상자인 인간의 신체적 측면에 대한 교육은 간호학의 기초가 되며 필수적인 부분으로서 이러한 내용의 교과목인 생리학, 해부학, 병태생리학, 미생물학, 약리학을 기초간호자연과학이라 한다(Choe et al., 2000). 기초간호자연과학은 간호 임상실무를 뒷받침하는 등뼈와 같은 학문으로 임상현장에서 기초간호자연과학 지식은 근거기반간호에 필수적이며 환자의 회복에도 영향을 미친다(Friedel & Treagust, 2005). 이론적으로 간호학은 대상자를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영적 측면에서 다각도로 접근해야 한다고 강조하지만 막상 임상현장에서 환자의 증상을 관리해야 하는 상황에서는 신체적 측면의 지식이 필수적임을 부인할 수 없다(Rudy & Grady, 2005). 간호사는 임상에서 비판적 사고 및 과학적 근거에 기반을 둔 임상적 결정을 내릴 수 있어야 하고 최상의 정보를 환자에게 효율적 방법으로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수행함에 있어 기본이 되는기초간호자연과학 지식은 간호사에게 있어 환자간호의 질과 효율성 및 안정성을 결정하는데 중요한 필수요인이 된다(Yoo, Ahn, Yeo, & Chu, 2008). 그동안 임상에 근무하는 일반간호사들이 실무수행시 가장 큰 어려운 점을 기초간호자연과학에 대한 기본지식이 매우 약한 것이라고 지속적으로 호소해왔으며 기초간호자연과학내용의 보수교육에 대한 요구도가 매우 컸음은 이미 잘 알려진 사실이다(Choe & Shin, 1999).

      • KCI등재

        4년제 간호교육기관의 기초간호학 4개 교과목(인체 구조와 기능, 병원미생물학, 병태생리학, 약물의 기전과 효과) 운영 현황

        이경숙,최은옥,정재심 기초간호학회 2014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Vol.16 No.1

        기초간호학(biological nursing)은 간호 실무를 위한 기초적인 이론을 제공하는 생명과학(life science)으로(Arkinsanya, 1984), 간호사가 전문적 의사결정을 할 때 간호직무를 수행하는 근거를 제공하기 때문에(Casey, 1996) 매우 중요한 교과목이다. 간호과학은 대상자의 건강과 건강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정신적이고 사회적인 측면을 포함하는 다차원적인 면이 중요하게 강조되고 있다. 그러나 임상에서 간호사가 직면하게 되는 문제해결을 위하여 질병의 위험과 진행을 사정하고, 질병과 치료로 인해 발생하는 증상을 관리하며, 항상성과 건강을 증진시키고자 하는 간호중재 수행과정에 가장 필수적이고 근간을 이루고 있는 것이 바로 신체적 측면의 지식인 기초간호학이다(Rudy & Grady, 2005). 왜냐하면 기초간호학은 질병의 병태생리적 변화를 이해하고 치료의 방향을 이해하도록 하여 간호학 교육 목표 달성을 위한 필수 교과목으로 기초가 되는 간호학 지식체이기 때문이다(Suh, 1995). 실제로 현재 임상에서 시행되고 있는 간호사를 위한 교육 내용을 분석하였을 때 기초간호학 내용을 포함하고 있는 과정은 전체 59과정 중 58% (34과정)를 차지하고 있음은(Chung, 2012) 기초간호학이 임상실무에서 꼭 필요하고 중요한 분야라는 사실을 말해주고 있다.

      • KCI등재

        간호연구 질 평가 도구 및 보고지침 고찰

        김경희,김주현,임경춘,이경숙,정재심,최명애,채영란 기초간호학회 2012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Vol.14 No.3

        과학의 발전은 검증을 거친 이론을 실제에 적용하는 응용과정을 통해 지식체를 확대시킴으로써 가능해진다. 자연과학의 한 분야인 간호학에서도 간호 지식체를 개발하고 확대시키기 위해 이론 또는 실무중심의 다양한 간호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Lee, Park, Cho, & Park, 2011). 간호실무 현장에서 임상적 결정을 내릴 때 최상의 근거를 활용하고자 하는 근거기반실무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Sackett, Straus, Richardson, Rosenberg, & Haynes, 2000). 국내에서는 2004년 한국간호과학회 주관으로 개최된 추계학술대회에서 근거기반간호(evidence based nursing)가 소개되면서, 간호학 분야별 학회 및 간호사회 등 간호계의 전문가 단체를 중심으로 근거기반간호 활성화를 위한 노력이 지속적으로 전개되고 있다(Gu et al., 2012). 간호실무 현장에서 근거기반실무가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활용 가능한 근거 생성이 우선되어야 하는데, 이러한 근거는 간호연구를 통해서 이루어진다. 즉, 간호사가 대상자에게 근거기반간호를 제공하기 위해서 활용하는 최상의 근거는 과학적인 연구방법론을 통해 얻어진 결과 중에서 가장 타당하고 신뢰할 수 있는 결과를 의미한다.

      • KCI등재

        완전학습모델기반 간호 미생물학 이론 및 실습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평가

        김보환,장선주,최정실 기초간호학회 2013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Vol.15 No.2

        현재 간호학에서 기초간호자연과학은 해부학, 생리학, 약리학, 병리학, 미생물학, 생화학 등으로 분리되어 있거나 일부대학은 통합되어 있으며, 교과목의 필요성과 중요성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면서 교과내용과 교육목표의 표준화를 위하여 노력하고 있다(Choe & Shin, 1997; Yoo, Ahn, Yeo, & Chu, 2008). 기초간호자연과학 과목은 방대한 개념 및 내용에 비하여 제한된 강의 시간수와 강의를 기본으로 한 이론위주의 교육으로 인해 간호학생들이 이해하는 데 어려움이 있으며, 새롭게 개편된 고등학교 교과과정에서 생물 및 화학을 이수하지 않는 학생들이 증가하면서 효과적인 강의의 전달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Yoo et al., 2008). 특히 미생물학의 경우 다른 기초간호과학 교과목보다 간호대학이나 간호학과 전임교수가 담당하는 것보다, 의대지원이나 외부강사에 의해 강의위주의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며(Choe & Shin, 1997), 2007년 간호대학 평가순위 상위 5개 대학의 경우 실습과정을 운영하고 있는 대학은 1개에 불과하였다(Yoo et al., 2008). 실제로 임상간호사가 필요로 하는 미생물학적 지식의 세부 내용은 병원감염, 감염, 바이러스, 진균, 세균, 미생물의 분류 등의 순서로(Choe et al., 2000), 최근 의료관련 감염의 증가와 더불어 항균제 내성균의 증가, 새로운 전염성 질환의 재출현, 면역억제 환자수가 증가 등으로 미생물학에 대한 임상간호사의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또한 미생물학의 임상적용의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으며 정확한 지식을 습득하기 위한 교육적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Byeon et al., 2002; The Korean Society for Microbiology & Society of Biological Nursing Science, 2011).

      • KCI등재

        전문간호사 과정의 기초간호과학 교과목 교육에 대한 실태조사

        이여진,조경숙 기초간호학회 2011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Vol.13 No.3

        우리나라의 경우 1990년 의료법의 개정으로 가정 전문간호사가 도입된 후 전문간호사 과정은 전국의 대학원에서 감염관리 전문 간호사 과정, 노인 전문 간호사과정, 마취 전문 간호사 과정, 산업 전문 간호사, 아동 전문간호사 과정, 응급 전문간호사 과정, 임상 전문간호사, 정신 전문간호사 과정, 종양 전문간호사, 중환자 전문간호사 과정, 호스피스 전문간호사의 12개 분야의 전문간호사를 배출해오고 있다(Korean Accreditation Board of Nursing, 2011). 전문 간호사는 일반 간호사의 수준을 능가하는 교육을 받은 여러 전공분야 중 한 분야에서 상급 전문성을 가지고 전문가로서 업무할 권한을 부여받은 간호사라고 하였다(Kim, Lee, & Kim, 1996). 간호가 전문직으로 성장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은 전문적 간호실무에 적용할 수 있는 지식과 그것을 실무에 적용할 수 있는 능력을 갖게 하는 것이다(Jacobs et al., 1996). 전문간호사로서 전문성을 획득하기 위한 기초로서 모든 전문간호사 과정에는 생리학 및 병리학의 교과목이 포함되어 있다. Morse와 Corcoran-Perry (1996)도 간호학 교과과정은 인간을 이해할 수 있는 과목과 더불어 과학이 꼭 포함되어야 한다고 하였고 Kim, Lee와 Kim (1996)도 간호학에서 기초과학분야에 대한 교육은 필수적이라고 하였다. Choe와 Shin (1999)은 교과운영과 관련한 연구에서 기초간호과학 관련 과목으로 대다수의 학교에서 생리학, 해부학, 생화학, 병리학, 미생물학, 약리학을 개별과목으로 운영하고 있다고 보고하였다.

      • KCI등재

        아로마목걸이 착용이 임상실습 중인 간호학생의 지각된 스트레스, 스트레스 증상 및 자율신경계 변화에 미치는 효과

        김미희,김진일,하 은 기초간호학회 2014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Vol.16 No.4

        임상실습 시 간호학생이 이론지식과 임상현장과의 불일치함을 경험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론과 임상을 효과적으로 연결시켜 줄 수 있는 다리역할이나 지지체계가 부족한 실정이다. 간호학생은 임상실습 현장에서 아직 간호사라는 직업관과 가치관이 확립되지 않은 상태로 직접간호 제공 기회는 적고, 새로운 환경과 예상치 못한 상황에 따른 두려움, 전문적인 지식과 능력의 부족, 대상자 및 보호자와의 대인관계 어려움 등을 경험하게 된다(Park, 2009). 또한 수업과 실습을 병행해야 하는 간호학 특성상 학업과정에서 다른 전공 대학생보다 심한 정도의 스트레스를 경험하게 된다(Kim & Yoon, 2013). 선행연구에 따르면 임상실습은 간호학생의 주요 스트레스 요인이며 그 정도는 매우 높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Kim & Lee, 2011). 임상실습에 대한 간호학생들의 경험을 이해하기 위한 수행된 국내 질적연구의 대부분에서 임상실습이 스트레스 요인으로 작용하였음을 보고하였으며, 간호학생들은 적응하기 어려워하거나, 이론과 실제의 괴리, 신체 ? 정신적 피로, 자존감 저하, 부담감 등을 경험하고 있었다(Kim, Sun, & Kim, 2009; Park & Ha, 2003). 이러한 임상실습에 의한 스트레스를 간호학생들이 잘 견디어 낸다고 하더라도 스트레스 상황이 지속될 경우 잘 해내려는 에너지가 소진될 수 있고 결과적으로 임상실습에 대한 인식이 부정적으로 바뀌어 간호학 전공에 대한 흥미를 잃게 될 수도 있다(Kim & Yoo, 2014). 또한 임상실습 스트레스 상황이 반복되거나 지속될 경우 정서적, 신체적 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치게 되는데, 임상실습은 간호학생의 통증, 불면증, 소화기 장애 및 심혈관계 장애와 같은 신체적 증상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Park, 2008) 이를 완화 및 경감할 수 있는 중재에 대한 탐색이 필요하다.

      • KCI등재

        욕창 분류체계교육프로그램이 병원간호사의 욕창 분류체계와 실금관련 피부염에 대한 지식과 시각적 감별 능력에 미치는 효과

        이윤진,박승미 기초간호학회 2014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Vol.16 No.4

        욕창은 응전력이나 마찰력, 또는 지속적으로 조직에 가해지는 압력으로 인해 발생하는 피부 및 조직의 손상으로(Baumgarten et al., 2006) 욕창 발생 시 재원기간의 연장, 치료와 검사로 인한 불필요한 의료비 지출의 증가 등의 경제적 손실을 유발하며, 제대로 관리되지 않을 경우 감염과 같은 합병증이 진행되어, 사망의 위험성도 증가시키는 심각한 건강문제이다(Hopkins, Dealey, Bale, Defloor, & Worboys, 2006). 또한 욕창은 국내외적으로 환자 안전에 관한 문제로 인식되면서 그 중요성이 점차 강조되고 있다. 욕창 관리는 환자를 돌보는 모든 의료인들의 유기적인 협력을 통해서 이루어지나, 간호사는 입원 시 환자의 욕창 발생 위험요인과 피부상태를 사정하며, 기본간호업무로서 욕창 발생 위험 환자를 정기적, 지속적으로 관찰하고 체위변경이나 예방적 피부간호 등의 일차적 간호업무를 독자적으로 수행하므로 전반적인 욕창 관리에서 간호사는 매우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Hopkins et al., 2006). 그러므로 욕창을 예방하고 사정하며, 근거에 기반한 과학적 중재를 제공하는 전반적인 욕창 관리에 있어 간호사의 역량은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Aydin & Karadag, 2010). 이와 같이 욕창을 정확하게 사정하고 조기 발견하여 효율적 간호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간호사의 욕창에 대한 정확한 지식 함양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나,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간호사들의 욕창 관련 지식수준은 높지 않으며(Lee, Kim, & Lee, 2011; Lee, Park, Kim, Kim, & Cha, 2013; Lee & Yang, 2011), 최근 간호현장에서는 실금관련 피부염과 욕창을 혼돈하여 욕창 예방과 치료에 심각한 오류를 일으키고 있는 실정이다(Hopkins et al., 2006). 실금관련 피부염은 회음부의 피부가 소변이나 대변에 오랜 시간 오염되어 피부에 염증이 나타나는 것으로(Gray, Bohacek, Weir, & Zdanuk, 2007; Gray, 2010), 발생 원인과 기전이 욕창과 다르지만 회음부라는 발생부위가 욕창과 유사하여 욕창과 구분하는데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그러나, 욕창과 실금관련 피부염을 혼동하는 것은 올바르지 못한 예방간호를 제공하지 못하게 하여 관리의 어려움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간호사들로 하여금 욕창과 실금관련 피부염을 정확히 구분해 낼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다(Beeckman, Schoonhoven, Boucqu?, Van Maele, & Defloor, 20

      • KCI등재

        기초간호자연과학회지 게재논문 분석을 통한 기초간호 연구동향

        이규은,박영례,조근자,박미정 기초간호학회 2011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Vol.13 No.2

        과학의 기본 목표는 수용가능한 이론을 제시하는 것으로(Fraassen, 1986), 과학의 발전은 검증을 거친 이론을 실제에 적용하는 응용과정을 통해 지식체를 확대시킴으로써 가능해진다. 자연과학의 한 분야인 간호학에서도 간호 지식체를 개발하고 확대시키기 위해 이론 또는 실무중심의 다양한 간호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간호연구는 간호에서 관심 있는 개념과 문제들을 다양한 방법론을 활용하여 체계적으로 탐구하는 과정으로(Hinshaw, 1989), 간호지식체를 발전시키고 확대시킬 수 있는 최선의 방법이다. 더 나아가 간호학의 발전과 학문으로서의 체계정립을 위해서는 간호현상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 뿐 아니라, 여러 연구결과들을 분석, 종합하여 지식체를 확인, 축적하며 앞으로의 발전방향을 모색하는 것 또한 중요하다(Lee et al., 1992).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연구자들을 지지하고 연구 인력을 증대시킬 수 있는 학회의 구축과 연구의 활성화와 결과의 배포를 위한 학회지의 발간 등이 요구된다(Jeong et al., 2001).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