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저반응군의 체외수정에서 한 개의 배아 이식 시 임신에 영향을 주는 요인

        김혜옥,김민지,연명진,차선화,궁미경,송인옥,Kim, Hye-Ok,Kim, Min-Ji,Yeon, Myeong-Jin,Cha, Sun-Wha,Koong, Mi-Kyoung,Song, In-Ok 대한생식의학회 2008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Vol.35 No.3

        목 적: 난소기능이 저하된 저반응군 불임 여성에서 한 개의 배아를 이식할 때 임신율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본원에서 1996년 6월부터 2006년 4월까지 시험관 시술을 받은 환자 중, basal FSH가 12 mIU/mL 이상, 획득된 난자가 4개 이하, hCG 투여일에 혈청 $E_2$가 500 pg/ml 미만인 저반응군 총 919주기에서 한 개의 배아만을 이식한 235주기를 대상으로 하였다. 여성의 연령, hCG 투여일에 혈청 $E_2$, basal FSH, 3일째 배아 이식 시 할구수, 과배란 유도 방법, 이식 횟수에 따른 임신율과 생존아 출생률을 비교하였으며, 통계학적인 방법은 Chi-square를 이용하여 p-value 0.05 이하인 경우를 유의하게 평가하였다. 결 과: 총 919주기 중 난자채취 취소율은 25.6% (235주기), 난자채취 실패율은 18.5% (170주기), 배아 이식 취소율은 14.0% (129주기)였다. 한 개의 배아를 이식한 군의 전체 임신율은 8.1% (19주기), 생존아 출생률은 4.7% (11주기)였고, 35세 미만의 여성에서 35세 이상의 여성보다 임신율과 생존아 출생률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20% vs. 3.5% p<0.0001, 12.3% vs. 1.8%, p=0.002). hCG 투여일에 혈청 $E_2$, basal FSH, 3일째 배아 이식 시 할구수, 과배란 유도 방법에 따른 임신율과 생존아 출생률은 차이가 없었다. 이식 횟수에 따른 누적 임신율은 1회에 8.1%, 2회에 9.2%, 3회에 9.7%, 4회에 9.0%, 5회에 9.5%였다. 결 론: 저반응군의 체외수정에서 한 개의 배아를 이식할 때, 불임 여성의 연령이 35세 미만에서 임신율과 생존아출생률이 유의하게 증가함을 확인하였고, 이식 횟수에 따른 누적 임신율은 차이가 없었다. 이는 체외수정을 시도하려고 하는 난소기능 저하의 불임 여성에서 구체적인 상담 자료로 사용할 수 있겠다. Objective: To evaluate predictor of IVF outcomes following single embryo transfer in patients with decreased ovarian reserve. Methods: A retrospective review was performed in 919 IVF cycles with elevated basal serum FSH (${\geq}12\;mIU/mL$), the number of retrieved oocytes ${\geq}4$ and serum $E_2$ concentration on hCG day <500 pg/ml between Jan. 1996 and Dec. 2006. Two hundred thirty five IVF cycles following single embryo transfer were included. Pregnancy rates and live birth rates was evaluated according to maternal age, serum $E_2$ on hCG day, basal FSH level, the number of blastomere on day 3 ET, stimulation protocol, the number of cycles of ET. Statistical analysis was used SPSS 12.0 program. Results: OPU cancellation rates were 25.6% (235 cycles), OPU failure rates were 18.5% (170 cycles), embryo transfer cancellation rates were 14.0% (129 cycles). Pregnancy rates following single embryo transfer was 8.1% (19 cycles) and live birth rates was 4.7% (11 cycles). Pregnancy rates and live birth rates of women under 35 years old was statistically higher than those of women above 35 years old (20% vs. 3.5% (p<0.0001), 12.3% vs. 1.8%, (p=0.002)). There was no difference in basal FSH, serum $E_2$ on hCG day, and the number of blastomere on ET, and stimulation protocol. Cumulative pregnancy rates according to the number of cycles of ET were $1^{st}$ 8.1%, $2^{nd}$ 9.2%, $3^{rd}$ 9.7%, $4^{th}$ 9.0%, and $5^{th}$ 9.5%. Conclusion: Pregnancy rates and live birth rates of IVF-ET cycles following single embryo transfer in patients with decreased ovarian reserve are statistically increased in women under 35 yrs old. There is no difference in cumulative pregnancy rates. These data may be helpful for counseling women with decreased ovarian reserve in attempting IVF with their own eggs or when choosing donor oocytes.

      • SCOPUSKCI등재

        자궁내막증이 있는 불임 여성에서 중등도에 따른 체외 수정의 결과 비교

        김혜옥,강인수,Kim, Hye Ok,Kang, Inn Soo 대한생식의학회 2006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Vol.33 No.4

        목 적: 자궁내막증이 체외 수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고, 자궁내막증의 체외 수정 결과의 차이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1994년부터 2004년까지 제일병원 아이소망센타에서 자궁내막증으로 체외 수정을 시술 받은 697명의 환자 (총 1,199주기)를 후향적으로 연구하였다. 경증의 자궁내막증은 638주기, 중증의 자궁내막증은 561주기였으며, 난관 요인을 가진 325명 (459주기)를 대조군으로 하였다. 제외 기준으로는 여성의 나이가 35세 이상, basal FSH level이 20 mIU/ml 이상인 경우, 심각한 남성 요인의 경우를 제외하였다. 결 과: 중증의 자궁내막증은 난관 요인 보다 획득된 난자의 수 ($9.97{\pm}7.2$ vs. $13.4{\pm}7.9$ (p<0.0001)), 총 배아 수 ($6.5{\pm}4.8$ vs. $9.1{\pm}5.6$ (p<0.0001)), 양질의 배아 수 ($2.43{\pm}1.6$ vs. $2.74{\pm}1.7$ (p=0.013))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았다. 하지만, 중증의 자궁내막증의 임신율은 난관 요인과 유사하였다 (35.7 vs. 36.8 (%)). 경증의 자궁내막증은 중증의 자궁내막증과 난관 요인보다 불임 기간이 길었으며 ($55.4{\pm}25.7$ vs. $47.6{\pm}25.6$ vs. $44.4{\pm}30.9$ (개월) p<0.0001)), 수정률이 의미 있게 낮았으나 ($64.8{\pm}22.9$ vs. $69.9{\pm}22.5$ vs.$70.8{\pm}20.8$ (%) (p<0.0001)), 임신율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31.1 vs. 35.7 vs. 36.8 (%)). 또한, 체외 수성 이전에 치료 받은 병력이 있던 경증과 중증의 자궁내막증 (363주기 vs. 470주기)은 경증의 자궁내막증에서 중증의 자궁내막증보다 불임 기간이 길고 ($56.5{\pm}26.3$ vs. $46.9{\pm}25.8$ (개월), p<0.0001), 수정률이 낮았으며 ($64.7{\pm}23.3$ vs. $70.5{\pm}22.7$ (%), p=0.001), 임신율과 태아 생존율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았다 (29.2 vs. 36.2 (%), p=0.045, 23.9 vs. 31.5 (%), p=0.043). 결 론: 체외 수정 시 이전에 치료를 받았던 경증의 자궁내막증은 중증의 자궁내막증보다 임신율과 태아 생존율이 낮았고, 이는 현저한 수정률 감소와 긴 불임 기간이 관련이 있다고 생각된다. 따라서, 장기간의 불임 기간을 가진 경증의 자궁내막증을 가진 불임 여성은 체외 수정을 좀 더 일찍 고려해 볼 수 있겠다. Objective: To evaluate the impact of endometriosis on IVF-ET cycles and to compare IVF outcomes between stage I/II and stage III/IV endometriosis. Methods: We analyzed 697 patients (1,199 cycles) with endometriosis (stage I-II:638 cycles, stage III-IV: 561 cycles) and 325 pts (459 cycles) with tubal factor as controls between January 1994 and April 2004. Pts with endometriosis were diagnosed by laparoscopy and medical and surgical treatment were done in 353 cycles (55.3%) and 466 cycles (83.1%) of stage I-ll/stage III-IV endometriosis. Cycles with age>35 years or FSH>20 miU/mL or severe male factor infertility were excluded. Results: The number of retrieved oocytes ($9.97{\pm}7.2$ vs. $13.4{\pm}7.9$ (p<0.0001 )), total number of embryos ($6.5{\pm}4.8$ vs. $9.1{\pm}5.6$ (p<0.0001)), and good quality embryos ($2.43{\pm}1.6$ vs. $2.74{\pm}1.7$ (p=0.013)) significantly decreased in stage III-IV endometriosis than in control. But pregnancy rate of stage III-IV endometriosis was comparable with control (35.7% vs. 36.8%). Fertilization rate and number of total embryos were lower in stage I-II endometriosis than in control ($64.8{\pm}22.9$ vs. $70.8{\pm}20.8$ (p<0.0001), $7.6{\pm}5.0$ vs. $9.1{\pm}5.6$ (p<0.0001)). In patients with medical and surgical treatment of endometriosis, pregnancy rate and live birth rate was significantly lower in stage I-II than in stage III-IV endometriosis (29.2 vs. 36.2 (%), p=0.045, 23.9 vs. 31.5 (%), p=0.043).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mean age, but the duration of infertility was significantly longer ($56.5{\pm}26.3$ vs. $46.9{\pm}25.8$ (mon), p<0.0001) and fertilization rate was lower ($64.7{\pm}23.3$ vs. $70.5{\pm}22.7$ (%), p=0.001) in stage I-II than stage III-IV endometriosis. Conclusion: We suggest that IVF should be considered earlier in patients with minimal to mild endometriosis because of significantly decreased fertilization rates.

      • KCI등재

        천연물 유래 오일이 건강이 저하된 여성노인의 피부수분 함량에 미치는영향 및 만족도

        김혜옥 한국피부과학연구원 2013 대한피부미용학회지 Vol.11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oils derived from natural plants such as red ginseng,jojoba, avocado on skin of female group with poor healthy conditions. The mist containing oils from natural plants were treated to the 48 female with old and poor healthy conditions in 3 hospitals at C, K and P cities.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4 groups; control(10 individuals), red-ginseng oil(16 individuals), jojoba oil(13individuals), and avocado oil(9 individuals) treated-groups. Before experiment, survey a questionnaire and measurement of moisture level on target skin were made. Mists contained 3 types of oil and 1 type of oil free were applied to same skin areas, both elbows and heels, at 2 times, in the morning and evening for 2 weeks. Only the moisture level on target skin areas was measured at day 7 after experiment. However, survey of a questionnaire about satisfaction was made after use of oil contained mists and moisture level of same skin areas was measured together at day 14 after experiment. The results showed that the moisture level of both elbows got significant increase statistically at 1 week later of experiment, but it had same result on both heels at 2 weeks later. After experiment, the level of satisfaction on their own skin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d about improvement of dry skin, being functionality, and helping on skin troubles. Conclusively oils derived from natural plants had improving effect on dry skin. Further, study would be considered with old women in healthy conditions.

      • KCI등재

        코로나19(COVID-19) 환경 속에서 K대학 신입생의 사회적지지, 회복탄력성 및 대학생활적응과의 관계

        김혜옥,윤종식,김진현,조해윤,Kim, Hae Ok,Yoon, Jong Sik,Kim, Jin Hyun,Jo, Hae Yun 한국디지털정책학회 2021 디지털융복합연구 Vol.19 No.8

        본 연구의 목적은 K대학 신입생의 사회적지지, 회복탄력성 및 대학생활적응과의 관계를 확인하기 위한 실증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은 K도 소재 K대학교 대학신입생 120명이고, 온라인 자가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수집기간은 2021년 4월 1일부터 2021년 5월 10일까지이다. 자료분석은 수집된 자료를 SPSS/WIN version 25.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기술통계로 분석하였다. 그룹간의 차이는 독립 t-test, 일원배치 ANOVA로 분석하였다. 사회적지지는 7점 만점에 평균 5.35±0.99점, 회복탄력성은 5점 만점에 평균 3.35±0.34점, 대학생활적응은 9점 만점에 평균 4.93±0.63점 이었다. 대상자들의 대학생활적응과 회복탄력성(r=.380, p<.000), 사회적 지지와 회복탄력성(r=.372, p<.000)이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이 연구결과를 통하여 코로나19(COVID-19)와 같은 위기 상황 속에서도 대학 신입생들의 대학생활적응과 관련된 사회적지지를 높일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을 제안하는 바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 descriptive investigative study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resilience, and college life adaptation of freshmen at K University. The participants comprised 120 freshmen from K University in K-Do, and the data were collected using online self-questionnaires. Data collection was from April 1, 2021, to May 10, 2021.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The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an independent t-test, a one-way ANOVA, and the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through the SPSS 25.0 Program. The average social support was 5.35±0.99 out of a total of 7 points, the average resilience was 3.35±0.34 out of a total of 5 points, and the average college life adaptation was 4.93±0.63 out of a total of 7 points. College life adaption and resilience(r=.380, p<.000), social support and resilience(r=.372, p<.000) was shown to be a significant statistic correlation. In conclusion, through this research, we propose to develop programs that can increase social support related to college life adaptation of college freshmen even in crisis situations such as COVID-19.

      • 검정곰팡이의 분화에 따른 글루타민 합성효소 활성도의 변동에 대한 연구

        김혜옥,나혜진,박대현,한은경 梨花女子大學校 藥學硏究所 1982 梨花藥學硏究 Vol.- No.21

        Glutamine synthetase activity in Aspergillus niger during the differentiation was studied. Additional effect of L-glutamine upon growth and sporulation was also investigated.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are as follows; 1. Surface culture of Aspergillus niger on Czapek-Dox liquid medium which is consisted of glucose as the carbon source was carried out. Specific activity of glutamine synthetase extracted from differentiating the fungus was measured. 2. Specific activity of glutamine synthetase in growth phase is very lower but it increases very rapidly prior to sporulation. The highest peak was observed at the onset of sporulation, after then the activity falls fast and diasppears whereas biomass increases. 3. Vegitative growth and sporulation was repressed by L-glutamine treatment, addition just before the sporulation also was revealed to inhibit the sporulation. When it was added to the sporulating culture no effect was observed. 4. It is suggested that there is a relationship between the glutamine synthetase activity and sporulation in Aspergillus niger. The action of glutamine synthetase is considerable to play a derepressive role rather than catalytic action, since glutamine which is a synthetic product of glutamine synthetase inhibits the sporulation.

      • KCI등재
      • A_3-아데노신 수용체(adenosine receptor)의 선택적 리간드(ligand) 개발에 대한 고찰

        김혜옥 경인여자대학 1996 경인논집 Vol.- No.5

        세포이외의 아데노신은 신경전달물질로도 작용을 하는데 아데노신 수용체는 세가지 유형, 즉 A_1, A_2, A_3로 나뉜다. 특히 아데노신 A_3 수용체는 유전자 이식과 선택적 흥분제의 합성을 통하여 뚜렸한 수용체의 아형(subtype)으로 정립되었다. 이 수용체의 체내분포는 A_1과 A_2 수용체들과 달리 독특하고 한정되어 있다. A_3 수용체에 선택적 흥분제로 2-chloro-IB-MECA(1), 2-methylamino-IB-MECA(4), 2-methylthio-IB-MECA(5) 등이 개발되었고 비자연적인 뉴클레오사이드인 DBXRM(15)도 역시 A_3 수용체 선택적인 흥분제로 작용함이 밝혀졌다. 이 화합물들을 이용한 방사성 리간드의 개발은 연구 중이다. 이 수용체의 흥분에 동반되는 작용들에는 면역세포과립감소(mast cell degranulation), 뇌보호(cerebroprotection), 심장보호(cardioprotection), 번식률 변질 (alteration of fertility) 등이 있다. 또한 A_3 리간드들의 염증반응 체계에 대한 효과들과 A_3 수용체의 폐에 높은 비율분포로 미루어보아 A_3 길항제가 아스마치료제로 개발될 가능성도 보인다. 따라서 이 수용체에 선택적으로 작용하는 약물들은 (흥분제든지 길항제든지) 새로운 치료제 개발을 위한 거대한 가능성을 지니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