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관상동맥 시술 도중 발생한 좌주간부 관상동맥 박리에 대한 스텐트 삽입 치료의 단장기 임상 결과 : acute and long-term results

        이세환,이승환,홍명기,김영학,이철환,한기훈,송종민,강덕현,송재관,김재중,박성욱,박승정 대한내과학회 2004 대한내과학회지 Vol.66 No.6

        목적 : 심도자 사용 시술과 관련된 좌주간부 관상동맥박리에 대한 적절한 치료는 아직 확실히 정립되지 않은 상태이다. 이에 본 연구는 좌주간부 관상동맥 박리에 대한 스텐트 삽입술의 단장기 임상결과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방법 : 좌주간부 관상동맥 박리에 대한 치료로 즉각적인 스텐트 삽입술을 시행하는 것이 안전하고 효과적인 방법임을 가설하였고, 이러한 즉각적인 스텐트 삽입을 시행한 10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단장기적 임상경과를 의무기록 고찰과 전화 면담을 통해서 평가하였다. 결과 : 전체 환자 모두 처음부터 좌주간부 관상동맥에 유의한 협착을 가진 환자는 없었으며, 8명의 환자는 심도자의 조작으로 인한 박리가 발생한 경우였고(진단적 혈관 조영술 중에 3명, 유도 도자 조작 중에 5명), 나머지 2명은 다른 병변에 스텐트 삽입시술을 하는 중에 박리가 발생하였다. 이 10명의 환자에서 모두 즉각적인 스텐트 삽입술이 시행되었고, 4명의 환자에서 시술 도중 혈압 저하로 Intra-aortic Ballon Pump (IABP)를 장착하였다. 모든 환자에서 성공적으로 스텐트가 삽입되었고, 병원내 사망은 1명도 없었다. 6개월 추적 관상동맥 조영술은 8명의 환자에서 시행되었다. 혈관 조영상의 재협착(직경 협착 50% 이상)은 8명 모두에게서 관찰되지 않았으며, 퇴원 후 평균 31±25개월의 추적관찰 결과 주요 심장사건은 1건도 발생하지 않았다. 결론 : 비록 대상 환자가 적은 연구였지만 좌주간부 관상동맥 박리에 대한 스텐트 삽입술은 기술적으로 안전하고 빠르게 시행 할 수 있으며, 훌륭한 단장기적인 치료 효과를 보여준다. Background : The optimal treatment of patients with left main coronary artery (LMCA) dissection during catheter-based procedure remains uncertain. We retrospectively analyzed the acute and long-term results of bail-out stenting for LMCA dissection. Methods : In cases with significant LMCA dissection occurring during catheter-based procedure, prompt stent implantation may be safe and associated with favorable clinical outcome. We evaluated the acute and long-term results of bail-out stenting for LMCA dissection occurring during catheter-bases procedure in 1- patients. Results : Initially, there was significant stenosis of LMCA segment in these patients. Catheter-induced dissection occurred in 8 patients (during diagnostic angiography in 3 patients and guiding catheter manipulation in 5 patients). Two patients suffered dissection in the setting of stent deployment in other vessels. Therefore, bail-out stenting LMCA dissection was performed in a total of 10 patients. In 4 patients, hypotension developed and intra-aortic balloon pump was placed during procedure. Stents were successfully deployed in all patients. There was no in-hospital mortality. Six-month angiographic follow-up was performed in 8 patients. Angiographic restenosis(diameter stenosis 50%) was not observed in all patients at follow-up study. During a mean follow-up of 31±25 months after hospital discharge, there was no major adverse cardiac event (death, myocardial infarction, and target lesion revascularization). Conclusion : Bail-out LMCA stenting is technically feasible, and showed good acute and long-term results in a small series of patients.

      • SCIESCOPUSKCI등재
      • 상악동 후비공 용종에서 줄기의 경로에 따른 상악동구 전산화단층촬영 소견

        이승훈,박동우,이승로,함창곡,이학수,김용수,박충기 한양대학교 의과대학 2002 한양의대 학술지 Vol.22 No.2

        Purpose: We evaluate the pathway of the stalk of antrochoanal polyp on the coronal and axial computed tomography scans (CT), comparing with operative findings. Materials and Methods: Fourteen patients (7∼40 years old, median= 12.5 years old, ratio of male to female: 8/6) with antrochoanal polyp were examined, who took the orbitomeatal unit (OMU) CT including both coronal and axial scans as well as the operation. The CT findings and clinical findings were analyzed for the pathway of the stalk of antrochoanal polyp, comparing with the operative findings. Results: The antrochoanal polyps were mostly located on the left side (12/14, 85.7%) and equally passed through the natural and accessory ostia (7/14, 7/14) in our cases. Those that were passing through the accessory ostium were located more inferiorly and posteriorly, with preserving the natural ostium on CT scans, comparing to those via the natural ostium. However, those passing through the natural ostium had a larger stalk that eroded the uncinate process widely. So each ostium was hardly discriminated on CT scans. Conclusions: The pathway of the stalk of the antrochoanal polyp could be more specifically evaluated on both coronal and axial OMU CT scans. So, it could be more hilpful in the presurgical planning.

      • KCI등재후보

        수술-교정 치료 환자의 통제 소재

        이신재,안석준,백승학,김태우,장영일,양원식,서정훈,남동석 대한치과교정학회 2002 대한치과교정학회지 Vol.32 No.4

        교정치료와 악교정 수술을 필요로 하는 환자가 점증하는 현 시점에 비추어, 이에 대한 기술적인 측면의 발전과는 달리 수술-교정 치료 환자에 대한 정신사회학적 혹은 정신심리적 양상에 대한 객관적인 정보는 그리 많은 주목을 받는 편이 아니었다. 수술-교정치료는 과학적인 치료과정이긴 하지만, 어느 정도 심미적 혹은 예술적인 측면을 지니는 선택 치료의 면모를 지닌다. 그러므로 치료에 대한 환자의 주관적인 느낌은 치료 기술이나 치료의 의학적 성공 여부보다 더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그러므로, 수술-교정 (혹은 교정) 치료에 대한 환자의 반응을 예측하기 위한 정신심리적인 정보는 치료에 유용한 지표가 될 수 있다고 가정할 수 있다. 통제 소재에 대한 연구는 인간의 다양한 행동을 예측하기 위한 유용한 지표로 알려져 왔는데, 본 연구에서는 42명의 수술-교정치료 환자와 성별/연령별로 표본 추출된 42명의 통상적 교정치료 환자를 대상으로 삼아 정신=심리적 비교 및 분석의 방법으로 두 가지 종류의 내외 통제 소재(internal/external locus of control) 검사를 시행하였다. 그 결과 수술-교정치료군에서만 남자가 여자에 비하여 낮은 외적 통제(높은 내적 통제)의 경향을 보였다. 결론적으로 수술-교정치료 환자의 정신심리적 기반은 성형 수술 환자와는 달리 교정치료 환자와 유사한 경향을 지닌 것으로 생각되었다. Surgical-orthodontic treatment is an increasingly more common dental procedure whose unique psycho-social or psychological feature has not been fairly quantified objectively. Since the treatment of a surgical-orthodontic (or orthodontic) patient is part science and part art, a subjective recognition of a patient about his or her own treatment may be more important than technical success during and after treatment. Therefore, the knowledge of the patient''s underlying psychological status could be useful in the prediction of patient's response to surgical-orthodontic (or orthodontic) treat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and evaluate the psychological difference between conventional orthodontic patient and surgical-orthodontic patient by using locus of control (LOC) examination. Locus of control scale has been proven to be extremely useful in the prediction of a variety of human behaviors. Two types of locus of control data (I-score, Internal locus of control score ; E-score, External locus of control score) were obtained for 42 surgical-orthodontic patients and randomly selected 42 conventional orthodontic patients (as a control group) matched for age and gender.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in the scale of internal and external locus of control between the groups of surgical-orthodontic patients, males showed lower E-score (external locus of control score, higher internal locus of control tendency) than female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ed that the psychological background of surgical-orthodontic patients, in contrast with that of cosmetic surgery patients, has a similar disposition with that of orthodontic patients.

      • KCI등재

        Ⅲ급 부정교합의 수술-교정 치료시 상악 소구치 발치가 치열궁 폭경 변화에 미치는 영향

        이신재,홍성준,김영호,백승학,서정훈 대한치과교정학회 2005 대한치과교정학회지 Vol.35 No.1

        본 연구에서는 Ⅲ급 수술-교정 치료 방법에 영향을 미치는 치열 상의 요소를 파악함으로써 술전 교정시 상악 소구치 발치와 비치의 판단에 필요한 임상적 정보를 얻고자 골격성 Ⅲ급 부정교합 환자의 수술-교정 치료시 흔히 선택되는 상악 제1소구치 발치로 치료된 군과 비발치로 치료된 군 간의 치료전/후 상/하악 개별 치아 이동 양상과 치열궁 폭경의 변화 양상을 비교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비발치로 Ⅲ급 수술-교정 치료를 마친 환자 (24명) 와 술전교정 치료시 상악 제1소구치가 발치된 환자 (31명) 의 치료 전/후 모형 상에서 개개 치아의 근원심/협설측 각도변화와 상/하 치열궁 폭경의 변화를 측정한 후, 두 군 사이의 교정적 치아 이동 양상을 비교 분석한 후 상/하 치열궁의 조화를 이루는데 필요한 치열궁 폭경의 변화와 이에 기여하는 치아 변위와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하여 상관 분석과 회귀 분석을 시행한 결과 발치 군은 비발치 군에 비하여 상악 치열궁 폭경의 감소가 컸으며, 이는 상악 구치의 inclination 감소에 크게 영향 받은 것으로 관찰되었다. 하악 치열에서는 inclination의 증가와 폭경의 증가가 있었으나, 비발치/발치군간의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 결론적으로 Ⅲ급 수술-교정 치료시 술전 상악소구치 발치는 상악 구치부 치열궁 폭경의 감소에 크게 영향을 미치므로, 상악 소구치 발치에 대한 판단은 상/하악 치열궁의 폭경 및 구치부 경사도 문제와 연계하여 고려해야 할 사항으로 생각되었다. Collective changes caused by orthodontic tooth movement evaluated in a specific treatment modality could give suggestive information on the specific treatment strategy.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retrospectively the characteristics of the orthodontic tooth movement during surgical-orthodontic treatment in order to provide an effective presurgical orthodontic treatment planning for the maxillary premolar extraction modality in the skeletal Class Ⅲ malocclusion patient. Pre- and post-treatment dental casts of skeletal Class Ⅲ malocclusion patients with nonextraction (N=24) and the maxillary premolar extraction (N=31) were collected. The angulation and inclination measuring gauge (Invisitech Co. Seoul, Korea) was used to evaluate the orthodontic tooth movement. The changes in the maxillary and mandibular dental arch widths were also measured from the canines to the second molars. As a result, more palatal Inclination change in the maxillary dentition was found with the premolar extraction modality than with the nonextraction modality. Linear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the inter-arch width coordination was mainly due to the inclination changes of maxillary posterior teeth. We conclude that the indications and proper treatment planning for surgical-orthodontic treatment in skeletal Class Ⅲ malocclusion with maxillary premolar extraction could depend partly on the magnitude of the transverse inter-arch coordination especially in the maxillary dentition.

      • KCI등재

        제4경추의 형태와 초경을 통한 성숙지표에 관한 연구

        이규홍,황용인,김윤지,박양호,백승학,차경석 대한치과교정학회 2008 대한치과교정학회지 Vol.38 No.1

        본 연구는 측모 두부 규격 방사선사진을 이용하여 성장 중인 아동의 제4경추 형태를 경추 몸체부 하연의 만곡 정도에 따라 분류하고 초경의 시기와 수완부 골 성숙 단계를 평가하여, 성장 중인 아동의 골격적 부정교합의 진단 및 악정형 치료를 위한 성장 시기 평가에 제4경추의 형태 변화가 진단의 참고자료로 활용될 수 있는지를 연구하였다. 11-14세 여자 환자 중, 같은 날짜에 촬영된 측모 두부 규격 방사선사진과 수완부 방사선사진이 모두 있는 81명을 대상으로 환자의 측모 두부 규격 방사선사진상 제4경추 몸체부 하연의 만곡 정도에 따라 세 그룹으로 분류하였다. (Group A - 제4경추 몸체부 하연의 만곡 정도가 1.05 mm 이하, Group B -제4경추 몸체부 하연의 만곡 정도가 1.05- 2.07 mm 사이, Group C -제4경추 몸체부 하연의 만곡 정도가 2.07 mm 이상)세 그룹에서 각각 제4경추 몸체부의 수직 길이, 수평 길이, 수직/수평 비율, 초경의 시기, 수완부 골 성숙 단계를 측정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평균 수완부 골 성숙 단계는 Group A가 SMI 5.67 ± 2.57단계, Group B는 SMI 8,73 ± 2.41 단계, Group C는 SMI 10.00 ± 1.47단계로 나타났다. GroupA에서 Group B, Group C로 갈수록 제4경추의 수직 길이, 수평 길이, 수직/수평 비율, 수완부 골 성숙 단계에 있어서 각각 유의하게 더 큰 값을 보였다. 본 연구대상 아동의 평균 초경 시기는 11.64 ± 0.92세를 보였다. 제4경추 몸체부 하연의 만곡 정도, 수직 길이, 수평 길이, 수직/수평 비율은 수완부 골 성숙 단계와 각각 서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초경을 경험한 그룹이 초경을 경험하지 않은 그룹에 비해 제4경추의 수직 길이, 수평 길이, 수직/수평 비율, 수완부 골 성숙 단계에 있어서 유의하게 큰 값을 보였다. 연구 결과 측모 두부 규격 방사선사진상 제4경추 하연의 만곡 깊이가 2.07 mm 이상인 경우 성장의 완료 단계에 가까운 시기로 나타나 이 시기의 악정형적 치료는 큰 효과를 얻을 수 없을 것으로 사료된다. Objective: This study analyzed the morphologic changes of the fourth cervical vertebra body to determine the skeletal age of orthodontic patients during growth. Methods: Eighty-one female patients aged from 11 to 14 who had cephalograms taken on the same day were examined.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depending on the depth of the concavity of the lower border of the fourth cervical vertebra (Group A: less than 1.05 mm, Group B: 1.05 - 2.07 mm, Group C: greater than 2.07 mm). Menarcheal timing, SMI stage, length, width and ratio of length and width of the fourth cervical vertebra body were analyzed and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Results: The average SMI stage of group A,B and C were 5.67 ± 2.57, 8.73 ± 2.41, and 10.00 ± 1.47, respectively. Length, width, ratio of length and width, and SMI stage were greater in group B than group A and in group C than group B. Mean menarcheal timing was 11.64 ± 0.92 years. Concavity depth, length, width, ratio of length and width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SMI stage, especially with the concavity depth.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pose a simple method for determining the timing of orthopedic treatment by measuring the concavity depth of the fourth cervical vertebra on the cephalogram.

      • 표면 SH파 모드의 분산특성 해석과 그 응용

        이상용,박익근,윤종학,노승남,안형근 한국공작기계학회 2001 한국공작기계학회 춘계학술대회논문집 Vol.2001 No.-

        A new flaw detection technique using by SH angle beam method has been discussed. The SH-wave is horizontally polarized shear wave and the surface SH wave has a characteristic of traveling along near surface layer. The surface SH wave technique is valuable for the detection of fatigue cracks at fillet weld heels which cannot be detected by other ultrasonic technique such as angle beam technique and The dispersion curves of it has simple characterization. In this work, using these beneficial chraterization, quality evaluation of spot weld with ultrasonic sound intensity of SH-wave passing through nugget area of spot weld are verified experimentally.

      • KCI등재
      • 의과대학생에서 임상 수기 수행능력에 대한 자가평가 결과와 임상수행능력 평가시험(CPX) 결과의 비교

        이학승 圓光大學校 醫科學硏究所 2008 圓光醫科學 Vol.23 No.2

        본 연구는 의과대학생들이 한 학기 동안 임상실습을 마치고 난 후, 실습지침서에서 요구하고 있는 흔한 임상 증상을 얼마자 자주 경험하였는가를 조사해 보고, 흔한 임상 증상에 대한 학생들의 경험 빈도와 자가 평가한 염상수행능력과의 상관성을 조사해보는 것이었다. 둘째로, 시험문항으로 제시된 임상수기에 대한 의과대학생들의 주관적 자가평가 결과와 객관적 CPX 결과를 비교하여 주관적 평가 결과와 객관적 평가 결과의 상관성을 조사해 보는 것이었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임상 증상에 대한 학생들의 경험 빈도와 자가평가한 임상수행능력과의 상관성은 경험 빈도가 많을수록 자가평가 점수도 높게 나오는 결과를 보였다. 2. 객관적 CPX 결과와 주관적 자가평가 결과는 상관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clinical experience state of medical students 3-grade, and compare the self-assessment about their competency on clinical skills and the assessment of instructors through the Clinical Performance Examination(CPX). Methods: Fifty-two medical students who are in 3-grade were included. Their clinical experiences state and the self-assessment of their condidence on clinical skills were evaluated by questionnaires givend before the CPX. After completing the CPX, they evaluated their own performance state to 9 whole clinical skills of the CPX by self-assessment questionnaires, again. The correlation and comparison between self assessments' socre and instructor's score were analyzed. Results: For 19 of 28 clinical skills items listed in the questionnaires, self-assessment of competence by medical students correlated with the frequency of performance(p<0.05). For 9 clinical skills in the CPX, the self-assessment scores did not correlate significantly with the instructors' assessment scores(p>0.05). However, these 9 clinical skills scores from the instructors correlated significantly with the scores of clinical experienceand the final semester grade point averages(p<0.05). Conclusion: There was a significant association between frequency of performance and self-assessed competency.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self-assessed score on competency with instructor's score in the CPX.

      • KCI등재

        한국인 부정교합자의 하악 치열궁의 크기와 형태

        이성준,백승학,김상철,국윤아 대한치과교정학회 2005 대한치과교정학회지 Vol.35 No.1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인 부정교합자에서 하악 치열궁간의 형태적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Ⅰ급 114명. Ⅱ급 119명, Ⅲ급 135명의 부정교합자를 대상으로 하악 모형의 교합면을 복사한 후 13개의 접촉점 중에서 가장 협측면으로 위치한 부분을 digitize 하였고 각 치아의 브라켓 위치에 해당하는 점을 하악치아의 두께에 의거하여 4개의 선계측과 2개의 비율을 측정하였다. 치열궁의 형태는 square ovoid, tapered형으로 분류하여 그 빈도를 조사한 결과 Angle 분류와 남녀 성별에 따른 특별한 치열궁 형태가 존재하지 않았으나, 특정 치열궁 형태의 빈도는 Angle 분류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치열궁 크기의 계측항목에서는 대구치간 폭경에서만 남녀 성별 차이를 보였으며, 치열궁 크기에 있어서 Ⅰ급과 Ⅲ급, Ⅱ급 부정교합군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치열궁 형태의 분포는 Ⅰ급과 Ⅲ급 부정교합군에서는 square, ovoid, tapered 형태 순이었고, Ⅱ급 부정교합군은 square, tapered ovoid 형태 순이었다. 치열궁 형태의 빈도분포에 있어서는 남녀간의 차이는 없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larify morphological differences among mandibular dental arch forms in Korean malocclusion patients. The sample in this study consisted of 114 Class Ⅰ, 119 Class Ⅱ, and 135 Class Ⅲ malocclusion cases. The most facial portions of 13 proximal contact areas were digitized from photocopied images of the mandibular dental arches. Clinical bracket points were calculated for each tooth based on the data of the mandibular tooth thickness. Four linear and two proportional measurements were undertaken. The dental arches were classified into square, ovoid, and tapered forms to compare the frequency distributions. Our results suggested that there was no single arch form specific to any particular Angle classification or sex. It appeared to be the frequency of a particular arch form that varies among the Angle classifications. In comparison of arch measure between male and female, there was no statistical difference except in the intermolar width. In comparison of arch size measurements among the different Angle classifications,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Class Ⅰ and Class Ⅲ malocclusion groups and between Class Ⅱ and Class Ⅲ malocclusion groups. In comparison of frequency distribution of arch forms in Class Ⅰ and Ⅲ malocclusion groups, the square form demonstrated the highest distribution followed by the ovoid and tapered forms in that order. In the Class Ⅱ malocclusion group, the square form showed the highest distribution, followed by the tapered and ovoid forms in that order. There was no statistical difference in the frequency distribution of arch forms between male and female group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