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김영학 한국국토정보공사 2008 지적과 국토정보 Vol.38 No.2
Recently, as overseas advance in cadastral fields is growing at a fast pace, Morocco and Azerbaijan is embossed to strengthen cooperation and exchanges with Korea. But it is a condition which does not become known to Korea so far, with these points as background, the necessity of cadastral system introduction of each country is demanded. According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 desirable direction of cadastral system in future and draw conditions and limitations by the comparative analysis of cadastral System of Korea, Morocco and Azerbaijan.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and its effective progress, the research range is limited to cadastral system, a theoretical and policy research through the reference of literature was selected as the research method, and a descriptive access method and a comparative access method was applied. The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comparative approach of cadastral system is reviewed in terms of the composition, the comparative factors, and the analysis framework of cadastral system. Second, the comparative analysis of cadastral system is examined through cadastral system of Korea, Morocco and Azerbaijan by the existing comparative analysis framework. Third, the ideal direction of cadastral system refers to the alternative by considering the condition and limitation of each country. 최근 지적 분야 해외진출이 급물살을 타고 있는 가운데 그 중심 국가로 모로코 및 아제르바이잔이 부상하고 있으나 아직까지 이들 국가에 대한 지적제도의 소개는 일천함으로 각 국가의 지적제도에 대한 소개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한국, 모로코, 아제르바이잔의 지적제도를 비교·분석하여 여건 및 한계점을 도출하고 향후 각 국가의 지적제도발전을 위한 바람직한 방향을 설정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연구범위는 지적제도로 한정하고, 연구방법은 문헌조사를 통한 이론적 연구와 정책적 연구를 병용하며, 접근방법은 서술적 접근방법과 비교론적 접근방법을 병용하여 적용하고자 한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은 견지에서 도출하게 된다. 첫째, 지적제도의 비교론적 접근은 지적제도의 구성, 지적제도 비교요인, 지적제도 분석의 틀 차원에서 검토된다. 둘째, 지적제도의 비교분석은 설정된 비교분석 틀에 입각하여 한국·모로코·아제르바이잔의 지적제도를 검토하게 된다. 셋째, 지적제도의 발전방향은 각 국가의 여건·한계를 고려하여 바람직한 방향을 제시하게 된다.
김영학 한국지적학회 2012 한국지적학회지 Vol.28 No.2
토지측량방식은 기술의 발달에 따라 많은 유형이 대두되었지만 우리나라 왕조시대에 적용했던 방식에 대해서는 관심이 상대적으로 결여되어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왕조시대에 적용했던 측량방식인 구장산술을 구체적으로 검토하여 그 유용성을 도출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연구범위는 구장산술에 한정하고, 조사방법은 문헌조사를 통하여 2차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접근방법은 서술적 접근방법과 비교론적 접근방법을 병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은 견지에서 도출하고자 한다. 첫째, 구장산술의 구성 체계 및 접근 틀(framework)차원, 둘째, 왕조 별 구장산술의 적용 및 내용 차원, 셋째, 각 왕조 별 구장산술의 유용성 및 현대 토지측량방식의 의미 차원에서 검토하고자 한다. Land surveying methods have been resurfaced with the various type owing to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But its methods that implemented into the dynastic period is the lack of concern relatively. For that reas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availability by concretely reviewing Nine Chapter on the Mathematical Arts(NCMA) as surveying methods that implemented into the dynastic period. To achieve the research objective, the research range was limited to NCMA. Survey was carried on through collecting the secondary research data by literature review, and a descriptive and comparative approach was applied concurrently. The conclusion of the study is as follows; First, it was examined in terms of organizing system of NCMA and approach framework. Second, it was conducted as a viewpoint of the application and contents of NCMA in the annals of dynasty. Third, it was referred to the availability of NCMA in the annals of dynasty and the meaning of modern land surveying methods.
김영학 한국사고와표현학회 2019 사고와표현 Vol.12 No.1
This study aimed to seek for effective strategies for proposal writing programs using action learning. For the purpose, this study examined action learning theoretically and designed an efficient teaching and learning program for proposal writing as an action learning method. Then, the program was applied for actual teaching and learning to seek for learning effects and develop suggestions. As a results of analysing the case and results of the survey, it was discovered that the proposal writing program model developed in this study was effective and the followings were suggested: First, when an action learning was applied for the ‘Thinking and Expression’ program, learners could have self-leading capability and problem-solving ability. Students had to plan field trip themselves and cooperate with team members to solve problems as subjects of the program even though they were guided by learning coaches. Second, students obtained knowledge relating to majors and information on fields through field activity. Therefore, field education may be insufficient in case when a teacher educate writing of several different genres like the <Thinking and Expression> program and actual learning can supplement insufficient field education. Third, success and failure of action learning program depends on substantiality of field activity, but if strategies to acquire learning effects after field education are not developed, learning effects may decrease. As action learning is a program to seek for problems in field and develop strategies, the curriculum after the field education should be carefully designed and guided. Fourth, when action learning is applied for university education, projects that are helpful for fields should be selected or field managers who are familiar with teachers or students should be sponsors. If not, it is difficult to get active support from field managers who deliver information on field and help the process. 본 연구에서는 제안서 쓰기의 효과적인 수업 운영을 위해 액션러닝을 활용한 제안서 쓰기 교육 방안을 모색했다. 이를 위해 액션러닝에 대한 이론적 검토를 하고, 이어서 액션러닝 방법으로 제안서 작성 수업을 할 때 효율적인 교수 학습 방안을설계했다. 그리고 실제로 수업에 적용하여 학습효과 및 시사점을 찾고자 했다. 적용한 수업 사례를 분석하고, 설문 결과를 종합한 결과 필자가 제시한 제안서 쓰기 교육 모형은 학습효과를 냈고,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찾을 수 있었다. 첫째, ‘사고와 표현’ 교과 수업에 액션러닝을 활용하면 학습자들의 자기 주도역량 및 문제 해결 능력을 기를 수 있다. 학습자들은 러닝코치의 안내를 받기는 하지만 수업의 주체가 되어 현장 방문을 기획하고 실행하면서 팀원끼리 협력하여 주어진 실제 과제를 해결해야 하기 때문이다. 둘째, 학습자들은 현장활동을 통해 전공 관련 지식과 현장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그러므로<사고와 표현> 교과처럼 한 교수자가 여러 전공의 장르글쓰기를 강의할 경우에겪을 수밖에 없는 현장성 결여를 액션러닝을 활용해 보충할 수 있다. 셋째, 액션러닝 수업의 성패는 현장 활동의 내실에 달려 있지만, 현장 활동 후에 학습효과를 낼 수 있는 방안을 강구 하지 않으면 학습효과가 반감된다. 액션러닝은현장의 문제를 찾고 해결방안을 스스로 도출하는 활동이므로 현장 활동 후에수행하는 교과 과정을 세심하게 지도할 필요가 있겠다. 넷째, 대학 수업에서 액션러닝을 활용할 때는 현장에 이익이 되는 프로젝트를 선정하거나, 교수자나 학습자와 친분이 있는 현장 담당자를 스폰서로 삼아야 한다. 그렇지 않을 경우에 현장에 대한 정보를 전달하고, 진행을 돕는 현장 담당자의 적극적인 협조를받기가 어렵다.
장애인 차별 경험과 우울감의 관계 연구: 종교활동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김영학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2022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Vol.65 No.3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인의 차별 경험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과 장애인의 종교활동의 조절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2020년에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이 조사한 한국복지패널 15차년도 패널자료를 사용하였고, 연구목적에 맞는 769명의 자료를 최종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회귀분석 결과 첫째, 장애인의 차별 경험과 우울감은 정(+)의 결과가 나왔다. 이는 장애인의 차별 경험이 많을수록 더 많은 우울감을 느낌을 의미한다. 둘째, 장애인의 차별 경험과 종교활동의 상호작용과 우울감은 부(-)의 유의한 값이 확인되었는데, 이는 장애인이 차별 경험을 느낄 때의 우울감은 종교활동으로 인해 일정량 해소되어 상대적으로 적은 수준의 우울감만을 추가로 느끼는 것으로 해석된다. 결론: 이상의 논의와 분석결과를 근거로 장애인의 종교활동을 통한 우울감 감소와 장애극복을 위한 방안을 논의하였다.
Prediction of Remnant Magnetization Change during a Demagnetization Process
김영학,신광호 한국물리학회 2012 THE JOURNAL OF THE KOREAN PHYSICAL SOCIETY Vol.61 No.9
Demagnetization of a ferromagnetic tube was performed by applying an alternating magnetic field with a constant decrement. As a way of predicting the remnant magnetization of the tube with every magnetic field applied, an analytical expression was suggested. Three analytical expressions were saved from a demagnetization curve and were corresponded to the saturation region, the hysteresis region and the initial region. The demagnetization curve was obtained through a demagnetization process when the magnitude of the first magnetic field was 2000 A/m. The analytical expressions could be applied to the experimental results when the magnitude of the first magnetic field was 1600 A/m and 1200 A/m, respectively.
김영학 한국국토정보공사 2011 지적과 국토정보 Vol.41 No.2
본 연구는 지적선진화의 의미 및 범위, 국가공간정보 이․활용 현황 및 한계를 검토하여 향후 바람직한 국가공간정보 이․활용의 방향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연구범위를 지적선진화와 국가공간정보 이․활용으로 한정하였으며, 조사방법은 문헌조사와 웹사이트조사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고, 접근방법은 서술적 접근방법과 제도적 접근방법을 병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은 견지에서 도출되었다. 첫째, 지적선진화와 국가공간정보의 진화는 지적선진화, 국가공간정보화의 진화, 선행연구 및 연구방향 차원에서 검토되었다. 둘째, 국가공간정보의 이․활용 실제 및 한계는 국가공간정보의 이․활용 여건변화, 이․활용 주체, 이․활용 객체, 한계 등의 검토를 통하여 이루어졌다. 셋째, 바람직한 국가공간정보의 이․활용 방향 도출은 SES를 위한 지적선진화, 국가공간정보의 다양화 및 통합화, 국가공간정보서비스 참여경로의 다원화, 국가공간정보의 이․활용을 위한 제도적 보완 등의 관점에서 이루어졌다. This study aims to suggest desirable directions for use and application of National Spatial Information (NSI) through the investigation of the meaning and scope of cadastral advancement and the actual condition and restriction of use and application of NSI.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the research scope was limited into the cadastral advancement and use and application of NSI. Survey was carried on through collecting the research data by literature review and website search, and descriptive and systematic access are applied jointly as the access ways. The conclusions of the study are produced from 3 following aspects as follows: First, the cadastral advancement and evolution of NSI are examined in terms of concept of cadastral advancement, evolution of NSI, proceeding research and approach direction. Second, the actual condition and restriction of use and application of NSI is done by studying the change of given condition, subjective and objective, and restriction for use and application of NSI. Third, the desirable directions for use and application of NSI is accomplished in terms of cadastral advancement for Spatially Enabled Society, variety and integration of NSI, multiplicity of participation channel for NSIS, and systematic support for use and application of NSI.
김영학 한국실천신학회 2012 신학과 실천 Vol.0 No.33
Es handelt sich bei dem Versuch, eine Überlegung zur Ana-Maria Rizzutos Gottesvorstellung darzustellen. Ana-Maria Rizzuto entwickelt ihre Thesen zur Entstehung und Entwickelung der Gottesvorstellung über S. Freud im Rahmen des Winnicott‘schen Übergangsobjekt und betreibt nach Religionspsychologie. Ana-Maria Rizzuto wird vielfach herangezogen belegen, die Gottesvorstellung nicht nur durch die Erfahungen mit dem Vater verwandt zu werden, sondern die frühesten Wurzeln der Gottesvorstellung in der Beziehung zur Mutter und ihrem Spiegeln zu finden. Ebenfalls ihre Beachtung fand die These, die Elternvorstellungen auf verschiedene Weise modifiziert in die Gottesvorstellung einzufließen, es sich aber nicht nur um eine immer veränderte Elternvorstellung handelt, sondern um eine vom Kind erschaffene neue Vorstellung, in die sehr frühe Erinnerungen einfließen und die nicht nur von Objektvorstellungen, sondern auch von Selbstvorstellungen geprägt ist. Zudem Ana-Maria Rizzuto verknüpft es mit Eriksons Modell von der Entwicklung im Lebenszyklus; die Wurzeln und Veränderung im präsymbolischen Bereich, in der Separationsphase, in der ödipalen Krise, in Pubertät, Adoleszenz und in späteren Lebensphasen. Nach Ana-Maria Rizzuto nimmt der psychische Prozeß der Erschaffung und des Auffindens Gottes den ganzen Lebenslauf kein Ende. Es ist ein Entwicklungsprozeß, der den ganzen Lebenszyklus von der Geburt bis zum Tod anhält. Ausschließlich trägt die Gottesvorstellung in verschiedener Weise zum psychischen Gleichgewicht bei, indem es die Beziehung zum eigenen Selbst, zu anderen und zur Umwelt austarier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