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ISCIESCOPUS

        Interaction between Brain-Derived Neurotrophic Factor Val66Met Polymorphism and Recent Negative Stressor in Harm Avoidance

        Kim, Seog Ju,Cho, Seong-Jin,Jang, Ha Min,Shin, Jonghan,Park, Pil-Whan,Lee, Yu Jin,Cho, In Hee,Choi, Jung-Eun,Lee, Heon-Jeong S. Karger AG 2009 Neuropsychobiology Vol.61 No.1

        <P>There have been controversial results regarding the association between brain-derived neurotrophic factor (BDNF) Val66Met polymorphism and anxiety-related traits such as harm avoidance (HA). We aimed to investigate the interaction between <I>BDNF</I> Val66Met polymorphism and negative life stressors in HA. <I>BDNF</I> Val66Met polymorphism was genotyped in 391 community-dwelling Koreans (152 males, 239 females; 43.2 ± 14.1 years old). The Temperament and Character Inventory (TCI) and the Center for Epidemiological Studies for Depression Scale (CES-D) were self applied. The Structured Clinical Interview for DSM-IV axis I disorders and face-to-face interviews investigating negative life stressors within the last 6 months were also performe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CI score, major depressive disorder prevalence and CES-D score among the 3 genotypes (94 Met/Met, 188 Val/Met and 109 Val/Val subject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CI scores between subjects with stressors and those without stressors, while more common major depressive episodes (p = 0.03) and higher CES-D scores (p < 0.001) were found in subjects with stressors. However, there was a significant interaction between the <I>BDNF</I> genotype and negative life stressors in HA (p = 0.02). Only subjects with the Val/Val genotype showed higher HA with recent negative stressors. Our finding suggests that <I>BDNF</I> Val66Met polymorphism might influence HA by interacting with recent negative stress experience.</P><P>Copyright © 2009 S. Karger AG, Basel</P>

      • 소아비만의 특성과 운동처방 및 식사요법에 관한 고찰

        하민성,백영호 釜山大學校 附設 體育科學硏究所 2013 體育科學硏究所 論文集 Vol.30 No.-

        The purpose of this review was to provide a database on the treatment and prevention of children’s obesity. So we were investigation of the physical activity, physical fitness, blood lipid, growth hormone, exercise prescription and diet therapy. As a result, obese children was most of sedentary lives. And obese children’s physical pattern showed that obese children had participated in exercise more often, but the preferences to some type of exercise and the sustainability of exercise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normal weight children. And obese children was lower durability and engagement than normal weight children. Furthermore, obese children showed that have negative effects on physical fitness, blood lipid level and growth hormone secretion. Ideal care of children’s obesity is exercise prescription and diet therapy in two ways. Exercise prescription should be step by step. First way, change of lifestyle, Second way, promotion of physical activity, Third way, apply to exercise program. And diet therapy were determine nutritional status, survey and evaluation. Make diary for diet. To give compensation to positive habit in recommendation, association between daily sedentary activities / physical fitness and children’s obesity has been well established, school and field instructors must have play a role in supporting and encouraging children to be active by offering tailored physical activities and good manager. 본 요약은 소아비만과 관련된 문헌적 연구로서 신체활동과 체력, 혈중지질과 성장호르몬, 소아비만의 운동 처방 및 식사요법에 대해 재조명해봄으로써, 소아비만의 예방과 치료를 위한 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문헌분석 결과를 종합해보면 비만아동들은 정상체중 아동에 비해 신체활동이 낮으며, 운동 참여는 높으나 집중도가 떨어지고, 운동의 지속성이 낮고, 운동 기간 및 강도에서 차이가 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낮은 체력 수준을 보이며, 혈중 지질 및 성장호르몬 분비에 부정적인 결과를 보였다. 소아비만 해소를 위한 효과적인 운동처방은 무리한 스포츠 활동이 아닌 생활놀이습관의 변화 – 신체활동 증가 – 운동프로그램 적용 순의 단계별 프로그램의 적용, 유·무산소성 운동이 함께 설계된 복합운동프로그램의 실시, 개인차를 고려한 맞춤형 운동 프로그램이 요구되어지며, 식사요법에 있어서는 정확한 영양상태의 판정 및 조사를 통한 5대 영양소의 적절한 공급과 아동의 발육발달 단계를 고려한 식단과 건강한 식습관, 대상아동 뿐 아니라 부모의 동시영양교육, 식사일지작성 등을 통한 평가, 긍정에 따른 보상을 주는 습관 등이 이루어져야 한다. 소아비만의 예방과 치료의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운동처방과 식사요법을 병행하는 것이며, 복합 처치를 통한 예방과 치료, 및 우수한 프로그램의 개발과 보급 · 확대가 필요하다.

      • 레이저 웨이퍼 다이싱 장비의 가공 특성 평가

        한민섭,김성수,민병권,이승우,이진하,이혜진 한국공작기계학회 2008 한국공작기계학회 춘계학술대회논문집 Vol.2008 No.-

        As the semiconductor wafer is required to be thinner for better compactness and higher integrity of the electronic products, mechanical dicing saw technique using the diamond blade is facing serious problems such as low cutting speed, tool wear, side wall crack and back side chipping. Recently, UV laser dicing process has emerged as an alternative methods to the blade dicing especially for the very thin wafers below 100㎛. In this study 355 nm UV laser dicing system has been developed in order to improve the productivity and reliability of ultra thin wafer dicing process. For the quality improvement of the developed dicing system various laser parameters are investigated such as power, speed and frequency of the laser beam. Moreover various measurement techniques are employed to evaluate the dicing quality using optical microscope, SEM and focused ion beam.

      • KCI등재

        기능적 방법을 이용한 소아의 하악과두 골절의 처치 : 증례 보고 A case report

        이정하,박성규,위유민,정현구,이봉규,이창섭 조선대학교 구강생물학연구소 2002 Oral Biology Research (Oral Biol Res) Vol.26 No.2

        The pediatric condylar fracture occurs very frequently in the mandible, but this injury is occasionally ignored due to difficulty of diagnosis and no cooperation of patient. The adequate initial diagnosis and active treatment must be performed because delayed and improper treatment lead to possible severe complication such as TMJ ankylosis and retardation of mandibular development. Most pediatric condylar fracture is mainly performed by the conservative or functional treatment. but it may be required open reduction according to cases. In this study, Activator is applied for functional treatment of pediatric condylar fracture and fair recovery of jaw function is acquired.

      • 위성영상 기반 밭 가뭄 평가 기법 및 지표 개발

        전민기 ( Min-gi Jeon ),남원호 ( Won-ho Nam ),이희진 ( Hee-jin Lee ),서찬양 ( Chanyang Sur ),최민하 ( Minha Choi ),김성준 ( Seong-joon Kim ),하태현 ( Tae-hyun Ha ),조영준 ( Young-jun Jo ) 한국농공학회 2023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23 No.0

        국내 논 가뭄대응능력의 경우 저수지 약 17,000개소 양수장 7,620개소 등 농업수리시설물에서 농업용수를 공급받고 있으나, 밭 가뭄대응능력의 경우 농업수리시설물 등에서 용수를 공급받는 관개전은 132,000 ha로 전국 밭 면적의 17.6% 수준에 그쳐 가뭄 대비 및 대응 능력이 부족한 실정이다. 농업수리시설물에서 용수공급을 받지 못하는 비 관개전의 경우 자연강우에 대부분의 용수공급을 의존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장기간 가뭄 발생 시 극심한 피해가 발생한다. 또한, 국내 논·밭 면적대비 밭작물 면적 비율은 2009년 38.9%에서 2022년 49.3%로 증가하는 추세로 밭 가뭄에 대한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현재 농림축산식품부, 환경부, 기상청 등 다양한 기관에서 가뭄정보를 제공하고 있으나, 제공되는 정보가 저수지에 한정되거나 작물의 특성과 실제 재배기간을 고려한 가뭄 분석은 이루어지지 않아 밭 가뭄 대응에 한계가 발생한다. 농촌진흥청에서 운영하는 토양수분관측망의 경우 농업기상대, 지역별 시군센터, 시험포장 설치 및 복토한 교란 토양으로 실제 현장과 불일치가 다수 나타나 현장과의 괴리감이 나타나는 문제점이 있다. 미국가뭄모니터 (United States Drought Monitor, USDM)에서는 식생지수, 토양수분, 증발산량, 돌발가뭄 등 다양한 위성영상 기반의 가뭄 지수 및 모니터링 시스템이 존재하지만, 국내의 경우 위성기반 가뭄 모니터링 시스템이 전무한 실정이다. 증발산량을 활용한 위성영상 기반 가뭄지수인 증발스트레스지수 (Evaporative Stress Index, ESI)는 기존에 활용되고 있는 가뭄지수들과 비교하여 식생의 가뭄모니터링에 활용되고 있으며, 원격으로 감지된 열적외선 영상 및 지표면 온도 기반 초기 가뭄 스트레스를 전달할 수 있기 때문에 일반적인 기상학적 가뭄지수보다 가뭄 조기경보에 대한 활용성이 높은 장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위성영상 기반의 증발산량, 식생지수, 토양수분, 지표면온도 등 밭 가뭄 평가 인자를 선정하고 밭 가뭄 모니터링을 위한 평가 기법 및 지표를 개발하고자 한다.

      • 국내 검정콩 육성품종의 종자특성

        주용하,박재훈,윤승길,김영호,김성민,정길웅 한국국제농업개발학회 2002 韓國國際農業開發學會誌 Vol.14 No.4

        1. 수분흡수율이 가장 높은 시간은 다원콩(침지 후 4시간)을 제외한 모든 품종이 침지후 2시간이었으며, 둔화되기 시작한 시간은 침지후 약 10시간이었고, 평형에 도달한 시간은 침지후 약 16시간이었다. 2. 수분흡수율은 품종간에 차이가 있었는데 가장 높은 수분흡수율을 보인 품종은 검정콩2호이었으며, 가장 낮은 품종은 다원콩이었다. 3. 발아율의 범위는 28이었으며, 평균발아율은 93.9%이었고, 가장 높은 품종은 청자콩과 흑청콩이었다. 4. 발아세의 범위는 52이었으며, 평균발아세는 81.9%이었고, 가장 높은 품종은 흑청콩이었다. 5. 평균발아일수와 T_50의 범위는 모두 2이었으며, 평균은 각각 2.6과 2.3이었고, 품종간에는 선흑콩이 가장 길었다. 6. 발아균일도의 범위는 3.1이었으며, 평균은 1.3이었고, 높은 그룹(흑청콩·청자콩·검정콩2호·다원콩·검정올콩)과 낮은 그룹(검정콩1호·일품검정콩·선흑콩)으로 분류되었다. 7. 알칼리붕괴도는 공시품종의 평균이 4.65이었으며 등급은 4∼5등급을 나타내었다. 붕괴도가 가장 높고 우수한 품종은 검정콩1호였으며 가장 낮은 품종은 선흑콩이었다. The water absorption rate after soaking of seeds was the highest at 2 hours in all varieties except Dawonkong(4 hours after soaking), and became slowed down at 10 hours, and reached moisture equilibrium in stopping almost at 16 hours. The water absorption rate was different among varieties, the highest variety was Geomjeongkong #2 whereas the lowest variety was Dawonkong. The range of germination percentage was 28, and average value 93.9%, and the highest varieties were Cheongjakong and Heukcheongkong. The range of germination speed was 52. average value 81.9%, and the highest variety was Heukcheongkong. The range of average days to germination and T_50 were all two days and these average was 2.6 and 2.3, respectively. Seonheukkong among varieties was very long in average days to germination and T_50. The range of germination uniformity was 3.1 and average was 1.3 and divide into two groups such as high group(Heukcheongkong, Cheongjakong, Gemjeongkong #2, Dawonkong, Geomjeongolkong) and low group(Geomjeongkong #1, llpumgeomjeongkong, Seonheukkong). Varietal mean of alkali digestibility value was 4.65 belong to 4∼5 class, the highest variety was Geomjeongkong #1 whereas Seonheukkong was very low among varieties.

      • KCI등재후보

        구미지역 직업성질환 감시체계

        김성아,김진석,전혜리,정상재,김상우,이채용,함정오,유재영,최태성,하봉구,조민환,우극현 大韓産業醫學會 2003 대한직업환경의학회지 Vol.15 No.1

        목적: 구미지역 내 대학병원이자 특수건강진단·보건관리대행기관의 산업의학전문의, 보건관리대행 간호사, 사업장 간호사를 중심으로 직업성질환감시체계를 구축하여 주요 직업성질환들의 발생현황과 규모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또한 연차적으로 산업, 직업, 업무내용 등에 따른 분포나 원인을 기존 자료원(특수건강진단의 직업병 유소견자와 산재요양승인 되는 직업병자)과 비교하여 분석·기술하고 예방 및 관리를 포함한 보건의료기술개발까지을 포함하는 종합적인 감시체계를 구축하고 운용하고자 하였다. 방법: 구미지역의 산업적 특성에 맞는 직업성질환감시체계를 구축하고 지역 감시체계의 모델을 제시하였다. 6대 감시대상 직업성질환(독성 간염, 직업성천식, 직업성 근골격계질환, 직업성 피부질환, 직업성 암, 수지진동증후군)의 실행적 환례정의, 보고양식 및 보고체계 개발, 분석양식 및 결과 배포 형식을 개발하였으며, 그 유병규모를 파악하고, 감시질환의 분포 및 특성, 관련인자 등을 분석·기술하고자 하였다. 이때, 1년간의 환례분석시 직업병 유소견자 및 직업병 요양자에 대한 자료와 함께 비교 분석하였으며, 노동통계자료를 이용하여 년간 발생률을 추정하였다. 결과: 2001. 1. 1일부터 2002.4.30일까지 총 287건이 보고되었으며, 직업성 근골격계질환 132건(46.0%), 직업성 피부질환 100건(34.8%), 독성간염 34건 (11.8%), 직업성천식 16건 (5.6%), 수지진동증후군 5건 (1.7%) 이었으며 직업성 암은 한건도 보고되지 않았다. 보고경로별로는 보건관리대행에서 33건 (11.5%), 해당 유해인자별로 실시되는 특수검진 외의 각종 건강진단업무 수행 중 발견된 환례에 대한 보고가 206건(71.7%)이었다. 직종별 분류의 결과는 섬유업종사자, 단순노무종사자, 음식업종사자 등이 다수를 차지하였다. 근골격계질환의 경우, 수근관증후군이 42건(33%), 외상과염/내상과염이 39건(30%)로 가장 많았다. 직업성 피부질환은 97건이 접촉성 피부염으로 유기용제류가 59건(59%)으로 가장 많고, 니켈 및 에폭시수지에 의한 알레르기성 접촉성 피부염이 각각 6건과 5건이었다. 독성 간염은 모두 DMF 나 DMAc에 의한 것으로, 근무시작 후부터 간기능이상이 발견되기까지의 근무기간은 대부분이 3개월 이하이며, 1개월 이하인 경우도 10건이나 되었다. 동 기간 중 감시환례에 대해 산재요양 자료와 중복여부를 확인한 결과, 중복되는 것은 하나도 없었다. 특수건강진단에서 직업병유소견자로 판정된 경우는 독성간염에서 3건이 있었으며, 나머지 질환은 중복되는 것은 없었다. 2001도 구미지역의 근로자수와 보고환례건수를 이용하여 연간 발생률을 추정하였다. 근로자 10만 명당 연간 발생률은 상지 근골격계질환은 63.6명, 피부질환 48.2명, 독성 간염 17.9명, 천식 7.7명, 수진진동증후군 2.4명이었다. 참여예상인원은 총 46명이었으며, 실제 참여자수는 21명, 평균참여율은 46%, 실제 참여 1이당 평균 보고건수는 산업의학전문의가 28건으로 가장 많았고, 대행간호사는 45,건, 사업장 간호사는 3.3건이었다. 결론: 지역 감시체계는 기존 통계자료들에서 발견되지 않았던 직업성질환의 발견에 유용한 통계원이며, 특히 지역의 특성과 여건을 고려하여 체계화된 시스템을 구축하여 운용한다면 더 성과가 클 것이다. Objectives: Area-based occupational disease surveillance in Kumi (KODS) was used to collect data on occupational diseases. The data was used to estimate the magnitude of the diseases, to analyze for their characteristics and to find links for their intervention and prevention. Methods: Since January 2001, occupational physicians and nurses in Occupational Health Service (OHS) have reported six major occupational diseases; occuaptional musculoskeletal disorders of the upper extremities (MSDUE), occupational dermatoses, toxic hepatitis, occupational asthma (OA), hand-arm vibration syndrome (HAVS), and occupational cancer. For the respective diseases, a reporting sheet and operational diagnostic criteria were developed by the KODS. An analysis of the KODS data, collected over a certain period, was compared with data from the Korea Labor Workers Corporation (KLWC) and the Specific Health Examination (SHE), and the incidence rates of the diseases estimated. Results: Between Jan 2001 and Apr 2002, 287 cases of the six major occupational disease were reported. Of these, there were 132 (46.0%), 100 (34.8%), 34 (11.8%), 16 (5.6%), and 5 (1.7%), cases of MSDUE, occupational dermatoses, toxic hepatitis, OA, and HAVS, repectively. But, there were no cases of occupational cancer. 33 (11.5%) of the incidence were reported via the OHS, 206 (71.7%) from health checkups, and the other 48(16.8%) from other routes. The synthetic fibers and electronic components manufacturing industries accounted for the greatest number of reported cases. With resport to occupation, the greatest numbers of incidence were reported from the elementary occupations, textile workers, assemblers, and cooks and food services worker, in that order. Of the MSDUE cases, carpal tunnel syndrome and epicondylitis were the two most common diseases. Most of the occupational dermatoses were due to contact dermatitis, with organic solvents (59%), nickel (6%), and epoxy resin (5%) accounting for the majority of these cases. All cases of toxic hepatitis were induced by dimethylformamide or dimethylacetamide, which were reported by a unique monitoring system. During same period, there were no cases claimed by workers to the KLWC, and only three cases from SHE, were identified. Using data from workers' number and surveillance, the annual incidence of MSDUE, dermatoses, hepatitis, OA, and HAVS, per 100,000 workers were 63.6, 48.2, 17.9, 7.7, and 2.4, respectively. Conclusions: These results show that an area-based surveillance system can be very effective for the collection of data on work-related diseases, at least in Kumi.

      • 오감(五感)적 요소를 접목한 브랜드 스페이스 연출 계획 -마임 화장품 프레쉬가든을 중심으로-

        김소현,임하영,장효실,최혜원,이진민,장미정,이성애 숙명여자대학교 산업디자인연구소 2017 숙명디자인학 연구 Vol.24 No.-

        인간이 갖고 있는 감각 기관은 시각, 청각, 후각, 촉각, 미각의 총 다섯 가지로, 이를 모두 활용 할 때 이상적 공간 상호작용이 가능하다. 본 연구는 화장품의 공간 연출 계획 시 오감적 요소를 접목하여 브랜드 이미지를 구축하는 일련의 프로세스를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이에 본 연구는 2017년 3월~6월 15주간 숙명여대 환경디자인학과 <융합연출디자인> 수업에서 진행된 수업의 결과물로서 작업물을 정리하였다. 그 결과 본 연구는 제품이나 서비스를 직접 경험할 수 있도록 다양한 엔터테인먼트적 요소를 결합하여 기능적 만족감과 더불어 체험적 만족감 제공하는 오감적 디스플레이를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오감을 활 용한 뷰티 쇼룸으로 감각을 공간에 어떠한 방식으로 적용할 것인지에 대한 정립을 했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아울러 다양한 매체와 공간의 개념이 일반화 되어 가는 오늘날 기업 환경 속에서 오감적 체험을 기반으로 한 공간연출은 가상의 공간속에서도 유연하게 적용 가능한 디스플레이 요소로 확인되었다. 또한 본 연구는 향후 이와 관련된 쇼룸 공간 개발에 있어서 기초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 매크로/마이크로 레벨 볼트 결합 구조물에서의 실험적/해석적 방법을 통한 시스템 특성 비교

        김봉석,이성민,이문구,이수훈,Jun Ni,송준엽,이창우,하태호 한국공작기계학회 2006 한국공작기계학회 추계학술대회논문집 Vol.2006 No.-

        As the micro technology and miniaturization of a structure and component in the last couple of decades have been concretely realized, the understanding of structural and dynamic characteristics and prediction of dynamic behavior are indispensable to the miniaturized structures and micro machines. This paper shows the effect of dynamic characteristics in bolt-jointed structures by comparing natural frequencies and mode shapes between macro and micro-scale beams through experimental modal analysis and finite element analysis with a1 8 test models by materials, by size, and by joining condition; that is, SS41 and A16061-T651, micro and macro, and monolithic beam and bolt-jointed beam.

      • KCI등재

        한국 성인을 대상으로 한 전산화 Standard Progressive Matrices의 표준화 예비연구

        홍경수,이민수,오병훈,하규섭,유한익,이창욱,연병길,김성윤,신민섭,김재진,권준수 大韓神經精神醫學會 1999 신경정신의학 Vol.38 No.5

        연구목적 : 전산화 Standard Progressive Matrices(SPM) 검사의 한국인 성인 표준자료를 확립함으로써, 간이로 지능을 평가하는 경우에도 보다 정확하게 지능지수를 추정하기 위해서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방 법 : 18세 이상의 남녀 정상인 자원자 353명을 대상으로 전산화 SPM 검사를 시행하고, 백분율 및 표준점수(T-점수)를 기준으로 하여 표준화 자료를 작성하였다. 전체 대상군을 성별, 연령별로 구분한 후 평균과·분포가 유사한 집단은 군을 합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한국인 표준자료에 근거하여 추정한 SPM 지능지수와 외국인 표준자료에 근거하여 추정한 SPM 지능지수를 각각 KWAIS 지능지수와 비교함으로써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결 과 : 18∼30세, 31∼40세, 41∼50세, 51세 이상의 연령군으로 구분된 한국 정상 성인의 SPM 표준화 자료를 산출하였다. 본 연구 결과에 의한 표준화 자료를 적용하여 지능지수를 추정하는 것이 현재 사용하고 있는 외국인의 표준화 자료를 이용하는 것보다 KWAIS 지능지수에 더욱 근접한 결과를 보였다. 결 론 : 18세에서 50세까지의 한국인 남녀에게는 간이지능평가도구로서 전산화 SPM 검사의 한국인 표준화 자료를 유용하고 타당하게 적용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Objectives : We conducted this study to provide standardized data of the computerized Standard Progressive Matrices(SPM) test in Korean adults. Methods : The computerized SPM test was administered to 353 healthy volunteers aged 18 years over. We provided the standardized data(percentile and standardized T-scores) for the groups with similar mean and distribution of SPM scores, which was originally divided by age and sex. The validity of the new standardized data was tested by comparing IQs estimated by SPM and K-WAIS. Results : The standardized SPM data were provided for four age groups : 18 to 30 years, 31 to 40 years, 41 to 50 years, 51 years and over. IQ estimated by this standardized data tends to be closer to IQ by K-WAIS than the IQ estimated by foreign normative data. Conclusion : The standardized data of the computerized SPM were proven to be a useful and valid tool for measuring IQ briefly,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way of measuring IQ.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