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숙명역사관’뮤지엄 아이덴티티 개선을 위한 마케팅, 디자인 전략 수립 -특별 기획전, 홍보, 기프트 샵을 중심으로-

        박민지,박한빛,서예원,이진민,장미정,이성애 숙명여자대학교 산업디자인연구소 2017 숙명디자인학 연구 Vol.24 No.-

        본 연구는 디자인과 마케팅이 이분법적으로 나누어질 수 없음을 인식하고, 디자인과 마케팅을 융합하여 스페이스 디자인 마케팅을 통한 뮤지엄아이덴티티를 구축하는 일련의 프로세스를 제안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2017년 3월~6월 총 15주간 숙명여자대학교 환경디자인과 ‘브랜드·스페이스·마케팅’수업에 서 진행된 결과물로서 작업물을 정리하였다. 본 연구의 범위는 4개(物, 事, 人, 場)의 주제 중, 장소(場)를 중심으로 ‘숙명역사관’의 그래픽, 제품, 공간을 개발하는 브랜드 매뉴얼과 연관하여 한정한다. 이에 본 연구는 ‘숙명역사관’이 가지고 있는 역사적 컨텐츠와 가치를 통해 현재 상황과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숙명역사관’의 다양한 마케팅 전략을 제시하고 이에 따른 디자인 전략과 해결 방안을 통해 디자인과 마케팅의 융합을 꾀하였다. 아울러 SWOT 분석을 통해 로고, 명함부터 새로 기획하는 숙명역사관 기프트샵, 인테리어디자인, 디스플레이, 공간연출과 그 안의 제품디자인에 이르기까지 일관성과 통일성을 추구했다. 끝으로 본 연구는 뮤지엄아이덴티티 구축을 위한 창의적 디자인 프로세스를 고찰하며, 이를 바탕으로 개발 매뉴얼을 총체적으로 정리함에 있어서 뮤지엄 브랜딩의 기초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 복합문화공간으로서의 숙명여대 르네상스 프라자 "윰(U;ME)" 브랜드 개발 -<디자인+마케팅> 융합을 중심으로-

        박가현(주저자) ( Ga Hyun Park ),맹지수(주저자) ( Ji Soo Maeng ),임슬비(주저자) ( Seul Bi Lim ),신윤화(주저자) ( Yoon Hwa Shin ),이진민(공동저자) ( Jin Min Rhie ),장미정(공동저자) ( Mi Jeong Jang ),이미연(공동저자) ( Mi Yeon Lee ),홍순미(공동저자) ( Soo 숙명여자대학교 산업디자인연구소 2014 숙명디자인학 연구 Vol.19 No.-

        본 연구는 숙명여자대학교에 있는 복합문화공간 르네상스 플라자의 인지도를 높이기 위한 브랜드 개발에 있어서 ‘브랜드와 디자인, 마케팅, 이벤트’ 을 융합된 시점에서 바라보고 Graphic Identity, Product Identity, Space Identity의 통합브랜드를 구축하는 일련의 프로세스를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이에 본 연구의 대상은 2014 년 3윌-6윌 15주간 숙명여대 환경디자인학과 〈브랜드스페이스마케팅〉수업에서 진행된 수업의 결과물로서 6개 팀 중 1개 팀의 작업 과제를 정리한 것이다. 또한 본 연구의 범위는 4개(物, 事, 人, 場)의 주제 중 事의 ‘Service’ 로 한정한다. 그 결과, 디자인과 마케팅의 융합된 측면에서 도출된 ‘U;ME’ 이라는 브랜드의 르네상스 플라자를 문화예술에 관심이 많은 젊은 커플들에게 갤러리·공연·식음 등의 시설을 향유하며 데이트를 즐기는 장소 마케팅으로 복합문화공간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는 ‘U;ME``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개발함에 있어 디자인과 마케팅이 융합된 통합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만든 것에 의의가 있다. 또한 향후 타 복합문화공간의 타 계층의 대상을 한정하는 마케팅 디자인 메뉴엘 개발에 있어서 그 기초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The present study aims to take a look at ``Brand, Design, Marketing, and Event`` from a convergence perspective and explicate a series of process to establish an integrative brand of graphic identity, product identity, and space identity, in developing a brand to raise the awareness of the Renaissance Plaza as the Cultural Complex in Sookmyung Woman University. This study aims for a compilation of the work of a team among six teams from their course products in the ``Brand Space Marketing`` course in the Department of Environmental Design in Sookmyung Woman University which was provided for 15 weeks between March and June, 2014. In addition, the scope of this study is Iimited to ``service`` of Work among four themes (Thing, Work, Person, and Place). As a result, ``U;ME`` was developed as a brand for the Renaissance Plaza as a cultural complex for young couples with high interests in art and culture to enjoy the facilities such as galleries, performances, and food and beverages while dating, based on the fusion of design and marketing aspects with a focus on place-based marketing.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lies in creating a brand identity that integrated design and marketing in developing the brand identity, ``U;ME.`` In addition, study results are expected to inform the development of the marketing design manual for various populations in other cultural complexes in the future. es style researches on food, n di and

      • 인상주의에 근거한 화예디자인의 색 해석에 관한 연구

        박소영 숙명여자대학교 산업디자인연구소 2009 숙명디자인학 연구 Vol.11 No.-

        화예디자인은 자연을 작품의 소재로 삼는다는 점에서 타 미술 장르와 근원적인 차이가 있으며, 그로 인하여 색 사용에 있어 선색(蘇色)을 할 수밖에 없는 한계가 있다. 인상주의 화가들이 자연의 색 재현을 위해 의도적인 선색을 시도했다는 점은 우리 분야의 색을 해석하기에 적합한 이론적 도구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여겨졌다. 본 연구에서는 인상주의의 대표적 특정으로 꼽히는 빛, 점묘화법, 보색대비를 기준으로 각기 빛과 색, 혼색, 배색의 영역을 설정하고, 인상주의의 색과 화예디자인의 색을 나름대로 비교분석해 보았다. 먼저, I장에서는 본 연구의 연구 배경과 목적에 관해 언급하였다. II장에서는 본 연구와 관련있다고 여겨지는 색채연구 이론들에 관해 정리하였다. III장에서는 화예디자인에서의 색 해석 근거로서 인상주의의 적합성을 밝히기 위해 인상주의의 유래, 화법의 특정과 더불어 인상주의의 화예학적 의의를 살펴보았다. IV장에서는 인상주의의 색 특성을 빛과 색, 혼색, 배색의 세 항목으로 구분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빛과 색에서는 주광과 인공조명에 따른 색의 차이를 살펴보았고, 혼색에서는 병치혼색 원리를 적용한 점묘화법의 작품들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배색에서는 쉐브렐의 색채조화에 근거한 보색대비가 강조된 작품들을 살펴보았다. V장에서는 인상주의에 근거하여 화예디자인의 색을 해석해 보았다. 빛과 화예디자인의 색에서는 빛과 화예디자인과의 관계를 설명하고, 빛에 따른 색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화예디자인의 혼색에서는 화예디자인의 색 특성을 설명한 후, 병치혼색의 원리가 적용된 사례들을 살펴보았다. 화예디자인의 배색에서는 녹색과의 배색과 배경색과의 배색효과를 보색대비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그리고 이상에서 살펴본 화예디자인의 색 해석결과를 바탕으로 화예디자인의 색 해석을 위한 분석틀을 만들어 화예디자인 작품의 색 해석을 위한 기준을 설정해 보았다. 마지막 VI장은 결론으로, 전체적인 내용을 정리하는 것으로 마무리 했다.

      • 박물관 브랜드 마케팅 및 공간 프로모션 전략 -숙명여자대학교 내 정영양자수박물관 C·E·M 공간디자인을 중심으로-

        김은애,김예은,정채림,이진민,장미정,이성애 숙명여자대학교 산업디자인연구소 2017 숙명디자인학 연구 Vol.24 No.-

        본 연구는 정영양자수박물관의 콘텐츠를 활용한 통합 브랜드를 개발함에 있어 브랜드·디자인 ·마케팅을 융합한 시점에서 바라보고 그래픽아이덴티티, 제품아이덴티티, 공간아이덴티티 통합브랜드를 구축하는 일련의 프로세스를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기존의 박물관 방문자들과 20-30대 여성을 대상으로, 디자인과 마케팅의 융합된 측면에서 도출된 ‘C·E·M’을 物, 事, 人, 場가 융합된 문화로 한정한다. 그 결과, ‘C·E·M’은 디자인과 마케팅 전략을 융합하여 로고 및 사인물의 그래픽디자인부터 제품디자인, 공간디자인에 이르기까지 일관성과 객관성, 스토리성을 도출한다. 끝으로 본 연구는 브랜드가 디자인과 마케팅을 융합하여 더 체계화된 G·I, P·I, S·I의 통합 브랜드 매뉴얼을 만든 것에 의의가 있다. 아울러 향후 이와 관련된 통합브랜드 디자인 개발에 있어서 기초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 제품의 아이덴티티를 활용한 감성적 패키지 디자인에 관한 연구 : 패키지 디자인의 분류 및 분석, 외형적(External)소재 부분 중심연구

        송미나 숙명여자대학교 산업디자인연구소 2009 숙명디자인학 연구 Vol.12 No.-

        본 연구는 현재 우리생활에서 패키지 디자인의 정의와 분류되는 방식, 트렌드를 분석하고 패키지 디자인의 소재 분석을 통해 우리생활에서 다양하게 이용되고 있는 패키지 디자인을 조사해 보고자 한다. 제품산업에 있어 가장 중요한 부분중하나인 패키지 디자인은 제품 판매 및 이미지 형성에 있어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먼저 제1장에서는 패커지 디자인의 분류와 분석을 하는 목적과 문제를 파악하고 연구의 방법파 범위를 설정해 본다. 제2장에서는 본격적인 패키지 디자인의 분류, 분석해본다. 패키지 디자인을 외형적 (External)인 것과 기능적 (Functional) 인 것으로 분류해보았다. 외형적 분류로는 소재, 가공, 구조, 부피, 투명성 5가지로 분류할 수 있고, 기능적 분류로는 제품 보호의 기능, 운반 용이의 기능, 정보전달·광고의 기능, 사용 용이의 기능, 심미적 기능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패키지 디자인의 현재 트렌드를 살펴보면 크게 3가지로 들 수 있는데 리뉴얼 (renewal), 감성(sensibility), ECO으로 정해 내용을 연구했다. 제3장에서는 패키지 디자인의 소재를 분석하여 좀 더 패키지 디자인의 기본적인 것에 대해 연구 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패키지 디자인은 소비자의 구매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로서 좀 더 연구되어야 할 부분이라는 것을 추출하였다. 앞으로도 패키지 디자인의 발전방향을 연구함에 따라 패키지 디자인의 사고의 변화의 계기가 될 것이다.

      • 외모 콤플렉스 개선을 위한 셀프매니지먼트 `봄` 브랜드 개발 - 메이크업, 이미지 트레이닝, 놀이치료를 중심으로 -

        김다영 ( Kim Da-young ),엄연정 ( Eom Yeon-joung ),우예림 ( Woo Ye-lim ),임채은 ( Lim Chae-eun ),조아란 ( Cho A-ran ),이진민 ( Rhie Jin-min ),장미정 ( Jang Mi-jeong ),신은별 ( Shin Eun-byeol ) 숙명여자대학교 산업디자인연구소 2016 숙명디자인학 연구 Vol.23 No.-

        본 연구는 우리 인(人)적 사회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셀프 매니지먼트로 뷰티 콘텐츠를 활용한 통합 브랜드를 개발함에 있어서 `브랜드와 디자인, 마케팅`을 융합된 시점에서 바라보고 Graphic Identity, Product Identity, Space Identity의 통합브랜드를 구축하는 일련의 프로세스를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이에 본 연구의 대상은 2016년 3월~6월 15주간 숙명여대 환경디자인학과 <브랜드스페이스마케팅> 수업에서 진행된 수업의 결과물로서 4개 팀 중 1개 팀의 작업물을 정리한 것이다. 또한 본 연구의 범위는 4개(物, 事, 人, 場)의 주제 중 人의 `인물`로 한정한다. 그 결과, 디자인과 마케팅의 융합된 측면에서 도출된 봄`(Bom)`은 기존의 수많은 뷰티 콘텐츠의 과포화로 인한 정보 선택의 혼란과 실제 적용의 어려움을 겪는 20-30대 여성을 대상으로 하였다. 봄 브랜드는 디자인과 마케팅측면을 융합하여 로고 및 사인물의 그래픽 디자인에서부터 제품디자인 및 공간디자인에 이르기까지 일관성과 객관성, 스토리성을 띄었다. 끝으로 본 연구는 人(인)을 활용한 문화 공간 디자인에서 `봄`은 디자인과 마케팅을 융합하여 좀 더 체계화된 G·I, P·I, S·I의 통합 브랜드 매뉴얼을 만든 것에 의의가 있다. 또한 향후 이와 관련된 통합브랜드 디자인 개발에 있어서 기초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looks at the convergence of brand and design marketing, indeveloping an integrated brand that solves our society`s social issues by utilizing Beauty contents with self-management in order to solve our society`s social issues and also aims to examine the series of processes used to establish the integrated brand ofGraphic Identity, Product Identity, and Space Identity . The study subject is the resultant organized work completed through the course “Brand Space Marketing" of Sookmyung Women`s University Environmental Design Division by one of the four teams during the 15 weeks of March through June. In addition, the scope of the study is limited to the subject of `person` within the four proposed categories (物, 事, 人, 場). As a result, as `Spring (Bom)` was regarded from the aspect of both design and marketing, the study focused on women in their 20s-30s who face confusion and thus difficulty in deciding due to the supersaturation of numerous beauty contents. From that design and marketing perspective, this study examines the consistency, objectivity, and narrative of the logo and signboard graphic design and product and space design of the`Spring(Bom)` brand. Finally, through the development of the marketing and design aspects of `Spring(Bom)` in regards to the topic of `people` in cultural space design, this study is significant because of the consequential creation of a manual of the more systemized, integrated brand of G.I, P.I, and S.I.Furthermore, this study shows promise in henceforth becoming a foundational resource in future development of such integrated brands.

      • 미학과 사회적 이슈를 연계한 전시디스플레이 작품 연구 저출산에 대한 인식 개선 프로젝트 - “나쁜 엄마, 최고의 아빠”의 전시디자인 프로세스를 중심으로 -

        강미선 ( Kang Me-sun ),박수빈 ( Park Soo-bin ),윤정원 ( Yoon Jung-won ),오정은 ( Oh Jung-eun ),이소원 ( Lee So-won ),이진민 ( Rhie Jin-min ),신은별 ( Shin Eun Byeol ) 숙명여자대학교 산업디자인연구소 2016 숙명디자인학 연구 Vol.23 No.-

        본 연구는 전시디스플레이 디자인 분야에 미학을 기반으로 예술적, 사회적, 디자인적 측면으로 다각적으로 접근하여 전시 디자인 분야의 색다른 코딩 프로세스를 체계화하고, 동시에 기존의 전시와는 차별화 되는 새로운 전시 공간 프로세스를 제안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2016년 9월~12월까지 15주간 숙명여자대학교 미술대학 환경디자인학과<전시디스플레이 디자인>교과목에서 진행된 프로젝트 중 일부이다. 본 연구의 과정은 총 3과정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미학적 개념과 사회적 문제, 전시관련 학문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한 뒤 이를 전시디자인에 코딩하는 작업을 선행하였다. 두 번째로는 코딩한 작업을 바탕으로 전략적 모티브를 빛으로 선정하고, 전시디자인 전략계획을 진행하였다. 마지막으로 자료를 바탕으로 만든 스토리텔링을 기반으로 전시전개구성을 하고 이를 통해 스토리가 있는 차별화된 공간구성을 하였다. 로고디자인, 포스터디자인, 리플렛디자인, 영상 디자인 등 전시디자인 E.I작업을 통해 전시를 표현하였다. 끝으로 본 연구는 `미학 + 사회문제 + 전시디자인의 코딩`이라는 새로운 창의적 전시 디자인 프로세스를 제안하였고, 이는 미학과 사회문제의 이론적 고찰을 반영한 전시디스플레이 프로세스 개발에 있어 향후 기초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multilateral approach to the exhibition display from aesthetic, social issues, design aspects based on the aesthetic theory, to systematically summarize the display works and to propose unique exhibition display design process different from standardized display. The study subject is output from the `Exhibition display` subject of the Environment Design department of Soookmyung university from september to December 2016. The process of this study consists three phases. First, the study developed ideas for the project in advance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aesthetics theories on middle age art and social issues. and then applied them to exhibition display. Second, the project created display outline and strategical design motive based on coding process with aesthetics. Lastly, the exhibition space planning was conducted by storytelling, and specifically expressed by logo design, poster design, brochure design and media design are specifically expressed. All in all, This study`s creative design process called `aesthetics + social issues + exhibition display design coding`, are expected to be utilized as basic data for future studies on the development of new and creative exhibition display processes, which will reflected aesthetics theory and social issues unlike the existing process of exhibition display design

      • 선물포장디자인 유형에 관한 연구 : 국내 사례를 중심으로

        박혜숙 숙명여자대학교 산업디자인연구소 2009 숙명디자인학 연구 Vol.11 No.-

        본 연구에서는 현재 우리의 라이프스타일에서 이루어지는 선불과 선물포장디자인의 역할과 가치를 알아보고, 아울러 선물포장디자인의 구조와 유형 분석을 통한 시사점을 도출해보았다. 현재 우리 생활에서 이루어지는 선물의 기능은 의사전달의 기능, 사회적 교류 기능, 경제적 기능, 사회화 기능으로 대별되고 있다. 선불포장디자인은 이러한 선물의 기능을 효과적으로 배가시키는 역할을 한다. 선물포장디자인은 계절, 명절, 기념일, 이벤트 등 선물의 용도에 따라서 포장소재, 액세서리, 색상 등의 이미지를 포함하여 고려해야 한다. 그리고 현재 유행하는 선물포장디자인을 선물이 가지는 메시지의 테마별로 의미적 유형, 디자인의 부가적 액세서리 유무에 따른 방법적 유형, 그리고 현재 선물포장디자인의 트렌드인 자연주의의 접목을 고려한 적용적 유형으로 분류하여 그 특색과 시사점을 알아보았다. 의미적 유형으로는 메시지의 내용에 따라 축하, 존경, 감사, 사랑으로 구분하여 디자인의 내용과 특징을 알아보고, 방법적 유형으로는 단순형과 복합형으로, 그리고 적용적 유형으로는 자연주의 트렌드 중 환경 친화적인 콘셉트를 반영한 그린디자인, 리사이클링디자인, 그리고 우리의 전통의 색감과 문양을 반영한 전통 포장 디자인으로 나눠 보고 디자인의 내용과 특정 등을 분석했다. 그중에서도 적용적 유형에서는 환경문제의 주범으로 지목되는 생활쓰레기의 상당부분이 과도한 포장, 환경문제를 고려하지 않은 포장 재료로 인해 기인하고 있음을 선물포장디자인에 적용하였다. 앞으로 적극적인 참여가 필요한 디자인요소라고 볼 수 있다. 최근의 상업패키지디자인이 기업들의 적극적인 연구개발과 투자로 큰 발전을 이루고 있는 데 비하여 지금까지의 국내선물포장디자인 분야는 단순한 선물의 포장기능 분야로 다루어져 왔다. 그중에서도 소재나 기능 분야에 편중되어 발전되는 과정에서 디자인에 대한 체계적이고 심도 있는 연구가 부족했다고 본다. 국내 선물포장디자인 분야도 시대의 흐름을 적극적으로 반영해야 함은 물론, 시각디자인의 한 분야로서 소재, 교육, 관련 서비스 분야의 발전에 부합하는 체계적인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고 본다.

      • ‘음영(陰翳) 인-에이(IN-EI) 이세이미야케' 조명기구 전시 공간 계획에 관한 연구 - 작품 ‘어둠을 빛내다’를 중심으로 -

        김기슬,김리현,서민영,이진민,신은별 숙명여자대학교 산업디자인연구소 2018 숙명디자인학 연구 Vol.25 No.-

        본 연구는 공간 디자인 스튜디오Ⅱ 수업에서 진행한 공간 디자인에 관한 연구로서, 디자인의 차원과 요소, 원리 대한 이론적 고찰을 통해 평면부터입체 공간까지 차원의 확장에 따른 전시 공간 디자인 계획 프로젝트이다. 본 연구는 크게 두가지로 나 뉘는데 먼저, 이론적 고찰을 바탕으로 자연물을 모티브로하여 점, 선, 면의 평면을 구성하고 이를 입체화하여 Mock-up 스터디를 통해 입체의 조형적 구축을 탐구하였다. 다음으로, 세 명이 한 팀이 되어 개인별 조형적 특징을 살려 팀 Mock-up으로 합쳐 구성하고 이에 어울리는 브랜드를 분석하여 ‘陰翳이세이미야케로’ 선정한다, 이후 공간에 어울리는 매테리얼, 색을 적용시키고 기능을 고려한 조닝, 동선, 도면 등으로 정리하여 전시 공간을 계획한다. 끝으로 본 연구는 기존의 기능적 공간디자인 계 획을 연구함에 있어 창의적인 프로세스를 제시하며 이론을 바탕으로 체계적인 조형세계를 구축하여 전시공간 디자인 계획한다. 향후 이와 관련된 전시공간 디자인 계획에 관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사료된다.

      • 브랜드‘HERMES’의 시계제품 전시 공간 제안 연구 - 자연물을 모티브로 한 형태적 특징의 조합을 중점으로 -

        한수정,김예원,김채원,이진민,신은별,김태범,이성애 숙명여자대학교 산업디자인연구소 2018 숙명디자인학 연구 Vol.26 No.-

        본 연구는 공간스튜디오Ⅱ 수업에서 진행한 브랜드 공간 디자인 프로세스 연구로 이론적 고찰을 통해 모델링 탐구 및 적용함으로써 이에 맞는 브랜드를 적용시킨 브랜드 전시공간을 창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첫째, 자연물을 모티브(달, 벌, 담쟁이 넝쿨)로 하여 디자인요소와 원리를 고찰하고, 평면에서부터 입체, 공간 구성까지 점차 확장되는 공간의 표현을 통해 형태의 조형미와 공간의 적절한 여백과 활용성을 탐색한다. 둘째, 특정 브랜드인‘HERMES’의 목적에 맞는 전시공간을 계획 및 구축한다. 그 결과 본 연구는 구체적인 브랜드 의 색, 형태, 공간의 이해를 바탕으로 기존과는 다른 체계적인 통합 브랜드 개발 프로세스를 제안하는데 의의가 있다. 아울러 브랜드에 맞는 분위기의 공간과 조형적 공간 디자인의 발전 가능성을 구축함으로 향후 이와 관련된 공간 디자인 프로세스 개발에 있어서 기초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사료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