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수온의 단주기 변동이 있는 동해에서의 정합장처리 실험 : MAPLE 0310

        김성일,홍준석,김의형,김영규,박정수,Kim Seongil,Hong Jun-Suk,Kim Eui-Hyung,Kim Young-Gyu,Park Joung-Soo 한국음향학회 2005 韓國音響學會誌 Vol.24 No.6

        복잡한 음파전달과 시끄러운 해상 교통량이 많은 천해 환경에서 조용한 수중 표적의 탐지와 위치 추정은 아직까지 많은 문제점들을 남기고 있다. 정합장처리는 적절한 조향 벡터를 구성하기 위하여 음파전달 모델을 이용함으로써 최적의 배열 이득과 위치 추정 정밀도를 제공한다. 그러나 실제로는 아직까지 몇몇 제약조건들 때문에 정합장처리의 성능이 제한되고 있다. 가장 중요한 제약조건은 일반적으로 수중의 환경에 대한 정확한 자료가 부족하다는 것이다. 한국 주변의 천해에서 정합장처리의 성능을 판단하기 위하여 일련의 해상실험인 MAPLE (matched acoustic properties and localization experiment)을 실시해오고 있으며, 본 논문은 2003년 10월에 수직선배열과 이동음원을 이용하여 동해 연안에서 실시한 정합장처리 실험으로부터 획득한 자료를 분석한 결과이다. 정합장처리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음원위치추정을 수행하였다. 실험 해역의 수온구조는 내부파 등의 단주기 변동의 영향을 크게 받는 것으로 알려져 왔으며, 본 논문의 정합장처리 결과에서도 단주기변동의 영향을 받아 부엽준위가 증가한 것으로 보인다. Detection and localization of a quiet target in shallow water environments is a challenging problem because of the complicated acoustic Propagation and the Prevalence of loud surface ship interference. Matched Field Processing (MFP) can help address the concern by using a Propagation model to determine the steering vectors, thus Providing optimal away gain and localization accuracy. However, Performance of MFP have yet realized in practice, for several reasons. The most important limitation is that precise information on the underwater environments is generally not available. To examine the Performance of MFP in the East Sea of Korea, we have accomplished a series of matched acoustic Properties and localization experiment (MAPLE). We analyzed the array data measured from MAPLE which is accomplished using a vertical line array and a towed acoustic source off the east cost of Korea in Oct. 2003. We localized the acoustic source using MFP. It is well known that the temperature structure in the experimental site is affected by the short period fluctuation such as internal wave. In this paper, it is found that the sidelobe level on the MFP ambiguity surface is increased being affected by the short period fluctuation.

      • KCI등재

        근적외선 필터용 인산계 유리의 광학적 특성 및 구조적 특성에 미치는 CuO 의 영향

        김성일,황종희,임태영,김진호,김영호,이종화,최덕균,Kim, Seong-Il,Hwang, Jong-Hee,Lim, Tae-Young,Kim, Jin-Ho,Kim, Young-Ho,Lee, Jong-Hwa,Choi, Deuk-Kyun 한국재료학회 2009 한국재료학회지 Vol.19 No.12

        Optical characteristics and structural changes depending on CuO content in phosphate glasses that are used in near-infrared (near-IR) filters were investigated. With phosphate glasses that contain 1-9 mol% CuO, changes in optical transmittance, optical absorption, and color coordinate were measured with a UV-VIS spectrophotometer. An XPS (X-ray photoelectron spectroscopy) analysis was performed to determine valence of copper ion that influences optical characteristics in near-IR filter glasses. Structural changes in glasses depending on CuO content were also analyzed by FT-IR (Fourier transform infrared) and Raman spectrophotometers. From the UV-VIS spectrophotometer results, strong absorption peaks at 220 & 900 nm were found and transmittance was decreased. The color coordinates of the glasses were shifted to the green color direction with CuO addition for increasing absorption of long wavelength range spectra, in spite of the amount of $Cu^{2+}$, which gives a blue color to glasses, and which was increased in XPS results. Also, structural de-polymerization of glasses with CuO addition were found by FT-IR and Raman results.

      • KCI등재

        사료 내 생 미강과 볶은 대두의 첨가가 거세한우 등심의 이화학적 특성과 관능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김성일,정근기,김덕영,김진열,최창본,Kim, Sung-Il,Jung, Keun-Ki,Kim, Duck-Young,Kim, Jin-Yeoul,Choi, Chang-Bon 한국축산식품학회 2011 한국축산식품학회지 Vol.31 No.3

        본 연구는 거세한우 사료 내 미강과 볶은 대두를 첨가 함으로써 거세한우 도체등심의 이화학적 특성과 관능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실시되었다. 평균 20.92개월령(평균체중 599.89 kg)의 거세한우 36두를 대조구, 시험 1구(미강 첨가구) 및 시험 2구(볶은 대두 첨가구)로 나누고 각각의 처리구는 체중 및 월령을 고려하여 배치하였다(12두/처리구). 미강과 볶은 대두의 첨가 수준은 시험 사료 내 조지방 함량을 5%로 설정하고, 조지방 부족분을 각각의 첨가원료(미강과 볶은 대두)로부터 보충 되도록 설계하였으며, 시험동물이 평균 31.2개월령에 도달할 때까지 314일간 사양시험을 실시하였다. 도체등심의 일반 조성분은 처리구별 뚜렷한 차이는 없었고 가열 감량과 드립 감량도 처리구별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체지방 부위에 따른 처리구별 융점은 뚜렷한 차이가 없었으나, 체지방 부위별 융점은 등심지방($25.83-26.17^{\circ}C$), 피하지방($17.26-18.53^{\circ}C$) 및 신장지방($32.40-33.15^{\circ}C$)이 서로 다른 범위를 나타내었다. 도체등심의 단맛과 관련이 있는 유리 아미노산은 시험 1구가 39.48 mg/100 g으로서 대조구의 32.24mg/100 g에 비하여 유의적(p<0.05)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쓴맛과 관련이 있는 유리 아미노산은 시험 2구가 25.93mg/100 g으로서 다른 처리구에 비하여 유의하게(p<0.05) 낮게 나타났다. 도체등심의 지방산 조성 중 $C_{14:0}$, $C_{16:0}$, $C_{16:1}$, $C_{18:0}$ 및 $C_{18:1}$의 함량은 처리구별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며, 다가불포화지방산인 $C_{20:3}$은 시험 2구가 다른 처리구에 비하여 유의적(p<0.05)으로 높게 나타났다. 도체등심의 관능평가 결과는 다즙성의 경우 시험 1구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p<0.05), 종합기호 도의 경우는 시험 1구와 시험 2구가 대조구에 비하여 유의적으로(p<0.05) 높게 나타났다. 도체등심의 관능 평가 항목들과 주요지방산 조성간의 상관관계는 $C_{18:1}$은 연도와, $C_{18:0}$은 풍미와 정(+)의 상관관계(각각 r=0.650 및 0.698; p<0.05)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보면 사료 내 미강과 볶은 대두의 첨가가 거세한우 등심의 이화학적 특성에는 처리구별 뚜렷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관능적 특성을 개선시키는 데에는 효과적이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We investigated melting points and sensory characteristics by adding rice bran and roasted soybean to the finishing diet of Hanwoo steers. Thirty-six Hanwoo steers (average age, 20.92 mon-old; average weight, 599.89 kg) were assigned to either Control, Treatment 1 (rice bran) or Treatment 2 (roasted soybean) groups (12 steers/group), considering body weight and age. Supplementation levels of rice bran and roasted soybean were determined to meet total 5% crude fat in the concentrates, and the experimental animals were fed for 314 d until they reached 31.2 mon old.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the moisture and crude fat content among groups. Melting points of lipid extracted from M. longissimus dorsi, subcutaneous fat, and perirenal fats were 25.83-26.17, 17.26-18.53 and $32.40-33.15^{\circ}C$, respectively, resulting in remarkable differences depending on fat depots. Contents of free amino acids in M. longissimus dorsi related to sweet taste were 39.48 mg/100 g for Treatment 1, which was significantly (p<0.05) higher than those for Control (32.24 mg/100 g), whereas those related to bitter taste were 25.93 mg/100 g for Treatment 2, which was the lowest (p<0.05) among the groups. Fatty acid composition, such as $C_{14:0}$, $C_{16:0}$, $C_{16:1}$, $C_{18:0}$, and $C_{18:1}$, in M. longissimus dorsi was not different among the groups. Results of a panel test on M. longissimus dorsi showed that Treatment 1 scored the highest (p<0.05) in juiciness, and both Treatments 1 and 2 scored higher (p< 0.05) in overall palatability than the Control group. $C_{18:1}$ showed a positive (+) relationship with tenderness (r = 0.650; p<0.05), and $C_{18:0}$ with flavor (0.698; p<0.05). The results suggest that rice bran and roasted soybean are beneficial for improving M. longissimus dorsi sensory characteristics, whereas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th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among the groups.

      • KCI등재

        신뢰성 해석을 이용한 교량구조물의 설계VA기법 연구

        김성일,이광모,최석원,정준화,김성일,Kim, Seong-Il,Lee, Kwang-Mo,Choi, Suk-Won,Jung, Jun-Hwa,Kim, Seong-Il 한국건설관리학회 2009 한국건설관리학회 논문집 Vol.4 No.3

        본 연구에서는 확률적 LCC 및 확률적 성능평가를 고려한 설계 VA분석 방법을 제안하였으며, 신뢰성 해석의 개념을 도입하여 신뢰도를 확보한 의사결정을 지원하고자 하였다. 상기와 같은 목적과 방법에 따라 진행된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기능정의가 완료된 이후 도출된 대안들의 대안평가시 신뢰성 있는 분석을 위하여 개선된 설계VA 절차 와 가치상태함수를 정식화하였으며, 가치평가절차에서의 일관성 및 효율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평가지표방안을 제시하였다. 2) 교량의 LCC분석을 위한 DB를 수집 및 분석하였다. 자료의 수집범위는 기존에 수행된 교량의 LCC분석 연구 문헌을 기초로 하여 분석하였으며, 분석결과에 대한 신뢰도 확보 및 수집된 자료의 불확실성 처리를 위해 MCS 기법을 적용하였다. 3) 대안별 성능평가를 위한 가중치 및 평가등급과 LCC 분석을 위한 LCC 분석모델, 분석기간, 할인율, 사용자비용, 안전점검 및 안전진단비용에 대한 조건을 제시하였다. 끝으로, 사례대상인 "OO대교 및 연결도로 건설공사 실시설계" 프로젝트에 대한 VA수행 사례를 중심으로 타당성을 검토하고 결론을 도출하였다. In this study, a design value analysis technique that considered stochastic LCC and stochastic performance evaluation was proposed, and by introducing the concept of reliability analysis, a decision making that secured reliability was suppor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hich was carried out according to the above objectives and method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design value analysis procedures and value state function, improved in order to carry out a reliable analysis when evaluating alternate proposals that were extracted after the function definition was complete, were formalized, and in order to secure consistency and efficiency for value evaluation procedures, an evaluation index scheme was proposed; 2) Database collection and analysis were done for a bridge's LCC analysis. As for the collection scope of data, literature of previous research done on a bridge's LCC analysis was used as the basis for analysis, and for securing reliability regarding analysis results and dealing with uncertainty of collected data, the MCS technique was applied; 3) Weights and evaluation ranks for performance evaluation of each of the alternate proposals, as well as LCC analysis model, analysis period, discount rate, user expense, safety inspection and safety diagnosis expense conditions for LCC analysis were proposed. Lastly, a feasibility study was done and conclusion was made about "OO grand bridge and connecting road construction work execution design" project centered on value analysis execution case.

      • KCI등재

        자유기에 의한 지질과산화 반응에 대한 황금 약침액의 항산화 효능

        김성일,문진영,김갑성,김두희,남경수,임종국,Kim Sung-Il,Moon Jin-Young,Kim Kap-Sung,Kim Doo-Hie,Nam Kyung-Soo,Lim Jong-Kook 대한예방한의학회 1997 대한예방한의학회지 Vol.1 No.1

        Scutellariae radix, has been used as a natural drug for fever, inflammation, cataract, and liver disease in traditional medicine. This study was performed in order to investigate the antioxidative effects of Scutellariae radix aqua-acupuncture solution (SRAS) on lipid peroxidation by free radicals. Lipid peroxidation levels were determined by TBA method during the autoxidation of linoleic acid. In this linoleic acid autoxidation system, SRAS markedly exhibited antioxidant activity, which inhibited 89% of linoleic acid peroxidation. SRAS showed scavenging effects on ${\alpha},{\alpha}-diphenyl-{\beta}-picrylhydrazyl$(DPPH) radical, inhibited superoxide generation in xanthine-xathine oxidase system, and also inhibited lipid peroxidation of rat liver tissue by hydroxyl radical derived from $H_2O_2-FE^{+2}$ system. These effects were similar to those of $dl-{\alpha}-tocopherol$, BHA and BHT. In addition, SRAS protected the cell death induced by ter-butyl hydroperoxide (t-BHP) and significantly increased cell viability in the normal rat liver cell (Ac2F). On the basis of these results, it is suggested that SRAS might play a protective role in lipid peroxidation by free radicals.

      • 1.25 Gbps 단일집적 양방향 광전 SoC를 위한 임플란트 절연 특성 분석

        김성일,강광용,이해영,Kim, Sung-Il,Kang, Kwang-Yong,Lee, Hai-Young 대한전자공학회 2007 電子工學會論文誌-SD (Semiconductor and devices) Vol.44 No.8

        본 논문에서는 이더넷 광 네트워크 구현용 핵심 부품인 1.25 Gbps 단일집적 양방향 광전 SoC (Monolithic integrated hi-directional optoelectronic system-on-a- chip)의 전기적 혼신을 감소시키기 위한 임플란트의 전기적 절연 특성을 분석하였으며, 측정결과로부터 임플란트의 등가회로를 추출하였다. InP 기판상에 단일집적된 양방향 광전 SoC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먼저 송신부는 전기신호를 광신호로 바꾸어 전송하는 레이저 다이오드(Laser Diode)와 레이저 다이오드의 출력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모니터 포토다이오드(Monitor Photodiode)로 구성된다. 그리고 수신부는 디지털로 변조된 후 입력된 광신호를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디지털 포토다이오드(Digital photodetector)로 구성된다. IEEE 802.3ah와 ITU-T G.983.3가 요구하는 기가비트 수동 광 네트워크 (Gigabit-Passive Optical Network)용 ONU (Optical Network Unit)의 양방향 광전 모듈의 규격을 만족하기 위해서는 수신부의 수신감도는 -24 dBm (@ BER (Bit Error Rate)=10-12)을 만족해야 하므로, 모듈 내의 전기적 혼신은 DC에서 3 GHz까지 -86 dB이하로 유지되어야 한다. 한편, 임플란트 구조의 측정 및 분석 결과, 단일 InP 기판상에 집적된 레이저 다이오드와 모니터 포토다이오드 간의 간격과, 그리고 모니터 포토다이오드와 디지털 포토다이오드간의 간격을 200 mm 이상을 유지하면서, 20 mm 폭의 임플란트를 삽입하였을 경우, -86 dB 이하의 전기적 혼신을 만족하였다. 본 논문에서 사용하고 분석한 임플란트 구조 및 특성은 단일집적 양방향 광전 SoC 뿐만 아니라, 아날로그/디지털 혼합모드 SOC의 설계 제작용 기본 데이터로 활용할 수 있다., 1.0 mm로 나타났다. 하체 고정기구를 사용한 환자군에서 디지털재구성사진과 모의 치료사진의 차이는 좌우, 전후, 두미 방향에 따라 각각 $1.3{\pm}1.9\;mm$, $1.8{\pm}1.5\;mm$, $1.1{\pm}1.1\;mm$, 디지털재구성사진과 조사영역사진 간의 차이는 각각 $1.0{\pm}1.8\;mm$, $1.2{\pm}0.9\;mm$, $1.2{\pm}0.8\;mm$, 조사영역사진 간의 평균 표준편차는 각각 0.9 mm, 1.6 mm, 0.8 mm로 고정기구를 사용하지 않았을 때보다 유의하게 재현성이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결 론: 본 연구에서 고안된 하체 고정기구는 골반부암 환자 치료 시 편안함을 제공해 주고 재현성 향상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사료된다..) 이 때 방사선 조사량의 중앙값은 3,600 cGy이었다. 이후 추가 방사선 치료 시 계획용 CT를 사용하지 않고 2-oblique fields 사용하여 치료한 경우가 87명(35.4%)이었는데 방사선 조사량의 중앙값은 1,800 cGy이었다. 전 환자에서 1일 1회 180 cGy로 치료하였다. 전 환자에서 조사된 총 방사선량의 중앙값은 5,580 cGy이었다. 수술 후 방사선 치료를 시행한 경우 중앙값은 5,040 cGy이었고 수술을 받지 않은 환자 중앙값은 5,940 cGy이었다. 근접조사 방사선 치료는 총 34명(13.8%)에서 시행되었고, 전 환자에서 high dose rate Iridium-192를 사용하였다. 조사범위는 종양에서 longitudinal margin의 중앙값은 1 cm, prescribed isodose curve에서 axial length의 평균값은 8.25 cm, 폭은 2 cm, 그리고 전후 폭의 중앙값도 2 cm이었다. Fraction size의 중앙값은 In this paper, we analyzed and measured implant isolation characteristics for a 1.25 Gbps monolithic integrated hi-directional (M-BiDi) optoelectronic system-on-a-chip, which is a key component to constitute gigabit passive optical networks (PONs) for a fiber-to-the-home (FTTH). Also, we derived an equivalent circuit of the implant structure under various DC bias conditions. The 1.25 Gbps M-BiDi transmit-receive SoC consists of a laser diode with a monitor photodiode as a transmitter and a digital photodiode as a digital data receiver on the same InP wafer According to IEEE 802.3ah and ITU-T G.983.3 standards, a receiver sensitivity of the digital receiver has to satisfy under -24 dBm @ BER=10-12. Therefore, the electrical crosstalk levels have to maintain less than -86 dB from DC to 3 GHz. From analysed and measured results of the implant structure, the M-BiDi SoC with the implant area of 20 mm width and more than 200 mm distance between the laser diode and monitor photodiode, and between the monitor photodiode and digital photodiode, satisfies the electrical crosstalk level. These implant characteristics can be used for the design and fabrication of an optoelectronic SoC design, and expended to a mixed-mode SoC field.

      • KCI등재

        펨토초라식과 에피라식의 단기 임상결과 비교

        김성일,황웅주,변용수,송지혜,나경선,주천기.Sung Il Kim. MD. Woong-Joo Whang. MD. Yong Soo Byun. MD. Ji Hye Song. MD. Kyung Sun Na. MD. Choun-Ki Joo. MD 대한안과학회 2010 대한안과학회지 Vol.51 No.12

        Purpose: To compare short-term clinical results of femtosecond LASIK with those of epi-LASIK. Methods: Twenty subjects (40 eyes) underwent femtosecond LASIK and 20 subjects (40 eyes) underwent epi-LASIK for myopia with astigmatism. The results of each surgery were compared with regard to visual acuity, spherical equivalent, safety, efficacy, stability, predictability and high order aberration. Results: Postoperative uncorrected visual acuities were 0.51 ± 0.11, 0.95 ± 0.08, and 0.97 ± 0.08 for epi-LASIK and 0.76 ± 0.19, 0.97 ± 0.07, and 0.98 ± 0.06 for femtosecond LASIK at one week, one month, and two months after surgery, respectively. Femtosecond LASIK showed faster improvement in visual acuity. Postoperative spherical equivalents were -0.83 ± 0.24, -0.31 ± 0.19, and -0.27 ± 0.09 for epi-LASIK and -0.47 ± 0.21, -0.28 ± 0.15, and -0.25 ± 0.12 for femtosecond LASIK. Safety, efficacy, stability, and predictability showed no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High order aberrations were increased significantly; however,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was found. Conclusions: Both epi-LASIK and femtosecond LASIK are effective for surgical correction of myopia with fast visual rehabilitation. In addition, epi-LASIK and femtosecond LASIK showed good safeties, efficacies, predictabilities, and stabilities. J Korean Ophthalmol Soc 2010;51(12):1573-1578

      • 태양전지 산업의 동향 - 집광형 태양전지 시스템 연구 및 개발동향

        김성일,Kim, Seong-Il 한국광학기기산업협회 2009 光學世界 Vol.123 No.-

        현재 전 세계적으로 한정된 천연 화석 연료의 고갈, 유가 상승과 지구 온난화 등의 영향으로 여러 가지 신재생 에너지, 그 중에서도 특히 태양전지를 이용한 에너지 재생 분야에 대한 관심이 매우 커지고 있다. 현재 연구 개발 및 상용화가 진행 중인 여러가지 태양전지의 효율 증가 추세를 살펴보면, III-V 화합물 반도체 태양전지가 효율이 가장 높고, 효율 증가 추세가 당분간은 계속적으로 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크게 나누어 보면 III-V 태양전지는 고효율화를 지속적으로 추구하고, 기타 태양전지들은 저가화 방향으로 연구개발이 주로 진행될 것으로 예상된다.

      • 이더넷 광 네트워크 구현을 위한 1.25 Gbps 광전 트라이플렉스 트랜시버 모듈의 전기적 혼신의 분석

        김성일,이해영,Kim Sung-Il,Lee Hai-Young 대한전자공학회 2005 電子工學會論文誌-SD (Semiconductor and devices) Vol.42 No.3

        본 논문에서는 이더넷 광 네트워크 구현을 위한 핵심 부품인 1.25 Gbps 광전 트라이플렉스 트랜시버 모듈(Opto-electric triplex transceiver module)의 동작성능 안정화를 위하여 모듈내에서 발생되는 전기적 혼신을 해석 및 측정하였으며, 혼신 감소를 위한 가상접지선(Dummy ground line)이 포함된 신호선 구조를 제안하였다. 광전 트라이플렉스 트랜시버 모듈은 전기신호를 광신호로 바꾸어 전송하는 송신부(Laser diode), 디지털 변조되어 입력된 광신호를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디지털 수신부 (Digital photodetector)와 고해상도의 CATV (Community antenna or access television) 신호를 수신하는 아날로그 수신부 (Analog photodetector)가 실리콘 기판(Silicon substrate) 상에 하이브리드 집적되어 구성된다. 디지털 수신부와 아날로그 수신부의 수신감도는 각각 BER(Bit error rate) : $10^-{12}$에서 -24 dBm과 44 dB의 신호대잡음비(Signal-to-noise ratio, SNR)에서 -7.7 dBm을 만족해야하므로 모듈 내의 전기적 혼신은 DC에서 3 GHz까지 - 86 dB이하로 유지되어야한다. 전기적 혼신의 해석 및 측정 결과, 실리콘 기판상의 광원과 디지털 광검출기, 디지털 광검출기와 아날로그 광검출기 사이의 거리를 4 mm 이상 확보하며, 가상접지선을 디지털 광검출기와 아날로그 광검출기의 신호선과 $100\;{\mu}m$ 간격으로 설치하였을 경우, -86 dB 이하의 전기적 혼신 레벨을 만족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가상접지선을 사용하는 방법은 실리콘 기판상에 신호선을 형성할 때 동시에 형성할 수 있으므로 별도의 추가비용 없이 구현할 수 있으며, 단순히 광원 및 광 검출기의 사이간격을 충분히 확보하는 방법에 비하여 실리콘 기판의 크기를 감소시켜 최종 모듈의 크기를 약 $50\%$ 감소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In this paper, we analyzed and measured the electrical crosstalk characteristics of a triplex transceiver module for ethernet Passive optical networks(EPONS). And we improved the electrical crosstalk levels using Dummy ground lines with signal lines. The triplex transceiver module consists of a laser diode as a transmitter, a digital photodetector as a digital data receiver, and a analog photodetector as a community antenna television signal receiver. And there are integrated on silicon substrate. The digital receiver and analog receiver sensitivity have to meet -24 dBm at $BER=10^{-l2}$ and -7.7 dBm at 44 dB SNR. And the electrical crosstalk levels have to maintain less than -86 dB from DC to 3 GHz. From analysis and measurement results, the proposed silicon substrate structure that contains the Dummy ground line with $100\;{\mu}m$ space from signal lines and separates 4 mm among devices respectively, is satisfied the electrical crosstalk level compared to simple structure. This proposed structure can be easily implemented with design convenience and greatly reduced the silicon substrate size about $50\%$.

      • 국방전자분야 기술 동향

        김성일,장우진,주철원,이경호,김해천,Kim, S.I.,Jang, W.J.,Ju, C.W.,Lee, K.H.,Kim, H.C. 한국전자통신연구원 2009 전자통신동향분석 Vol.24 No.6

        최근 북한의 미사일 발사시험과 이를 둘러싼 주변국들간의 군사력 강화 움직임이 한반도의 안보에 심각한 위협요소가 되면서 다시금 자주 국방의 필요성에 대한 경각심이 고취되고 있다. 국방기술의 첨단화는 과학기술의 발명에 전적으로 의존하여 향후 국가간 국방과학기술로서 기술력 우위 확보를 위한 치열한 경쟁이 가속화 될 것이다. 이에 우리나라도 미래지향적인 국방기술의 중점육성분야를 분류하고 분야별 해당하는 무기체계와 핵심기술의 기술지도를 주축하여 장기간에 걸친 국방연구개발계획의 실행을 지속해오고 있다. 향후 선진국과의 기술격차도 해소하고 나아가 기술우위를 점하게 되면 자주국방이 가능하게 되고 기술력의 수출까지 가능해질 것이다. 본 고에서는 국내 국방 무기체계 및 특히 국방전자 분야의 기술과 개발 동향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