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김갑성 한국교원교육학회 2015 한국교원교육학회 학술대회자료집 Vol.2015 No.4차 포럼
'스콜라' 이용 시 소속기관이 구독 중이 아닌 경우, 오후 4시부터 익일 오전 9시까지 원문보기가 가능합니다.
김갑성 중앙대학교 한국교육문제연구소 2012 한국교육문제연구 Vol.30 No.4
본 연구는 중등교육분야에서 동남아시아국가들과의 국제교육개발협력 방안을 탐색하고 그 방안의 실행 절차에 대해 논의한 것이다. 동남아시아국가들과의 국제교육개발협력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그들이 필요로 하고 있는 중등교육분야의 발전 방향을 살펴보고, 그 내용을 분석함으로써 그들과의 교육발전 협력 관계 차원의 국제교육개발협력 거시적 방안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동남아시아국가들은 직업교육의 활성화, 교사연수 프로그램의 개발, 그리고 지역차를 극복하기 위한 다양한 교육기회 제공 등을 통해 중등교육발전에 노력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적극적이면서도 효과적인 국제교육개발협력을 이끌기 위해, 우선 동남아시아국가들의 교육적․경제적 상황에 따라 그룹핑을 한 차별적 협력 방안을 모색하고, 교육시설 제공과 교육발전모델 및 정책 연수부터 주도 기관 지정․운영까지의 4단계 동남아시아국가와의 국제교육개발협력 추진 방향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method to proceed with the cooperation business in international education with East-Asian countries in terms of the country’s role as provider of educational information and knowledg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what they want in terms of an education field, to examine the prior request, and to probe the relevant method to proceed with the cooperation business in international education to meet their request. As a means to search for the cooperation business in international education with East-Asian countries, reports by countries that participated in the international forum to analyze the development model for the East-Asian secondary education of KEDI-SEAMEO INNOTECH and previous studies related to the educational reform and the cooperation in International Education with East-Asian Countries were classified, summarized, and analyzed. The direction for development in the secondary education that they wanted was analyzed on the basis of their reports. As a result, East-Asian countries were discovered to make efforts in an activation of vocational education, the development of teacher training programs, and the development of general secondary education. It was also discovered that they desired to progress the active cooperation business in education with foreign countries in this field. Based on such material, this research report suggested, as a means for international cooperation in education with East-Asian countries, the following. First, an aid or cooperation scheme should be decided through grouping pursuant to educational and economic differences with East-Asian countries. Second, a program to meet the applicable country’s condition by a field visit should be developed, trained, distributed, and checked in terms of its utilization. Third, a network should be established to share the knowledge and information obtained through such international cooperation in education and to search for a better direction in cooperation. In addition, it suggested a direction of progress per stage in a road map type for international cooperation in education with East-Asian countries that will be started soon.
김갑성 중앙대학교 한국교육문제연구소 2011 한국교육문제연구 Vol.29 No.2
본 연구는 현재 사범대학 학생들이 실제로 경험하는 교육과정의 실태를 토대로 문제점을 파악하고 개선 방안을 제안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서 전국 20개 사범대학 4학년 학생(46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이 가운데 2개교 학생(18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사범대학 학생들은 선행연구들에서 제시하고 있는 사범대학 교육과정의 문제점인 사범대학으로서의 특별한 교육과정의 부재, 교과교육학 교수진의 부족, 교육과정과 단위학교 교육과정 연계 등 현장 연계성 부족, 그리고 교육실습의 운영 부실 등을 경험하고 있었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사범대학 교육과정의 개선 방안을 제안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중등학교 교육과정과 연계된 심화교육이자 보편적 진리로서 ‘사범대학다운 교과내용학’을 운영할 필요가 있다. 둘째, 중등학교 상황을 충분히 반영한 수업을 진행하면서 지속적으로 교직에 대한 발전적 미래를 학생들에게 제공하는 ‘사범대학다운 교수 자질’을 지속적으로 개발할 필요가 있다. 셋째, 교과교육학에 대한 이론적 지식과 함께 실제 현장 경험을 제공함으로써 사범대학 학생들이 실제 실행 능력을 갖출 수 있도록 교육과정을 운영할 필요가 있다. 넷째, 사범대생들에게 교직적성을 확인하고 보다 충실한 임용고사 준비 기회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4학년 이전 2학년 정도에 ‘조기 약식실습’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The study aims to suggest the improvement of college of educations’ curriculum based on analyzing real curriculum experienced by students of college of educations.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to collect opinions regarding the curriculum and 462 4th grade students from 20 college of educations in the nation. Among them, 18 students from 2 college of educations participated in the in-depth interviews. As a result of survey and in-depth interviews, the following curriculum improvements for college of educations were suggested. First, coll should prepare the unique curriculum compared with those of other universities. Second, teaching staffs in college of educations should develop the skill to teach students as future teachers. Third, college of educations should give students empirical experience as well as theoretical experience about schools. Fourth, in order students to experience school climates and prepare the teacher employment exam, college of educations give students the expedience of early student teaching in the second year courses of college of educ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