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무어와 러셀의 '관념론' 비판과 헤겔의 반론

        이광모 한국헤겔학회 2019 헤겔연구 Vol.0 No.46

        오랫동안 영미 분석철학에서 헤겔은 기피해야 할 철학자 중 대표적인 인물이었다. 왜냐하면 초기 분석철학자들이 볼 때, 헤겔은 애매한 표현을 남발할 뿐만 아니라 심지어는 논리적 오류에 근거해서 자신의 이론을 전개하는 전형적인 튜튼(teuton) 철학자였기 때문이다. 헤겔에 대한 이러한 평가는 직접적으로는 분석철학의 기초를 제공한 무어와 러셀의 ‘관념론’에 대한 비판에 근거한다. 그들에 따르면, 헤겔과 그 추종자들은 일반적인 상식과는 반대로 사유되지 않는 것 혹은 경험되지 않는 것은 실존하지 않는다고 주장한다. 문제는 이러한 비판이 실제로 헤겔의 철학에 적중하고 있는가 아니면 그들 스스로 만든 ‘허수아비’를 공격하고 있는가이다. 왜냐하면 만일 헤겔이 세계 속의 사물의 실존에 대해 직접적으로 언급하는 것을 철학의 과제로 간주하지 않는다면, 비록 그들이 의식 경험에 독립적인 사물의 존재를 입증한다고 할지라도 그것이 곧 헤겔 철학을 논박하는 것은 아닐 것이기 때문이다. 본 논문은 무어나 러셀의 헤겔 비판이 얼마나 타당한지 그리고 그들의 비판에 대한 헤겔의 반론은 무엇인지를 서술한다. 이러한 서술을 위해서는 먼저 그들의 비판이 정확히 무엇인지가 고찰되어야 한다. 물론 헤겔은 이들보다 선대의 사람이기 때문에 이들의 비판에 직접적으로 직면한 적은 없다. 하지만 헤겔은 이들의 비판과 동일한 내용을 충분히 고려하였고 그러한 고려 위에서 자신의 철학을 전개하였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헤겔 철학에 대한 고찰을 통해 무어와 러셀의 비판에 대한 헤겔의 반론이 무엇인지가 제시된다. For a long time, in english and american analytical philosophy, Hegel was a representative philosopher to avoid. Because for the early analytical philosophers, Hegel was a typical teuton philosopher who not only exaggerated the expression but also developed his theory based on logical errors. This evaluation of Hegel is directly based on Moore's and Russell's criticism of idealism who provided the basis for the analytic philosophy. According to them, Hegel and his followers insist against common sense that things that are not thought or experienced do not exist. The problem is whether these criticisms actually hit Hegel's philosophy or attack their own 'scarecrows'. Because if Hegel does not regard the direct reference to the existence of things in the world as a philosophical task, even if they prove the existence of objects independent of the conscious experience, it will not soon rebut Hegel's philosophy. This paper examines how valid Moore's and Russell's criticism of Hegel and what Hegel's objection to their criticism is. In order to make such a examination, it is necessary to consider exactly what their criticism is. Of course, Hegel is a predecessor than these, so that he has never faced their criticism directly. Hegel, however, fully considered the same content as their criticism and developed his philosophy on such considerations. Thus, this paper suggests what Hegel's objection to Moore's and Russell's criticism is through a review of his philosophy.

      • KCI등재

        다산의 복지공동체 행정사상 연구

        이광모,엄운섭,김형준 한국공공관리학회 2010 한국공공관리학보 Vol.24 No.3

        연구결과는 첫째, ‘음양론’과 ‘시위론’에 기초한 유교는 타인과의 관계 속에서 역할조화를 추구하는 공동체주의를 지향하고 있었다. 또한 유교의 이념인 ‘인의’와 ‘충서’는 복지공동체의 실천원리가 되기에 충분하며, ‘효’와 ‘예’는 공동체의 질서를 유지하는 원리가 됨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애민 6조’는 자립의 복지공동체 행정사상을 잘 보여주고 있었다. 노인을 공경함으로써 공동체의 도덕적 규범질서를 확립하고자 하였고, 아동양육을 지역공동체의 책임으로 보았으며, 복지의 1차적 책임은 개인과 가족이고 국가는 2차적이며, ‘자립’은 공동체의 가장 중요한 가치였다. 셋째, ‘진황 6조’에서는 자율의 복지공동체 행정사상에 기초하고 있었다.. 넷째, 부유한 사람들이 자발적 기부를 제안하고 있었다. 이는 현대 민관협력을 통한 복지제공과 나눔의 실천적 시사점을 제공하는 것이다. 다산은 ’애민‘, ’제도‘, ’형평‘, ’예방‘의 복지행정을 일관되게 추구하면서 실천적 측면에 초점을 두고 있었다. 결론적으로 『목민심서』를 통해 본 다산의 복지행정사상은 자립과 자율에 기초한 공동체 복지를 어떻게 실현시킬 것인가에 윤리적, 도덕적, 실천적 기준들을 제시하고 있었다.

      • KCI등재
      • KCI등재

        논증과 합리성 - 하버마스의 논증이론에 대한 고찰 -

        이광모 한국헤겔학회 2011 헤겔연구 Vol.0 No.29

        This article deals with Habermas's theory of argumentation. According to Habermas, first, argumentation is the criteria for evaluating rational linguistic action. In oder to explain diverse use of language, there must be the types of argumentation corresponding to that diversity. Second, the types of argumentation are resulted from the formal-pragmatical reconstruction of ordinary language. Habermas's theory of argumentation accepts the rhetorical needs insofar as it is resulted from the reconstruction of ordinary language, and keeps the universal validity insofar as the types of argumentation are formulated by formal pragmatics. 본 논문은 하버마스의 논증이론을 고찰한다. 논증이란 하버마스에 따르면 첫째, 언어적 행위의 합리성에 대한 심급이다. 따라서 다양한 합리적 언어사용을 설명하기 위해서는 그에 부합되는 다양한 논증유형이 있어야 한다. 둘째, 논증유형은 일상 언어에 대한 형식 화용론적 재구성을 통해 도출된다. 이러한 하버마스의 논증이론은 일상 언어에 대한 재구성을 통해 획득되는 한에서 수사학적 지평을 수용하는 것이며 동시에 형식 화용론적으로 도출되는 한에서 보편적 타당성을 잃지 않는다고 평가할 수 있다.

      • KCI등재

        헤겔 ‘논리학’에 대한 형이상학적 혹은 비-형이상학적 해석의 문제

        이광모 한국헤겔학회 2018 헤겔연구 Vol.0 No.44

        The interest of American philosophers in Hegelian philosophy has recently risen so much that it is called 'Hegelian Renaissance'. Of course, this is not an attempt to propose a new solution for semantic and epistemological problems under the name of ‘semantic pragmatism’ with the help of Hegel. Rather, the recent tendency starts with an attempt to understand 'logic' which has been perceived as negative in the meantime, while trying to understand it in modern philosophical discourse. This is so-called "non-metaphysical" understanding about Hegel. In the following section I would like to briefly discuss some of these understandings and then introduce what their problems are. And with that, I would like to show what conditions must be fulfilled for a proper understanding of »Logic« and what my understanding of »Logic« is. ‘헤겔 르네상스’라고 일컬어질 만큼 헤겔 철학에 대한 영ㆍ미권의 관심은 최근 들어 고조되었다. 물론 이것은 ‘Semantic Pragmatism’이라는 이름 아래 헤겔의 도움으로 의미론적 및 인식론적인 문제에 새로운 해결책을 제시하려는 시도만을 염두에 두고 말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최근의 경향은 그동안 부정적으로 인식되던 ‘논리학’을 원문에 충실하면서도 현대 철학적 담론 속에서 이해하려는 시도와 함께 시작된다. 소위 ‘비형이상학적’ 헤겔 이해가 그것인데, 우리는 본 글에서 이러한 몇 가지 시도들에 대해 간략히 살펴본 후, 그 문제점들은 무엇인지 제시한 후, ‘논리학’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위해서는 어떤 조건이 충족되어야 하는지, 그리고 ‘논리학’에 대한 우리가 이해가 무엇인지를 보여주고자 한다.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시간의 계보학 - 셸링의 시간 개념과 시원에 관한 고찰 -

        이광모 한국동서철학회 2022 동서철학연구 Vol.- No.105

        This paper examines how Schelling criticizes the general understanding of time and explains his concept of time and the origin of time, relying on Weltalter 1811/1813 editions. In these considerations, Schelling's concept of time will be presented as an inherent and real in all things. Furthermore, it will be presented that the principle of time in Schelling is not different from the principle of being. Therefore the explanation of the origin of time will eventually be revealed as the explanation of the creation of the world. In particular, it will be suggested that Schelling's philosophy is a philosophy that not only goes beyond the limits of the times but also touches the horizon of contemporary physics discussion, in that his philosophy not only understands time as a series of the same moments, but as the establishment of organic forces. 본 논문은 셸링이 어떻게 일반적인 시간 이해를 비판하면서 자신의 시간 개념과 시간의 시원을 설명하는지를 Weltalter 1811년 판과 1813년 판에 의지해 고찰한다. 이 고찰 속에서 셸링에게 시간이란 실재적인 것이면서도 모든 존재에 고유한 것임이 드러날 것이다. 이와 함께 시간의 원리가 왜 존재의 원리인지 또한 밝혀지면서, 시간의 시원에 대한 설명은 결국 세계 창조에 대한 설명임이 드러날 것이다. 특히 셸링의 철학은 시간을 동일한 계기들의 연속으로 이해하는 것이 아니라 유기적 힘들의 정립으로 본다는 점에서, 시대적 한계를 넘어설 뿐만 아니라 현대 물리학적 논의의 지평과 맞닿아 있는 철학임이 제시될 것이다.

      • KCI등재후보

        도가사상과 카오스이론 비교 연구: 조직관리를 중심으로

        이광모,최창현 한국지방자치학회 2002 한국지방자치학회보 Vol.14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confirm the potential applicability of the chaos theory to organizational management by comparing the similiarities between chaos theory and Doism. There has been some effort to apply chaos theory to organization management due to the rapidity of the environmental changes. Chaos theory can cover weakness of reductionism inherent in the traditional science, and has relevance in explaining complex and chaotic organizations. However, since it has been developed from natural sciences of the West, it manifested philosophical limitations in applying to social sciences of the East. The results of the study reveals many commonalities and similiarities between Doism and chaos theory in many aspects. Especially Doism conotes various notions of chaos theory with such similarities as between the notion of emergence in chaos theory and dynamics of exchange, or the continuous flux, between nonlinear feedback loops and holism, between self-organization and the notion of the Nature, and between coevolution and the relativism of the paradox. This study results have implications for the improvement of the richness in studying organiza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