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6-(3,4-디클로로페닐)아미노-7-클로로-5,8-퀴놀린디온의 항진균작용 및 안전성 평가

        윤여표,김동현,이병무,허문영,정해문,강혜영,최정아,김도희,유충규 성균관대학교 약학연구소 1998 成均藥硏論文集 Vol.10 No.1

        6-(3.4-Dichlorophenyl)amino-7-chloro-5.8-quinolinedione (RCK50) was tested for antifungal activities in mice systemically infected with Candida albicans. The therapeutic potential of RCK50 was also assessed in comparison with ketoconazole. RCK50 had ED_50 0.22±0.01 ㎎/㎏. Ketoconazole as a positive control had ED_50 6.00±1.70 ㎎/㎏. Intraperitoneally administered RCK50 at the ED_50 for 7 days and 14 days reduced Candida albicans colony count in the kidneys and liver. And administered RCK50 at the ED_50 for 14 days improved survival rates. The genotoxicities of RCK50 had been evaluated. RCK50 was negative in Ames test with Salmonella typhimurium and chromosomal aberration test in CHL cells. RCK50 did not show any clastogenic effect in mouse peripheral blood and was negative in mouse micronucleus assay. These results indicate that RCK50 has no genotoxic potential under these experimental conditions. Acute oral toxicity studies of RCK50 were carried out in ICR mice of both sexes. RCK50 did not show acute oral toxicities and LD_50 values were over 2.850 ㎎/㎏ in ICR mice.

      • 鉛中毒의 補償效果에 관한 硏究

        尹惠禎,金順愛 梨花女子大學校 韓國生活科學硏究院 1976 韓國生活科學硏究院 論叢 Vol.17 No.-

        鉛이 體內로 吸入되면 δ-amino levulinic acid dehydratase에 作用해 이를 沮害하므로 Heme合成의 體內代識中間物質인 δ-amino levulinic acidrk 蓄積하게 되어 尿中으로 排泄된다. Rimington은 鉛이 貧血의 原因이 된다는 것을 報告하였고 Vergnano, Eartasegna, and Bonsignore는 家兎에 鉛投與 30分後에 glutathione의 25%가 減少함을 보고 하였다. Gontea는 鉛投與로 Vitamin C의 含量이 減少된다고 했다. 또한 山口, 西澤, 祐田과 山本은 鉛中毒時 Nacitrate와 Na_2-EDTA 投與로 低下된 alkali phosphatase活性이 增加함을 報告했다. 그래서 本 實驗은 補償劑로써 貧血治療에 널리 쓰이는 folic acid, 生體代識와 密接한 關係가 있는 vitancin C, ALAD活性을 增加시키는 methionine과 glutathione, amino acid로써 중요한 glutamic acid, 重金屬의 拮抗劑로 Na_2-EDTA와 Na-citrate을 澤해 尿中 δ-ALA의 排泄量을 Wada에 依한 方法으로 調査하였다. 그 結果 鉛重毒이 重症일때는 補償劑 投與군은 모두 鉛만 投與한 군 보다 尿中 ALA量이 減少했다. folic acid, Na-citrate, Na_2-EDTA 投與군은 大體的으로 尿中 ALA排泄量의 抑制效果가 크고 長期에 걸쳐 效果가 있었다. 特히 Na-Citrate와 Na_2-EDTA倂用時는 正棠値로 유지 시킬수 있었다. Vitamin C와 methionine投與군은 補償效果는 있었으나 上記보다 弱하고 期間이 짧았다. 그리고 glutathione과 glutamic acid投與군은 初期는 剌戟되어 상당히 尿中 ALA排泄量이 많으나 3日後부터는 減少하여 補償效果를 나타냈다. The contents of δ-amino levulinic acid (ALA) in uring were determined by the experiments to the rats whidh were given 20mg lead/150g, and the detoxication agents were administered intraperitoneally to the rats. The detoxicating agr\ents were folic acid, vitamin C, methionine, gluatahione, glutamic acid, sodium citrate and ethylene diamine tetra acetic acid disodium. δ-ALA concents in urine were measured by wasa's method. δ-ALA contents inurine increased by administration of lead were decreased remarkably by the injection of folic acid, Na-citrate and Na_2-EDTA. By the injection of sodium citrate and Na_2-EDTA of lead poisoning rats, δ-ALA contents in urine were reduced to the range of normal level. In the group of the ratsadministered glutathione or glutamic acid, δ-ALA contents in urine increased in 2-3 days, and were decreased after 3day.

      • SCOPUSSCIEKCI등재

        대뇌 원발성 악성 임파종 1예 : A Case Report

        한윤경,오석전,조해동,유영락,김남규,정환영,이중달 대한신경외과학회 1985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Vol.14 No.3

        Primary malignant lymphoma is very rare and represents less than 1.5 % of all intracranial neoplasms. The authors have experienced a case of primary malignant lymphoma of the brain in a 66 year-old woman who presented with persistent headache, nausea and generalized weakness. Brain CT scan demonstrated typical deep seated tumor masses in the right temporal and left frontal lobes with strong contrast enhancement. We obtained a good result after surgery followed by radiation and chemotherapy and report our case with review of the articles.

      • 자연임신에서 분만 및 주산기 예후에 대한 임상적 고찰

        이윤희,안준모,김태성,박은희,정집광,이석민,이해혁 순천향의학연구소 2002 Journal of Soonchunhyang Medical Science Vol.8 No.1

        Object: To compare pregnancy outcome between term pregnancy and postterm pregnancy. Method: A clinical observation has been made on 60 cases of postterm pregnancies out of 64 cases delivered at the Dept. of Obstetrics & Gynecology, Soonchunhyang University from January 1, 1997 to May 31, 2002. 100 cases of full term deliveries of 37 to 42 gestational weeks conducted in same period were used as the control group for this study. We analyzed their cesarean section rate, fetal weight, placental weight, meconium stain, perinatal morbidity.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defined as P<0.05. Result: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The incidence of postterm pregnancy was 1.34%. 2. The cesarean delivery rate in postterm group(51.7%)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control group(26%). 3. The incidence of large fetus (weight over 4,000gm) in the postterm group(21.7%) was higher than control group(2%). 4. The weight of placenta was 757g and 706g in the postterm group and control group respectively. 5. 1, 5 minute Apgar score lower in the postterm group than control group. Conclusion : To decrease perinatal morbidity and cesarean rate at 42 or more weeks gestation, appropriate labor induction and twice weekly biophysical profile and USF(AI, Doppler) may be indicated.

      • 특수교육 교육과정 국제동향 분석

        강경숙,김진숙,정해진,황윤한 국립특수교육원 2004 연구보고서 Vol.- No.2

        본 연구는 세계 여러 국가의 특수교육 교육과정의 개발 및 운영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여 국제동향을 분석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해외 9개국과 국내의 특수교육 교육과정 개발 및 운영에 대한 동향을 살펴보고, 일반교육과정과 특수교육 교육과정의 연계성을 탐색하여 국제비교하여 향후 우리나라 특수교육 교육과정 수립 시 필요한 방향성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는 것이다. 제1장에서는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연구의 문제 및 내용, 연구방법. 연구의 제한점을 비롯한 연구의 개요를 기술하였다. 연구의 내용으로는, 첫째 특수교육 교육과정의 전체 교육적인 맥락을 파악하기 위해 각 국가의 교육제도 및 일반교육과정에 대한 개요를 파악하고. 둘째 특수교육 교육과정의 국가수준ㆍ지역수준ㆍ학교수준 개발에 대한 실태를 파악하고, 셋째 특수교육 교육과정의 운영 및 실제에 대한 실태를 분석하고, 넷째 특수교육 교육과정의 개발 운영에 대한 국제동향을 권역별로 비교ㆍ분석하고 시사점을 도출하여 향후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방향성을 모색하는 것이다. 이처럼 전반적인 교육제도와 일반교육과정을 함께 연구한 것은 특수교육 교육과정을 연구하는 특수교육관련 전문가만이 아니라 일반교육 교육과정 관계자와 교사들에게도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며 일반 교육과정과의 관계성 정립을 통해 장애학생의 교육과정적 통합을 위한 토대를 구축할 수 있을 것이다. 연구방법 및 절차로는 우선, 일반교육과정 및 특수교육 교육과정 관련자료를 분석하여 동향 분석 준거를 설정한 후 외국의 한국교육원, 해외 거주 박사과정 및 해외연구원을 활용하여 국외 특수교육 교육과정 개발 및 운영측면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였다. 또한, 해외 현지외국인 교사 및 관리자를 통한 설문조사와 면담조사, 국내 교육과정 운영자료를 수집 하기 위해 설문조사와 현장방문 및 면담조사를 실시하였다. 제2장에서는 선행연구 및 특수교육 교육과정 고찰을 위해 첫째, 교육과정 국제동향비교 관련 선행연구 고찰, 둘째 기존 특수교육과정의 변천 및 제7차 교육과정 고찰, 셋째 특수교육과정 개발 및 운영에 대한 내용을 소개하였다. 제3장부터는 각 장을 구성하고 있는 본 연구의 주요부분으로 특수교육 교육과정 국제동향에 대해 미국, 캐나다, 영국, 독일, 호주, 뉴질랜드, 일본, 중국, 홍콩을 중심으로 자료를 조사하였으며, 한국에 대해서는 교육과정 개발 및 운영 면에 대해 특정 교육청으로부터 수집한 자료와 특정 학교의 사례를 중심으로 기술하였다. 본 연구의 큰 주제는 특수교육 교육과정의 개발 및 운영이지만, 특수교육 교육과정은 그 나라의 교육제도 및 일반교육과정과 밀접한 연관성을 지니고 유기적으로 개발ㆍ운영되기 때문에 교육 전반적인 맥락을 알아보기 위해 각 국가의 교육제도, 일반교육과정의 개발 및 운영, 특수교육의 개관에 대해 먼저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주 핵심인 특수교육 교육과정의 개발과 운영은 면담 및 설문자료를 토대로 했을 뿐 아니라, 사진 및 교실구조도와 같은 교실현장의 자료를 토대로 특수교육의 장면 특히, 통합장면의 교육사례를 중심으로 구성하였다. 위 국가에서 연구된 내용을 중심으로 연구결론에서는 권역별로 나누어 특수교육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국가간 비교를 하였다. 비교할 내용의 틀로는 첫째, 특수교육의 방향 및 관련법규, 특수교육 서비스전달체제와 같은 특수교육개관, 둘째, 특수교육 교육과정 개발 측면으로 특수교육 교육과정의 결정방식, 국가ㆍ지역ㆍ학교 수준의 교육과정 개발, 표준 및 가이드라인, 교육과정철학ㆍ목표ㆍ내용ㆍ평가 등 교육과정의 요소, 학급의 교육과정 운영 시 상위수준 교육과정과의 연계성 여부, 교육과정 적용 절차 및 시기, 교육과정 재구성에 대한 교사의 자율성 및 의사결정에 대한 국가간 비교를 하였다. 셋째, 특수교육 교육과정 운영 측면으로는 교사의 교육과정 운영에 대한 자율성 부여정도, 교육과정적 통합을 위한 일반교사와 특수교사의 협력, 일반교육과정으로의 접근 혹은 연계성, 개별화교육 계획과의 연계 측면, 교육방법과 교재활용과 같은 내용을 권역별로 비교하였다. 각 국가간 권역별 비교를 통해 향후 특수교육 교육과정 수립 및 일반교육과정과의 연계를 위한 시사점 및 제언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특히 거스를 수 없는 추세인 통합교육을 위해 어떻게 일반교육과정과 연계를 맺어야 하는지, 교사 간 협력을 어떻게 이뤄가야 하는지에 대해 초점을 맞추어 시사점을 도출해내었다. 각 국가의 특수교육 교육과정을 조사한 결과를 토대로 시사점을 도출하여 간단히 정리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세계 각국의 교육과정은 나름대로 국가수준ㆍ지역수준ㆍ학교수준의 교육과정 체제의 틀을 갖추고 있지만, 중앙 집중적이기보다는 지방 분권화되어가는 경향을 강하게 보이고 있다. 미국, 캐나다, 독일과 같은 경우는 각 주에서 독자적으로 개발한 교육과정에 따라 독창적으로 운영되고 있었다. 영국, 뉴질랜드, 중국, 일본, 우리나라의 경우는 국가교육 과정의 틀에 따라 교육과정이 구성되어 전달된다고 볼 수 있다. 특수학급의 경우 각국 공통적인 현상은 국가수준의 일반교육과정과 특수교육 교육과정이 있는 경우에도, 특수학급을 위한 학교교육과정 개발을 찾기 어려웠다. 특수학급을 위한 교육과정 개발은 지역수준 교육과정 지침에 의해 학급교육과정, 개별화지도계획 등으로 교사에게 일임되어 있는 상태이다. 둘째, 교육과정 개발 및 운영에 대한 교사의 자율권을 상당부분 제공하고 있다. 미국과 영국, 캐나다, 호주는 교육과정의 기준(standards)과 성취수준을 제시할 뿐 구체적인 교육내용이나 방법을 제시하고 있지는 않기 때문에 교사의 자율권을 상당부분 허용하고 있었으며, 독일은 주 수준에서 교육과정 내용을 제시한다 하더라도 구속력은 거의 없었다. 영국은 교사들의 교육과정 구성능력이 중시된 국가로서 교사가 스스로 개발ㆍ운영하는 데 무리가 없는 국가라고 자처하지만, 장애학생의 교육성과가 교사의 질에 전적으로 의존해야 하는 상황은 신중하게 검토해야 할 부분이다. 셋째, 전 세계적인 특수교육이 분리교육에서 통합교육의 방향으로 이동해 감에 따라 일반교육과정을 근간으로 특수교육 교육과정이 구성되어 운영되는 국가가 많았다. 캐나다, 영국, 홍콩, 호주, 뉴질랜드와 같이 유럽, 미주 지역과 그 영향권 하의 학교중심 교육과정 개발의 전통이 강한 나라들이 그러하다. 일본, 중국, 우리나라와 같이 기본교육과정이라는 특수교육 교육과정이 별도로 개발되어 있는 국가는 찾아보기 어려웠다. 즉, 많은 국가에서 일반교육과정으로의 접근, 혹은 일반교육과정과 특수교육 교육과정과의 연계성 측면을 상당부분 모색하고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넷째, 특수교육 요구학생의 개별적인 필요에 맞게 고안된 교육과정이라 할 수 있는 개별화된 교육계획을 구성하여 운영하고 있었다. 미국, 캐나다, 영국, 호주, 뉴질랜드, 우리나라에서는 특수교육 요구학생의 교육과정이 IEP에 의해 이루어지도록 제도화되어 있었다. 미국과 캐나다에서는 학생의 학업 및 사회적 기능에 초점을 맞추어 IEP가 개발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국에서는 일반학생의 교육과정을 특수교육 요구학생의 수준에 맞게 수정ㆍ보완하거나 현저한 차이가 있는 경우, 다른 것으로 대체할 수 있도록 하였다. 다섯째, 일반교육과 특수교육의 팀 형성 및 교사간 협력관계를 토대로 특수교육 교육과정이 운영되는 것을 주목할 수 있었다. IEP를 구성할 때도 일반교사와 함께 논의하고, 학급운영에 있어서도 보조원의 지원을 받을 수 있을 뿐 아니라 교사간 팀 교수를 통해 통합 장면에서의 수업이 진행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독일의 경우, 특수학교에 적을 둔 특수교육 대상학생이 일반학급에 통합되어 특수교사가 함께 일반학급에서 수업을 지도하였다. 홍콩은 통합교육을 국가주도적인 정책 방향으로 삼아 '전체학교접근'을 시도하였는데, 이는 학교전체적인 차원에서 협력하여 통합교육을 지지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이제 통합장면에서의 특수교육 교육과정의 운영은 협력을 떼어서는 생각할 수 없는 주제처럼 생각된다. 이 외, 영국에서는 일반학교에 특수교사 대신 특수교육코디네이터(SENCO)를 두고 있으며, 일본에서도 최근 이러한 유형의 코디네이터를 학교에 배치할 것을 계획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일반교육 안에서 특수교육이 함께 가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보인다. 이처럼 일반교육과 특수교육의 일원화된 체제를 지향하기 위해 독일의 특수교사 양성 교육과정에서는 교육학 일반 및 일반교과가 특수교육 전공보다 많았으며, 홍콩과 같이 일반 교사 및 특수교사 양성체제가 이원화되어 있지 않고 일반교육을 교육받은 후 이를 토대로 특수교육을 전공하거나 연수를 통해 특수교육을 이수하게 하는 경우는 처음부터 일반교육 과정과 특수교육과정이 별개로 운영되지 않을 수 있다는 단초를 제공한다. 그리고 특수학교에서의 통합교육을 모색하고 있는 중국의 경우, 지역사회에서 특수교육적 자료를 제공 하고 상담하는 리소스센터로 거듭나기 위해 학교를 개방하고 있었는데, 통합장면만이 아닌 특수학교에서의 교육과정의 개발 및 운영도 일반교육의 그것과 더불어 함께 논의되어야 한다는 점을 강하게 시사한다. 끝으로, 본 연구에서는 향후 일반교육과정과의 연계성을 고려한 특수교육 교육과정의 개발 및 운영을 위해 일반교육과정의 개정 작업 시 특수교육전문가가 참여할 것을 제안하는데, 이는 경도장애학생의 경우 당초부터 특수교육 요구학생으로 낙인되지 않고 구제될 수 있도록 모든 학생을 고려한 보편적인 교육과정을 개발하는데 특수교육적 고려를 포함 할 수 있기 때문이다. 교육의 내용 뿐 아니라 교육방법 면에서도 차별화된 교수법 등의 제안으로 일반학급에서 장애학생이 통합되어 교육과정이 운영될 수 있도록 다양한 노력이 요구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international trends of development and management of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in nine countr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help establish direction for the development of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in Korea. Chapter 1 describes the needs for and purposes of this research, research questions, research method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Sections on each country have the following structure : the education system and general education curriculum ; the development of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at the national, local, and school level ; the management of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and current practices in local schools: and implications for establishing direction for the development of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This study will serve professionals in both general education and special education field since it emphasized the perspective by which special education was viewed as part of the general education system. The focus was on investig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general education curriculum and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This study attempted to establish foundation for curricular integration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terms of research methods and procedures, first, researchers developed a framework for the analysis of international trends based on literature review. Second, researchers collected data on the development and management of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through local research assistants from the countries. Third, for the nine countries, school teachers were surveyed and interviewed on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Chapter 2 reviews existing literature on international trends of curriculum, current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and the history of the development of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Also information on the development and management of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in Korea was provided. In the following chapters, data on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from nine countries including USA, Canada, UK, Germany, Australia, New Zealand, Japan, China, and Hong Kong were analyzed. Particularly, for Korea, the description centered around the analysis of data from a District Office and case studies of local schools. Main topic of this study was the development and management of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However,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can not be discussed without considering the context of general education system and curriculum. Therefore, first, reviewed were education system in general and development and management of general education system for the nine countries. The development of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was presented at the national, local, and school level, and management of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was described based on interview data, survey responses, pictures, and case studies. In the results section, international data on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was compared and contrasted by the region. The framework for the comparison include (1) special education overview including special education trends, law and policy, special education service delivery system, (2) the development of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including curriculum decision-making process, the national, local, and school level curriculum, standard and guideline, curriculum philosophy, elements of curriculum such as objectives, contents, methods, and assessment, link to the upper level curriculum, curriculum implementation procedures, teacher autonomy in curriculum restructuring, (3) the management of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including teacher autonomy in the management of curriculum, collaboration between special education and general education teachers, link to general education curriculum, link to IEP, instructional methods, and use of text books. Based on the regional comparisons among countries,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were drawn. In particular, the focus was on how to connect general education curriculum with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and how to encourage collaborative relationships between teachers. The implications are as follows. First, although curriculum in the countries had different levels of curriculum such as the national, local, and school-level curriculum, the international trends moved toward localization from centralization. Countries including USA, Canada, Germany implemented the state-developed curriculum while countries such as UK, New Zealand, China, and Korea developed curriculum within the framework of the national level curriculum. With regard to curriculum in special education classrooms, reviewed countries appeared to share a similar trend. That is, even in the cases that had the national-level general and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the national-level curriculum for students in special education classrooms were not found. In most cases, curriculum for students in special education classrooms was often developed by teachers based on local curricular guidelines. Second, autonomy in the process of the development and management of curriculum was provided for teachers. For example, in USA, UK, and Canada, standards and achievement objectives were presented in the curriculum leaving out contents and instructional methods. In Germany, even though curriculum was presented at the state level, it was not mandatory. In UK where teachers' ability of curriculum development was traditionally valued, careful considerations were needed : because outcomes of students with special education needs solely depended on teacher quality. Third, as the international trends of special education moved toward inclusive education, more countries developed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based on general education curriculum. For example, countries such as Canada, UK, Hong Kong, Australia, and New Zealand did not have separate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at the national level. Many countries appeared to exert their effort to integrate special education into general education. Fourth, individualized curriculum for students with special education needs were used in many countries including USA, UK, Canada, Australia, New Zealand, and Korea. In USA and UK, curriculum for students with special education needs tended to focus on academics and social function, while in UK, general education curriculum was accommodated to meet the needs of students, or alternative curriculum was used in case the academic gap was too large. Fifth, it was noted that the management of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was based on the collaborative relationship between general education teachers and special education teachers. It was observed that the collaboration was in place in the development of IEP, support of teacher aides, and co-teaching. In Germany, students enrolled in special education schools were integrated in general education classes, and special education teachers from the special school taught in the general education classroom. In case of Hong Kong, a national policy called 'whole school access' was tried in which inclusion was supported at the whole school level. That is, the management of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can not be successful without collaboration among educators. In U.K, there was a SENCo, special education needs coordinator instead of special education teacher in general education schools. This system was scheduled to be in place in Japanese schools. This seemed to be an effort to integrate special education into general education. Another effort could be found in Germany where special education teacher training programs included more general education courses than special education courses. In Hong Kong, the teacher education systems were not even separated. That is, teachers who have completed course requirements for acquiring general education teacher certificate can major special education or attend to special education in-service to be special education teachers. This system appeared to provide head start for the integrated education system. In case of China where inclusive education in special education schools were considered, educators strongly indicated that the development and management of curriculum for students enrolled in special education schools should also be discussed. Finally, this study suggests special education professionals participate into the process of the general education curriculum revision in order to develop and manage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that is well-connected with general education curriculum. By doing this, the development of universally designed curriculum can be empowered by widening the range of audience the curriculum covers. This, in turn, will eliminate the needs for the identification of students with mild disabilities since the universally designed general education curriculum would meet these students' needs.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curriculum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inclusive settings requires consistent efforts from all stakeholders in education.

      • ZnO 초미립분말 분산이 수용액으로부터 Ag이온을 수거하기 위한 광촉매 작용에 미치는 영향

        유강,박혜정,정윤중,이재춘,박성 明知大學校 産業技術硏究所 2006 産業技術硏究所論文集 Vol.25 No.-

        ZnO nanopowders were prepared by solution-combustion method (SCM). The SCM ZnO nanopowders were treated by five different dispersants. They were used as a photocatalyst to remove Ag ions from a used photographic developing solution. The Ag ion removal rates by the dispersed SCM ZnO nanopowders were then compared to those by otherphotocatalyst powders such as ZnO(Junsei, Japan), P25 TiO₂ (Degussa, Germany) and TiO₂ powder prepared by homogeneous precipitation process at low temperature (HPPLT). The dispersion of SCM ZnO nanopowderin the solution enhanced the Ag ion removal rate up to about 20folds compared to P25 TiO₂ nanopowder and 5 folds to SCM ZnO nanopowders without dispersion. Sodium hexametaphosphate was the most effective dispersant among them.

      • KCI등재후보

        Quartz 자극에 의한 iNOS 발현의 자가조절

        김경아,남혜윤,문제혁,정진숙,임영,정치경 大韓産業醫學會 2001 대한직업환경의학회지 Vol.13 No.4

        목적 : Rat2 섬유모세포에서 α-quartz에 의해 유도된 NOS의 조절기전을 알아보기 위하여 본 연구가시도 되었다. 방법 : Rat2 세포에 있어서 α-quartz 자극에 의한 NO와 H₂O₂의 분비 및 iNOS의 발현을 관찰하였고, iNOS 억제제인 L-NIL과 H₂O₂ 억제제인Catalase를 전처리하고 마찬가지로 NO와 H₂O₂분비 그리고 iNOS의 단백발현 정도를 western blot-ting을 이용하여 관찰하였다. 결과 : o-quartz는 Rat2 세포에서 iNOS에 의한NO와 H₂O₂의 분비를 유도하였다. L-NIL은 R3t2세포에서 D-quartz에 의한 H₂O₂의 분비와 iNOS발현을 완전히 억제하였다. Catalase로 전처리 하였을 때 o-quartz로 유도된 iNOS에 의하여 생산증가된 H2Oa가 iNOS를 억제하는 autoinhibitorypathway가 차단되어 결과적으로 H₂O₂의 분비와 iNOS의 발현이 증가하였다. 결론 : Rat2 세포에서 α-quartz에 의하여 유도된iNOS는 H₂O₂의 분비를 촉진하고 이 H₂O₂는 iNOS기능을 조절하는 자가조절기전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Objectives : This study was performed in order to investigate the molecular mechanism regulating nitric oxide synthase (NOS) induced by α-quartz in Rat2 fibroblast. Methods : α-quartz-induced nitric Oxide (NO) anti H₂O₂ formation anti α-quarts-induced iNOS protein expression in Rat2 fibroblast were monitored. With iNOS inhibitor (L-N6- (1-iminoethyl) lysine hydrochloride, L-NIL) or antioxidant (catalase), we observed NO and H₂O₂ formation and iNOS protein expression in Rat2 fibroblast stimulated with α-quartz. Results : α-quartz stimulated iNOS-induced NO and H₂O₂ formation in Rat2 fibroblast. L-NIL inhibited H₂O₂ formation and iNOS protein expression by α-quartz in Rat2 fibroblast. Pretreatment with catalase blocked the autoinhibitory pathway of iNOS by iNOS-induced H₂O₂ therefore H₂O₂ and NO production and iNOS protein expression were increased in Rat2 fibrobalst stimulated with α-quartz Conclusion : α-quartz-induced iNOS Stimulated H₂O₂ formation in Rat2 fibroblast. INOS-induced H₂O₂ by α-quartz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autoinhibition pathway for regulating the iNOS function in Rat2 fibroblas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