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IESCOPUSKCI등재

        자궁경부와 자궁내막에 발생된 다발성 원발성 악성종양 1예

        장인석,이정희,신정규,이순애,이종학,백원영 대한부인종양 콜포스코피학회 2002 Journal of Gynecologic Oncology Vol.13 No.4

        다발성 원발성 악성종양(multiple primary malignant neoplasm)은 한 개체에 서로 종속관계가 없는 두 개 이상의 다른 암이 동시에 혹은 시간을 달리하여 발생하는 경우를 말하며 처음 보고된 이래로 악성종양에 대한 진단 및 치료법의 발달에 따른 평균 수명의 연장으로 고 빈도가 점차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이 중 여성 생식기의 다발성 원발성 악성종양은 전체 다발성 원발성 악성 종양의 알 1~6%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 중 자궁경부와 자궁내막에 동시에 발생한 다발성 원발성 악성종양은 매우 드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저자들은 자궁경부와 자궁내막에 동시에 발생한 다발성 원발성 악성종양을 경험하였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Multiple primary malignant neoplasm means that more than 2 cancers are independently developed in one individual. The incidence of multiple primary malignant neoplasm is increasing gradually due to accurate cancer registry, earlier diagnosis and treatment and increased exposure to carcinogen. Multiple primary malignant neoplasm, however, involving the uterine cervix and the endometrium has been regarded as a rare entity. We experienced a rare case of multiple primary malignant neoplasm involving the uterine cervix and the endometrium and report with brief review of literatures.

      • SCIESCOPUSKCI등재

        난소의 악성 혼합성 중배엽성 종양 1예

        김영환,김흥렬,박은동 대한부인종양 콜포스코피학회 2003 Journal of Gynecologic Oncology Vol.14 No.1

        악성 혼합 중배엽성 종양은 드문 질환으로 상피와 기질 요소를 포함하는 고위등급의 악성 암이다. 난소에서는 매우 드물게 발생하며, 모든 악성 난소종양의 1%미만을 차지한다. 대부분이 이질형이며, 80%에서는 폐경기 이후의 60-70대 여성에서 발생한다. 고도의 악성 종양으로서 빠른 성장을 하고 전이 및 재발이 잘되는 종양으로 초기에는 증상이 없어 보통 stage Ⅲ 이상의 병기에서 진단되며 적극적인 치료에도 불구하고 불량한 예후를 보인다 치료로서는 종양제거술과 수술 후 항암화학요법이 시행되며 경우에 따라서는 방사선 치료가 병행되기도 하는데, 이런 치료에도 불구하고 평균 생존기간은 8~16개월에 불과하다. 저자들은 본원 산부인과에서 난소에 발생한 악성 혼합 중배엽성 종양 1예를 경험하였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The malignant mixed Mesodermal (Mullerian) tumor (MMMT) is an uncommon tumor containing epithelial and mesenchymal components. MMMT of the ovary is rare, constituting less than 1% of all primary ovarian tumors. Most of all were heterologous type and 80% occur in postmenopausal women. It is a particularly aggressive and rapidly progressive tumor, especially in advanced stages. MMMT is highly malignant and the prognosis is poor due to frequent metastasis and recurrence. This disease is usually advanced when diagnosed, because it is asymptomatic in early stage. The survival rate is very low in spite of surgery, chemotherapy and radiotherapy. The optimal treatment for this neoplasm is still controversial because of its rarity. We experienced one case of malignant mixed mesodermal tumor of the ovary and report with brief review of literature.

      • SCIESCOPUSKCI등재

        난소의 악성 혼합성 중배엽성 종양 1예

        김영남,정대훈,성문수,김기태 대한부인종양 콜포스코피학회 2002 Journal of Gynecologic Oncology Vol.13 No.3

        난소의 악성 혼합성 중배 엽성 종양은 원발성 난소종양의 1%를 차지하는 매우 드문 종양이다. 악성 혼합성 중배엽성 종양은 생물학적으로 매우 공격적이고 매우 빠르게 진행하여 예후가 나쁘다 종양의 수술적 제거가 주된 치료로 생각되고 있으나 매우 드물게 발생하기 때문에 수술 후 보조 치료에 대해서는 일관된 의견이 없다. 저자들은 난소에서 발생한 원발성 악성 혼합성 중배엽성 종양 1예를 경험하였기에 간단한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Malignant mixed mesodermal tumor (MMMT) of the ovary is very rare, constituting 1% of all primary ovarian tumors. MMMT is a highly aggressive and rapidly progressive tumor with a poor long-term prognosis. Though aggressive surgery is generally felt to be indicated for this tumor, there is no uniform opinion about adjuvant therapy. We have experienced a case of primary malignant mixed mesodermal tumor of the ovary and report it with a brief review of literatures.

      • SCIESCOPUSKCI등재

        자궁경부 종양에서 인유두종 바이러스 감염과 p53 코돈 72의 다형성

        배동한,김종수,최승도,선우재근,신현철,남계현,김창진 대한부인종양 콜포스코피학회 2003 Journal of Gynecologic Oncology Vol.14 No.4

        목적 : 자궁경부상피내종양 및 침윤성암종을 대상으로 우리나라에 많은 다양한 인유두종바이러스 감염을 DNA chip을 이용하여 검사하고 또한 p53 코돈 72의 유전자다형성을 대립유전자 특이중합효소연쇄반응 (allele specific polymerase chain reaction) 기법으로 검사하여 우리나라 여성에서의 p53 코돈 72 유전자 다형성과 인유두종바이러스 감염과의 관계를 연구하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 순천향대학교 천안병원 산부인과에서 2000년 3월부터 2003년 3월까지 자궁경부종양 및 침윤 암으로 진단된 자궁경부 생검 혹은 자궁적출 조직 125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이들의 조직에서 DNA를 추출하고 이어 DNA chip을 이용하여 인유두종바이러스 유전형을 검사하였다. 결과 : 총 125예의 평균 연령은 53.8세 이었고, 이들중 low grade squamous intraepithelial lesion (LSIL) 30예, high grade squamous intraepithelial lesion (HSIL) 50예, 및 침윤성암이 45예 이었다. 1) 한국인 여성에서 자궁경부 종양 발생과 관련이 있는 인유두종바이러스 유전형은 16형(25.6%), 58형(16%), 기타 유전형(10.4%), 52형(10%), 및 18형(4.8%) 순으로 나타났다. 2) 200명의 여성을 대상으로 검사한 p53 코돈 72의 유전자다형성 유전형 빈도는 Arg/Arg, Arg/Pro, 및 Pro/Pro 각각 47%, 43% 및 10% 이었다. 3) 인유두종바이러스 감염과 관련된 자궁경부종양에서 p53 코돈 72의 유전자다형성은 Arg/Arg, Arg/Pro 및 Pro/Pro 각각 55.5%, 38.9% 및 5.5%로 대조군의 47%, 43% 및 10%와 비교하여 통계적 의의가 없었다(p>0.05). 4) 상이한 인유두종바이러스 유전형 간 p53 코돈 72의 유전자다형성은 Arg/Arg, Arg/Pro 및 Pro/Pro 각각 16/18 감염군에서 44.8%, 42.1% 및 13.1% 이었고, 58/52/기타 유전형/33/35/40/44형 군에서는 36.5%, 50% 및 13.5%로 각 형에 따른 대조군의 47%, 43% 및 10%와 비교할 때 상호 특이한 차이가 없었다(p>0.05) 결론 :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우리나라여성의 자궁경부종양과 관련된 인유두종바이러스 유전형은 16형과 58형으로 서구의 16형과 18형과 비교할 때 상이함을 알 수 있고, 또한 감염된 바이러스 유전형에 따른 종양발생과 p53유전자 코돈 72의 다형성은 바이러스관련 자궁경부종양 발생과 관련이 없었다. Objective : The uterine cervical neoplasia is one of the most frequent gynecologic tumor in Korean women. Though the precise pathogenic mechanisms were not elucidated, human papillomaviruses (HPVs) has been considered as a strong candidate for the cause of uterine cervical neoplasm. Methods : About 100 subtypes of HPV were known, and they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s "high-risk HPVs" and "low-risk HPVs" according to their oncogenic potentialities. It was known that arginine (Arg) residue at codon 72 of p53 tumor suppressor gene could be used as a marker for the risk of cevical epithelial neoplasia associated human appilloma virus infection. But the notions are still controversal. Studies to date have focused mainly on Caucasians despite marked ethnic variations in both the p53 polymorphism and the different genotypes of human papillomavirus associated with cervical neoplasia. In this study, the p53 codon 72 status in 125 Korean women with cervical neoplasia and 200 Korean healthy women was determined. In addition, the different genotypes of human papillomavirus associated with cervical neoplasia was also determined by DNA Chip. Results : The most frequent subtypes of HPV associated with uterine cervical neoplasia in korean women were 16 (25.6%), 58 (16%), other type (10.4%), 52 (10%) and 18 (4.8%) in order of frequency. The polymorphic rate of p53 codon 72 in 200 Korean women was Arg/Ar (47%), Arg/Pro (43%) and Pro/Pro (10%) respectively. The polymorphic rate of p53 codon 72 in HPV associated uterine cervical neoplasia was Arg/Ar (55.5%), Arg/Pro (38.9%) and Pro/Pro (5.50%) respectively, which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compared to the normal control. In 16/18 genotypes associated cervical neoplasia, the polymorphic rate of p53 codon 72 was 44.8% (Arg/Arg), 42.1% (Arg/Pro) and 13.1% (Pro/Pro) respectively, while in 58/52/other type/33/35/40/44 genotypes, it was 36.5% (Arg/Arg), 50% (Ar/Pro), and 13.5%(Pro/Pro) respectively. There was no statistical significance between two groups. Conclusion : Above results showed that the genotypes of HPV associated with uterine cervical neoplasia in Korean women were different from those of Western countries, and there was not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polymorphism of p53 codon 72 and genotypes of HPV associated with uterine epithelial neoplasia.

      • SCIESCOPUSKCI등재

        자궁경부 원추절제면 양성 관련인자

        김병윤,성원준,정근오,이애현,정민지,박일수,이윤순,조영래 대한부인종양 콜포스코피학회 2003 Journal of Gynecologic Oncology Vol.14 No.4

        목적 : 원추절제술을 시행할 때 보다 정확하게 병변을 제거하여 원추절제면 양성의 빈도를 낮추기 위하여 절제면 양성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인자들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연구 방법 : 2002년 1월부터 2003년 6월까지 경북대학교병원 산부인과외래에서 환상투열요법을 이용하여 원추절제술을 시행한 139명의 중증 자궁경부상피내종양(CIN III)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여 원추절제면 양성인 환자와 음성인 환자에서 질확대경진 소견과 고위험형 인유두종 바이러스 감염의 정도를 분석하였다. 결과 : 백색상피병변의 색조상태와 병변의 위치가 원추절제면 양성에 통계학적으로 의미있게 영향을 미쳤는데 2등급의 백색상피병변의 색조변화가 있을 때 기타 조건이 동일한 경우 원추절제면에 종양세포가 존재할 위험성이 2배 이상 높았으며 특히 자궁경부상피내종양 병변이 자궁경내막부 위에 존재할 때에 그 위험성은 5배 이상이나 되었다. HPV의 DNA의 양은 원추절제면 상태와 아무런 관계가 없었다. 결론 : 중증 자궁경부상피내종양 환자들을 대상으로 원추절제면 양성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인자들을 조사한 결과 자궁경부상피내종양 병변의 질확대경진 소견 중 고등급의 백색상피 색조 변화와 특히 자궁경 내막부위에 병변이 위치하는 소견이 있을 때 원추절제면에 종양세포가 존재할 가능성이 매우 높았으며 자궁경부상피내종양의 치료를 위해 원추절제술을 시행할 때 상기한 질확대경진의 소견이 있을때는 원추절제술의 범위를 좀 더 신중하고 충분하게 결정하는 것이 원추절제면 양성의 가능성을 줄이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Objective : To investigate the variables in association with positive cervical cone margin that is important for predicting residual neoplasia after cervical conizaton in patients with high grade cervical intraepithelial neoplasia. Methods : This study performed retrospective review of abnormal colposcopic findings based on Reid index and high risk HPV viral load by using Hybrid Capture II on 139 patients of CIN III who had undergone cervical conization in outpatient department. Results : In chi-square test, abnormal colposcopic findings of margin, color and lesion location were related to cervical cone margin status.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high grade of acetowhite epithelium (relative risk=2.23, 95% confidence limit=1.003-4.995) and endocervical location of the lesion (relative risk=5.19, 95% confidence limit=2.375-11.320) were significant predictor for cervical cone margin involvement. High risk HPV viral load of the cervical lesion did not affect cone margin status. Conclusion : These data suggest that abnormal colposcopic findings are useful in predicting cervical cone margin status in patients with high grade of cervical intraepithelial lesions and careful reassessment of colposcopy with exact geometry of the conization specimen is necessary before cervical conization.

      • SCIESCOPUSKCI등재

        난소의 양측 성숙기형종에서 유래한 일측 난소 편평상피암 1예

        김대원,김종수,최홍준,차상헌,박혜인,선우재근,배동한,양승하 대한부인종양 콜포스코피학회 2003 Journal of Gynecologic Oncology Vol.14 No.1

        난소의 성숙기형종은 흔히 가임여성에 발생하는 양성종양으로서 모든 난소 종양의 가장 흔한 생식세포종양으로 전체 난소 종양의 10-20%정도를 차지한다. 이들 성숙기형종의 대부분은 양성종양이지만, 약 1-2% 빈도로 악성화가 일어난다. 이런 악성변환에 의해 생기는 종양의 80%정도가 편평상피세포암이고, 주로 40-60대의 폐경기이후에 흔한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저자들은 결혼하지 않은 성적경험이 없는 40세 여자환자에서 양측 양성 난소 성숙기형종에서 발생한 일측 편평상피세포암 1예를 경험하였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Mature cystic teratoma of the ovary is one of the most common ovarian neoplasms found in reproductive age woman. The most common type of malignancy associated with ovarian mature cystic teratomas is squamous cell carcinoma. Malignant transformation rarely take place in this tumor, and is observed in approximately 1% to 2% of all case. The frequency of this type of malignant degeneration is age related and is most common in fourth and sixth decade of life. We have recently experienced a case of squamous cell carcinoma arising from the benign cystic teratoma of the ovary in unmarried, virgin, a 40-year-old Korean woman.

      • SCIESCOPUSKCI등재

        여성생식기의 악성 혼합성 중배엽 종양의 임상적 고찰

        박주현,김영태,구자성,김성훈,김재욱,박기현 대한부인종양 콜포스코피학회 2003 Journal of Gynecologic Oncology Vol.14 No.3

        목적 : 여성생식기의 악성 혼합성 중배엽 종양의 환자 10예에 있어서의 임상양상, 치료방법 그리고 예후에 대목적 : 여성생식기의 악성 혼합성 중배엽 종양의 환자 10예에 있어서의 임상양상, 치료방법 그리고 예후에 대 연구 방법 : 1997년 3월부터 2003년 10월까지 연세의료원 산부인과에서 진단 및 치료받은 자궁, 난소 그리고 난관의 악성 혼합성 중배엽 종양 환자 10명을 대상으로 환자특성, 과거력, 수술종류, 병기 그리고 보조적요법에 대해 후향적인 조사를 시행하였다. 결과 : 대상 환자군은 자궁의 악성 혼합성 중배엽 종양이 8례, 난소의 악성 혼합성 중배엽 종양이 1예, 난관의 악성 혼합성 중배엽 종양이 1예로 구성되어 있었으며 자궁의 악성 혼합성 중배엽 종양 1예에서는 상피성 난소암이 동시에 있었다. 중앙연령은 54.5세 였고 7명이 폐경 이후 발병하였으며 중앙 폐경기간은 6년이었다. 골반내방사선 조사의 과거력이 있는 경우는 없었다. 질출혈이 가장 흔한 증상이었고(5/10) 하복부 동통(2/10), 월경과다(1/10), 복부종괴감(1/10) 그리고 무증상(1/10)의 순서로 나타났다. 제 I 혹은 II형 확대형 자궁적출술 및 양측 부속기 절제술 그리고 양측 임파선 곽청술을 시행한 경우가 9예, 제 I형 확대형 자궁적출술 및 우측 부속기 절제술를시행한 경우가 1예였다. 자궁의 악성 혼합성 중배엽 종양의 5예가 I기, 2예가 III기, 1예가 IV기 였다. 난소와 난관의 악성 혼합성 중배엽 종양의 병기는 각각 II기와 I기였다. 수술 후 동시 항암화학-방사선요법을 4예에서, 항암화학요법을 4예에서, 그리고 수술 전, 후 항암화학요법을 시행한 경우가 1예 그리고 보조적 요법을 시행하지 않은경우가 1예로 나타났다. 2명이 수술 후 2개월, 6개월째 사망하였는데 두 예에서 모두 자궁이 원발장기이며 진단당시의 병기가 각각 IV기 III기였다. 생존하는 8명 중 7명이 6에서 66개월의 추적관찰동안 무병생존을 보이고있다. 결론 : 악성 혼합성 중배엽 종양의 예후를 결정하는 요소 중 병의 파급정도가 가장 중요하게 작용하는 것으로 보이며 원발성 장기에 국한되어 있을 경우 철저한 수술적 치료 후 적극적인 보조적 동시 항암화학-방사선요법 혹은 항암화학요법을 시행할 경우 비교적 양호한 예후가 기대되는 바이다. Objective : To perform a retrospective analysis of the clinical entities, the treatment modalities and the prognosis of malignant mixed mullerian tumor (MMMT) of the female genital tract. Methods : From March 1997 to October 2003, 10 patients with MMMT’s of the uterus, ovary and fallopian tube at the Department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Yonsei University Medical Center were retrospectively reviewed for their demographic factors, past histories, the type of surgery, the stage of disease and the type of adjuvant therapy employed. Results : The group consisted of 8 MMMT’s of the uterus, 1 MMMT of the ovary and 1 MMMT of the fallopian tube. 1 patient with MMMT of the uterus had concurrent papillary serous cystadenocarcinoma of the ovary. The median age was 54.5 years. 7 patients were postmenopausal with a median menopausal period of 6 years. A history of previous pelvic irradiation was not documented in any patient. Vaginal bleeding was the most common presenting symptom (5/10) followed by low abdominal pain (2/10), menorrhagia (1/10), palpable mass (1/10) and the absence of symptoms (1/10). Type I or II hysterectomy with bilateral salpingo-oophorectomy and pelvic, para-aortic lymphadenectomy was performed in 9 patients and type I hysterectomy with right salpingo-oophorectomy was performed in 1 patient. 5 of the 8 uterine MMMT cases were allotted to stage I, 2 to stage III and 1 to stage IV. The MMMT of the ovary was stage II and the MMMT of the fallopian tube was stage I. Concurrent postoperative adjuvant chemo-radiotherapy was perfor d in 4 patients, chemotherapy alone in 4 patients, neoadjuvant as well as postoperative adjuvant chemotherapy in 1 patient and no adjuvant therapy in 1 patient. Of the 8 survivors, 7 survivors are disease-free with follow-up periods ranging from 6 to 66 months.

      • SCIESCOPUSKCI등재

        상피성 난소암의 예후인자로서 정량적 병리 지표의 의의

        김봉희,남주현,김종혁,목정은,나준희,고창원,허주령,김용만 대한부인종양 콜포스코피학회 1997 Journal of Gynecologic Oncology Vol.8 No.3

        상피성 난소암에서 예후에 영향을 주는 임상병리학적 변수에 관한 많은 보고가 있으나, 이들은 대부분 객관성과 재현성이 낮아 연구자들마다 서로 다른 결과를 보고하여 왔다. 최근의 연구들에 의하면 mitotic activity index(MAI), volume percent index(VPE), mean nuclear area(MNA)가 병리학적 특성을 졍량적으로 표시할 수 있는 객관적이고 재현성이 우수한 지표로서 상피성 난소암 환자의 예후를 예측할 수 있는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고 보고되고 있으나 아직은 논란이 있는 실정이다. 저자 등은 1989년 6월부터 1995년 12월까지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서울중앙병원 산부인과에 내원하여 종양 축소수술 및 항암화학요법을 받고 최소한 환자를 대상으로 이러한 정량적 병리 지표가 예후인자로서의 의미가 있는지 규명하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종양 조직은 4㎛ 두계로 파라핀 포매괴에서 자른 후 진단과 정량적인 검사를 위하여 H/E 염색을 시행하고 가장 분화가 나쁘면서 상피세포와 세포분열이 가장 많은 양상을 보이는 부위를 찾은 다음, 분명하게 확인이 가능한 세포분열이 있는 경우의 총 수를 MAI를 측정하기 위하여 계산하였다. 또한 조직 중 상피세포 체적의 백분율을 VPE로 하였으며 nuclear morphometry는 비디오 카메라가 장착된 현미경을 이용하여 시행하였는데 MNA를 측정하기 위한 최종 확대 비율은 3000배이었다. 이러한 정량적 병리지표와 연령, FIGO 병기, 복수의 양, 잔류 종양의 크기, 조직학적 아형, 종양의 분화도, 수술 후 2차 항암화학요법의 혈청 CA 125치 등의 임상병리학적 예후인자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으며 각 인자별 생존율을 계산하였다. 정량적 병리 지표 세 가지 중 VPE가 조직학적 아형과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MAI 및 MNA는 종양의 분화도와 상관관계가 확인되었다. 생존율 분석에서는 FIGO 병기, 복수의 양, 수술 후 잔여량의 크기, 조직학적 아형, 수술 후 2차 항암화학요법 후 혈청 CA 125치 생존율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나 정량적 병리 지표는 생존율과 유의한 관계가 없었다. 결론적으로 상피성 난소암에서 정량적 병리 지표는 종양의 아형 또는 분화도와 관계가 있으나 환자의 생존율에는 영향을 주지 못하였다.

      • SCIESCOPUSKCI등재

        난소암에서 종양억제유전자들의 Multiple Methylator Phenotypes

        류효충,조치흠,권상훈,박준철,서민애,정선욱,이정호,김종인,윤성도,차순도 대한부인종양 콜포스코피학회 2003 Journal of Gynecologic Oncology Vol.14 No.3

        지금까지 알려진 바로는 종양억제유전자와 관련해서 CpG island의 methylation 이상으로 종양억제유전자의 기능 변화가 암 형성에 관여한다고 알려져 있다. 최근의 연구 결과 대장암이나 유방암에서 이러한 hypermethylation이 진단적 지표자로서의 사용가능성을 제시하였다. 따라서 난소암 환자에서 이러한 있는 종양억제유전자들의 CpG islands의 methylation의 변화를 알아보고자 하는 연구가 시도되고 있다. 지금까지 난소암에서 methylation에 관한 연구는 많이 행해져 있지 않아 본 연구자는 난소암에서 종양억제 유전자인 BRCA1, p15, p16, p21, p73, hMLH1의 methylation유무를 알아보고자 연구를 계획하였다. 난소암 13예와 정상 난소 조직 7예를 이용하여 p15, p16, p21, p73, BRCA1, hMLH1유전자들에 대한 MSPCR을 시행하였다. p15 유전자는 난소암과 정상 난소에서 모두가 methylation을 보이지 않았고, hMLH1에서는 모두에서 같은 methylation을 보여 의의가 없었다. p21 유전자는 양군 모두에서 같은 정도의 methylation을 보였고, p73 유전자는 난소암 13예 중에서 11예에서 methylation이 관찰되었으며, 정상 난소에서는 모두에서 methylation이 있었으나, 난소암에서 보다는 methylation이 적었다. p16 유전자는 난소암에서 13예 중 10예에서 methylation이 보였으나 정상에서도 methylation이 모두 관찰되었다. BRCA1 유전자는 난소암에서 11/13 (85%)에서 methylation이 있었고, 정상에서는 4/7 (57%)에서 methylation이 나타나 차이를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저자가 확인한 난소암에서의 methylation 이상은 BRCA1 유전자에서 정상과 비교하여 차이를 확인하였으며, BRCA1 유전자의 methylation 변화가 난소암의 암화 과정에 관계한다는 것을 유추할 수 있겠다. 그러나 표본 수가 적은 관계로 향후 좀더 많은 난소암과 대조군을 가지고 이러한 MSPCR 방법을 이용해 종양억제유전자의 변이나 발현 감소를 적절한 표적 CpG islands를 찾아 시행하면 좋은 결과를 보게 되리라 생각된다. Objective : Recent evidence suggests that aberrant methylation of CpG islands is a major pathway leading to the inactivation of tumor suppressor genes and development of canc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ct the methylation in ovarian cancer. Methods : Recent studies on colorectal and breast cancer have defined a CpG island methylator phenotype, which involves the targeting of multiple genes by promotor hypermethylation. Little is currently known about the role of methylation in ovarian cancer. To detect the methylation in ovarian cancer, we have investigated the methylation status of 13 primary ovarian cancers at six genes using methylation specific polymerase chain reaction compared with 7 normal ovaries. Results : Six of tumor suppressor genes (p15, p16, p21, p73, BRCA1, and hMLH1) were evaluated to see the methylation status. Methylation of p15, p21, p73, and hMLH1 did not detect in ovarian cancers compared with normal ovaries. Ten of 13 ovarian cancers showed methylation of p16 gene and all normal ovaries showed hypermethylation. The BRCA1 gene was methylated in 11 (85%) of 13 ovarian cancers, 4 (57%) of 7 normal ovaries. Conclusion : Methylation of the BRCA1 gene is common alteration in ovarian cancers, and may paly a part of role in pathogenesis of ovarian cancer.

      • SCIESCOPUSKCI등재

        난소의 상피성 종양에서 신생혈관형성과 Cathepsin D 발현의 상관관계

        박일수,배용철 대한부인종양 콜포스코피학회 2003 Journal of Gynecologic Oncology Vol.14 No.3

        목적 : 악성종양의 진행과 전이과정에 관여하는 인자로 신생혈관형성 및 단백분해효소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나, 이러한 인자들의 예후에 대한 중요성은 아직 확립되어 있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양성, 경계성, 악성종양에서 신생혈관형성 유발인자인 VEGF의 발현도와 신생혈관수 및 Cathepsin D의 발현도와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 방법 : 1997년부터 1999년까지 경북대학교병원에서 수술로 절제된 난소조직중 장액성 종양 41예와 점액성 종양 50예를 대상으로 면역조직화학적 염색을 이용하여 VEGF와 Cathepsin D의 발현 정도를 분석하였고, CD31에 대한 monoclonal antibody를 이용하여 미세혈관 수를 정량화 하였다. 장액성 종양은 양성 19예, 경계성 3예, 악성 19예였고, 점액성 종양은 양성 2예, 경계성 16예, 악성 14예였다. 결과 : 미세혈관 수, VEGF, Cathepsin D는 점액성과 장액성 모두에서 양성이나 경계성보다 악성에서 현저히 증가하였고, 특히 미세혈관 수는 재발한 1예와 사망한 1예에서 평균보다 높은 수치를 보였다. 그러나 임상인자인 병기, 종양크기 및 환자의 연령과는 통계학적 유의성이 없었다. VEGF 발현과 미세혈관 수 사이에는 유의한 상관 관계가 없으나, Cathepsin D와 VEGF, 신생혈관 수의 발현에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이는 종양의 혈관형성 에 있어 VEGF 이외에 다른 여러 가지 혈관형성인자 및 성장인자가 관여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결론 : 결론적으로 미세혈관 수, VEGF, 그리고 Cathepsin D의 발현은 난소종양 진행의 유용한 지표로서 여겨지나, 아직 예후에 대한 유의성이 확립되어 있지 않고, 추적기간이 짧아 앞으로 환자의 장기 생존률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Objective : Tumor angiogenesis and proteolysis have a role in tumor invasion and metastasis in various types of tumor. But the prognostic significance in ovarian epithelial tumors has not been established. In this study, we evaluate correlation of MVC, VEGF and Cathepsin D expression with progression in ovarian tumor. Methods : Formalin fixed tumor tissues from 41 cases of serous and 50 cases of mucinous tumors were analyzed for the expresssion of VEGF and Cathepsin D by immunohistochemical stain. The authors quantified microvessel counts (MVC) using monoclonal antibody for CD31. The serous tumors included 19 cases of benign, 3 cases of borderline and 19 cases of malignant tumors. The mucinous tumors included 20 cases of benign, 16 cases of borderline and 14 cases of malignant tumors. Results : MVC, VEGF and cathepsin D expression in malignant tumor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in benign or borderline malignancy of both serous and mucinous tumors. One case of recurrence and another one case of death showed highly counted microvessels.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as to FIGO stage, tumor size or patient’s age. There was no correlation between VEGF expression and MVC, however significant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expression of Cathepsin D and VEGF and MVC. These results suggest that other angiogenic factors may affect in the regulation of angiogenesis. Conclusion : MVC, VEGF and Cathepsin D expression seems to be suggested as a useful indicator of progression in ovarian tumors. But, the prognostic significance cannot be fully established and additionally long-term follow up study for patient’s survival rate is need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