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인간 상피성 자궁경부암 세포주 (CUMC-6) 의 확립 및 특징화

        김승조,정재근,김진우,남궁성은,박태철,김흥기,김수평,김사진,김태웅,김재훈 대한산부인과학회 1996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9 No.1

        본 연구진은 31세된 한국여성의 자궁경부암 종양조직을 채취한 후 세포배양을 통하여 자궁경부의 편평상피암 세포주(CUMC-6)를 새로이 확립하여 시험관내 성장특성, 세포의 형태학적 특성, 세포의 초미세 구조, 생체내 종양형성 능력, 동위효소 발현, 염색체 특성, 호르몬 및 태반단백 분비, 종양표지물질분비, 스테로이드 호르몬 수용체 여부, 인체 백혈구 항원의 규명, 인유두종 바이러스(HPV) 감염,c-myc및 L-myc 발암유전자들의 변이, 및 p53 종양 억제 유전자의 변이여부를 검색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자궁경부암 세포주는 현재 61개월간 배양중에 있으며 지속적인 성장을 보였고 현재까지 연속적으로 300계대까지 수행되었다. 2. 배양중인 종양세포의 성장특성을 분석한 결과 population doubling time은 약 36시간이었으며 plating efficiency는 32%로 나타났다. 3. 배양세포주의 형태학적 특성을 규명하고자 위상차 현미경 소견, H & E 염색, Papanicolaou`s 염색 및 전자현미경적 방법 등을 이용한 결과 인간 상피세포 유래 종양임을 확인할 수 있다. 4. 배양세포주를 누드마우스에 이종이식시켜 종양의 형태학적 변화를 분석한 결과 형성된 종양조직은 본래의 조직소견과 유사하였으나 분화정도는 나빴다. 또한, 종양형성 능력을 파악한 결과 2주 이내에 96%의 높은 종양형성 능력을 보였다. 5. 자궁암 세포주의 glucose-6-phosphate dehydrogenase 동위효소 분석시 type B pattern을 보여 기존의 HeLa 세포주와의 실험실내 오염이 아닌것으로 판명되었다. 6. CUMC-6 종양세포주들의 염색체 분석시 대부분의 세포들은 이배수성(2n-46)을 나타내었으며 약 20%의 세포들에서 7번 염색체 하나가 더 많은 삼배수성(trisomy)을 보였다. 7. 태반단백, 호르몬 및 종양표지물질 분비여부를 검색한 결과 태반단백으로서는 B-HCG 분비를 확인하였고, 또한 종양표지물질로서는 AFP분비를 확인하였다. 8. 종양세포주의 에스트로겐 및 프로게스테론 수용체 존재여부를 분석한 결과 각각 음성으로 판정되었다. 9. 종양세포주의 인체 백혈구항원(human leukocyte antigen) 검색 결과 HLA class II phenotype 들은 DR12와 DQw3로 나타났으며, HLA class II allele specificity들은 DRB1*1202, DQA1*0601 , 및DQB1*03*들로 판명되었다. 10. 배양된 CUMC-6 세포주에서 HPV 감염여부를 검색하기 위하여 polymerase chain reaction(PCR) 을 실시한 결과 HVP 16과 HVP 18이 동시에 감염되어 있는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11. CUMC-6 세포주에서 c-myc 유전자는 재배열 및 증폭소견들을 보여주었으나 L-myc 유전자의 재배열 및 증폭 소견들은 발견되지 않았다. 12. Polymerase chain reaction-signle strand conformation polymorphism(PCR-SSCP)방법으로 배양된 CUMC-6 세포주에서 p53 종양억제 유전자의 변이는 관찰되지 않았다. 이와같이 특징화 과정이 완료된 CUMC-6 자궁경부 상피암 세포주는 향후 한국 여성의 자궁경부암 치료와 생물학적 연구에 적절한 실험 모델이 될것으로 사료되며 자궁경부 상피암의 발생기전에 염색체 1번의 이상, c-myc 발암유전자의 변이, 및 HVP 감염등이 복합적으로 관여하는 것을 파악할 수 있었다. A new cell line, CUMC-6, has been derived from an invasive non-keratinizing squamous cell carcinoma of the uterine cervix in a 31-year-old patient. It has been maintained in long term culture for 61 months, and passaged over 300 time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Monolayer-cultured cells were polygonal in shape, showing a pavement-like arrangement and a tendency to pile up without contact inhibition. 2. The epithelial nature of the cultured CUMC-6 cells was confirmed by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which demonstrated the presence of desmosomes and tonofilaments. 3. The sbucutaneous injection of cultured cells into nude mice gave rise to fast growing tumor. The transplanted tumor showed similar histological features, but poor differentiation than the original tumor. 4. Repeated chromosome analysis revealed that most metaphases of this cell line contained diploid number of chromosomes. The consistently observed structural abnormality in this cell line was elongation of short arm of chromosome 1. The G-banded pattern of this chromosome was inv dup (1)(1pter-$gt;1p34:: 1p21-$gt;34:: 1p34-$gt;1qter). 5. The results of isozyme analyses were distinct from the HeLa cell line. 6. Cultured CUMC-6 cells produced human chorionic gonadotropin B-subunit(B-HCG),and a-fetoprotein(AFP). 7. Cytosol estrogen and progesterone receptors were not measured in this cell line. 8. Human leukocyte antigen(HLA) typing of CUMC-6 cells indicated the presence of DR12 and DQw3. 9. Analysis of the DNA extracted from the CUMC-6 cells showed the presence of human papillomavirus(HPV) type 16 and 18 DNAs. 10. Southern blotting technique revealed ampification and rearrangement of oncogene c-myc and no amplification of L-myc. 11. Using the polymerase chain reaction-single strand conformation polymorphism(PCR-SSCP) technique, we have screened CUMC-6 cells for p53 mutation in exons 4 to 9. No mobility shift was observed in this cell cline. This cell line will be a valuable tool in studying the in vitro and in vivo properties of human cervical carcinoma.

      • KCI등재

        조기 양수천자술과 중기 양수천자술의 안정성에 관한 비교연구

        안현경,이환견,최수경,김은성,한호원,김문영,류현미,한정렬,송하균,김진미 대한산부인과학회 1997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0 No.1

        We sought to determine whether early amniocentesis is a safe and acceptable method of genetic evaluation in early pregnancy. During the 20-month period from February 1994 to September 1995, 80 consecutive early amniocentesis were performed transabdominally at 12+3-14+6 weeks of gestation and 305 consecutive mid- second-trimester transabdominal amniocenteses were performed at 16+0- 18+0 weeks of gestation. All amniotic fluid samples were cultured using flask method.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early and mid-second- trimester amniocenteses in failed sampling, ambiguous results, pregnancy loss within 4 weeks after the procedure, pregnancy loss from 4 weeks after procedure to 28 weeks of gestation, preterm birth, and perinatal death. We may conclude that early amniocentesis is a safe and acceptable method for prenatal diagnosis.

      • Clinical evaluation of DFN3 patients with deletions in the POU3F4 locus and detection of carrier female using MLPA

        Song, MH,Lee, HK,Choi, JY,Kim, S,Bok, J,Kim, U-K Blackwell Publishing Ltd 2010 Clinical genetics Vol.78 No.6

        <P>Song MH, Lee HK, Choi JY, Kim S, Bok J, Kim U-K. Clinical evaluation of DFN3 patients with deletions in the POU3F4 locus and detection of carrier female using MLPA.</P><P>X-linked deafness type 3 (DFN3), the most prevalent X-linked form of hereditary deafness, is caused by mutations of the POU3F4 locus in the Xq21 region. We evaluated two Korean families showing typical characteristics of DFN3, such as congenital hearing loss and pathognomonic inner ear anomalies. Genetic analysis of these families did not reveal any mutations in the POU3F4 coding sequence. Instead, one family carried a genomic deletion upstream of POU3F4 gene, where the regulatory element is predicted to reside, and the other family possessed a deletion of almost the entire Xq21 region. The lack of mutation in the POU3F4 coding sequence makes the detection of carrier females using conventional sequencing methods difficult. By applying the multiplex ligation-dependent probe amplification (MLPA) method, we successfully determined the carrier status of female members in these families, demonstrating that MLPA is a rapid and accurate way to detect POU3F4 deletions in sporadic undiagnosed carriers of DNF3.</P>

      • KCI등재

        임신과 분만이 복합 긴장성 요실금에 미치는 영향

        김흥기,김창이,홍승덕,이지영,김태웅,최명희,정대영,신재인 대한산부인과학회 1995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8 No.9

        임신과 분만이 복압 긴장성 요실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총 331명을 대상으로 임신초기, 중기, 말기 및 분만 후 1주, 4주, 3개월, 1년 복압 긴장성 요실금증의 유병률과 이 에 관하여는 인자와의 상관관계를 알아 보았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군의 평균나이는 27세이고, 초산부 236명, 경산부 95명이었다. 2. 전 임신기간동안 복압 긴장성 요실금증의 증상이 있는 경우 임신 1기, 2기, 3기에 따라 초산부에서 9%, 20%, 29.7%로 증가하였으며, 경산부인 경우 10% 28%, 54.7% 로 증가하였 으며 분만후에 유병률이 급격히 감소하였다. 분만 1년후 에 복압 긴장성 요실금증이 초산부 3%(7/236), 경산부 10.5%(10/95)에서 남아 있어 경산부에서 유병률이 높았다. 3. 분만 제 2기 시간, 신생아 몸무게, 신생아 머리 둘레, 마취방법 및 회음부 절개술과 분만 후 복압 긴장성 요실금 발병과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었다. 4. 분만 1년후 복압 긴장성 요실금이 남아있는 17명중 질식 분만 16명, 기제왕절개술 1명으로 질식분만에서의 유병률이 많이 높았다. 이상의 조사결과로 보아 임신과 분만이 복압 긴장성 요실금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요소임을 알 수 있었으며 분만 1년 후의 유병률은 5%였다. This sutdy was prepared to investigate the relaitonships between in incidence of the stress urinary incontinence and various obstertical factors. Three hundred thity one women attended at regular antenatal cares and delivered, were questioned about her stress urinary incontinence at 1st, 2nd, and 3rd trimester of pregnancy and at 1st week, 4th week, 3rd month, and one year after delivery from February 1993 to January 1995, at St, Paul`s Hospital Catholic University Medical College . The result were as follows. 1. The study population comprised 331 pregnant women age 18-40 years(mean27), who were 236 nulliparae and 95 multiparae. 2. The prevalence of stress urinary incontinence thoroughout pregnancy was increased to 9%, 20%, 29.7% in nullipare and 10% 28%, 54.7% in multiparae at 1st , 2nd and 3rd trimester of pregnancy, respectively. The prevalence was markedly decreased with 10.6%(25/236) in nullipare and 16.8% (16/95) in multiparae at 1st week after delivery. The prevalence was sustained with 3% (7/236) in nulliparae and 10.5%(10/95) in multipare at one year after delivery, which showed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 in multiparae . 3. There were no relationships between the development of the stress urinary incontinence after delivery and the duration the second stage of labor, birth weight head circumference anesthetic methods and episiotomy types. 4. At one year after delivery total prevalence was 5%(17.331) sixteen cases were vaginal delivery and one case was repeat Cesarean delivery, and there were statisically significant influences on the prevalence in accordance with the delivery types(p$lt;0.05).

      • SCIESCOPUSKCI등재
      • KCI등재

        자궁경부암 환자의 혈청 p53 단백질 발현에 관한 연구

        김종일,유한기,손영수,김승철,문혜성,김수연,박춘원,오희경,정진선,손진희 대한산부인과학회 1998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1 No.9

        목적: 자궁경부암 환자에서의 혈청 p53 단백질 양성률 및 이들과 조직내 p53 단백질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 혈청 p53 단백질이 자궁경부암 예후인자로서 이용될수 있는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1996년 9월부터 1997년 3월까지 이화여자대학교 의과대학 부속 목동병원 산부인과에 양성 부인과 질환으로 입원한 환자 43예를 대조군으로, 자궁경부암 환자 30예를 연구 대상군으로 하여 혈청내 p53 단백질의 농도를 효소-연결면역흡수검사법(ELISA)으로 측정하고, 양성 환자의 자궁경부 종양조직에서 p53 단백질에 대한 면역조직화학 염색을 시행하였으며, 혈청 p53 단백질 농도와 자궁경부암 예후인자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결과: 대조군(0.3786±0.2119ng/ml)에 비해 자궁경부암 환자군(0.4056±0.2238ng/ml)에서 혈청 p53 단백질 농도가 약간 높았으나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자궁경부암 환자군에서 혈청 p53 단백질 농도는 10.0%의 양성률을 보였으며, 양성 환자의 종양조직에서 p53 단백질에 대한 면역조직화학 염색상 모두 양성으로 염색되었다. 혈청 p53 단백질은 자궁방 결합조직 침윤을 제외한 자궁경부암의 예후인자들과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었다. 결론: 혈청 p53 단백질은 자궁경부암 환자에서 낮은 양성률을 보이며, 이들 환자의 선별검사나 추적검사에 있어서 종양표지물로 사용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혈청 p53 단백질이 양성인 환자들에서 종양조직의 p53 단백질에 대한 면역조직화학 염색상 모두 양성임을 볼 때, 앞으로 더 많은 예의 자궁경부암 환자를 대상으로 본 연구를 지속적으로 시도해 볼 여지가 있다고 생각된다. Objective: We attempted to obtain the serum levels of p53 protein in patients with cervical carcinoma in contrast to those of the control group.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for p53 protein in cancer tissue in patients who were found positive in serum p53 protein was performed, and we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erum levels of p53 protein and the prognostic factors of cervical carcinoma. Methods: In this study, thirty patients with cervical carcinoma and forty-three control group with benign gynecologic disease were included. Serum levels of p53 protein were obtained using an ELISA. Results: Average level of serum p53 protein in cervical carcinoma patients (0.4056±0.2238 ng/ml) was higher than in control group (0.3786±0.2119 ng/ml), but the differenc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5). Three of the cases of cervical carcinoma (10.0%) were found positive in serum levels of p53 protein (>2SD above the mean of control group). And the tumors from these cases demonstrated positive staining for p53 protein by immunohistochemistry.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the serum levels of p53 protein and prognostic factors of cervical carcinoma except for parametrial invasion.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serum p53 protein can be detected only in a small portion of cervical carcinoma patients, so the serum levels of p53 protein should not be encouraged to be used for screening test and follow-up of cervical carcinoma.

      • KCI등재

        침윤성 복막이식을 동반한 난소의 경계성 표면 유두종 IIIc기 1 예

        김흥기,김창이,김수평,김용욱,류순원,전준연,공기환,송영훈 대한산부인과학회 1997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0 No.9

        The serous borderline tumors(SBTs) are divided into 3 groups, typical SBT with nonin-vasive implants, SBTs with invasive implants, and a recently described tumor, desinated mic-ropapillary serous carcinoma(MPSC). These tumors are associated with extraovarian implants, espicially peritoneum. Invasiveness of implants has prognostic significance in disease progre-ssion and recurrence. Micropapillary serous carcinoma and SBTs with invasive implants sho-uld be classified as carcinoma and treated accordingly. We report a case of borderline malign-ant ovarian surface papilloma with invasive peritoneal impla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