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장애아동과 일반아동의 자기결정력 증진을 위한 초등 체육과 게임 활동 수업 모형 개발 및 적용효과
김수연 한국특수교육학회 2007 특수교육학연구 Vol.42 No.2
자기결정력은 자신에 대한 이해와 존중을 바탕으로 성취할 목표를 설정하고 성취하는 능력, 태도, 기술로 삶의 질 향상에 영향 미치는 주요 변인이다. 본 연구는 장애아동을 포함한 모든 아동의 자기결정력 증진을 위한 초등학교 체육과 게임 활동 수업모형을 개발하였다. 모형을 통해 게임 활동 수업을 재구성하는 단계는 4단계로 1단계는 게임 활동에서 습득해야 할 주요 기술을 추출한다. 2단계는 주요 기술을 습득할 수 있는 활동을 개발한다. 3단계는 아동들과 단계별 활동의 내용을 공유하고 선택의 기회를 제공한다. 4단계는 아동들이 선택한 활동을 수행하고 평가하게 한다. 개발한 모형이 초등학교 체육 수업에 적용 가능한지, 그리고 실제로 아동들의 자기결정력을 증가시킬 수 있는지 2가지 방법으로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초등학교 3학년 게임 활동 수업 3개 단원, 11차시를 모형에 따라 재구성한 후 체육교과 전공교수 5인에게 모형과 재구성한 게임 활동의 타당도를 설문조사한 결과 5점 만점 중 평균 4.45였다. 그리고 인천지역 2개의 초등학교 체육시간에 재구성한 게임 활동 수업 11차시를 3명의 장애아동과 일반아동 71명을 대상으로 적용하고 자기결정력 척도로 평가한 결과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아동들의 일지를 내용 분석한 결과 아동들은 자신이 좋아하고 할 수 있는 단계를 선택하여 게임 활동을 하였을 때의 재미와 즐거움을 표현하였으며 궁극적으로 게임 활동 수행 능력이 향상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통합학급에서 모든 아동의 자기결정력 증진을 위한 게임 활동 수업 모형이 적용 가능하다는 것을 말해주며,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일반 교과수업에 삽입하여 자기결정 기술을 교수할 수 있는 모형을 개발하였다는 것에 의의를 가진다. Enhancing Children's Self-Determination Abilitythrough Game Activities in Inclusive Physical Education Class:Development of Instruction Model and Its Application
통합적인 한방치료로 호전된 삼차신경통을 동반한 말초성 안면마비 환자 1례 보고
김수연,김석우,진소리,강경래,하도형,김은송,김수연,오승주,김은정 대한한방내과학회 2019 대한한방내과학회지 Vol.40 No.5
Objective: This study reports the efficacy of using integrative Korean medicine treatments for a patient with facial paralysis and accompanying trigeminal neuralgia. Methods: A 45-year-old male patient with left side facial palsy and facial pain due to Bell's palsy with trigeminal neuralgia was treated with herbal medicine, acupuncture, pharmacopuncture, and cupping for 18 days. The treatment effect was evaluated by measuring the scores for the numerical rating scale (NRS) of facial pain, the House-Brackmann scale, and the Yanagihara scale. Results: After the hospital treatment, the patient’s facial pain NRS score was decreased, and the House-Brackmann scale and Yanagihara scale scores improved after the administration of the Korean medicine treatments. Conclusions: The integrative Korean medicine treatments appeared to be effective in treating facial nerve palsy and associated trigeminal neuralgia.
통합적인 한방치료로 호전된 복합부위통증증후군(CRPS) type1 환자 1례 보고
김수연,김석우,하도형,김수연,김은정 대한한방내과학회 2018 대한한방내과학회지 Vol.39 No.5
Objectives: This study reports on the efficacy of using integrative Korean medical treatments for Type 1 complex regional pain syndrome (CRPS). Methods: A 48-year-old female patient with Type 1 R/O CRPS was treated with herbal medicines, acupuncture, and pharmacopuncture for 38 days. The chief complaints were severe burning pain, general weakness, sleep disorder, and aggressive and depressed mood. The treatment effect was evaluated by measuring the numerical rating scale (NRS) of pain, improvement of the quality of sleep, and change in mood status. Results: After the hospital treatment, the patient’s pain was controlled and the NRS score was decreased. Sleep and mood disorder also improved. Conclusions: The integrative Korean medical treatments appeared to be effective in reducing Type 1 CRPS symptoms. Further clinical research of patients with CRPS is needed.
명말 상업적 규범소설의 형성과 조선 왕의 소설 독서 - 규장각본 『型世言』을 중심으로
김수연 한국고전문학회 2015 古典文學硏究 Vol.47 No.-
『型世言』은 명말 백화 단편 소설집이다. 현재는 한국 규장각 소장본이 세계 유일본이다. 중국에서는 『형세언』이 확인되지 않고 있고, 그것을 저본으로 한 『幻影』, 『三刻拍案驚奇』, 『別本二刻拍案驚奇』에 수록 작품들이 전해지고 있다. 한국에서는 1762년 『중국소설회모본』에 『형세언』의 서명이 기록되어 있고, 실물은 1987년 규장각에서 발견되었다. 규장각본 『형세언』은 원래 10책으로 된 중국본이나 한국에 들어와 12책으로 재장정되었고, 현재는 권1-권11만 남아 있다. 매 책의 표지 안쪽과 첫면에 찍힌 收藏印 ‘帝室圖書之章’과 표지 분류표의 ‘支’ 字는 이 책이 1909년 11월에 간행된 규장각소장 도서 목록에 속했던 중국 수입서적임을 표시한다. 권2ㆍ권3ㆍ권4를 제외한 8권에는 複本 표시가 있는 것으로 보아, 같은 형태로 재장정된 『형세언』이 두 질 있었던 듯하다. 규장각본 『형세언』에는 협비와 미비, 회말평 형식의 평어가 적혀 있다. 이중 13회의 회말평과 15회에 서명을 남긴 ‘淡軒’은 대리청정을 했던 추존왕 翼宗이다. 그는 순조의 아들 孝明世子로, 문학과 예술에 조예가 깊었으며 정치적 식견도 뛰어났던 인물이다. 그가 남긴 평비는 『형세언』의 비판적 독자가 왕실의 핵심인물임을 구체적으로 알려준다. 이 책은 ‘세상의 모범을 세우다’라는 뜻의 ‘형세’를 제목으로 삼았지만, 실제로는 ‘海內異聞’ 즉 ‘세상의 기이한 이야기’들을 수집하여 만든 것이다. 독자들도 이 책을 ‘拍案驚奇(책상을 칠 만큼 놀랍고 기이한 이야기)’ 계열로 인식했다. 때문에 『형세언』을 저본으로 한 책들에 한결같이 ‘박안경기’의 속편인 듯한 제목을 붙인 것이다. 출판업자 육운룡이 직접 적은 교훈적 서문이나 평어는 17세기 절강의 경쟁적 출판시장에서 작품의 우위를 점하고자 하는 규범의 상품화 전략 중 하나이다. 신흥도시민이나 상인층을 독자로 겨냥하여 나온 『형세언』은 도덕을 선양하기 위해 창작되었다기보다, 윤리와 도덕을 상품화하는 전략으로 만들어진 철저한 상업소설일 가능성이 크다. 한국에 수입된 『형세언』은 인정물태를 감싸고 있는 규범적 언표가 유지되며 의미 있게 독서되었다. 이는 한국의 『형세언』 수용층이 왕실과 고위 관료이기 때문이다. 독자의 계층성 차이로 인해 한국에서는 『형세언』이라는 제목이 유지되고 심지어 언해본이 나올 수 있었던 것이다. 『XingShiYan』 is a collection of short stories written by colloquial Chinese(baihua) in the late Ming Dynasty. Now Korean Kyujaggak manuscript is the world's only copy. In China, 『XingShiYan』 has not been found, but on the original text 『XingShiYan』, works contained in it have been transmitted through 『Huanying(幻影)』, 『Sankepoanjingqi(三刻拍案驚奇)』, and 『Biebenpoanjingqi(別本二刻拍案驚奇)』. In Korea, The title of 『XingShiYan』 was recorded in 『Joongguk-soseol-hoemobon』 in 1762, and the genuine article was discovered at Gyujanggak in 1987. Gyujanggak manuscript of 『XingShiYan』 is originally made into 10 volumes in Chinese-language version, which rearranged into 12 volumes in Korea, and now remained the 1st volume to the 11th volume. A stamp ‘帝室圖書之章’ printed inside the cover and on first side of every book and a ‘支’-mark in classification show that this book is an import from China published in November 1999 and included in a catalog of Gyujaggak possession books. Having a duplicate mark in eight books except for volume 2-volum 4, there seem to be two collections of arranged 『XingShiYan』 in a same style. The critical commentaries are in Kyujaggak Manuscript of 『XingShiYan』 in the form of Hyeobbi(挾批), Mibi(眉批), and Hoemalpyeong(回末評). Among these commentaries, Hoemalpyeong of 13th, and the autograph in 15th are written by Damhun(淡軒), who is the posthumous King, Ikjjong(翼宗). He is Prince Hyomyeong(孝明世子), the son of the King Sunjo, who is accomplished at all the literatures and arts, and also great in political insight. His critical commentaries tell an unfavorable reader for 『XingShiYan』 to be a key figure in the royal family concretely. This book takes the title '型世' as a meaning that we set an example for the world, but it is Haeneimun(海內異聞), that is a collection of an extraordinary stories of the world. Readers also regarded this book as an affiliation with ‘Bakangyeonggi(a story which is bizarre enough to knock on the desk)’. So, books having its origin in 『XingShiYan』 were given a title that looks like a sequel to ‘Bakangyeonggi’ as ever. A publisher, Luyunlong(陸雲龍) wrote down an instructive preface or critical commentary in person, and that is one of the commercialization strategies intended for getting the whip hand over works in a competitive publication market of 17th century Zhejiang(浙江). 『XingShiYan』 targeted at citizens of a boom town or the merchant class must have been a thorough commerce novel not only made for an ethical enhancement but also made for a commercialization strategy. 『XingShiYan』 imported to Korea were read meaningfully as normative utterances surrounding the popular mind and worldly affairs hold together. This because the acceptance classes of 『XingShiYan』 are royal families and high-ranking government officials. By difference between readers' stratum, in Korea, it has continued in the name of 『XingShiYan』, and eventually, Korean annotation of it could be even published.
김수연,백선영,강상모 한국피부과학연구원 2012 대한피부미용학회지 Vol.10 No.1
For people in the modern society, there are many ways to express their beauty. The many ways was come down to fashion. Cosmetics are one of the way to express their fashion. The nail art constitutes for a great part of cosmetics. The nail art is one of the method for decorating hand beautifully as a field of beauty art. Therefore, the nail art has developed from antiquity to modern times. The length, shape and color of nails have been changed by value and culture at the period of time. A field of the nail art is becoming popularized,subdivided and specialized with development of beauty industry. In addition to providing soft and flexible, UV gel consisted of liquid acrylic is possible to be durable for color and diverse expression like thin line, gradation of color with the ability of color formation. In this study, we made a nail art objects using UV gel and applied UV gel technique in various nail art techniques (hand painting, sculpture, embo, marble and gradation). We suggest that UV gel is a more suitable material rather than others materials for production of the nail art objects.
김수연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교육과학연구소 2012 교육과학연구 Vol.43 No.3
This study examined the categorization of college dropouts' mobility paths using fourth level triangulation methods including content analysis about college students, school withdrawal forms, pilot interview, in-depth interviews, and focus group interview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were as follows: The categorization of college student dropouts' mobility paths are, first, going to a top-ranking university, second, taking time out, third, working instead of going on to university, and fourth, working while attending school. As a result, first, it was found that freshmen dropped out early in the semester, especially during the first semester. Second, this study analyzed the causes for dropping out. These included individual and family reasons, changes in social and economic status, perceived opportunity costs of full time school attendance, receiving vocational training, and problems adapting to college life. Third, the structure of the college dropouts' mobility path type could be found in both two- and four-year colleges, from four-year colleges outside a major metropolitan area and four-year colleges in a major metropolitan area. Social stratification and institutional factors as influences on dropout rates are also discussed. 이 연구는 대학 중도탈락생의 학업중단 이후 이동 경로를 유형화함으로써 경로의 구조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 연구는 4단계의 중다자료수집법을 활용한 연구 결과를 기초로, 대학 중도탈락생의 이동 경로를 유형화하였다. 이동 경로의 유형은 크게 네 가지로 분류되는데, 첫째, 위계가 높은 대학에 진학, 둘째, 그냥 쉬고 있음, 셋째, 비용 대비 효과가 적은 교육투자보다는 사회경험 쌓기, 넷째, 적성에 맞는 일과 학업을 병행하는 것이다. 대학 중도탈락생의 이동 구조 분석 결과, 첫째, 대학생의 중도탈락은 1학년, 특히 1학기에 집중되어 있다. 둘째, 이동 경로 유형의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한 경로는 위계가 높은 대학으로의 진학으로써, 전문대학은 지방 4년제 대학으로, 지방 4년제 대학은 수도권 대학으로 대학서열화에 따른 지역 간, 교육기관 간 이동구조가 드러났다. 이는 고등교육기관의 서열체계가 극명하게 드러나는 교육이동 형태로 분석될 수 있다.
김수연 나사렛대학교출판사 2009 지성과 창조 Vol.- No.12
본 연구는 사례중심의 실용연구로서 사례대상지는 중국 우루무치 다 니엘 국제초등학교로 현지거주 한국인선교사 자녀와 현지 위구르족과 한족 아동을 위한 다문화 치료정원 디자인과정과 프로그램 제안을 중 점적으로 다루었다. 대상지에 조성된 정원은 건조한 기후인 현지적응이 가능한 허브식물과 다육식물위주의 식재와 활용 프로그램을 주로 제안 하였으며, 또 건조한 지역의 기후에 적응될 수 있는 식물을 고려하면서 다문화간의 심리적 안정감과 친근감을 조성할 수 있는 활동을 우선 선 정하여 제안하고 대상공간이 초등학교이므로 초등 통합교육 프로그램 및 부모와 가능한 세대 간 협동프로그램을 제시하였다. 즉, 원예식물이 라는 매개체로 인하여 국적에 관계없이 자신을 표현하고 친밀감을 형 성할 수 있는 치료정원디자인 모형을 제시한 것으로 선교와 원예를 접 목한 시도적 연구라는데 의의를 둘 수 있겠다. 그러나 한 사례지를 대 상으로 한정적 연구를 진행하였으므로 이것이 기초자료로 활용되어 다 양한 지역과 문화에 맞는 다문화 프로그램 DB 구축연구를 후속으로 진행하게 된다면 각 지역과 문화에 맞는 선교 프로그램 적용매뉴얼이 도출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해 본다. 특히 놀이형태의 정원 도입과정을 연구하면서 다문화 아동들의 사회성증진과 자연이해학습에 효과적임을 발견 하였고 그 밖에 한국의 초등교과를 바탕으로 실과학습과의 통합 프로그램은 해외거주 초등생들에게 한국초등교육과정의 재배와 가꾸기 영역의 교육내용을 심도 있게 이해시키는데 기여함을 고찰 할 수 있었 다. 결과적으로 원예치료를 다문화간의 심리적 안정감형성과 성경적 자 연원리의 교육, 환경통합교육과 세대 간 소통 프로그램으로 적용하여 대상지역의 특성에 맞게 세부적 프로그램을 개발제안 한 본 연구는 장 차 창의적 접근이 필요한 특수지역 선교프로그램 데이터 구축의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