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조혈모세포이식을 위한 최적의 제대혈 선택 지침

        유건희 ( Keon Hee Yoo ) 대한내과학회 2014 대한내과학회지 Vol.86 No.1

        Umbilical cord blood (CB) has been an alternative hematopoietic stem cell source especially for patients without an appropriate marrow or mobilized peripheral blood donor. Although many studies have shown similar overall survival rates after CB transplantation compared with other donor sources, higher rate of non-relapse mortality is a major obstacle for a successful CB transplantation. Thus, selecting a best appropriate unit is very important to improve the outcome of CB transplantation. Adequate cell dose and better HLA matching (antigen-level for -A, -B, and allele-level for -DRB1) have been considered most important criteria of donor choice for CB transplantation. In recent, other criteria including non-inherited maternal antigens, HLA-C matching, allele-level matching at 8 loci (-A, -B, -C, -DRB1), and anti-HLA antibodies are also suggested as factors that might affect the outcome of CB transplantation. This review will highlight current issues regarding criteria of donor choice for CB transplantation. Finally, I will introduce the algorithm and detailed guideline for CB selection recently developed in Korea, which may help physicians to choose best unit available. (Korean J Med 2014;86:14-19)

      • KCI등재후보

        소아암 환자에서 2009 대유행 인플루엔자 A(H1N1) 감염의 임상적 고찰 및 계절 인플루엔자와의 비교 분석

        최수한,유건희,안강모,성기웅,구홍회,김예진,Choi, Soo Han,Yoo, Keon Hee,Ahn, Kangmo,Sung, Ki Woong,Koo, Hong Hoe,Kim, Yae Jean 대한소아감염학회 2012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Vol.19 No.2

        목적: 본 연구는 단일 기관에서 소아암 환자의 2009 인플루엔자 A(H1N1) [A(H1N1)pdm09] 감염 양상을 조사하고 이전의 계절 인플루엔자 감염과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방법: 삼성서울병원에서 2009년 8월부터 2010년 2월까지 A(H1N1)pdm09 감염, 2000년 1월부터 2009년 5월까지 계절 인플루엔자 A 감염이 확진된 소아암 환자의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82명의 소아암 환자에서 A(H1N1)pdm09 감염이 확진되었다. 10명(12.2%)의 환자에서 하기도 감염증 또는 호흡기 외 감염이 발생하였다. 3명(3.7%)의 환자가 사망하였고 그 중 2명은 A(H1N1)pdm09 기여 사망이었다. 합병된 감염증과 관련하여 유의성을 가지는 위험인자는 감염의 시점(2009년 44-45주)과 병원 내 감염이었다. 이전의 계절 인플루엔자 A 감염과 비교하였을 때 임상적 특성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A(H1N1) pdm09 감염에서 적극적인 항바이러스제 치료가 시행되었다. 결론: 소아암 환자에서 A(H1N1)pdm 감염은 경증부터 중증까지 다양한 임상 경과를 보였으며 이전의 계절 인플루엔자와 비교했을 때 임상 양상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Purpos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compare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of 2009 pandemic influenza A(H1N1) [A(H1N1) pdm09] and seasonal influenza A infection in the pediatric cancer patients. Methods: A retrospective review was performed in the pediatric cancer patients who had confirmed A(H1N1)pdm09 infection at Samsung Medical Center from August 2009 to February 2010. For the comparison, the medical records of pediatric cancer patients with seasonal influenza A from January 2000 to May 2009 were reviewed retrospectively. Results: Eighty-two A(H1N1)pdm09 infections were confirmed in the pediatric cancer patients. Ten patients (12.2%) developed complicated clinical course by lower respiratory infections or extrapulmonary infections; 4 pneumonia, 1 bronchitis, 1 pericarditis with pneumonia, 1 encephalitis with pneumonia, 2 meningitis and 1 pericarditis. Three patients received mechanical ventilator and ICU care. Three pediatric cancer patients (3.7%) died. The risk factors related to complicated A(H1N1)pdm09 infections were date of infection (44-45th week 2009) and nosocomial infection. When comparing with previous seasonal influenza A infections, more prompt and aggressive antiviral therapy was given in A(H1N1)pdm09 infections. Conclusion: The A(H1N1)pdm09 infections caused a various clinical manifestations including fatal cases in pediatric cancer patient during pandemic season.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clinical course between influenza A(H1N1)pdm09 and seasonal influenza A infections except the antiviral treatment strategy.

      • SCOPUSKCI등재

        진행된 Wilms 종양에서 수술 전 항암화학요법의 의의

        강창규,문광빈,유건희,구홍회,윤혜경,박관현,Kang, Chang Kyu,Moon, Kwang Bin,Yoo, Keon Hee,Koo, Hong Hoe,Yoon, Hye Kyung,Park, Kwan Hyun 대한소아청소년과학회 2002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CEP) Vol.45 No.12

        Purpose : This study was designed to exclude radiation in advanced(stage 3, 4) Wilms tumor (WT) by increasing the chance of complete surgical removal with preceding neoadjuvant chemotherapy, thereby reducing the incidence of late effects. Methods : Between December 1998 and July 2002, we conducted neoadjuvant chemotherapy after needle aspiration biopsy on patients who had advanced WT. If needle biopsy was accessible, we conducted neoadjuvant chemotherapy(vincristine, adriamycin, dactinomycin) for 12 weeks and then performed surgical removal, excluded radiation therapy and conducted postoperative chemotherapy (vincristine, dactinomycin${\pm}$adriamycin). In other cases, we firstly conducted the operation and then performed radiation and postoperative chemotherapy. Results : Of the 17 patients diagnosed as WT, 12 patients had an advanced stage of disease. In two of the 12 patients, initial surgical removal was conducted. The median age of patients was 21 months(5-103 months). Of the 10 the patients who received neoadjuvant chemotherapy, eight patients were stage 1, one patient was stage 2, and the other was stage 3 at operation. In nine patients except one with stage 3 disease, we could perform complete surgical resection and therefore could omit radiation. In four cases we could also exclude adriamycin after operation. All but one patient was alive, disease-free, for a median follow-up of 21 months(9-43 months). Conclusion : After neoadjuvant chemotherapy, we could increase the chance of complete tumor resection, exclude radiation and decrease the intensity of postoperative chemotherapy in selected cases. Long term follow-up is needed to determine whether our method would significantly decrease late effects. 목 적 : Wilms 종양은 진행된 경우에서도 수술, 방사선 치료, 항암화학요법의 병합요법으로 치료 성적이 우수하지만 방사선 치료로 인한 후기 합병증이 문제가 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진행된 Wilms 종양(병기 3기, 4기)에서 수술 전 화학요법을 시행하여 종양의 완전 절제율을 높임으로써 방사선 치료를 생략하고자 하였다. 방 법 : 저자들은 1998년 12월부터 2002년 7월까지 삼성서울병원에서 Wilms 종양으로 치료를 시작한 환자 중 침 생검 후 수술 전 화학요법을 시행하였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진단 시 3기, 4기의 환자에서 침 생검이 가능한 경우 수술 전 항암화학요법(vincristine, adriamycin, dactinomycin)을 12주간 시행 후 종양의 크기가 감소하면 종양 절제술을 시행하였고 완전 절제가 된 경우 방사선 치료를 생략하고 수술 후 화학요법(vincristine, dactinomycin${\pm}$adriamycin)을 시행하였다. 침 생검이 기술적으로 어렵거나 위험하다고 생각되었던 경우에는 먼저 수술적으로 종양을 절제하고 방사선 치료와 화학요법을 시행하였다. 결 과 : 연구기간 중 삼성서울병원에서 치료를 시작한 17례의 Wilms 종양 중 3기, 4기는 12례였고 이중 2례에서는 침생검이 불가능하여 먼저 수술적으로 종양을 절제하였고 침생검이 가능하였던 경우는 10례였다. 이들의 진단 시 정중 연령은 21개월(5개월-103개월)이었고, 진단 후 정중 추적기간은 31개월(9개월-44개월)이었다. 수술 전 화학요법을 시행한 10례 중 2례를 제외한 8례에서 수술시 병기가 1기로 하향화되었으며, 수술시 병기가 2기였던 1례와 함께 총 9례에서 종양의 완전절제가 가능했고 방사선 치료도 생략할 수 있었다. 이들 중 4례에서는 adriamycin도 치료에서 제외하였다. 종양의 완전 절제에 실패한 1례는 결국 사망하였고, 1례는 재발하였으나 강화된 항암화학요법과 수술로 다시 관해에 도달하여 현재 10례 중 9례가 무병 생존 중이다. 결 론 : 진행된 Wilms 종양에서 수술 전 화학요법을 시행하여 종양의 완전 절제율을 높이고 방사선 치료를 생략할 수 있었으며, 일부 환자에서는 수술 후 화학요법의 강도를 감소시킬 수 있었다. 향후 생존율의 저하 없이 후기 합병증을 줄일 수 있을 지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SCOPUSKCI등재

        급성 골수성 백혈병 소아환자에서 초음파 검사에서 낭미충증으로 오인된 표피 포도알균에 의한 파종 감염 병변이 발생한 증례

        이재민,최준식,유건희,김예진,김선자,Lee, Jae Min,Choi, Joon-Sik,Yoo, Keon Hee,Kim, Yae-Jean,Kim, Sun-Ja 대한소아감염학회 2020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Vol.27 No.2

        표피 포도알균은 사람 피부에 있는 정상균이나, 체내 이물질을 가진 사람이나 면역 저하자에게는 심각한 감염을 일으킬 수 있다. 13세 남자가 발열, 근육통으로 입원하였고 두피, 팔과 다리에 통증이 있는 결절성 병변이 만져졌다. 혈액검사에서 범혈구 감소증과 모세포 80% 소견을 보였고 급성 골수성 백혈병으로 진단되었다. 전신 자기공명영상 검사에서 가장자리 조영 증강을 보이는 다발 낭성 병변이, 초음파 검사에서 에코성 낭성 병변과 그 내부의 에코성 결절이 팔과 다리의 근육 내부에서 관찰되어, 낭미충증이 강력히 의심되었다. 그러나 초음파 유도하 조직 검사에서 농양이 확인되었고, 조직 배양검사에서 표피 포도알균이 동정되었다. 저자들은 백혈병 환자에서 낭미충증으로 오인되었던 표피 포도알균에 의한 전신 다발 병변이 발생한 예를 경험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 SCOPUSKCI등재

        임상연구 : TIVA 및 VIMA시 내분비 스트레스 반응 및 마취특성 비교

        정홍수 ( Hong Soo Jung ),김대우 ( Dae Woo Kim ),최진우 ( Jin Woo Choi ),강유진 ( Yoo Jin Kang ),임용걸 ( Yong Gul Lim ),유건희 ( Keon Hee Ryu ) 대한마취과학회 2006 Korean Journal of Anesthesiology Vol.51 No.3

        Background: Anesthetic procedures are major potent stimulus for the neuroendocrine hormonal axis, which results in release of the stress hormone. It is important to know the influence of specific anesthetic procedures on those host responses. We compared endocrine stress response and anesthesia characteristics for TIVA (total intravenous anesthesia) and VIMA (volatile induction and maintenance of anesthesia). Methods: Forty patients scheduled for elective total abdominal hysterectomy were randomly assigned to TIVA or VIMA group. The patients in TIVA group (n = 20) received target controlled infusion (TCI) of propofol and fentanyl TCI with Stelpump software, and the patients in VIMA group (n = 20) received sevoflurane-nitrous oxide for induction (6%) and maintenance (1.5%) of anesthesia. Blood sampling was done 5 minutes before induction (baseline blood sample, BBS), just after intubation (intubation blood sample, IBS), just after extubation (extubation blood sample, EBS), and at arrival in recovery room (recovery room blood sample, RBS). Plasma concentration of glucose, cortisol, epinephrine, norepinephrine were measured. Bispectal Index (BIS) and systolic, diastolic blood pressure, heart rate, induction and recovery profiles were also measured. Results: In both groups, there was significant increase of the blood cortisol and glucose level in EBS and RBS. But only in VIMA group, there was significant increase of the blood cortisol level in IBS. There was no change of the blood epinephrine and norepinephrine in both groups at EBS and RBS, but only in VIMA group, there was significant increase of epinephrine and norepinephrine at IBS. Blood pressure and heart rate increased significantly at IBS in VIMA group, compared with TIVA group. Conclusions: In VIMA group, there was significant increase of stress response and hemodynamic change only during induction of anesthesia. However, in TIVA group, there was no significant increase of stress response and hemodynamic change during induction, maintenance and recovery of anesthesia. (Korean J Anesthesiol 2006; 51: 278~84)

      • KCI등재

        소아 암 환자에서 발생한 Bacillus cereus 균혈증의 분자역학 분석에 관한 연구

        김종민 ( Jong Min Kim ),박기섭 ( Ki-sup Park ),이병기 ( Byung-kee Lee ),김수진 ( Soo Jin Kim ),강지만 ( Ji-man Kang ),김양현 ( Yanghyun Kim ),유건희 ( Keon Hee Yoo ),성기웅 ( Ki Woong Sung ),구홍회 ( Hong Hoe Koo ),이남용 ( Nam Yo 대한소아감염학회 2016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Vol.23 No.3

        목적: Bacillus cereus 는 암환자들에서 기회감염을 일으킬 수 있다. 2013년에서 2014년 기간 동안 삼 성서울병원 소아 암 병동에서 B. cereus 균혈증의 급격한 증가가 관찰되었다. 이에 증가된 B. cereus 균혈증에 대해 분자역학적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법: 2001년 1월부터 2014년 6월까지의 기간 동안 B. cereus 균혈증이 발생한 소아 암 환자들을 확 인하였다. 이번 연구에서 B. cereus 균혈증은, 오염여부와는 상관없이, 혈액배양검사에서 적어도 한 번 이상 B. cereus 가 확인된 경우로 정의하였다. 획득 가능한 균주들에 대해 multilocus sequence typing (MLST) 분석을 시행하였고, 후향적 챠트 리뷰를 실시하였다. 결과: 연구 기간 동안 총 19명의 B. cereus 균혈증 환자가 확인되었다. 그러나, 2013년도에는 B. cereus 균혈증 환자가 급격하게 증가하였다. 또한, 응급실 공사 중이던 2013년 7월의 1주, 2013년 10월의 한 주 동안 각각 3명의 환자가 발생하였다. 그러나 MLST 분석상 일정한 패턴이 없는, 다양한 sequence types (STs)들로 확인되었다. 2013년 이전의 5개의 균주들의 ST는 ST18, ST26, ST177, ST147-like type, ST219-like type이었고, 2013년도의 균주들의 ST는 ST18, ST73, ST90, ST427, ST784, ST34-like type, ST130-like type으로 확인되었다. 고찰: MLST 분석상 B. cereus 균주들의 다양한 ST 분포가 확인되었다. 이번 연구에서 단일 ST의 B. cereus 에 의한 균혈증 발생의 가능성은 낮아보인다. Purpose: Bacillus cereus has been reported as the cause of nosocomial infections in cancer patients. In our pediatric cancer ward, a sudden rise in the number of patients with B. cereus bacteremia was observed in 2013 to 2014.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molecular epidemiology of increased B. cereus bacteremia cases in our center. Methods: Pediatric cancer patients who developed B. cereus bacteremia were identified from January 2001 to June 2014. The B. cereus bacteremia in this study was defined as a case in which at least one B. cereus identified in blood cultures, regardless of true bacteremia. Available isolates were further tested by multilocus sequence typing (MLST) analysis. A retrospective chart review was performed. Results: Nineteen patients developed B. cereus bacteremia during the study period. However, in 2013, a sudden increase in the number of patients with B. cereus bacteremia was observed. In addition, three patients developed B. cereus bacteremia within 1 week in July and the other three patients within 1 week in October, respectively, during emergency room renovation. However, MLST analysis revealed different sequence types without consistent patterns. Before 2013, five tested isolates were ST18, ST26, ST177, and ST147-like type, and ST219-like type. Isolates from 2013 were ST18, ST73, ST90, ST427, ST784, ST34-like type, and ST130-like type. Conclusions: MLST analyses showed variable ST distribution of B. cereus isolates. Based on this study, there was no significant evidence suggesting a true outbreak caused by a single ST among patients who developed B. cereus bacteremia.

      • 고위험 소아 고형종양에서의 반복적인 고용량 화학요법 및 자가말초혈 조혈모세포이식

        유건희,성기웅,구홍회,김대원,김형록 대한조혈모세포이식학회 2001 대한조혈모세포이식학회지 Vol.6 No.2

        배경: 고용량 화학요법 및 자가 조혈모세포이식으로 고위험 소아 고형 종양의 치료 성적이 현저히 향상되었으나 아직 다수의 환자에서 종양이 재발한다. 본 연구에서는 1회의 고용량 화학요법으로 완치가 어려울 것으로 판단되는 고위험 고형 종양에서 반복적인 고용량 화학요법을 시행함으로서 치료성적을 극대화하고자 하였다. 방법: 1998년 4월부터 2001년 6월까지 삼성서울병원 소아과에서 반복적인 고용량 화학요법 및 자가 말초혈 조혈모세포이식을 시행한 26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대상질환은 신경모세포종 15례, 수모세포종 3례, 뇌간교종 2례, 원시신경외배엽종양 1례, 교모세포종 1례, 털모양별세포종 1례, 악성섬유성조직세포종 1례, 투명세포종 1례, 횡문근육양종 1례이었다.. 1차 및 2차 조혈모세포이식의 혈액학적 회복과 합병증을 비교하였고 고용량 화학요법 전후의 치료반응, 생존율을 분석하였다. 결과: 진단시 중앙 연령은 3년 3개월(7개월~16년 6개월)이었고, 1차 이식 시 중앙 연령은 4년 2개월(16개월~16년 8개월), 1차 이식 후 2차 이식까지의 간격은 중앙값 76일(46일~329일)이었다. 1차, 2차 이식 후 절대호중구수가 500/μL에 도달하는데 각각 10일과 11일(P=0.06)이 소요되었으며 혈소판수가 50,000/μL에 도달하는데 각각 24일과 36.5일(P=0.0005)이 소요되었다. Grade 3 이상의 합병증은 1차 이식에서 구내염이 더 많았으며 간정맥 폐쇄성 질환, 구토, 황달, 신기능 저하 등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으나 2차 이식에서 빈도가 높은 경향을 보였다. 1차 이식 후 부분 관해였던 21명 중 2차 이식 후 완전 관해가 된 경우가 13명이었다. 대상 환자의 3년 생존율은 62.9%였고, 3년 무병 생존율은 57.7%였다. 사망자 9명의 사인은 질병의 진행 4명, 간정맥 폐쇄성 질환 3명, 폐출혈 1명, RSV 폐렴 1명 순이었다. 결론: 2차 고용량 화학요법 및 자가 조혈모세포이식에서 조혈 기능의 회복이 느리고 합병증의 빈도가 더 높은 경향을 보였지만 부분 관해에서 완전 관해로의 전환이 다수에서 관찰되었다. 따라서, 향후 보다 적극적인 보존적 치료가 병행된다면 고위험 소아 고형 종양에서 반복적인 고용량 화학요법을 통해 치료 성적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Background: The survival of the patients with pediatric solid tumors has been improved, but there are still many patients who relapse. In this study, double high dose chemotherapy (HDCT) and autologous peripheral blood stem cell transplantation (PBSCT) was applied to those who seem to have the least chance to be cured with single HDCT, so that maximize the cure rate of patients with high risk childhood cancers. Methods: Twenty six patients received double HDCT and autologous PBSCT from April 1998 to June 2001. Patients' diagnoses were neuroblastoma (15), medulloblastoma (3), brain stem glioma (2), primitive neuroectodermal tumor (1), glioblastoma (1), pilocytic astrocytoma (1), malignant fibrous histiocytoma (1), clear cell sarcoma (1), and rhabdoid tumor (1). We compared the hematologic recovery and the incidence of transplant-related complications after 1st and 2nd HDCT. Results: Median age at diagnosis and at 1st HDCT was 39 mo (7 mo~198 mo) and 50 mo (16 mo~200 mo), respectively. The interval between 1st and 2nd HDCT was median 76 days (46 d~329 d). The neutrophil recovery above ANC 500/μL after 1st and 2nd transplant was attained on day 10 and day 11, respectively (P=0.06). The platelet recovery above 50,000/μL without transfusion dependency was attained on day 24 and day 36.5 after 1st and 2nd transplant, respectively (P=0.0005). Grade 3 or 4 stomatitis was more common during 1st transplant (P=0.045), but other toxicities such as hepatic veno-occlusive disease (VOD), hyperbilirubinemia, and renal insufficiency were more common during 2nd transplant without statistical significances. Of the 21 patients who were in partial remission (PR) after 1st HDCT, 13 patients converted to complete remission (CR) after 2nd HDCT. Patients' 3 year overall survival and disease free survival were 62.9% and 57.7%, respectively. Nine patients died from disease progression (4), VOD (3), pulmonary hemorrhage (1), and RSV pneumonia (1). Conclusion: Delayed platelet recovery and various toxicities were more common after 2nd HDCT. But, many patients achieved CR after 2nd HDCT. Therefore, if delicate supportive cares are provided, double HDCT and autologous PBSCT might increase the cure rate of those patients with high risk pediatric solid tumors.

      • 소아 자가말초혈액 조혈모세포이식 환자의 감염 양상

        유건희,이계향,이수현,김성혜,김상종,유동길,황수정,조은주,구홍회 대한조혈모세포이식학회 2002 대한조혈모세포이식학회지 Vol.7 No.2

        연구배경: 소아 자가 조혈모세포이식 환자를 대상으로 감염의 양상을 파악하여 이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합리적인 대처 방안에 대해 모색하고자 하였다. 방법: 2001년 3월부터 2002년 4월까지 삼성서울병원 소아과에서 고용량 화학요법 및 자가 조혈모세포이식을 시행받은 27명을 대상으로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조사하여 발열 및 감염의 양상에 대한 전반적인 분석을 시행하였다. 결과: 이식 시 중앙연령은 60개월(16~195개월)이었고 남아가 18예, 여아가 9예이었다. 진단별로는 신경모세포종 12예, 급성골수성백혈병 3예, 비호지킨림프종 3예, 수모세포종 2예, 생식세포종 2예, 원시신경외배엽종양 2예, 기타가 3예이었다. 24예(88.9%)에서 발열이 있었고 총 32회의 새로운 발열이 있었다. 발열이 없이 감염 병소가 있었던 1예를 포함하여 25예(92.6%)에서 감염이 발생하였고 미생물학적으로 확인된 감염이 11.1%, 임상적으로 확인된 감염이 22.2%, 미확인 발열이 59.3%였다. 발열 기간 중 동반된 증상으로는 설사(70.8%)와 구내염(58.3%)이 가장 흔하였다. 총발열 기간은 중앙값 5일(0~13일)이었으며 전신방사선조사를 받은 경우 발열 기간이 더 길었다(P=0.0398). 발열의 65.6%는 ANC 500/μL 미만에서 발생하였으나 ANC 1,000/μL 이상에서도 31.3%가 발생하였다. 1차 경험적 항균요법의 성공률은 26%이었고 항생제 사용 일수는 중앙값 19일(7~50일)이었다. 진균 감염이 증명된 예는 없었다. 이식된 CD34 양성세포의 수가 5×10^(6)/kg 이상일 때 그 미만인 경우보다 항생제 투여 기간이 짧았다(15.5일 vs 18일, P=0.0182). 총 7예가 사망하였으나 감염이 사망의 직접 원인으로 작용한 예는 없었다. 결론: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소아 자가 조혈모세포이식 환자에서는 비교적 이른 시기에 발열이 시작되어 장기간의 항생제 투여가 필요하나 감염에 의한 사망은 드문 것으로 기대된다. 세균 이외의 발열 원인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진단법의 개발이 필요하며, 항균요법의 방법을 개선하여 과거의 대조군과 비교하는 연구를 통해 더욱 효과적인 감염 예방과 치료방법을 모색해야 하겠다. Background: In this study, we intended to describe the infectious manifestations in children undergoing autologous peripheral blood stem cell transplantation (APBSCT) and to establish the proper methods of preventing and treating infectious complications in those patients. Methods: We retrospectively reviewed medical records of 27 patients who underwent APBSCT from March 2001 to April 2002 at Samsung Seoul Hospital and analyzed the general manifestations of infectious complications. Results: Median age at transplant was 60 months (16~195 Mo). Patients' diagnoses were neuroblastoma (n=12), acute myeloid leukemia (n=3), non-Hodgkin's lymphoma (n=3), medulloblastoma (n=2), germ cell tumor (n=2), primitive neuroectodermal tumor (n=2), and others (n=3). Fever developed in 24 patients (88.9%) with 32 febrile episodes. Infectious complications occurred in 25 patients (92.6%) including 1 afebrile patient having pneumonic infiltrates. The types of infection were microbiologically documented infection in 11.1%, clinically documented infection in 22.2%, and undefined fever in 59.3%. Diarrhea (70.8%) and oral mucositis (58.3%) were the leading symptom and sign accompanied by febrile episodes. The median duration of fever was 5 days (0~13 days), and it was longer in patients who received total body irradiation (P=0.0398). Fever developed at absolute neutrophil count (ANC) <500/μL in 65.6%, but 31.3% of fever developed at ANC >1,000/μL. The success rate to initial empirical antibiotics was only 26% of patients and the median duration of antibiotic treatment was 19 days (7~50 days), which was significantly shorter when infused CD34^(+) cell count exceeded 5×10^(6)/kg (P=0.0182). There was no proven fungal infection. There were 7 deaths but no patient died from infectious complication. Conclusion: Fever developed relatively earlier, which led to the prolonged use of antibiotics but, mortality rate from infectious complication was rare in children. More accurate and easy diagnostic methods to detect infectious organisms other than bacteria and prospective studies to determine optimal empirical antibiotics for the treatment of fever of unknown origin in APBSCT, would uncover more effective strategy of preventing and treating infectious complications in children undergoing APBSCT.

      • 유전성 대사질환에서의 동종조혈모세포이식 : 단일 기관에서의 경험 A single center experience

        유건희,김흥렬,이지은,이호영,천정미,성기웅,구홍회,이문향,진동규,김종원,김대원,김형록 대한조혈모세포이식학회 2001 대한조혈모세포이식학회지 Vol.6 No.2

        배경: 유전성 대사질환의 치료로서 효소 요법 및 유전자 치료가 제한적인 현실에서 동종 조혈모세포이식이 현재로선 가장 중요한 치료가 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단일 기관에서 유전성 대사질환에 대해 동종 조혈모세포이식을 시행한 경험을 보고하고자 하였다. 방법: 삼성서울병원 유전성 대사질환 조혈모세포이식팀에서는 1999년 12월부터 2001년 3월까지 총 6례의 유전성 대사질환을 대상으로 동종 조혈모세포이식을 시행하였다. 대상 질환은 Hunter 증후군 3례, galactosialidosis 1례, 이염성 백질이영양증 1례, 부신백질이영양증 1례였으며 성별 분포는 남아가 5명, 여아가 1명이었으며 연령 분포는 2년 9개월에서 15년 9개월이었다. 5례는 HLA 일치 혈연간 골수이식이었으며 1례는 HLA 불일치 T 림프구 제거 말초혈액 조혈모세포이식이었다. 전처치는 모두 BuCy를 사용하였으며 이식편대숙주반응의 예방에는 cyclosporine을 사용하였다. 이식된 세포는 유핵세포가 4.81×10^(8)(2.40~7.01×10^(8))/kg이었으며 CD34+ 세포는 3.65×10^(6)(0.88~10.72×10^(6))/kg이었다. 결과: 이식 후 조혈기능의 회복은 모두 조기에 달성되었으며(ANC>500: 정중 9.5일, 범위 9~14일; PLT>50K: 정중 32일, 범위 23~34일) 이식과 관련된 합병증은 Gr I의 aGVHD 3례, 국한성의 cGVHD 1례, 경증의 간정맥 폐쇄성 질환이 1례이었다. 모든 환자에서 직간접적으로 이식 후 효소의 생산이 증가함이 확인되었으며 임상적인 호전을 보인 경우가 4례, 질병 진행이 중단된 경우가 1례, 질병이 진행된 경우가 1례이었다. 질병 진행이 중단되었던 1례는 면역억제제 투여 중 수두 감염에 의한 폐출혈로 사망하였다. 결론: 유전성 대사질환에서 동종 조혈모세포이식이 가장 중요한 치료법으로 사용될 수 있고 중추신경계 증상이 나타나기 전, 가능한 조기에 조혈모세포이식을 시행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며 적극적인 지지 요법이 필요하다. 향후 더 많은 임상 경험이 필요하리라 사료된다. Background: Allogeneic hematopoietic stem cell transplantation (HSCT) may be the most important treatment modality to cure a number of genetic metabolic disorders because of the limitation of enzyme replacement or gene therapy. In this study, we report our single center experience about HSCT in several genetic metabolic disorders. Methods: We performed 6 cases of HSCT for genetic metabolic disorders from December 1999 to March 2001. Patients' diagnoses were Hunter syndrome (3), galactosialidosis (1), metachromatic leukodystrophy (1), and adrenoleukodystrophy (1). Stem cell sources were bone marrow from HLA matched sibling donors in 5 patients and mother's peripheral blood stem cells in one patient who did not have HLA matched donors. Busulfan and cyclophosphamide for conditioning, and cyclosporine for the prevention of graft versus host disease were used in all patients. Transplanted total nucleated cell counts were median 4.81×10^(8)(2.40~7.01×10^(8))/kg , and CD34+ cells 3.65×10^(6)(0.88~10.72×10^(6))/kg. Results: All patients achieved early hematologic recovery (median 9.5 days, range 9~14 days for ANC>500/μL; median 32 days, range 23~34 days for PLT>50,000/μL). Transplant-related complications were 3 cases of grade 1 acute GVHD, a case of limited chronic GVHD, and a case of mild hepatic veno-occlusive disease. Enzyme levels were normalized in 4 patients evaluated and there were indirect evidences of enzyme production in the other 2 patients after HSCT. Four of the 6 patients showed symptomatic improvement, 1 patient (galactosialidosis) experienced disease stabilization without progression before he eventually died due to pulmonary hemorrhage, and the other 1 patient deteriorated progressively even after HSCT. Conclusions: Allogeneic HSCT can be done as the only curative treatment in a number of genetic metabolic disorders. It seems desirable to perform HSCT as early as possible before the onset of central nervous system symptoms. More experience and long term follow up is needed to evaluate the efficacy and to monitor the long term transplant-related complication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