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IoT 센서 기반의 안돈 시스템과 생산현황 실시간 모니터링
이수현,우도희,박재일 한국경영과학회 2015 한국경영과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5 No.4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수동적인 안돈시스템이 아닌 IoT센서 기반의 안돈시스템을 제시하고 있다. 먼저 IoT센서를 선택한 이유와 현재 제조업의 변화 및 전망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흐름에 맞춘 센서 기반의 안돈시스템을 구현하였고, 구체적 방법과 결과를 나타내었다. 3가지 품목을 생산하는 5개의 조립 라인 공정을 연구 대상으로 하여 IoT 센서를 이용한 데이터베이스 구축, 실시간 정보 전송 및 센싱방법을 기술하였다.
이수현,김수현,유연실,안지영,이정민,손진성,이영경,송숙희,김혜옥 대한결핵및호흡기학회 2014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Vol.77 No.4
Here, we report a case of pulmonary paragonimiasis that was improved with initial anti-tuberculosis (TB) therapy but confused with reactivated pulmonary TB. A 53-year-old Chinese female presented with a persistent productive cough with foul smelling phlegm and blood streaked sputum. Radiologic findings showed subpleural cavitary consolidation in the right upper lobe (RUL). Bronchoscopic and cytological examination showed no remarkable medical feature. She was diagnosed with smear-negative TB, and her radiologic findings improved after receiving a 6-month anti-TB therapy. The chest CT scans, however, obtained at 4 months after completion of anti-TB therapy showed a newly developed subpleural consolidation in the RUL. She refused pathologic confirmation and was re-treated with anti-TB medication. Nevertheless, her chest CT scans revealed newly developed cavitary nodules at 5 months after re-treatment. She underwent thoracoscopic wedge resection; the pathological examination reported that granuloma caused by Paragonimus westermani. Paragonimiasis should also be considered in patients assessed with smear-negative pulmonary TB.
미세먼지 Chamber를 이용한 실제 대기환경 모사실험 및 피부영향 평가
이수현,이태규 한국공업화학회 2019 한국공업화학회 연구논문 초록집 Vol.2019 No.1
최근 우리나라에서 가장 대표적인 환경문제는 미세먼지(Particle Matters, PM)에 의한 대기오염이다. PM은 피부 산화 스트레스를 유발하여 활성산소(ROS)를 생성한다. ROS의 증가로 인해 단백질 분해효소 MMPs가 증가하여 진피 콜라겐이 분해되어 피부 노화가 촉진된다. 공기 중 PM의 표면에 흡수된 aryl hydrocarbon receptor(AhR)의 ligand인 PAH는 피부에 침투하여 각질 세포 및 멜라닌 세포와 같은 표피 세포에 직접 영향을 미친다. PAH의 산화된 생성물은 세포에서 산화 스트레스 반응을 유도한다. 산화 스트레스의 정도가 피부의 항산화 능력을 초과하면 산화적 손상, 조기 피부 노화 및 피부암을 유발한다. 본 연구에서는 미세먼지 Chamber의 광의 세기, 온도, 습도 등을 조절한 실제 대기환경 모사실험을 통하여 PM의 물리적·화학적 특성을 파악하고 Chamber 내부에 인공피부를 넣어 미세먼지 모사체를 도포한 후 피부세포의 ROS 독성평가를 통하여 궁극적으로 피부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한다.
이수현,정윤영,임예지,고선영,최유아,김영운,이성은,박종원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2012 Yeungnam University Journal of Medicine Vol.29 No.1
Plasma cell myelomas generally manifest as bone or soft-tissue tumors with variable mass effects, pain, and infiltrative behavior. Extramedullary involvement occurs most commonly in the spleen, liver, lymph nodes, and kidneys, but intracranial involvement in plasma cell myeloma is a rare extramedullary manifestation. These authors recently encountered a case of intracranial involvement of plasma cell myeloma. A 69-year-old man was hospitalized for headache and mental changes. Brain CT showed subdural hemorrhage caused by plasma cell myeloma. Plasma cell myeloma with intracranial involvement has poor prognosis, and the patient in this case died from acute complications, such as subdural hemorrhage. Based on this case report, it is suggested that more effective treatment regimens of plasma cell myeloma with intracranial involvement be developed. Moreover, a screening method and decision on the appropriate time for intracranial involvement are needed for plasma cell myeloma patients.
화장품 제형별 미세플라스틱의 정확한 검출을 위한 전처리법 확립 연구
이수현,이태규 한국공업화학회 2019 한국공업화학회 연구논문 초록집 Vol.2019 No.1
미세플라스틱은 오늘 날 해양에 서식하는 생물들의 생태계를 위협하고 있다. 미세플라스틱에는 합성 단계부터 작게 만들어진 1차 미세플라스틱과 사용 후 물리적인 힘에 의해 작게 분해된 2차 미세플라스틱이 있다. 이 중 2차 미세플라스틱의 경우에는 비의도적으로 첨가되어 우리의 건강을 위협하고 있다. 본 연구는 화장품 용기 내의 재료로 많이 쓰이는 플라스틱은 첨가하지 않더라도 비의도적으로 함유될 수 있으며, 배합 금지 성분으로 지정된 미세플라스틱에 대한 정확한 검출 및 정량 분석을 위한 제형별 전처리법 확립을 목표로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