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후보
      • Sonography of Diffuse Benign Liver Disease : Fatty Liver versus Chronic Active Hepatitis 지방간과 만성활동성간염의 비교연구

        Kim, Il-Young,Kim, Pyo-Nyun,Cho, Won-Soo,Bae, Won-Kyung,Hwang, Sung-Gyu,Yang, Seng-Ha,Lee, Kyung-Soo 순천향의학연구소 1995 Journal of Soonchunhyang Medical Science Vol.1 No.1

        초음파검사에의한 만성활동성간염과 지방간의 감별점은 명확히 정립된 것이 없다. 본연구자들은 상기의 만성활동성간염과 지방간의 감별점을 초음파검사에 의해 찾아보고자 본연구를 시행하였다. 저자들은 간실질의 에코의 정도와 간문맥의 벽의 불명확정도를 분석하였다. 간의 에코의 정도는 우측신장의 피질과 비교하여 그정도를 분류하였다. 간문맥의 불명확정도를 분류하였으며 가장 않보일때를 그레이드 3으로 정하였다. 정상소견 13례를 포함하여 11례의 지방간과 32례의 만성활동성간염의 초음파필림을 2명의 방사선과전문의가 병리적진단에 대한 정보없이 판독하였다. 지방간에 있어서는 간실질의 에코는 그레이드 Ⅱ가 6례, 그레이드 Ⅲ이 5례였다. 문맥의 불명확정도는 전례에서 그레이드 Ⅲ이었다. 만성활동성간염에서는 간실질의 에코는 그레이드 Ⅰ이 29례, 그레이드 Ⅱ가 2례, 그레이드 Ⅲ이 1례였다. 간문맥의 불명확정도는 그레이드 Ⅱ가 18례, 그레이드 Ⅲ가 14례였다. 초음파소견에 의한 진단의 평균 정확도는 64%였다. 평균 예민도는 60%, 평균 특이도는 77%였다. 본연구의 결과는 두질환을 감별하는데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p=.0458).

      • SCOPUSKCI등재

        성인에서의 담관 낭종과 췌담관 합류 이상

        김명환,김영환,김효정,이성구,서동완,최호순,이승규,유병무,민영일,고문수,민병철,이미화,임미경,김표년 대한소화기내시경학회 1996 Clinical Endoscopy Vol.16 No.1

        Background/Aims: Choledochal cyst is a congenital dilatation of extraor intrahepatic bile duct . Recently, anomalous union of pancreaticobiliary duct(AUPBD) is supposed to be one of the major causes of choledochal cyst. The aims of this study are to assess the association ratio of AUPBD in choledochal cyst and whether the AUPBD in choledochal cyst have a clinical significance. Methods: The study subjects were 35 adult patients who were diagnosed by ERCP in Asan Medical Center from August, 1990 to July, 1995. We have classified the type of choledochal cyst and AUPBD according to Todani and Kimura, respectively. Result: The number of choledochal cyst was 14 cases(40%) in type I, I case(3%) in type II, 6 cases(17%) in type Ⅲ, 11 cases(31%) in type IVA. Three cases were unclassified. Among the 35 cases, 22 cases(63%) of choledochal cyst were associated with AUPBD. AUPBD was only seen in type I, IVA and unclassified form of choledochal cyst. The number of patients with type 1 AUPBD was 10(45%) and type 2 was 12(55%) by Kimura's classification. 'Che mean age was younger in patients with choledochal cyst and AUPBD(36.2 16 years) than in choledochal cyst aione(49.3 19 years). Acute inflammation and malignancy of biliary tree 8z pancreas were more commonly seen in patients with choledochal cyst and AUPBD than choledochal cyst alone. Conclusion: In patients with choledochal cyst, the association of AUPBD was not uncommon and they had more grave clinical course. AUPBD may be a contributing factor to develop mali~ancy in patiehts with choledochal cyst.

      • 췌장 가성낭종에 대한 재고

        김일영,이병호,김표년,송옥평 순천향대학교 1988 논문집 Vol.11 No.3

        Pancreatic pseudocyst is a relatively rare disease, but early diagnosis and adequate treatment is essential for the management of patient with pancreatic pseudocyst. If early diagnosis and adequate treatment is failed, serious complications such as infection and hemorrhage cause a high mortality. The authors reviewed the charts and X-Ray films of 13 cases of pancreatic pseudocysts which were diagnosed in Chun-An Soonchunhyang hospital, and got following results.: 1. Almost all pancreatic pseudocysts developed after 40 years old age. The most frequent clinical symptoms and signs are abdominal pain and palpable mass, and about half of patients had elevated serum amylase levels. 2. Significant number of conventional X-Ray films showed paralytic ileus, left hemidiaphra gmatic elevation, left pleural effusion, infiltration in left lung base, and compression effects on UGI series. 3. Almost all pseudocysts showed well defined unilocular cystic mass on US or CT scans, but some cases showed multilocular cystic mass or internal debris. 4. Almost all pseudocysts were oval shaped, ranged from 1.9-6.7 cm in diameter, and located near pancreas. The majority of pseudocysts were a single cyst, but some cases had multiple cysts in single patient. 5. We found that pancreatic pseudocysts had a dynamic course on follow up US study, and thought that US study was very necessary for decision of management method.

      • 간세포암의 초음파진단

        김표년,김일영,이상헌,이병호 순천향대학교 1988 논문집 Vol.11 No.3

        Authors analyzed ultrasonographic findings of 46 cases with histopatholgically proven hepatocellular carcinoma. The results are as follows: 1.Ultrasonographic echopattern of hepatocellular carcinoma is hyperechoic in 26 cases(56.5%), hypoechoic in 8 cases (17.4%), isoehoic in 10 cases (21.8%) and complex echopattern in 2 cases (4.3%). 2. Size of tumor is larger than 5cm in diameter in 32 cases (70%). 3. Margin of the tumor is well defined in 30 cases (65%) and ill defined in 16 cases(35%). 4. Type of the tumor is nodular in 33 cases (71.1%), multiple in 9 cases (19.5%) and diffuse in 5 cases (9.4%). 5. Location of the tumor is right lobe in 29 cases (63%), left lobe in 7 cases (15%) and both lobes in 10 cases (22%). 6. Association of liver cirrhosis is 21 cases (45.6%).

      • KCI우수등재

        비만 성인에서 컴퓨터 단층촬영에 의한 내장지방 축적과 관련된 생활습관 요인

        박혜순,김표년 대한비만학회 2002 The Korean journal of obesity Vol.11 No.4

        연구배경 : 비만인 경우 지방의 분포에 따라 건강위험도가 달라지는 바, 피하지방형 비만보다 내장지방형 비만인 경우 동맥경화의 위험이 높아지게 된다. 한국인의 경우 비만의 정도가 서구인에 비해 심하지 않더라도 그와 관련된 대시 질환의 유병률이 높지만, 그 유발 인자가 되는 내장형 비만과 관련된 인구사회학적, 환경적 요인에 대해서는 아직 밝혀진 바가 부족하다. 이에 한국인 비만 환자에서 내장지방 축적과 관련된 교정 가능한 생활습관 요인을 파악하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법 : 종합병원 비만클리닉을 방문한 20세 이상의 과체중 이상 성인 418명 (남 : 115명, 여 : 30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인구사회학적 변수와 흡연, 음주, 신체적 활동, 스트레스 등의 생활습관 자료는 자가 문진으로, 영양 섭취는 면접을 통한 24시간 회상법으로 시행하였다. 혈압, 혈당, 혈청지질, 인슐린 농도를 측정하였으며, 복부지방 단층 촬영은 제 4 ~ 5 요추 사이에서 시행하였다. 내장 지방 축적 상태에 따라 내장지방형 비만과 피하지방형 비만으로 나누어 관련 요인에 대해 분석하였다. 결과 : 내장지방 축적에 대한 위험이 남자에서 여자보다 높았고, 남. 녀 모두 연령이 증가할수록 그 위험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남, 녀 모두 미혼자보다 기혼자에서, 기존 체중의 20% 이상 체중 증가가 있는 경우 및 폭식 경향이 있는 경우 내장지방 축적의 위험이 유의하게 높았고, 신체 노동자에 비해 정신 노동자에서 위험이 유의하게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여자에서는 반복적 다이어트의 경험이 있는 경우 및 스트레스 정도가 약할수록 내장지방 축적의 위험이 높았으나, 음주자의 경우 위험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 내장지방 축적은 성별, 연령과 같은 생리적 요인과 결혼, 직업, 음주, 스트레스 등 환경적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내장지방 축적을 예방하기 위해 남, 녀 모두 지나친 체중 증가를 막고 폭식을 조절해야 하며, 여자에서는 반복적 다이어트와 요요 현상을 피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Background : Visceral fat accumulation is highly related to metabolic disorders compared to subcutaneous fat at a given BMI or waist circumferenc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odifiable lifestyle factors for visceral fat accumulation by performing CT scan in obese adults. Method : The participants included were 418 adults (BMI ≥ 23kg/㎡) who visited the obesity clinic in a General hospital. The abdominal fat distribution had been assessed by CT scan at the level of L4-L5. Demographic and lifestyle factors, and nutrition intake were evaluated. Blood pressure, fasting glucose, lipid profiles, and fasting insulin were measured; lipid profiles, and fasting insulin were measured. We analyzed the associated factors for visceral fat accumulation in men and women, respectively. Results : The risk for visceral fat accumulation in men was higher than in women, and it increased significantly with age in both genders. Married people, persons who gained more than 20% of their former weight, and persons with binge eating tendency were at greater risk for visceral fat obesity. In women, those who had repeatedly attempted diet, and who were less sensitive to stress had a higher risk for visceral fat obesity. In contrast, white collars in both genders, and female drinkers showed were at lower risk for visceral fat accumulation. Conclusion : The visceral fat accumulation was affected by sex, age, demographic, and lifestyle factors. We should pay more attention to controlling excessive weight gain and binge eating habit in both genders. The repeated diet and weight cycling were proven to be risk factors for visceral fat accumulation in wome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