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셀프리더십의 영향요인과 효과: 의료기관 조직구성원을 중심으로
민병철,임성원,김한결,이현실 한국보건행정학회 2013 보건행정학회지 Vol.23 No.1
The purpose of this empirical study is to investigate the factors of self-leadership depending on individual characteristics, job characteristics, and qualities of leader-member exchange. Additionally, this study aims to discover the effect of self-leadership’s outcome factors o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nd innovative activities. In order to verify research model and hypothesis,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from department members working at general hospitals, hospitals, and clinics in metropolitan area of Seoul, which were 85 departments and 344 respondents.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SPSS ver. 19.0 and Amos ver. 18.0 statistical package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ed that both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job characteristics have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self-leadership. Also, self-leadership had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on innovative action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 First, this study empirically explained how self-leadership is applied in healthcare organizations. Second, it verified the relationship between causal factors and outcome factors of self-leadership. Also, prior researches of self-leadership have been conducted on business companies, but this study explored self-leadership at healthcare organizations, which increased external validity. Nowadays, many people are interested in the effect of leadership in order to overcome issues coming from enlarged organizations and to improve performance. Self-leadership will contribute to maximizing voluntary efforts of human resources and performance in a rapidly changing healthcare industry.
청소년의 정보통신 윤리의식 수준과 선플활동 경험과의 관계
민병철,오경숙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9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9 No.8
본 연구는 청소년의 정보통신 윤리교육의 방법으로 선플달기 캠페인은 물론 다양한 청소년 체험활동을 통한 교육방법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청소년들의 정보통신 윤리의식 수준은 어떠하며, 이는 성별과 선플활동 경험에 따른 청소년의 정보통신 윤리의식 수준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의 초, 중,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2231명의 청소년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프로그램을 사용하여 t검증과 일원변량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정보통신 윤리의식을 존중, 정의, 예절, 자율, 책임의 5개 요인으로 설명하였다. 연구결과, 청소년의 정보통신 윤리의식은 매우 높은 수준이었고,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정보통신 윤리의식 수준이 높았다. 6개월 이상의 선플활동 경험을 한 청소년들의 정보통신 윤리의식이 높았으며, 특히 ‘정의’, ‘예절’, ‘책임’에서 선플 활동 경험이 많을수록 높은 결과를 나타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청소년의 정보통신 윤리의식 교육에 있어 선플활동과 같은 학생 참여 프로그램이 정보통신 윤리의식을 높여줄 수 있다는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The following study investigates the level of ethical sense amongst teenagers regarding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and how differences are constructed depending on gender and experiences on commenting activities. In order to do so, 2231 students i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nationwide took part in the study. The gathered information was analyzed with the t-test and one way analysis of variance was conducted through the SPSS 21.0 program. The study further explained ethical senses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with 5 different factors: respect, justice, manners, autonomy, and responsibility. The analysis showed that ethical senses of communication and information amongst teenagers were high, and female students tend to have a higher level of ethical sense than male students. Students that had the experience of writing positive comments for more than 6 months tend to have higher senses, and in particular, the more experience of writing positive comments in the areas of ‘justice’, ‘manners’, and ‘responsibility’, results showed higher ethical senses. The results of the following study drew out implications that student participatory programs such as writing positive comments can increase ethical senses amongst teenagers in the education of communication and information ethical senses of students.
섬유근육통 환자의 부교감신경 긴장도 감소와 위 내용배출시간 지연과의 관련성
민병철,이정욱 대한내과학회 2015 대한내과학회 추계학술발표논문집 Vol.2015 No.1
배경: 섬유근육통 환자들은 자율신경계기능장애 및 근육계통의 불편감을 호소한다. 섬유근육통은 위장관 증상 및 징후의 위험도를 증가시킨다. 위 내용배출시간 섬광 조영술은 가장 널리 이용되는 위장관 운동 측정 방법이다. 심장박동수 변이의 주파수 영역 분석에서 고주파 영역은 부교감신경 활성도를 나타내고 저주파는 부분적으로 교감신경 활성도를 나타낸다. 목적: 섬유근육통 환자의 위 내용배출시간 검사에 영향을 미치는 상태 및 인자에 대해 평가해보고자 한다. 방법: 36명(여자: 33명, 평균연령 41±13세)의 섬유근육통 환자와 나이 및 성별을 고려한 30명의 건강한 성인을 대상으로 방사성 동위원소 함유 고형음식물사용하여 위 내용배출시간 및 야간 공복 상태의 심장박동수 변이를 비교하였다. 모든 환자를 대상으로 혈청 및 침샘 cortisol, 섬유근육통 영향도 설문조사(FIQ), 시각 통증 척도(VAS), 상태-특성불안 검사(STAI), Beck 우울 검사(BDI) 압통점 수(Tender points count)를 측정하였고 심장박동수 변이는 주파수 영역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섬유근육통 환자군은 대조군보다 고형음식물 위 내용 배출 검사상의 유의한 시간 지연이 있었다. 지연 시간(56.7±15.4분 vs 28.8±13.0분, p<0.005) 위 내용물 절반 배출시간(T1/2) (155.4±85.6분 vs 77.0±15.4분, p<0.001) 120분 위 내용물 저류(59.4±17.7% vs 23.4±8.1%, p <0.001) 120분 위 내용물 저류는 Cortisol level, 섬유근육통 영향도 설문조사(FIQ), 압통점 수(Tender point count), 상태-특성불안 검사(STAI), Beck 우울검사(BDI) 및 심장박동수 변이의 주파수 영역과는 특별한 연관성이 없었다. 결론: 섬유근육통 환자군은 건강대조군과 비교하여 위 내용 배출 시간상 유의하게 지연되어 있었으며 이는 부교감신경 긴장도와 연관되어 있을 것으로 추측된다.
Al-Cu-Li-Mg-Ag-Zr합금의 시효에 따른 전기화학적 분극 거동과 공식특성
민병철,정동석,손태원,조현기 ( B . C . Min,D . S . Chung,T . W . Shon,H . K . Cho ) 한국열처리공학회 1996 열처리공학회지 Vol.9 No.2
In this paper, we studied on both electrochemical polarization behaviors and pitting characteristics of ultra high strength Al-Cu-Li-Mg-Ag-Zr alloys(named C1 and C2) and 2090 alloy according to their treatments in the deaerated 3.5% NaCl, using by the potentiodynamic and the potentiostatic method; SEM micrograph and surface roughness including depth of pitting attack. With the cyclic polarization curves, the hysteresis of the C1 and C2 alloys appeared more remarkably than that of the 2090 alloy, because of precipitation microstructural difference between C1, C2 alloys and 2090 alloy. In the pitting experiments, the correlations between pitting growth and aging conditions were analyzed with the SEM micrograph and measurement of the pit dept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