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중환자실 입원환자에서 Vancomycin 내성 장구균의 직장내 감시 배양 연구

        김동림,유철웅,정희진,우흥정,최선주,김우주,박승철 대한화학요법학회 2001 대한화학요법학회지 Vol.19 No.2

        목적: 1990년대 들어 미국에서 중요한 원내 병원균으로 부각되고 있는 VRE는 대부분 항생제에 내성을 보이며 적절한 치료약제가 없는 실정이다. 국내에서 VRE의 빈도는 임상분리 장구균중 약 1%, 대변 배양검사에서 2-8%로 보고된 바 있다. 그러나 VRE 출현의 위험이 높은 중환자실에서 VRE 보균율에 대한 연구 결과는 없었다. 저자들은 본원에서 VRE의 임상 감염예가 발생되었던 중환자실 환자들을 대상으로 직장내 감시 배양을 시행하여 VRE의 보균율을 조사하고 VRE 보균에 관여하는 위험인자를 규명하여 VRE 감영 관리에 기본 자료로 삼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98년 8월부터 10주간 고대 구로 병원 중환자실엣 입원한 환자들을 대상으로 매주 1회 직장내 감시 배양을 시행하여 VRE의 보균율을 조사하였다. 직장 도말을 vancomycin 6㎍/mL이 포함함 Enterococcosel agar에 접종하여 VRE를 일차 검색하였다. 한천 회석법으로 vancomycin과 teicoplanin의 MIC를 측정하여 표현형을 결정하였고 PCR을 이용하여 vanA, vanB, vanC1, vanC2에 대한 유전형을 결정하였다. VRE 직장내 보균자와 비보균자간 임상 자료를 비교하여 VRE 보균에의 위험 인자들을 조사하였다. 결과 : 대상환자 93명중 22명 환자에서 26주의 VRE가 분리되어 23.7%의 직장내 보균율을 보였으나 조사기간 중 임상 감영은 없었다. 분리주중 E. faecium, E. gallinarum, E. casseliflavus는 VanC형을 표현형으로 나타내어 유전형과 일치하였다. 3명의 환자에서는 2개 이상의 균종이 분리되어 복합 보균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VanA형VREF가 분리된 2명은 모두 기저 질환을 가지고 있엇고, 각각 중환자실 입원 32, 16일째에 VRE가 분리 동정되었다. VRE 직장내 보균에의 위험 인자로는 당뇨병, 중심 정맥 도관 장착, 동맥 도관의 장착, vancomycin사용의 기왕력 등의 유의하게 관련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결론 : 본원 중환자실에서 직장내 감시 배양 연구 결과 VRE의 직장내 보균율은 23.6%였으나, 임상적으로 유의한 VanA형 VREF의 보균율은 2.2%(2/93) 였다. 따라서 출현 초기인 현 시점에서 국내 대학병원 중환자실 환자에서 VRE의 감염을 예방하기 위해 HICPAC에서 제시한 수칙을 준수하며, 특히 vancomycin의 사용을 제한해야 될 것으로 사료된다. Background : VRE (vancomycin-resistant enterococci) have been an important nosocomial pathogen in the United States in the 1990s. VRE are usually multidrug-resistant, and pose a therapeutic problems and dilemmas. In late 1990s, VRE have become an emerging nosocomial pathogen in Korea, but there have been a few studies on the epidemiologic investigation on the infection or colonization of VRE among hospitalized patients with high risk factor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prevalence of rectal colonization of VRE among patients hospitalized in the intensive care unit (ICU), to study the risk factors for nosocomial acquisition of VRE, and to obtain the baseline data for controlling the spread of VRE infection within the hospital. Methods : Between August 1 and October 12 (10 weeks) 1998, a prospective surveillance study was conducted in the ICU at Korea University, Guro Hospital. Surveillance rectal swab cultures for detecting VRE were obtained at weekly intervals among 93 patients admitted to the ICU during the study period. To obtain the VRE, rectal swab cultures were performed on Enterococcosel agar (BBL Microbiology Systems, Cockeysville, Md, USA) containing 6 ㎍/mL of vancomycin. Minimal inhibitory concentrations (MICs) of vancomycin and teicoplanin were determined by agar dilution method. For the genotyping of isolated VRE, detection of vanA, vanB, vanC1 and vanC2 gene by polymerase chain reaction was done. Patients harboring VRE were compared to patients who were not colonized with this organism to identify the risk factors associated with rectal colonization. Results : The rectal colonization rate of VRE among ICU patients was 23.6%(22/93patients), but there were no patients with VRE infection during the study period. Twenty-six strains of VRE, which were isolated from 22 patients, incluede 2 vanA E.feacium, 18 vanC1 E. gallinarum and 6 van C2 E. casseliflavus isolates. Therefore the colonization rate of clinically significant vanA genotype vancomycin-rexixitant E.faecium(VREF) was 2.2% (2/93 patients). Risk factors for rectal colonization of VRE included diabetes, catheterization of arterial and central venous lines, and vancomycin usage. Conclusions : This study demonstrated the low rectal colonization rate of clinically significant VREF (2.2%) among patients admitted to the ICU. This study suggested that maintaining HICPAC guidelines, restricted vancomycin usage and periodic surveillance in patients with high risk factors are important in preventing the emergence and spread of VRE infection among ICU patients in a university-affiliated hospital.

      • 임상 검체에서 분리된 vancomycin 내성 장구균에 대한 Quinupristin/dalfopristin(Synercid®)을 포함한 10종 항균제의 시험관내 항균력

        정희진,박기호,김동림,김우주,김민자,박승철,신종희 대한화학요법학회 1999 대한화학요법학회지 Vol.17 No.2

        목적 : 본 연구에서는 고려대 병원과 전남대 병원에서 임상 검체로부터 분리된 VRE 16균주를 대상으로 하여 장구균 감염의 치료에 흔히 사용되는 항균제인 ampicillin, gentamicin, vancomycin, teicoplanin과 VRE에 대해서도 비교적 항균력이 있는 것으로 알려진 기존의 chloramphenicol, doxycycline, erythromycin, ciprofloxacin, rifampicin, 그리고 다제 내성 그람 양성균의 치료를 위하여 새로이 개발된 quinupristin/dalfopristin을 이용한 시험관내 항균력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방법 : 총 16균주의 VRE faecium을 대상으로 quinupristin/dalfopristin (Synercid^(R))를 포함한 10종 항균제에 대한 최소 발육 억제 농도(MIC)를 한천희석법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각각의 항균제에 대한 감수성은 NCCLS에서 제시한 기준에 의거하여 해석하였다. 결과 : 1) 5균주의 vanB VRE에 대한 항균제의 MIC_(90)은 ampicillin, erythromycin, gentamicin, cipro- floxacin에서 각각 64㎍/㎖, 512㎍/㎖, 512㎍/㎖, 4㎍/㎖로서 100%에서 내성을 보였고, doxycycline, chloramphenicol의 경우 4㎍/㎖, 4㎍/㎖로서 100%에서 감수성을 보였다. Teicoplanin의 MIC_(90)은 1㎍/㎖로서 모두 감수성을 보였고 quinupristin/dalfopristin에 대해서도 MIC_(90) 0.25㎍/㎖로서 감수성을 보였다. 2) 11균주의 vanA VRE에 대한 항균제들의 MIC 범위는 vanB VRE보다는 다양하였다. MIC_(90)을 보면 amplicillin, erythromycin의 경우 256㎍/㎖, 512㎍/㎖으로 100%에서 내성을 보였응며, gentamicin은 MIC_(90) ≥500㎍/㎖의 고도내성을 보인 경우가 8 균주로서 73%에서 내성을 보였다. Ciprofloxacin은 vanB VRE에서와 마찬가지로 MIC≥32㎍/㎖의 100%의 내성을 보였다. Chloramphenicol의 경우는 MIC_(90)이 16㎍/㎖로서 vanA VRE faecium에 대해서도 감수성이 있는 약제로 남아 있었다. 반면에 doxycycline은 MIC_(90)이 4㎍/㎖로서 시험관내에서는 100% 감수성을 보였고, quinupristin/dalfopristin은 MIC_(90)이 2㎍/㎖로서 내성을 보인 균주는 한 균주도 없었다. 결론 : 국내 임상분리 VRE 16균주는 기존에 사용되어 오던 chloramphenicol, doxycyline등의 항균제에 대하여 시험관내에서 100% 감수성을 보였으며 quinupristin/dalfopristin과 같은 새로운 항균제에 대해서도 중등도 또는 완전 감수성을 보여 향후 VRE에 의한 감염증 치료에 있어 이들 약제의 병합요법등이 고려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Background : Vancomcyin-resistant enterococci (VRE) have become a major nosocomial pathogen in the USA during 1990s. In Korea, VRE have recently emerged as a important nosocomial pathogen and posed therapeutic difficulty. We evaluated the antimicrobial susceptibility of clinical VRE isolates to the antimicrobial agents that are commonly used to treat enterococcal infections and to some alternative drugs and to a newer antibiotic such as quinupristin/dalfopristin(Synercid®). Methods : We evaluated 16 clinical VR-E. faecium (5 vanB VRE, 11 vanA VRE) strains that were isolated from Korea Universtiy and Chonnam University hospital during the last five years (1994-1998). The isolates were identified to the species level by using API 20system. The in vitro susceptibility testing was performed by the agar dilution methods, following the criteria described by the National Committee for Clinical Laboratory Standards (NCCLS). The VRE isolates were tested against antimicrobial agents commonly used to treat enterococcal infections (vancomycin, teicoplanin, ampicillin, gentamicin), potential alternative drugs (chloramphenicol, doxycycline, ciprofloxacin, erythromycin, rifampicin) and a newer antibiotic (quinupristin/dalfopristin). Results : 100% (5/5) of vanB VR-E. faecium were resistant to ampicillin, gentamicin and ciprofloxacm, but 100% (5/5) were susceptible to chloramphenicol, doxycycime, teicoplanin and quinupristin/dalfopristm. 100% (11/11) of vanA VR-E. faecium were resistant to ampicillin, ciprofloxacm, 73% were resistant to gentamicin, and 100% (11/11) were susceptible to chloramphenicol and doxycycline. Quinupristin/dalfopristm showed intermediate or high level susceptibility against all vanA VRE isolates. Rifampin is less susceptible (MIC: 4-16 ㎍/mL) against both vanA and vanB VR-E. faecium. Conclusion : The treatment options for infections caused by VRE seem to be very narrow since a small percentage of those isolates were susceptible to the other antmicrobial agents commonly used to treat these infections. And only a few of the alternative drugs including quinupristin/dalfopristm tested showed good in vitro activity. This study suggested that chloramphenicol, doxycycline and qumuprisitin/dalfopristin would be a good candidate to treat VRE infection, but further studies are necessary to demonstrate the clinical role of these antimicrobial agents.

      • Vancomycin-Resistant Enterococci (VRE) 빈도, 검사법 및 감염관리 대책에 관한 전국 병원 설문조사

        정희진,김우주,최선주,이경원,최강원,박승철 대한감염학회 2001 감염 Vol.33 No.2

        Background : Vancomcyin-resistant enterococci (VRE) have been an important nosocomial pathogen in the 1990s. Recently, VRE have become an emerging nosocomial pathogen in Korea, but there have been no nationwide study about the status of VRE in Korea. This nationwide questionnaire survey was aimed to determine the prevalence of VRE, the appropriateness of detection method fur VRE, and to evaluate the infection control program in hospitals of various size in Korea. Methods : During 4 weeks (September 1 to October 1, 1999), a questionnaire surveillance study was conducted. We had sent the questionnaire to 200 large hospitals in Korea, which were distributed nationwide. Questionnaire included the prevalence of VRE within the hospital, the detection method for VRE, method of enterococci isolation, antibiotics-susceptibility test and infection control method of VRE. Results : The response rate to questionnaire was 42%. The species identification of enterococci was capable in 62.3% but the accurate enterococcal speciation were capable in 18%. Appropriate antibiotic-sus-ceptibility test were produced only in 6.5%. Total 746 VRE were detected in 42 hospitals during 1-year despite of low sensitivity of detection methods. VRE was noted in 54.4% of hospitals at least. The isolation programme of VRE infected patients was presented in 20.3%, regular surveillance of VRE in high-risk pop ulation was produced only in 16.5%. Conclusion : The prevalence of enterococci among microorganisms isolated from clinical specimens were increased up to 27.7% in Korea. VRE has been emerged in many big cities as well as in Seoul. The microbiological methods that include the speciation of enterococcal isolates, antimicrobial susceptibility test, and VRE detection appeared to be inappropriate in many hospitals. And, proper control and prevention methods were presented in a few hospitals. Education and training about accurate detection of VRE as well as proper infection control programs for VRE are urgently needed. (Korean J Infect Dis 33:78~87, 2001)

      • KCI등재

        반코마이신 내성장구균의 감염관리에 대한 의료인의 지식, 인식도 및 수행도 연구

        김성은,이윤미 한국자료분석학회 2011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13 No.4

        본 연구는 반코마이신 내성장구균(Vancomycin Resistance Enterococcus, VRE) 감염관리에 대한 의료인의 지식, 인식도 및 수행도를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자료수집은 B지역에 소재한 3개의 3차병원에 근무하고 있는 의료인 27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도구는 VRE에 관한 일반적 지식 10문항을 포함하여 코호트 관리 13문항, 손위생 8문항, 환경관리 10문항에 대한 지식과 인식도 및 수행도로 구성되었다. 자료분석은 SPSS WIN 17.0 program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검정, 일원분산분석, 크루스칼-왈리스검정(Kruskal-Wallis test), 피어슨상관계수(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VRE 감염관리 지식은 인식도(r=.383, p<.001) 및 수행도(r=.431, p<.001)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인식도는 수행도(r=.662, p<.001)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VRE 감염관리 수행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은 VRE 감염관리 인식도이며 결정계수는 .579이었다. Purpose; This study was to analyse medical members' - who were curing and nursing directly - knowledge, recognition and performance about VRE infection control. Method; The design of this study is descriptive research study. Respondents of this study were 257 medical members from senior general hospital in ‘B' area. As for collecting data, a tool composed of 3 domains - knowledge, recognition and performance - had been used. Data were collected using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and analyzed by using percentage, means, t-test, ANOVA, Kruskal-Wallis test, Pearson's correlation, multiple-regression. Result; Knowledge about VRE infection control had a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with recognition (r=.383, p<0.001) and performance (r=.431, p<0.001). Recognition about VRE infection control had a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with performance (r=.662, p<0.001). Main factor influencing on VRE infection control performance significantly was VRE infection control and recognition. And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adjusted R²) was 0.579 which explains 57.9%. Conclusion; It will have to enforce a continuous, systemic and practical education on knowledge and infection control of VRE. The education applied precept about nosocomial infection control to improve the medicine members' level of practice for VRE infection control.

      • KCI등재후보

        반코마이신 내성 장내구균 분리 환자에서 황색포도알균의 내성

        김동욱,신선혜,김혜진,류선,이선희,장철훈,김영대,곽임수 대한감염학회 2004 감염과 화학요법 Vol.36 No.1

        목적 : Vancomycin-resistant enterococci (VRE)로부터 S. aureus로의 vacomycin 내성 유전자의 전파는 오래전부터 예견되어져 왔으며 큰 걱정거리로 남아있다. 최근에 vanA 유전자를 가지고 있는 vancomycin-resistant S. aureus 2주가 미국에서 분리되었다. 이 연구의 목적은 VRE를 보균하고 있는 환자들에서 S. aureus 보균양상과 항균제 내성을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재료 및 방법 : 2001년 1월부터 2001년 12월까지 부산대학교병원에 입원하였던 환자들 중 임상검체에서 VRE가 분리된 환자 7명과 2001년 9월부터 12월까지 외과 중 환자실에 입원하였던 환자들 중 VRE 감시배양을 시행하였던 20명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환자들은 전비공, 액와부, 회음부, 직장에서 매주 면봉으로 검체를 채취하였다. 선별배지에서 검체를 배양하여 S. aureus를 분리하였고 원판 확산법을 이용하여 methicillin 감수성을 측정하였다. Broth microdilution 법으로 vancomycin MIC를 측정하였다. 결과 : 총 27명에서 73회의 방문과 292회의 배양이 시행되었으며 총 67주의 S. aureus가 분리되었다. 이중 64주(95.5%)가 methicillin 내성이었다. 전비공 MRSA 보균율은 VRE를 보균하고 있었던 환자는 19명 중 11명(58%)에서, VRE를 보균하지 않았던 환자는 8명 중 3명(37.5%)으로 VRE 보균자에서 보균율이 더 높았다. 총 64주의 MRSA의 vancomycin MIC의 분포는 0.5-2㎍/mL였으며 2㎍/mL를 초과하는 균주는 발견되지 않았다. 64주 중 vancomycin MIC가 1㎍/mL인 균주가 54주(84.4%)로 가장 많았으며 2㎍/mL 6주(9.4%), 0.5㎍/mL 4주(6.3%)의 순이었다. 결론 : VRE 환자에서 S. aureus의 보균율은 비보균자 보다 높았으며 분리된 균주들은 대부분 MRSA였다. VRSA 균주는 발견되지 않았다. Background : The transfer of vancomycin resistance from vancomycin-resistant enterococci (VRE) to Staphylococcus aureus has been predict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prevalence and antibiotics resistance of S. aureus among patients colonized with VRE. Methods : Between January 2001 and December 2001, a prospective study was performed at Pusan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on 27 patients. Surveillance swabs from nasal cavity, axilla, perineum, and rectum were obtained at weekly intervals. Methicillin susceptability of S. aureus was determined by oxacillin disk diffusion test and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MIC) for vancomycin by microdilution broth test. Results : Total of 292 swab cultures were performed and 67 S. aureus isolates were collected. 64 isolates (95.5%) were resistant to methicillin. The prevalence of nasal MRSA carrier in 19 patients colonized with VRE was higher than that in 8 patients not colonized with VRE (58% vs. 37.5%). In 64 MRSA isolates, MIC (㎍/mL) for vancomycin ranged from 0.5 to 2. No isolates with MIC >2 ㎍/mL were observed. MIC of 1 ㎍/mL was shown (observed) in 54 isolates, 2 ㎍/mL in 6 isolates, and 0.5 ㎍/mL in 4 isolates. Conclusion : The prevalence of S. aureus with colonization of VRE is higher than that without colonization of VRE. Most of S. aureus isolates were resistant to methicillin. VRSA isolates were not observed.

      • VanA형 vancomycin 내성 enterococci 감염에 관한 연구

        박승철,우흥정,김우주,정희진,김민자 대한감염학회 1998 감염 Vol.30 No.1

        목 적 : VRE는 vancomycin을 비롯한 광범위 항균제의 사용과 관련되어 중요한 병원 감염균의 하나로 부각되어 미국에서는 수년사이에 20배에 달하는 분리빈도의 증가를 보이고 있다. MRSA 감염의 빈도가 높아 vancomycin사용량이 많은 국내에서도 VRE 감염증의 유행이 충분히 예견되므로 고대 구로병원에서 분리된 장구균중 VRE의 빈도를 조사하고 이들 균주가 분리된 환자들의 특성, 내성 정도 및 유전적인 성상을 연구하여 추후 신속하고 정확한 역학적 연구방법으로 사용할 수 있을지 가능성을 알고자 하였다. 방 법 : 1995년 7월부터 1996년 6월까지 고대 구로병원에서 분리된 장구균을 대상으로 디스크 확산법, break point screening, 최소발육 억제농도 등의 측정을 통하여 vancomycin 내성 여부를 확인하였고, vanA, vanB 중복 중합효소 연쇄반응법을 이용하여 유전자 형을 결정하였다. 확인된 VRE를 대상으로 PFGE를 통하여 미국에서 분리된 VRE, vancomycin 감수성 장구균 등과 유전적 상관성을 확인하였다. 결 과 : 1) 디스크 확산법 상에서 vancomycin에 중증도 이상의 내성이 있다고 판단된 68균주중 2 균주만이 break point screening 법 및 최소발육 억제농도 측정 결과 VRE임을 알수 있었다. 균주-1 및 균주-2의 vancomycin 및 teicoplanin의 MIC는 각각 512㎍/mL 및 64㎍/mL으로 동일하였으며, VanA 표현형이었다. 2) 중합효소 연쇄반응법에 의한 vancomycin내성 유전자형 검사 결과 VRE 두 균주 모두에서 vanA 형에 해당하는 385 bp의 band 증폭이 관찰되었다. 3) PFGE 결과 VRE 두 균주의 PFGE 양상은 동일하였고 dendrogram 분석상에서 두 균주의 유전적 상관성이 100%로서 유전적으로 같은 clone에서 유래된 균주임을 알수 있었다. 반면에 동시기에 미국에서 분리된 vancomycin 내성 E. faecium 과는 60%, vancomycin 내성 E. faecalis 와는 44%의 유전적 상관성만을 보여 미국에서서 유행하고 있는 VRE와 본원의 VRE는 유전적으로 확연히 다른 형별임을 알 수 있었다. 결 론 : 이미 본원에서도 VRE가 출현하고 있고 환자간의 균의 전달이 가능함을 알수 있었으나 분리 빈도는 1.0%로 매우 낮았다. 향후 국내의 대형병원에서도 VRE에 신속하게 대응할수 있는 대처법을 마련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Background : Vancomycin-resistant enterococci(VRE) have become one of major nosocomial pathogens in USA and Europe since 1986. In Korea only a few cases of VRE infection were reported until now. We investigated the rate of vancomycin resistance among clinical enterococcal isolates, characterized the genotypes of VRE isolates by using polymerase chain reaction(PCR), and analyzed the molecular relatedness of those isolates by using pulsed field gel electrophoresis(PFGE) technique. Methods : Standard disk diffusion test, break point screening test and measurement of minimal inhibitory concentration(MIC) were used for identification of VRE. Duplex vanA-vanB PCR for genotyping of vancomcyin resistance, and PFGE for molecular epidemiologic analysis were performed. Results : Incidence of VRE among clinical enterococcal isolates during the study period(July, 1995∼June, 1996) was 1.0%(2/202). Two strains among 68 suspicious VRE, which were identified by disk diffusion method, were confirmed as true VRE by break point screening and MIC test. MIC of both VRE isolates were same(vancomycin : 512㎍/ml, teicoplanin 64 ㎍/ml). Both VRE isolates were confirmed as vanA genotypes by duplex PCR and identical clones by PFGE and dendrogram analysis. Conclusion : Frequency of VRE among clinical enterococcal isolates is still very low(1%) in this hospital. We reported two VRE isolates which were confirmed by MIC determination and PCR genotyping. Judicious surveillance study of VRE and strict control of vancomycin usage are required to prevent the emergence and dissemination of V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