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SCOPUS

        마 주아를 이용한 종묘생산 재배기술

        신종희,박상구,박상조,이봉호 韓國藥用作物學會 2006 한국약용작물학회지 Vol.14 No.3

        본 연구는 마의 지상부에서 형성되는 주아를 이용하여 이듬해 종서로 사용 가능한 씨마 생산을 위한 주아 재배법을 개발하기 위하여 수행하였으며, 파종기, 파종량, 파종주아 크기에 따른 씨마 수량을 검토하였다. 1. 주아 파종기가 늦어질수록 생장 일수가 짧아져 괴경장이 짧아지고 평균 괴경중이 가벼워지는 등 괴경의 크기가 작아졌다. 5월 11일 파종의 경우 씨마용으로 사용할 수 없는 무게가 20g 이하 되는 괴경수가 많아짐으로 파종은 늦어도 5월 1일까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2. 파종량이 많을수록 괴경장이 짧아지고 평균 괴경중이 가벼워지는 등 괴경의 크기가 작아지므로 마로 사용 가능한 21~4kg 크기의 괴경수를 고려할 때 200kg/10a가 파종 적량으로 판단되었다. 3. 파종주아의 크기가 클수록 출아율과 평균 괴경중이 높아져 단위 면적당 괴경 수량이 높게 나타났다. The various cultural practices of bulbils were tested for seed tuber production in Chinese yam (Dioscorea batatas Decne.). To obtain amount of seed tuber, yam bulbils were sowed from early April to early May. The late sowing reduced average tuber weight, and consequently the amount of small tubers less than 20g increased highly. The optimum seeding rate of bulbils was 200 kg/10 a for production of seed-tubers. The average tuber weight was decreased according to increasing of seeding rate, so the amount of small tubers among total harvested tubers increased greatly at high seeding rate. Tuber size was affected by bulbil size. Seeding of the larger size bulbils result in increased sprouting rate, each tuber weight and tuber yield per unit area.

      • KCI등재

        芍藥(Paeonia lactiflora Pall.)의 子葉組織으로부터 體細胞胚發생을 통한 식물체 獲得

        신종희,손재근,김경민,박소득,김규원 한국식물생명공학회 1997 식물생명공학회지 Vol.24 No.5

        작약의 체세포 조직배양에 의한 기내증식방법을 확립하기 위하여 완숙종자의 접합자배를 배양하여 얻어진 유묘의 자엽으로부터 체세포 배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몇 가지 요인에 대해 실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배양부위에 관계없이 2,4-D가 첨가된 배지에서는 높은 캘러스 형성률을 나타내었지만 체세포배는 발생되지 않았다. 그러나 2,4-D를 첨가하지 않은 배지에 자엽을 배양했을 때는 경우는 27.2%의 체세포배발생률을 나타내었다. NH$_4$NO$_3$가 3.3g/L첨가된 배지에서 접합자배배양으로 얻은 자엽을 NH$_4$NO$_3$1.65 g/L 첨가된 배지에서 배양한 경우 체세포배발생률이 80.0%로 가장 높았다. 탄소원의 경우, 30~40 g/L의 sucrose나 40 g/L의 fructose가 참가된 배지에서 체세포배발생률이 높았다. 자엽은 15~30일 간격으로 3~9회 새배지로 이식한 것이 39.6~41.4%의 높은 체세포배발생률을 나타내었으며, 자엽에서 얻어진 체세포배는 0.3 mg/L의 GA$_3$가 첨가된 배지에서 배양할 경우 39%의 상배축신장율을 나타내었다. 체세포배에서 발아한 유묘의 상배축휴면 타파를 위해서는 4$^{\circ}C$에서 3주 이상 처리하는 것이 효과적이었다. The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optimum conditions for the direct embrogenesis from the cotyledon derived zygotic embryo culture of Paeonia lactiflora Pall. Different peony tissues derived from zygotic embryos were cultured on MS medium with and without 2,4-D. Somatic embryos were formed from the cotyledons cultured on the medium without 2,4-D. The somatic embryogenesis from cotyledons was promoted in the growth regulator-free MS medium containing 1.65~3.3 g/L $NH_4NO_3$ and 30~40 g/L sucrose. The maximum frequency (80.0%) of somatic embryo formation was obtained from the cotyledons excised from zygotic embryos that cultured on MS medium containing 3.3 g/L $NH_4NO_3$. Epicotyl and roots were elongated from a somatic embryo by adding 0.3 mg/L GA$_3$ in the medium or the cold treatment at 4$^{\circ}C$ more than three weeks at 4$^{\circ}C$.

      • KCI등재

        경상북도 지역별 최고품질 벼 품종의 수량 및 품질 특성

        신종희,김상국,김세종 한국작물학회 2017 한국작물학회지 Vol.62 No.4

        Rice quality should be considered as a primary consumer requirement. Regarding marketing, characteristics such as appearance,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palatability of brand rice are of high economic importance. Therefor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select the optimal rice cultivars representing the commercial rice brands of Gyeongsangbuk-do province in Korea. Various rice grain quality components, grain appearance, several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rice grain, and texture or palatability of cooked rice grains of ten cultivars (namely ‘top quality rice’) cultivated at three different locations, such as inland mountainous and southern plain areas of Gyeongsangbuk-do province in 2013~2014, were evaluated, and the obtained data was analyzed. ‘Hiami’ showed slightly higher protein contents and lower palatability of cooked rice than the other rice cultivars. Rice production and head rice yield produced at Gumi were the highest. The protein content of milled rice produced at Andong, an inland mountainous region, was approximately 0.3% point lower than that from other locations, whereas the amylose content of milled rice was approximately 1% point higher than those from the other plain regions, Daegu and Gumi. We evaluated the texture, Glossiness value determined using a Toyo teste meter and palatability of cooked rice of ten cultivars. The hardness of cooked rice produced in Andong was slightly lower than that produced in Daegu and Gumi, and additionally, the palatability of cooked rice produced in Andong was the best, followed by that producted in Gumi and Daegu. Considering rice yield and grain quality in the major rice cultivation areas of Gyeongsangbuk-do province, the rice cultivars that may be suitable for each region could be recommended mid-late maturation: ‘Younghojinmi’ and ‘Mipum’ in Daegu, ‘Daebo’, ‘Samgwang’, Chilbo’ and ‘Younghojinmi’ in Gumi, ‘Samgwang’, ‘Jinsumi’ and ‘Sukwang’ in Andong. These results obtained in this study imply that the selected cultivars with high yield and quality could be recommended with high priority to rice farmers in the regions. 2013~2014년간 벼 등숙기 기상은 평균기온은 평년대비±0.2℃ 로 비슷하고, 등숙 후반기인 10월 상순의 기온이 평년에 비해 지역별로 1.0~1.6℃ 높아 안정적인 등숙이 가능한 조건이었다. 지역별 출수기의 경우 대구, 구미지역보다5일 일찍 이앙한 안동지역의 평균 출수기가 2일 정도 늦어지는 경향이었으며, 영호진미의 경우 안동지역에서 출수기가 타 지역 보다 4~5일 더 늦어지면서 등숙률이 77.4%로현저히 낮았다. 구미지역의 쌀 수량이 평균 671 kg/10a로 가장 많았다. 수광의 경우 수당립수, 현미천립중, 등숙률, 쌀수량 등 전반적인 생육 및 수량특성이 지역별 차이 없이비슷하였다. 도정한 쌀의 완전미 비율은 대구지역에서는 진수미, 영호진미, 미품이 각각 92.0, 92.8, 90.0%로 높고 구미지역에서는 대보, 칠보, 수광이 90% 이상의 완전미율을 보였으며, 안동지역은 진수미와 수광의 완전미율이 높게 나타났다. 호품은 시험지역 모두에서 가장 낮은 완전미율을 나타내었다. 백미에 함유된 단백질 분석결과, 품종별로는 하이아미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지역별로는 안동지방에서 재배된경우 모든 품종에서 단백질 함량이 낮았다. 특히 영호진미의 경우 대구, 구미, 안동지역 모두에서 6%이하의 단백질 함량을 나타내었다. 아밀로스 함량은 안동지역에서 재배된경우 대구와 구미지역에 비해 높았다. 고품과 대보의 경우대구지역에서 찰기와 부착성이 낮게 나타났고, 진수미와영호진미의 경우 재배 지역에 따른 식감 특성 차이가 적었다. 지역별 최고품질벼 수량 및 품질 특성 분석을 통하여대구지역은 진수미, 영호진미, 미품, 수광을 선발하고, 구미지역은 대보, 삼광, 칠보, 수광, 영호진미, 미품을, 안동지역은 삼광, 대보, 진수미, 수광을 선발 하였다. 이미 개발된 많은 우수한 품종의 특성을 파악하고 각 지역의 환경에 적합한 품종 선택하여 재배함으로써 고품질 쌀을 생산하면 농업인의 소득도 보장이 되고 우리 쌀도 지킬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시험결과를 활용하여 경북 주요 농업지대별식미가 우수한 품종을 선별하여 농가에서 지역브랜드로 활용토록 함과 동시에 지역별로 다른 환경변이에 맞추어 식미가 우수한 쌀을 생산 할 수 있도록 하는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KCI등재후보

        한국인의 임상분리 아스페르길루스 균주에 대한 보리코나졸의 생체외 감수성

        신종희,박미라,송정원,신동현,정숙인,박영규,신명근,조덕,기승정,서순팔,양동욱 대한의진균학회 2004 대한의진균학회지 Vol.9 No.3

        Background: Voriconazole is a potent new triazole antifungal agent expected to be particularly useful for the treatment of invasive aspergillosis. However, in vitro susceptibility of voriconazole for clinical strains of Aspergillus species isolated in Korea has not been fully surveyed. Objective: We determined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s (MICs) of voriconazole for clinical Aspergillus isolates. Methods: A total of 100 clinical isolates of Aspergillus species (40 A. fumigatus, 24 A. flavus, 17 A. niger, 17 A. terreus and 2 A. nidulans) was tested. In vitro voriconazole susceptibility testing was accomplished utilizing the National Committee for Clinical Laboratory Standards (NCCLS) broth microdilution method M38-A. MIC of voriconazole was determined using RPMI medium at 48 h of incubation. Results: Among the 100 isolates of Aspergillus species tested, 98% were inhibited by ≤ 1 μg/mL of voriconazole. The MICs of voriconazole ranged from 0.125 to 2 μg/mL (geometric mean MIC, 0.52 μg/mL). The MIC50 (MIC at which 50% of the isolates tested were inhibited) and MIC90 were 0.5 and 1.0 μg/mL for all Aspergillus species, respectively. The strains showing MIC≥2 μg/mL were 0/40 (0%) in A. fumigatus, 1/24 (4%) in A. flavus, 1/17 (6%) in A. niger, 0/17 (0%) in A. terreus, and 0/2 (0%) in A. nidulans. Conclusion: These data demonstrate promising in-vitro activity of voriconazole against clinical strains of Aspergillus species isolated from Korean patients.

      • KCI등재

        영남내륙 지역 과거 20년간 기후와 벼 조만성별 쌀 수량 변화

        신종희,한채민,권중배,김상국 한국작물학회 2019 한국작물학회지 Vol.64 No.3

        ABSTRACT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rice yield and climate elements in Daegu (southern plain area) and Andong (inland mountainous area) regions. Over the past 20 years, rice yield has increased in both regions. The rice yield of middle and mid-late maturing cultivars in the recent 5 years increased by about 10% and 18%, respectively, compared to that produced in the early 2000s in the Daegu region. In the Andong region, the rice yield of mid-late maturing rice cultivars in the recent 5 years was higher by about 7% than that of the early 2000s. The number of panicles per hill and grain ripening rate significantly affected rice yield in mid-late maturing cultivars. In addition, the grain weight and grain ripening rate significantly affected rice production in middle maturing cultivars grown in the Daegu region. With regard to the middle maturing cultivars, the relationship between grain weight and rice yield had a positive significant correlation in both regions. To understand the effect of climate factors on rice yield, the milled rice yield of several rice cultivars produced over the past 20 years (1999-2018) at both locations, Daegu and Andong, were evaluated. The rice yields increased owing to long sunshine duration during the grain filling stage in the Daegu region. In Andong, rising maximum temperature during the vegetative stage increased rice yield of early and mid-late maturing cultivars. Long sunshine hours increased yield of mid-late maturing cultivars in both regions. 본 연구는 영남내륙에 속하는 대구 및 안동 지역의 벼 수 량에 영향을 미치는 수량구성요소와 기상요소를 파악하고 자 하였다. 과거 20년간 이들 지역의 기상변화를 분석한 결 과 벼 재배기간 중 평균기온은 대구지역보다 안동지역에서 +0.9°C/10년으로 2배 이상의 상승폭을 보였다. 이는 생식 생장기의 기온상승이 주요 원인으로 분석되었다. 강수량은 감소한 반면 누적 일조시수는 현저하게 증가하였는데 특히 안동지역의 일조시수 증가 폭이 컸다. 대구의 쌀 수량성은 꾸준히 증가하여 2000년 초반 5년 평균 수량보다 최근 5년 간 평균수량이 중만생종의 경우 18% 정도 현저한 수량 증 가를 보였다. 벼 수량과 수량구성요소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대구지역 중생종의 수량 증가는 현미천립중과 등숙율의 증가가 주요 요인으로 작용하였으며, 중만생종의 경우 포기당 이삭수, 등숙율 및 제현율의 증가가 쌀 수량 증가에 영향을 미친 것 으로 분석되었다. 안동의 경우는 중생, 중만생종에서 천립 중의 증가가 수량증가의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벼 수량과 기후요소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대구지역에서 재배 된 중만생종 벼의 쌀 수량은 등숙기의 일조시수와 높은 상 관을 보였다. 안동지역 중만생종은 영양생장기 최고기온과 생육전반 일조시수의 증가가 수량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