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아동복지시설 종사자의 코로나19 감염 예방 실천 영향요인

        노충래(Nho, Choong Rai),최려나(Cui, Li Na),김현진(Kim, Hyun Jin) 한국아동복지학회 2021 한국아동복지학 Vol.70 No.2

        코로나19의 장기화로 인해 아동복지시설에도 장기적인 영향이 있을 것으로 예상되지만 이에 대한 연구는 매우 부족한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는 아동복지시설 종사자의 개인적 특성과 시설 특성이 코로나19 감염 예방 실천에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 이에 따른 아동복지의 실천적, 정책적 함의를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아동양육시설, 공동생활가정, 지역아동센터, 드림스타트 종사자 336명을 임의 표집하여 전자조사를 실시하였고 이에 따른 집단간 차이 및 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연구대상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중 여성이 남성보다 코로나19 인식 및 직무 스트레스가 높았고, 직책 중 사례관리사의 실천수준이 낮았다. 둘째, 기관 운영체계 중 유연/재택근무가 불가능한 시설이 가능한 시설보다 직무 스트레스가 높았다. 또한, 강사 대신 프로그램을 직접 진행하는 종사자 집단이 감염 예방 실천 및 직무스트레스가 높았고, 강사 대신 프로그램을 진행하지 않는 종사자 집단은 감염관리 수준이 높았다. 마지막으로 근무 시설유형과 코로나19 인식이 코로나19 감염 예방 실천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이를 바탕으로 코로나19 이후 아동복지시설과 종사자 차원에서 실천적, 정책적 함의를 논하였다. As the pandemic persists, it continues to have an impact on child welfare agencies. However, literature on this topic remains scarce.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draw policy and practice implications for Korean child welfare by examining how various characteristics of both child welfare workers and agencies affect COVID-19 prevention practice among child welfare workers in Korea. For this purpose, we recruited 336 child welfare workers (from residential care facilities, group homes, community child care centers, and Dream Start centers) using a purposive sampling method. The analyses were conducte4d in two ways. First, we tested group differences in the levels of COVID-19 recognition, job stress, and COVID-19 prevention practice by the child welfare workers’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Second, we conducted a regression analysis to identify predictive factors for COVID-19 prevention practice.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female workers reported higher levels of COVID-19 recognition and job stress than their male counterparts. Second, workers at agencies that provide neither flexible work schedules nor home-based work reported higher levels of job stress than their counterparts. However, workers with a substitute worker to run programs reported higher levels of COVID-19 prevention practice and job stress, and those without a substituted worker reported higher levels of COVID-19 management than their counterparts. Lastly, type of agency (residential vs non-residential facility) and COVID-19 recognition were found to be significant factors for COVID-19 prevention practice. In other words, workers at a residential facility with higher COVID-19 recognition reported higher COVID-19 prevention practice. Based on the results, we present policy and practice implications for child welfare including human resource management and care for child welfare workers.

      • KCI등재

        Knowledge, Attitude, and Prevention Practice of Cosmetology Students toward Covid-19 Infectious Disease

        Mi-Jeung Ahn 한국피부과학연구원 2021 아시안뷰티화장품학술지 Vol.19 No.3

        본 연구는 뷰티전공 대학생의 Covid-19에 대한 지식, 태도, 예방실천을 확인하고 예방실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 고자 하였다. 방법: 분석은 SPSS/WIN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Covid-19에 대한 지식, 태도, 예방실천은 기술통계를 사용하였고 Covid-19 예방실천에 대한 분석은 Stepwise multiple regression을 사용하였다. 결과: 뷰티전공 대학생들은 Covid-19에 대한 높은 지식을 가지고 있었다. Covid-19와 관련된 예방실천은 태도와 지식, 성별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확인 되었다 결. 론: 본 연구를 통해 뷰티 전공 대학생의 Covid-19 예방실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였다. 추후 연구에서는 표본을 확대하여 분석하는 것이 필 요하다고 생각된다. Purpose: This study assessed the knowledge, attitude, and preventive practice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cosmetology toward covid-19 and the factors responsible for influencing affecting prevention practices. Methods: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SPSS) software. Descriptive statistics (frequency and proportion), Scheffé's test for analyzing a group of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were used for analyses. Results: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cosmetology had deep knowledge of Covid-19. Covid-19 prevention practices were found to be affected by attitudes, knowledge, and gender. Conclusion: This study, identified factors influencing cosmetology college students’ Covid-19 prevention practices. Future studies, must analyze larger samples.

      • KCI등재

        U.S. Child Welfare Systems’ Challenges and Responses during COVID-19

        고은(Eun Koh) 사회복지정책실천회 2021 사회복지정책과 실천 Vol.7 No.1

        코로나19로 미국 내 많은 가정들이 경제적 어려움 및 사회적 고립을 경험하고 있다. 이에 따라 많은 부모들이 정서적, 정신적으로 고통을 받고 가정내 아동 방임 및 학대의 위험도 커지고 있다. 그러나 코로나 19 사태 이후, 아동 방임 및 학대 신고건수는 오히려 감소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이는학교 및 병원, 사회복지 단체들이 문을 닫거나 대면 서비스를 제한하면서, 교사, 의료인, 사회복지사와 같은 신고 의무자가 어린이와 청소년과 직접 접촉할 수 있는 기회가 줄어들었기 때문이다. 또한 코로나 19 사태 이후 아동학대로 인한 어린이와 청소년의 병원 방문 및 입원 비율이 증가하고 있다는통계는 아동 방임 및 확대의 위험이 증가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코로나19로 인해 미국 내 많은 가정들이 어려움을 겪으면서, 미국 정부는 이에 대응하기 위한 법안, 서비스 및 프로그램을 만들어 실행하고 있다. 예를 들어미국 연방정부 의회는 2020년 코로나 19에 대처하기 위해 4개의 연방 법안을 통과시켰다. 이 법안에는 경제적인 어려움을 겪는 가정을 위한 재정 및음식 지원 프로그램, 아동 방임 및 학대 예방 프로그램에 대한 규정이 포함되어 있다. 주 정부와 지방 자치 단체에서도 코로나 19에 대응하기 위해서아동 및 가족 복지 서비스와 프로그램을 조정하고 개발하고 있다. 예를 들어, 도움이 필요한 가정을 위해서 지역 사회에서 사용 가능한 자원 목록을 작성하고, 경제적인 어려움을 겪는 가정을 위해서 주택, 음식 및 인터넷 지원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아동 방임 혹은 학대 조사나 가정 방문은 대면으로 진행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되, 사회적 거리두기에 따라 일부 서비스는 가상으로 제공하기도 한다. 코로나 19는 미국 아동 및 가족 복지 쳬계에 도전과제를 던짐과 동시에 변화를 위한 기회를 제공하였다. 지금까지는 주로 단기적인 대처 방안들에 초점을 두었다면, 이제부터는 보다 체계적이고 장기적인 대처 방안을 고민하고개발하는 것이 필요하다. Economic hardship, high levels of parent mental distress, and social isolation put children at greater risks of experiencing child maltreatment during the COVID-19 pandemic. Despite this increased risks, the number of child maltreatment reports decreased largely due to children’s limited interaction with teachers, social workers and health care providers. However, increased rates of hospital visits and hospitalization related to child abuse were observed. As children and families experience significant challenges due to the COVID-19 pandemic, different responses, including laws, and child welfare programs and services, were created and adapted. In 2020, the United States congress passed four federal legislations in response to the COVID-19 pandemic. These legislations offer financial and food assistance programs for families. Additional support is available for child maltreatment prevention programs and for youth aging out of foster care. At the state and local levels, public child welfare agencies adapted their programs and services. They put together a list of resources that families can refer to when they are in need. States offered housing and food assistance programs, as well as support for internet services. As social distancing is required or recommended in many states, the option to offer child welfare programs and services virtually was explored. While in-person contacts are still preferred for child maltreatment investigation and visits with families, more trainings for child welfare professionals are offered virtually. The COVID-19 pandemic presented both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for the United States child welfare system. As most of the current responses tended to be temporary, responses that are more systematic should be developed and implemented.

      • KCI등재

        Awareness of and practice toward cancer prevention recommendations: results of the Korean National Cancer Prevention Awareness and Practice Survey in 2021

        오진경,박은정,김병미,최윤정,윤이화,임민경,임정수,박은영 한국역학회 2022 Epidemiology and Health Vol.44 No.-

        OBJECTIVES: This study reports data regarding the awareness and practice of cancer prevention among Koreans in 2021 and behavioral changes during the coronavirus disease 2019 (COVID-19) pandemic. METHODS: We collected Cancer Prevention Awareness and Practice Survey data through face-to-face interview surveys using a structured questionnaire completed by 4,000 randomly selected men and women aged between 20 years and 74 years in 17 provinces. We examined the awareness and practice of 10 cancer prevention recommendations and evaluated their associations with potential risk factors through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adjusted for age, gender, residence, marital status, education, and income. RESULTS: Eighty percent of participants knew that cancer is preventable, while 45% practiced cancer prevention. Cancer prevention practice tended to be more common among older participants (adjusted odds ratio [aOR], 1.39 per 10-year increment; 95% confidence interval [CI], 1.29 to 1.49) and less common among rural inhabitants (aOR, 0.66; 95% CI, 0.51 to 0.86) than among urban residents and among single people (aOR, 0.9; 95% CI, 0.5 to 0.7) than among married people. Practices were the highest for avoiding burned or charred foods (87.6%) and lowest for vaccination against human papillomavirus (14.5%). Refusal to follow recommendations was most common for avoiding alcohol consumption (7.9%). The most difficult recommendations to follow were (1) regular exercise (57.7%); (2) maintaining a healthy body weight (46.1%); and (3) avoiding alcohol (40.1%). The most significant COVID-19-related changes were less exercise (32.5%) and increased body weight (25.6%). CONCLUSIONS: The awareness of cancer prevention was high, but the practice was low. Recommendations targeting awareness and practice need to be further promoted.

      • KCI등재

        예비치과위생사의 불안, 사회심리적 스트레스와 COVID-19 예방 실천에 관한 분석 연구

        안권숙,지민경 한국지식정보기술학회 2022 한국지식정보기술학회 논문지 Vol.17 No.2

        예비치과위생사의 코로나19 사태에 따른 불안, 사회심리적 스트레스, 감염예방 실천과의 관련성을 파악하고자 시도하였다. 대전광역시, 충청도에 소재한 치위생(학)과 학생을 대상으로 2021년 3월 2일부터 31일까지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는 SPSS WIN(ver 19.0)프로그램을 이용하였고, t-검정, 카이 제곱검정, Pearson 상관관계,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학교, 전공, 실습에 대한 만족도가 「높은 군」이 불안에 대한 수준이 모두 낮게 나타났고, 사회심리적 스트레스에서 건강군이 많았으며, 코로나19 예방 지식도, 코로나19 예방 실천도가 모두 높게 나타났다. 만족도(학교, 전공, 실습)별 불안, 사회심리적 스트레스는 모두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만족도(학교, 전공, 실습)별 코로나19 예방에 대한 지식도 및 실천도는 모두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예방 실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기질불안과 상태불안, 사회심리적 스트레스, 코로나19 예방 지식도로 나타났고, 설명력은 47.9%이었다. 따라서 예비치과위생사에게 전염병관련 공중보건에 대한 체계화된 교육 및 감염병 현황에 대한 이해와 구강보건현장에서 심리적 지지제공자의 역할도 병행할 수 있는 정서 중심 대처의 감염관리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제공이 필요하다.

      • KCI등재

        KSNM/KSID/KOSHIC Guidance for Nuclear Medicine Department Against the Coronavirus Disease 2019 (COVID-19) Pandemic

        방지인,이호영,조영석,최홍윤,정아리,어재선,김지영,김태성,권현우,이은정,이은성,박혜림,박수빈,심혜경,송봉일,유익동,이경재,이홍재,한수하,이진서,박정미,김성훈 대한핵의학회 2020 핵의학 분자영상 Vol.54 No.4

        The dramatic spread of Coronavirus Disease 2019 (COVID-19) has profound impacts on every continent and life. Due to humanto- human transmission of COVID-19, nuclear medicine staffs also cannot escape the risk of infection from workplaces. Every staff in the nuclear medicine department must prepare for and respond to COVID-19 pandemic which tailored to the characteristics of our profession. This article provided the guidance prepared by the Korean Society of Nuclear Medicine (KSNM) in cooperation with the Korean Society of Infectious Disease (KSID) and Korean Society for Healthcare-Associated Infection Control and Prevention (KOSHIC) in managing the COVID-19 pandemic for the nuclear medicine department.We hope that this guidance will support every practice in nuclear medicine during this chaotic period.

      • KCI등재

        보건소를 실습한 간호대학생의 코로나19에 대한 예방적 건강행위 연구: 건강신념 모형을 중심으로

        김은재 국제문화기술진흥원 2022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 Vol.8 No.5

        본 연구는 보건소 실습을 한 간호대학생들의 ‘코로나19’ 대한 지식과 건강신념 그리고 ‘코로나19’의 예방적 건강행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한 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231명이며, 자료수집은 2021년 10월 27일부터 11월 4일까지 설문조사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간호대학생의 ‘코로나19’에 대한 예방적 건강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기 위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회귀모형 적합도는 (F=9.71, p<.005)이며, 코로나19에 대한 예방적 건강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전공만족도(β=.18, p=.009)와 코로나19 지식(β=.20, p=.001), ‘코로나19’ 건강신념(β=.36, p=.000)으로 나타났고, 설명력은 30.6%이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를 통해 간호대학생들에게 ‘코로나19’에 대한 예방적 건강행위를 증진시킬 수 있는 보건교육 프로그램의 전략을 개발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코로나 19 팬데믹 상황에서 보육교사의 감염병 지식, 건강통제 소재, 자기효능감과 감염병 예방행위 실천의 관계

        주아련,김유미 한국보육지원학회 2023 한국보육지원학회지 Vol.19 No.3

        Objective: This study aims to provide empirical data on epidemic management measures and childcare teacher education in centers. It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infectious disease knowledge, health control knowledge, and self-efficacy in relation to the practice of preventive behaviors among infant and toddler teacher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Methods: The study involved 300 teachers from Seoul and Gyeonggi Provinc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questionnaires and analyzed using SPSS 23.0. Results: The study found that there is a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childcare teachers' knowledge of infectious diseases and their engagement in preventive behavior. Additionally, internal control among the health care factors of childcare teachers also showed a positive relationship. Furthermore, the study revealed that the self-efficacy of childcare teachers is positively associated with their practice of preventive behavior. Overall, infectious disease knowledge, internal control measures, and self-efficacy were all found to have positive relationships with preventive behavior. Conclusion/Implications: This study proposes a new direction for future teacher education by highlighting the effectiveness of psychological factors, specifically health control materials and self-efficacy, in addition to focusing on improving infectious disease knowledge.

      • KCI등재

        감염병에 대한 건강신념이 감염병 예방행동에 미치는 영향 - 사회적 배제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송유진,권설아,이주호,이혜미 (사)위기관리이론과실천 2023 Crisisonomy Vol.19 No.3

        Identifying and demonstrating the factors affecting individual infectious disease prevention behavior is important in that it can provide evidence for establishing an intervention strategy to promote preventive behavior. This study analyzed the factors affecting the practice behavior of preventing infectious diseases based on the Health Belief Model (HBM), but examined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influencing factors according to the level of social exclusion in consideration of the public health characteristics of the practice behavior. Perceived severity and perceived probability constituting perceived threats were found to have no significant effect on the intention to prevent infectious diseases, while perceived social distancing disorders and perceived vaccination disorders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impact. In the case of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exclusion, it was found that the perceived social distancing disorder and perceived benefits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infectious disease prevention practice behavior only in groups with low social exclusion.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