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RISS 인기논문 KCI등재후보

        코로나19에 대한 사회복지실천현장의 대응과 실천과제

        최송식(Choi, Song-Sik),권혜민(Kwon, Hye-Min) 사회복지정책실천회 2021 사회복지정책과 실천 Vol.7 No.1

        코로나19바이러스가 한국 사회를 넘어 세계를 강타하며, 큰 충격을 주고있고 모든 사회는 지금 변화를 겪고 있는 중이다. 이 논문은 코로나19가 한국의 사회복지실천현장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으며 사회복지실천현장은 코로나19에 어떻게 대응하여 왔으며 앞으로 이 감염병의 극복이나 해결을 위해 사회복지실천현장에서 당면한 실천 과제가 무엇인가를 밝히고자 하였다. 이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사회복지실천의 개념과 구성요소를 먼저 설정한 후, 사회복지실천분야와 현장의 범위를 지역복지, 노인복지, 정신건강사회복지로 한정하여 살펴보았다. 그 결과 사회복지실천현장에서는 감염병을 차단하여 서비스 이용자들의 생명을 보호함과 동시에 생활을보호하기 위해 노력해온 것을 확인하였다. 단기적으로는 대부분의 기관이나시설이 명목상의 휴관이나 서비스 중단을 단행했지만, 곧바로 코로나19의특성에 대한 이해가 깊어짐에 따라 긴급돌봄을 필두로 하여 점차 서비스를비대면 및 대면으로 확대하고 있으며, 상당히 많은 경우에 온라인과 오프라인서비스를 병행하고 있었다. 코로나19가 사회복지실천현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사회복지실천현장은 코로나19를 통하여 재난의 불평등한 영향에대한 인식을 증대하였으며, 돌봄에 대한 최후적 거소로 사회복지서비스가역할을 담당하면서 그 수준이 한 단계 도약하게 된다. 또한 실천적으로 지역주민들간의 연대와 나아가 민간과 공공의 협력, 민간과 민간기관간의 협력등의 필요성을 넘어서 협력체계의 구축과 운영을 통해 지역중심의 통합적돌봄체계를 지향해가면서 포용적 복지국가로 나아가는 계기가 되기도 한다고 판단된다. The Covid-19 virus is striking the world beyond Korean society, shocking the world, and all societies are undergoing changes now. Covid-19 is an infectious disease among social disasters, and Korean society is accelerating the development of effective treatments to block the spread of the disease and reduce deaths. This research tried to analyze the effects of Covid-19 pandemic on Korean Social Welfare practice settings and their responses followed by proposals on practical tasks to overcome such infectious crisis. To achieve this goal, this study first established the concepts and components of social welfare practice, and then limited the range of social welfare practice into 3 categories; community welfare, welfare practice for old people, and mental health social welfare. As a result, the provision of social welfare services needed to be continued in order to protect the lives of service clients and to block the infectious disease at the sites. In the beginning, most institutions and facilities were suspended in name only. As the understanding of the characteristics of Covid-19 deepened both non face-to-face and face-to-face services such as emergency care at the forefront of the infectious disease issuance stage and social distancing policy were provided gradually. Covid-19 certainly had a negative impact on the social welfare practice settings. However, through Covid-19, social welfare practice settings have increased awareness of the disparate impact of disasters and the level of social welfare services took a leap forward as they played a role in the ultimate care. In addition, Covid-19 also serves as an opportunity to move toward an inclusive welfare country while aiming for an integrated regional care system through the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a cooperative system beyond the necessity of solidarity between the residents, even further into private and public cooperation, cooperation between private and private institutions, etc.

      • KCI등재후보

        읍면동 복지허브화에 따른 행정복지센터와 사회복지관 역할에 대한 질적 연구

        정현정,김윤화,손태용 사회복지정책실천회 2019 사회복지정책과 실천 Vol.5 No.2

        As public-centered welfare functions were strengthened, the roles and identities of community welfare centers, such as administrative welfare centers and community welfare centers, were raised again and again, and changes in social welfare centers were also required. Accordingl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roles of administrative welfare centers and community welfare centers, which have been controversial at the time of the expansion and application of the 'Eup-Myeon-Dong Welfare Hub project', and to establish roles by inducing positive change. For the specific purpose, firstly, the possibility of role establishment is explored by exploring the process of change in the public welfare delivery system and the similar and redundant services of the administrative welfare center and the community welfare center. Second, to derive the conditions for the establishment of roles and functions for each delivery system. The research method is qualitative case study through FGI targeting the administrative welfare center and community welfare worker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confirmed that the welfare function project of the administrative welfare center and the three function projects of the community welfare center have similar overlapping services. Second, the core functions and strengths of the administrative welfare center and community welfare center were identified. Third, it was confirmed that it should secure its identity by adjusting its role based on the inherent functions and strengths of each delivery system and reorganizing it into functions and roles that reflect regional characteristic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I suggested ways to establish the roles and functions of the community welfare center, which is the main service provider of the administrative welfare center and private welfare delivery system, which are the core of the reform of the public welfare delivery system through social consensus. 공공중심의 복지기능이 강화됨에 따라 행정복지센터와 사회복지관과의 역할과 기능의 유사․중복서비스 등 사회복지관의 역할이나 정체성에 대한 재진단과 질문이 제기되면서, 사회복지관의 변화도 동시에 요구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읍면동 복지허브화’사업의 확대 적용 시점에서 계속적으로 논란이 되고 있는 행정복지센터와 사회복지관의 역할을 탐색하여 긍정적인 변화 유도를 통한 역할정립 모색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구체적인 목적으로 첫째, 공공복지전달체계의 변화과정과 행정복지센터와 사회복지관의 유사ㆍ중복서비스에 대해 탐색함으로써 역할 정립에 대한 가능성을 모색하고, 둘째, 각 전달체계별 역할과 기능의 정립을 위한 조건들을 도출하는 것이다. 연구방법은 행정복지센터와 사회복지관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FGI를 통한 질적사례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행정복지센터의 복지기능사업과 사회복지관의 3대 기능 사업이 유사 중복서비스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행정복지센터와 사회복지관 각각의 핵심 기능 및 강점을 확인하였다. 셋째, 각각 전달체계의 고유 기능과 강점을 토대로 그 역할을 조정하고 지역적 특성을 반영한 기능과 역할로 재편하여 정체성을 확보해야 함을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사회적 합의를 통한 공공복지 전달체계 개편의 핵심인 행정복지센터와 민간복지 전달체계의 주요 서비스 공급주체인 사회복지관의 역할과 기능 정립 및 복지기능 강화를 위한 방안을 제언하였다.

      • 1인 가구 사회서비스 현황과 정책과제

        김은정 사회복지정책실천회 2018 사회복지정책과 실천 Vol.4 No.2

        Although family unit has long been a representative unit at social service policy, the singleton will be the most popular unit before long. This study starts at the point that our society is not fully ready to cope with this dramatic change, and we need to hurry to prepare the effective ways to deal with increasing number of singletons. The study first tries to grasp current features of our singletons and then to evaluate current social service policies for them under the criterion of whether current polices are meeting the needs of today’s singletons in our society. Singletons in Korea are segmented into various types in terms of generations, gender, and economic status. Yet, social services for the singleton are still focused on the specific groups such as the old singleton, and providing only the limited content of support such as care services. According to the directions of changes in the characteristics of singletons, existing ways to deal with singletons are not effective. Social service policy entitlement should be universalized and singletons should be regarded as a product of life-cycle process. Everyone would be a potential singleton in the process of their own life-cycle. Also, singletons do not only suffer economic hardships and care deficiency, but also suffer from lack of relationships and emotional isolations. Therefore social service should be expanded into the relational area. Community based social services would be more effective, especially for the singletons, so that collaborative governance should be established among policy agents such as central gov., local gov. and non-public organizations rooted in community. 지금까지 사회서비스를 포함한 사회정책은 결혼한 2인 이상 가구를 표준화하는 방식에서 크게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사회서비스 정책을 포함하여 조세정책이나 의료, 보건 정책 전반에 이르기까지 모두 표준적 생활공유 단위를 가족으로 상정해 두고 있지만, 그다지 오래지 않은 미래에 1인 가구의 비중이 전체가구 중 가장 높아질 전망이다. 본 연구는 현재 우리사회가 1인 가구를 위한중장기적 사회서비스 정책을 시급히 설계해야 한다는 문제의식 하에서, 현재우리 사회의 1인 가구가 어떤 모습인지를 파악하고 이들에게 주어지고 있는사회적 지원들이 현재의 1인 가구가 갖는 특성에 부합하는지를 분석해 보았다. 1인 가구의 특성은 세대별, 성별, 경제적 특성별로 분화되고 있는데 비해이들을 위한 사회적 지원서비스는 특정한 집단과 특정한 내용, 특정한 방식에만 한정되고 있는 경향을 보였다. 1인 가구의 변화추세와 방향을 고려할때 정책대상을 특정 인구집단으로 한정하여 접근하는 것은 뚜렷한 한계가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에 향후 1인 가구 사회서비스 정책에서는 생애주기적관점에서 정책대상을 보편적으로 규정하여 각 생애단계에 적합한 사회서비스를 지원해야 한다. 뿐만 아니라 1인 가구의 주된 어려움은 경제적인 측면을 넘어서서 정서적, 관계적 결핍으로 확장되고 있었다. 이에 사회서비스정책의 내용도 포괄적으로 확장할 필요가 있다. 1인 가구 사회서비스 정책의 대상과 내용이 이러한 방식으로 변화되기 위해서는 개인단위 정책지원방식을 넘어서서 지역공동체를 정책단위로 확장하고 정책 실행 주체들간의협력적 거버넌스 구축이 이루어져야 한다.

      • KCI등재

        지역사회 정신건강사회복지사의 생애경험에 관한 연구 - 직업적 삶을 중심으로

        이미경 사회복지정책실천회 2023 사회복지정책과 실천 Vol.9 No.3

        본 연구는 생애사 연구방법을 적용하여 정신건강사회복지사로서의 삶을살아온 개인의 삶을 반추해보고, 정신건강사회복지의 정책·제도·시대적 상황 등을 탐색하고자 한다. 또한 사회환경과 정신건강사회복지사 삶의 상호작용을 분석하고자 한다. Mandelbaum의 분석방법에 근거하여 분석한 연구결과는 첫째 삶의 영역은 “전문성의 확장”, “보건과 복지의 양면성”, “기울어진 실천현장”, “실천현장에서 살아남기”로 분석된다. 둘째, 전환점 영역은 “기회와 운”, “복지정체성 찾기”로 분석된다. 셋째, 적응영역은 “연대와 도전”으로 분석되었다.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첫째, 정신건강사회복지사의 복지중심 실천 강화, 둘째, 정신건강증진시설 특히 정신건강복지 센터의 승진제한 구조의 해결, 셋째, 사회복지사의 정체성 강화를 위한 교육체계 마련, 넷째, 정신건강사회복지 실천현장의 연대 강화 등의 제언 및 함의를 제시하였다. This study applies life history research methods to reflect on the individual’s life as a mental health social worker and explores the policies, systems, and historical circumstances of mental health social welfare. This also aims to analyze the interaction between the social environment and the lives of mental health social workers. The research results analyzed based on Mandelbaum’s analysis method show that the first, ‘dimension of ​life’ is analyzed as “expansion of expertise,” “two sides of health and welfare,” “inclined practice field,” and “survival in the practice field.” Second, ‘turning point’ area is analyzed as “Opportunity and Luck” and “Finding Welfare Identity.” Third, ‘adaptation’ was analyzed as “solidarity and challenge.”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four implications were suggested: Reorganization the medical-centered delivery system into a welfare-centered delivery system; Resolution of the advancement opportunity in Mental Health Welfare Center; Establishment of an education system to strengthen the identity of social workers; Reinforcement solidarity in mental health social welfare practice sites

      • 중국 사회정책 발달과정에 관한 연구

        高春蘭(Chun lan Gao) 사회복지정책실천회 2016 사회복지정책과 실천 Vol.2 No.2

        본 연구는 중국 사회정책 발달과정을 경제체제개혁과 사회변화에 따라 계획경제시대, 전환기, 새로운 시대의 사회정책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각 단계에 따른 분석 내용으로는 핵심 사회정책이라 할 수 있는 사회(노동)보험제도, 취업제도, 공공부조, 주택제도 등이다. 계획경제 시대에 국가는 사회복지 제공의 유일한 주체였으며, 사회정책은 경제정책에 종속되었고 국가 재분배 제도의 일부분이었다. 비록 국가가 독자적으로 사회복지 자원을 배분하지만 복지혜택이 평등하게 분배된 것이 아니라 도시의 “단위인” 신분으로서 자격이 주어졌으며 이러한 신분은 도시 호적과 국가에서 분배한 일자리와 관련되었다. 경제체제 개혁과 더불어 사회정책은 전환기에 들어섰다. 전환기의 사회정책은 경제개혁과정에서 야기된 문제를 해결하는 도구이자 사회 안정을 유지하는 장치이다. 이 시기 중국 정부는 국유기업개혁 수요에 따라 기업 혹은 단위와 분리된 사회보장체계를 수립하였으며 사회복지의 사회화를 추진하여 시장의 역할을 강조하였다. 2003년부터 정부는 인간을 근본으로 하는 조화로운 사회건설 목표를 제시하면서 일련의 민생 관련정책을 시행하였다. 이로써 중국의 사회정책은 새로운 시대에 들어서게 되었다. 중국의 사회정책의 이러한 변화는 커다란 역사적 성과라 할 수 있지만 사회정책의 철학적 기초는 여전히 도덕적 배려의 성격에 머물러 있고 시민권적 보장으로 간주되지 않고 있다. 사회정책의 내용도 현금이나 현물지급이 주룰 이루고 있으며 사회서비스는 간과되고 있다. 일부 학자들은 멀지 않은 미래에 중국은 사회정책의 시대로 들어서게 될 것이라고 주장한다. 그러나 과학적이고 합리적이며 지속가능한 사회장책체계 구축은 아직도 여러 정책주체의 노력에 의해 보완되어야 한다. This paper is based on the economic system reform and social transformation, which divided the process of social policy development in China into three stages: the social policy in the planned economy era, the social policy in the transition period and the social policy in the new era. All stages have analyzed social (labor) insurance, employment system, social assistance, housing security and other core contents and their characteristics. In the era of planned economy, the country is the sole subject of social welfare. Economic policy and social policy were highly overlapping. Social policies depended on economic policies, and it was part of the national redistribution system. The country was trying to include everyone in the social welfare system, but not everyone enjoys the equal benefits given by the government. The qualification for obtaining access to the benefits was based on “unit person” identity. This identity was closely related with the urban household and jobs distributed by the nation. With the reformation of the economic system, social policy has entered the transition period. During this period, the government has gradually established a social security system that was independent of enterprises and public institutions, to promote social welfare socialization process and strengthen the role of the market. Since year 2003, the government has put forward the goal of putting people first and building a harmonious society. China s social policies have entered a new period of development, and a series of social policies have been adopted to improve people s livelihood. Although social policies in China have made great progress, their philosophical foundations is still in the moral level of humanitarian concern, and have not risen to the political height of civil rights. The content of social policies is mainly about economic material assistance, and the social service supply has not risen to the status that it was supposed to be. Although some Chinese scholars believe that China will soon usher in the era of social policy, to establish a scientific and rational sustainable social policy system, and the process is still difficult and will have a long way to go.

      • KCI등재후보

        사회서비스기관 관리자의 사회적기업가정신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 네트워크 유형별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최윤정(Choi, Yun-Jung),손지현(Son, Ji-Hyeon),박무일(Park, Moo-Il) 사회복지정책실천회 2020 사회복지정책과 실천 Vol.6 No.3

        사회서비스 시장은 사회복지와 관련한 환경변화를 가장 잘 드러내는 대표적인 영역이라 할 수 있다. 사회서비스는 공공성이라는 사회적 가치를 실현시키는 동시에, 수요자의 선택이라는 경쟁체제에 기반한 서비스 제공체계로 이해할 수 있다. 즉 기존 비영리를 기반으로 한 사회복지서비스의 특성과 수요자 지원방식에서 발생하는 영리기관의 특성을 동시에 요구받는 기관인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사회서비스기관 관리자가 가지는 사회적기업가정신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이 가운데 네트워크 유형별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목적으로 시작되었다. 사회적기업가정신은 사회적 가치실현과 영리추구라는 두 가지 목적을 동시에 고려할 수 있으며, 직무만족은 기관의 지속가능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에서 안정적인 사회서비스 체계 유지를 위해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할 내용이기 때문이다. 또한 관공서, 타 사회서비스기관, 사회복지기관으로 구분한 네트워크 유형은 사회서비스 기관의 업무에서 실질적으로 중요하게 다루어지는 기준으로 볼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부산에서 활동하고 있는 271개 기관 관리자들을 대상으로 우편설문을 시행하였으며, 이에 최종 264개의 설문을 분석에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사회적기업가정신은 직무만족에 영향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매개효과의 경우 관과의 매개효과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타 사회서비스 기관과의 매개효과는 부분매개효과를, 사회복지기관과의 매개효과는 완전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종적으로 이러한 결과에 대한 논의와 제언사항을 정리하였다. The social service market is a representative area that best reveals changes in the social welfare environment. Social services can be understood as a service provision system based on a competitive system of consumer choice while realizing the social value of publicity. In other words, it is an institution that is required for both the appearance of social welfare services based on the existing non-profit and the characteristics of a for-profit institution. Therefore, this study was started with the purpose of analyzing the effect of social entrepreneurship of social service institution managers on job satisfaction, and among them,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each network type. To this end, this study conducted a mail survey for managers of 271 institutions operating in Busan, and analyzed the final 264 case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confirmed that social entrepreneurship has an effect on job satisfaction.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mediating effect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network with government offices was not significant. Next, the network with other social service organizations showed partial mediating effect. Finally, it was found that social welfare institutions and networks have a perfect mediating effect. After that, discussions and suggestions for these results were summarized.

      • KCI등재

        단일임금체계에 대한 사회복지시설 종사자의 인식연구 - 부산시 사회복지시설 종사자를 대상으로 -

        최윤정 사회복지정책실천회 2022 사회복지정책과 실천 Vol.8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복지시설 종사자의 현재 임금체계 문제점 및 단일임금체계 마련 시 고려사항 등을 확인하여, 사회복지 현장에서 실현 가능한 ‘사회복지시설 종사자 단일임금체계’ 마련의 방향성을 모색하고자 하는 것에 있다. 이를 위하여 사회복지시설 종사자가 현재 임금체계에서 어떠한 어려움을경험하고 있으며, 사회복지시설 종사자 단일임금체계 마련에 대한 인식과 필요로 하는 부분을 초점집단인터뷰를 통해 파악하고자 하였다.초점집단인터뷰는 사회복지직 종사자와 사회복지직 외 종사자 등 33명의 참여자를 6집단으로구성하여, 총 12회 진행하였다. 분석결과 종사자들의 임금체계에 대한 인식은총 8개의 범주 및 20개의 하위범주로 도출되었다. 8개 범주는 ‘운영비 지원 방식의 문제’, ‘적정 임금 적정 인력’, ‘인건비 체계 정비’, ‘수당지급’, ‘종사자 규모기준’, ‘비교직급 설정’, ‘승급/경력체계’, ‘단일임금체계에 대한 우려’ 등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사회복지시설 종사자 단일임금체계마련 및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실천적 함의를 제안하였다.

      • KCI등재후보

        어쩌면 나도 자산가가 될 지도 몰라’: 주택 가격 상승이 복지 인식에 미치는 영향

        조남경,송기호,김병인 사회복지정책실천회 2020 사회복지정책과 실천 Vol.6 No.2

        Here we attempted to explore the relation between public welfare attitudes and the price level of houses in Korea. We drew on the trade-off theory and related literature between the house ownership and the development of social welfare, and hypothesized that not only having her own house but also the general price level of houses, regardless of owning, could have impact on welfare attitudes of people in society. Our empirical analysis showed that the price level of houses affects people’s perception of the degree of distributional inequality in income and wealth, and their support for tax increase for the purpose of enlarging social welfare. As the level of house price goes up, people tend to perceive the distribution of income and wealth in our society is more equal, and to less support tax increase for social welfare. Increasing price level of houses appears to strengthen the desire for personal wealth and preference for individual preparation for their welfare needs, and lowers their expectation for collective and institutionalized risk-pooling. This shows the possibility and importance of the trade-off theory, and more concretely, of the general price level of houses, in explaining and predicting public welfare attitudes and welfare politics. 본 연구는 국내 주택시장의 가격 변동이 국민들의 사회복지에 대한 인식과 어떠한 연관성을 갖고 있는지 탐구하기 위한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다. 구체적으로 ‘주택의 자가 소유와 복지의 발달 간 상쇄이론(the Really Big Trade-Off theory)’의 논점과 이에 관한 선행연구들의 비판적인 검토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국내 주택가격의 변동이 복지와 관련된 국민들의 인식과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지 경험적으로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독립변수는 한국감정원의 전국주택가격동향조사에 따른 연도별 주택가격 변동지수를, 종속변수는 한국복지패널 데이터의 복지인식 부가조사 자료에서 추출한 소득 및재산 불평등에 대한 인식, 소득 불평등 완화에 대한 정부 책임 인식, 그리고사회복지 확대를 위한 증세에 대한 태도를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 주택가격의 변동은 소득 및 재산이 불평등하다는 태도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부적 영향을 가졌다. 사회복지 확대를 위한 증세에 반대하는 태도에서도 주택가격의 변동이 부적 영향력을 보였다. 즉, 주택가격이 높아질수록 소득 및 재산의 평등 정도가 높은 것으로 생각하고, 복지 확대를 위한 증세에는 반대하는 태도를 나타내는 것이다. 국내에서 주택가격의 상승은 사적 소유를 강화하고자 하는 기제로 작용함으로써복지확충에 부정적인 태도를 갖도록 하는데 기여한다고 볼 수 있다. 이를 통해 한국의 복지정책을 설명하는 하나의 요소로서 상쇄이론이 가진 기본전제의 타당성을 확인하였으며, 자가의 소유뿐만 아니라 (실현될지 알 수 없는) 자신의 미래 자산가치 전망으로서의 주택가격 변동도 복지태도 연구에서 중요하게 고려될 필요가 있다는 점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일본지역복지실천 연구의 현황과 미래

        노구치 사다히사(野口定久),이성한(Sung Han Lee) 사회복지정책실천회 2017 사회복지정책과 실천 Vol.3 No.2

        현재 동아시아에서 공통적으로 인식해야 하는 과제들은 저출산 고령화와 격차의 확대이다. 글로벌제이션의 진전으로 인해 현대적 스트레스와 사회병리적 현상과 혼합되어 나타난 문제들이 지역커뮤니티 안에서 표출되는 경향이 있다. 특히 한국과 일본에서의 사회정책 과제 중 가장 큰 이슈가 되고 있는 부분은 임금노동자와 자영업자 등의 빈곤율 상승, 여성가장인 세대의 빈곤문제, 맞벌이부부의 증가, 독거노인문제 등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에서는 향후 한국과 일본의 사회보장과 사회복지제도의 방향과 지역복지, 개호서비스의 구축이라고 하는 보다 보편적이고 보다 개별적인 현안을 검토했으며, 한국과 일본의 공통적인 과제를 제시했다. Recently, the major current issues to be recognized in East Asia are low fertility, aging and expansion of gap. Due to the result of the expansion of globalization, problems that are mixed with modern stress and social pathological phenomena tend to be expressed in local communities. Particularly, the crucial social policy issues in South Korea and Japan are the increase of poverty rate of wage workers and self-employed workers, the poverty of the female household, the increase of the couple with dual income, and the problem of the elderly living alone. In this context, this study examined the direction of development of social security and social welfare system in South Korea and Japan in the future, the common issues such as the construction of local community welfare and nursing care services, and the presented a common task between South Korea and Japan.

      • 한국의 재난복지의 개념정립을 위한 이론적 고찰

        최송식(Song sik Choi) 사회복지정책실천회 2016 사회복지정책과 실천 Vol.2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재난의 본질을 사회적으로 구성된다는 관점에서 사회복지의 개념과 본질에 바탕하고 재난피해자와 재난피해지역의 재난단계별 욕구에 기반을 두고서 재난복지에 관한 구성을 이론적으로 고찰하고 제안하는데 있다. 이런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 사용한 연구방법은 문헌연구방법이다. 이 연구에서 다루는 재난은 일부 사회적 재난을 고찰하지만 기본적으로는 자연재난에 한정한다. 재난은 기본적으로 자연현상에 의한 발생이라 하더라도 그 진행과정에서 어떠한 결과가 나타나느냐 하는 것은 재난의 사회적 구성과 연쇄성이 어떻게 작동하느냐에 좌우된다. 그런 견지에 입각하여 재난복지의 필요성을 재난취약자와 그들이 가진 욕구의 진행단계별 특성에 따라 달라지는 것을 고찰하였다. 재난복지의 개념과 본질은 사회복지의 이념 확대와 개념변화에 따라서 일반 모든 사람들의 복지향상에 초점을 두었지만, 특히 재난취약자인 재난시요보호자를 대상으로 재난복지의 전개과정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그 속에서 사회복지는 어떤 방법과 역할을 수행해야 하며, 특히 배경지식과 지향이 다른 전문직이나 성격이 다른 조직간의 효율적 연계를 위해 네트워킹을 구축하고 작동하는 데에서 재난복지의 중요한 관여를 강조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ider and suggest theoretical constructs of disaster social work based on the demands of the affected people and community in the cycle of disaster, which are congruent with the principles of social welfare, and on the perception that the essence of disaster is socially constructed. The study is conducted through literature research, and mainly analyzes natural disasters while partly exploring social disasters. Even for natural disasters, the consequences will depend on how its social constructs are defined and the chain effects of affecting occur throughout the progress of the disaster. From this perspective, the necessity of disaster social work are discussed focused on the changed demands of the socially vulnerable and affected people in each steps in the cycle of disasters. As the concepts of disaster social work have expanded and changed, it recently begins to emphasize improving of general population s well-being in disasters. Nevertheless disaster social work can manifest its own value and worthiness when it brings light on how to work with the disaster vulnerable and tries to define the roles of social work especially related with establishing the networking among professionals with different backgrounds and beliefs or diverse groups. For limited space in these papers, one thing could not be covered in this article. It is about what social welfare should function and which directions it should move forward in regard of recovering damages and establishing a new community based on regional traits. It will be explored and discussed in the future stud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