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F-18 FDG PET Findings for Vogt-Koyanagi-Harada Disease
박혜림,유이령,Sonya Youngju Park 대한핵의학회 2017 핵의학 분자영상 Vol.51 No.2
Vogt-Koyanagi-Harada disease is a raremultisystemic granulomatous autoimmune disorder affectingpigmented tissues such as the choroid, meninges,inner ear, and the skin. Neurologic symptoms are usuallymild. Clinical manifestations include generalizedmuscle weakness, headache, meningismus, vertigo, decreasedvisual acuity, hearing loss and mental changesranging from mild confusion to psychosis, hemiparesis,dysarthria, and aphasia. Seizures are very rare. Wedescribe a case of 18F-fluorodeoxyglucose (F-18 FDG)positron emission tomography (PET) and software-fusedPET-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in Vogt-Koyanagi-Harada disease with seizure.
중학생이 인식하는 안전사고와 장애학생 안전의 관계 연구
박혜림,최성규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18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57 No.4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safety accidents of middle school students and perception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10 items of safety accident experience, 10 items of safety accidents recognition, and 10 items of safety accident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Data were analyzed for 211 middle school students in ○○city, Gyeongsangnam-do Province.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by independent sample t/F,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waere follow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erception of safety beliefs of middle school students and the safety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Second, as a result of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middle school students who are highly aware of the safety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were highly aware of their safety accidents and safety accidents. Therefore, in order to raise the awareness of safety, it is expected that safety education and practice will reduce the incidence of school safety accidents and enhance the awareness of safety. 이 연구는 중학생의 인식하는 안전사고, 그리고 장애학생 안전에 대한 인식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조사연구로 수행되었다. 설문지는 안전사고 경험 10문항, 안전사고 인식 10 문항, 장애학생 안전사고 10문항으로 구성하였다. 경상남도 ○○시에 소재한 중학생 211명을 대상으로 자료가 분석되었으며, 설문지는 독립표본 t/f검증, 상관분석 및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각각의 결론은 두 가지로 요약된다. 첫째, 중학생의 안전사고 그리고 장애학생 안전에 대한 인식은 배경변인별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상관분석 및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장애학생 안전에 대한 인식이 높은 중학생들은 자신들의 안전사고에 대한 경험과안전사고에 대하여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안전에 대한 인식을 높이기위하여 안전교육 및 실천 등의 노력이 학교 안전사고 발생률 감소와 안전에 대한 인식 강화등 안전문화가 형성되기를 기대한다.
특수교육전공 대학생의 자기효능감, 스트레스, 전공만족도, 직무수행능력의 구성요인에 대한 인식연구
박혜림,최성규 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학회 2018 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연구 Vol.9 No.2
This study analyzed the relation of self-efficacy, stress, major satisfaction, and job performance in preservice special teachers. A total of 377 questionnaires were administered to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in special education nationwide. The components for self-efficacy, stress, major satisfaction, and job performance in preservice special teachers consist of 10 factors. The self-efficacy consists of factors of confidence and effort, while stress consists of academics, inefficiency, and avoidance. major satisfaction consists of class satisfaction and curriculum satisfaction, and job performance consists of class design, teaching culture, and curricular specialization. The self-efficacy, stress, major satisfaction, and Job performance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special education have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each factor In conclusion, preservice special teachers and various experiences are required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in special education 이 연구는 전국의 특수교육전공 대학생 377명을 대상으로 자기효능감, 스트레스, 전공만족도 그리고 직무수행능력의 관계를 조사하여 분석하였다. 특수교육전공 대학생의 자기효능감, 스트레스, 전공만족도 그리고 직무수행능력에 대한 구성요인은 10개의 요인으로 구성된다. 자기효능감은 자신감과 노력의 요인으로 구성되며 스트레스는 학업, 비효율성 그리고 회피의 요인으로 구성된다. 전공만족도는 수업만족과 교과만족 그리고 직무수행능력은 수업설계, 교직문화 그리고 교과전문성의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특수교육전공 대학생의 자기효능감, 스트레스, 전공만족도 그리고 직무수행능력은 각 요인별로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다. 결론적으로 특수교육전공 대학생의 직무수행능력 향상을 위하여 전공학습 및 다양한 경험 등이 요구된다.
Pt@Fe<sub>2</sub>O<sub>3</sub>/rGO 촉매의 물 분해 수소 제조 성능 평가
박혜림,강미숙 한국공업화학회 2019 한국공업화학회 연구논문 초록집 Vol.2019 No.1
증가하는 에너지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화석연료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지면서 한정된 에너지 자원의 고갈과 함께 지구 온난화와 같은 환경오염 문제가 대두되고 있다. 이에 따라, 화석연료를 대체할 수 있는 차세대 청정에너지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는 가운데 수소가 미래 에너지원으로써 주목받고 있다. 수소는 높은 에너지 밀도를 가지면서도 연소 과정에서 다른 유해한 부산물이 생성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수소를 생산하는 방법 중에서 태양광을 이용하여 물을 수소와 산소로 분해하는 광촉매 반응은 환경오염 문제뿐 아니라 에너지 문제 해결에도 기여할 수 있다. 따라서, 태양광을 이용해 효율적으로 물을 분해할 수 있는 광촉매를 개발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가시광 영역 흡수에 유리한 광촉매로 Fe<sub>2</sub>O<sub>3</sub>를 선택 하였고, 뛰어난 전자 이동도를 나타내는 graphene을 첨가하였다. 그리고 소량의 Pt를 첨가하여 높은 효율과 선택성을 갖는 촉매를 제조하고자 하였다. 합성된 촉매는 XRD, SEM, TEM을 통해 물리 화학적특성을 분석하였고, PL, UV-Vis, XPS를 이용해 광학 특성을 확인하였다. 광반응 중에 생성된 기체는 GC 및 Mass를 통해 분석하였다.
지자체칼럼 : 이제는 지방소득세다: 숨어 있는 법인 사업장 중심으로
박혜림 한국지방세연구원 2014 지방세포럼 Vol.17 No.-
추진배경 주택 취득세율 영구 인하(개정 예정), 노령연금 및 무상복지 등 새로운 복지재정 증대로 지방재정 부담은 가중되고 있으나 경기 침체 및 부동산 거래 둔화 등으로 세원여건은 애로가 있으므로 조세의 증세로 납세자의 새로운 부담증가보다 기존 세원의 탈루은닉 등 숨어 있는 세원발굴 필요성 증폭되고 있으며 지방소득세의 과표 및 세율에 있어 소득세와 법인세액을 과표로 하여 10%의 세율로 하는 부가세 구조에서 소득세 등의 과세표준을 공유하여 독립세율(0.6~3.8%)로 과세체계를 전환하는 독립세로 과세 자주권의 확대개정 예정으로 지방소득세의 중요성이 더욱 대두되고 있다. 열악한 자치재정에도 불구하고 갈수록 자치단체에 대한 지역 주민들의 삶의 질 향상 등 복지수요 증가 및 지역개발에 대한 욕구가 증대됨으로 인하여 각 자치단체에서는 세수확보를 위해 부단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며, 특히 누락세원에 대하여는 단호하게 대처하여 추징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최근까지의 세무조사 유형을 보면, 주식변동에 따른 과점주주, 신축건물 과표 누락 등 주로 취득세분야에 집중되어 있다. 취득세 위주의 세무조사가 누락된 취득가액 확인이나 과점주주 과세를 위한 장부(계정별 원장 등) 확인이 비교적 수월하고 세액이 큰 편이라 당연하게 생각할 수 있지만, 점차 납세자들의 이해가 높아지고 있어 과거와 같이 취득세 누락이 많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이제는 상대적으로 인식이 부족한 지방소득세 분야로 관심을 돌려볼 필요가 있다. 지방세 세무조사 중 지방소득세 조사는 신축건물 취득과표 산정을 위한 건설원가를 조사하는 이상의 많은 시간이 소요되며 특히 조사의 방향을 잃었을 때는 성과 없이 시간만 낭비할 수도 있고, 일일이 사업장을 직접 확인해야 할 필요성도 발생하게 된다. 지방소득세의 누락세원을 조사하기 위해서는 현재 기업 환경 등 사회의 흐름을 전반적으로 살펴볼 필요가 있다. 그중 눈여겨볼 기업운영 형태가 ``아웃소싱(outsourcing)``인데 아웃소싱은 기업의 내부 프로젝트나 제품의 생산, 유통, 용역 등을 외부의 제3자에게 위탁 처리하는 것을 말한다. 1980년대 후반미국 기업이 제조업 분야에서 활용하기 시작했으며 경리, 인사, 신제품개발, 영업 등 모든 분야로 확대되었다. ``아웃소싱``은 국내외의 경제 상황 악화와 이에 따른 경쟁의 격화로 인해 한정된 자원을 가진 기업이 모든 분야에서 최고의 위치를 유지하기 어렵게 되면서 해당 기업이 가장 유력한 분야나 핵심역량에 자원을 집중시키고, 나머지 활동은 외부의 전문기업에 위탁 처리함으로써 경제효과를 극대화 하는 전략이라 할 수 있을 것이며, 우리나라는 IMF환란 이후 산업구조의 변화로 인해 파생된 외주법인이 증가되었고 대기업들은 경영 효율화와 인력의 관리에 있어 유연성을 확보하기 위해 많은 부분 아웃 소싱이나 외주용역 직원으로 대체하고 있는 실정이다. 우리 구에서는 아웃 소싱 업체 중 외주용역법인을 대상으로 세무조사를 실시해 세원 발굴한 사례를 소개하고자 한다. 추진경위 외주용역업체(이하 ``외주법인``이라 통칭함)들이 교통, 통신 등의 발달로 지역단위 사업 영역에서 벗어나 전국단위 사업영역으로 확대하고 있고, 전국단위 사업영역 확대 과정에서 지역별 사업자등록을 하는 경우와 본점의 사업자등록을 그대로 이용하는 경우가 있으며, 후자의 경우 과세 관청에서는 기업의 현황을 정확히 파악하기가 어렵다. 외주용역 및 사업자등록번호 없는 기업을 정확히 파악하지 못한다면 사업장별 종업원 수 50인 초과시 과세되는 지방소득세 종업원분, 매년 사업장에 과세되는 주민세(법인균등분), 법인결산일 현재 사업장별 안분 신고 납부되는 지방소득세 법인세분, 사업장 직원들이 봉급을 수령하면서 납부하는 지방소득세 특별 징수분 등의 세원이 누락될 가능성이 크다. 우리 구에서는 세수누락 방지를 위해 2009년부터 꾸준히 외주법인들의 주사업장인 대형건물·백화점·호텔 등의 용역 사업장 현황을 출장 점검하고 당해 건물의 유지관리를 위한 기본인력을 파악하였으며 지방세 적정 납부
박혜림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2022 한국초등국어교육 Vol.75 No.-
This study does not aim to find implications for the improvement of Korea’s duty by analyzing the literacy learning activities prevalent in American Korean language labor.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which are microscopic directions under the curriculum composition method, are analyzed to confirm whether literacy is practiced in any way in the U.S. duty. As a result of analysis by dividing into three categories: text, comprehension text connection, and literacy integration, specialization of pre- 「Reading」 activities, text recording and strategy 「Reading」 learning, use of teenage text, connection with other subject learning or life, and literacy integration Implications were obtained in relation to the expansion of activities. It is necessary to devise professional literacy activities for children in Korea, considering that in many cases the U.S. obligations are made up of learning composition rules that study the state of the reader as the minimum subject. 이 연구는 미국 국어 교과서에 나타난 문식성 학습 활동을 분석하여 우리나라 국어교과서 개선에 주는 시사점을 찾는 데 목적을 둔다. 단원 구성 방식 이하의 미시적 차원인 교수⋅학습 활동을 분석 대상으로 하여 미국 교과서에서 문식성을 어떠한 방식으로다루고 있는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텍스트 이해, 텍스트 연결, 읽기 쓰기 통합의 세범주로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 읽기 전 활동의 다양화, 텍스트 감상과 읽기 전략 학습의비중, 다중 텍스트의 활용, 타교과 학습 또는 실생활과의 연계, 읽기 쓰기 통합 활동의확대 등과 관련하여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다. 미국 교과서가 독본의 성격을 지니고주제 중심 단원 구성 체제로 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는 점을 고려하여 우리나라의 실정에맞게 문식성 학습 활동을 구안할 필요가 있다.
박혜림 원광대학교 법학연구소 2023 圓光法學 Vol.39 No.2
In Korea, even though there were laws such as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law and criminal law, such as occupational negligence and loss of life due to industrial accidents, the proportion of deaths from industrial accidents is still higher than that of advanced countries, and large-scale accidents such as the Icheon fire accident continue to occur. Accordingly, along with awareness of safety, the theory of responsibility for industrial accidents has become a hot topic. As part of that, it has been one year since the introduction of the Severe Disaster Punishment Act was enacted. As a result of the implementation, the investigation is prolonging as the proportion of cases processed is less than 30%, and the effectiveness of the Severe Accident Punishment Act is strongly questioned as only one case has been prosecuted. Rather, the news that the manager is strengthening legal services to avoid his responsibility is that the intention of introducing the Severe Disaster Punishment Act, which was expected to strengthen prevention and safety measures due to strong punishment, disproves that it is flowing in a different direction. Therefore, in this paper, in order to examine the direction of practical application of the Serious Accident Punishment Act, the Industrial Safety and Health Act, which already has similar constituent requirements, and the Corporate Manslaughter and Corporate Homicide Act 2007 will be closely compared and examined, and accordingly, the problems of the Severe Accident Punishment Act will be examined. And, based on James Reason's Swiss cheese model, which analyzed the causes of accidents caused by industrial accidents, along with improvement measures for the effectiveness of the Severe Accident Punishment Act, I'll discuss what is the direction for reasonable attribution of responsibility and prevention of recurrence. 우리나라는 산업재해에 의한 인명사고에 대하여 산업안전보건법과 형법상 업무상과실치사상죄 등의 법제가 있었음에도 여전히 선진국들에 비하여 산재사망의 비중이 높고, 이천 화재사고와 같은 대형사고가 계속해서 발생하였다. 이에 따라 안전에 대한 경각심과 더불어 산업재해에 대한 책임론이 다시금 화두가 되었다. 그 일환으로 중대재해 처벌에 대한 법률(이하 중대재해처벌법)의 도입이 논의되기 시작되었고, 입법되어 시행된 지 1년이 지났다. 그러나 시행 이후 그 결과 사건이 처리된 비율이 30%에 미치지 않을 만큼 수사가 장기화되고 있고 중대재해처벌법으로 기소된 건수가 1건에 불과하여 중대재해처벌법의 실효성이 강하게 의심받고 있다. 오히려 경영책임자가 자신의 책임을 회피하기 위해 법률 서비스를 강화하고 있다는 소식은 강한 처벌로 인해 예방 및 안전 조치 강화를 예상했던 중대재해처벌법 도입의 의도와는 다른 방향으로 흘러가고 있음을 보여준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중대재해처벌법의 현실적인 적용 방향을 살펴보기 위해 이미 유사한 구성요건을 가지고 있는 산업안전보건법과 본 법의 입법 모델이 되었던 영국의 기업과실치사 및 살인법 (The Corporate Manslaughter and Corporate Homicide Act 2007)과 면밀히 비교 고찰하고 그에 따라 중대재해처벌법이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점검해보고자 한다. 그리고 중대재해처벌법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한 개선책과 더불어 산업재해로 인한 사고 발생원인을 분석한 제임스 리즌의 스위스 치즈 모델을 기반으로 합리적인 책임 귀속과 재발방지를 위한 방향이 무엇인지 논의하고자 한다.
Cyclooxygenase-2 Expression in Benign and Malignant Chondroid Tumors
박혜림,민광선,박용구,Park, Hye-Rim,Min, Kwang-Seon,Park, Yong-Koo The Korean Musculoskeletal Tumor Society 2007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Vol.13 No.2
목적: 최근 골 및 연부조직 종양을 포함한 각종 악성 종양에서 cyclooxygenase-2 (COX-2) 의 발현 증가가 보고되고 있다. 그러나 연골 종양에서의 COX-2 발현에 대해서는 별로 알려진 바가 없다. 대상 및 방법: 내연골종 10예, 연골모세포종 11예, 연골점액양섬유종 5예, 통상적 연골육종 17예, 투명세포 연골육종 7예, 간엽성 연골육종 6예를 대상으로 COX-2에 대한 면역조직화학법을 시행하였다. 결과: 양성 연골 종양 중 연골모세포종 11예 중 6예(54.5%)에서 특징적인 강한 양성 반응을 나타내었다. 내연골종과 연골점액양섬유종은 단 1예를 제외하고는 모든 증례에서 음성이었다. 통상적인 연골육종에서 3예(17.6%)는 COX-2에 대해 강한 양성 반응을 보였는데 이러한 양성 증례는 모두 조직학적 등급 3의 분화가 나쁜 연골육종이었다. 투명세포 연골육종 중 2예(28.5%)는 국소적인 양성 반응을 나타내었고 모든 간엽성 연골육종은 음성이었다. 결론: 이러한 결과는 통상적인 연골육종에서 COX-2 과발현이 조직학적 등급 진행과 관계된 소견임을 시사한다. 연골모세포종의 COX-2 발현은 특별히 이 종양에 동반되는 종양 주변부의 염증성 변화를 유발하는 중요한 요소로 생각된다. Purpose: Recent studies have shown increased levels of cyclooxygenase-2 (COX-2) in various human malignancies to include various bone and soft tissue tumors. However, little is known with regard to COX-2 expression patterns in chondroid tumors. Materials and Methods: Immunohistochemistry assays were performed for COX-2 in enchondromas (n=10), chondroblastomas (n=11), chondromyxoid fibromas (n=5), conventional chondrosarcomas (n=17), clear cell chondrosarcomas (n=7), and mesenchymal chondrosarcomas (n=6). Results: Among the benign chondroid tumors, chondroblastomas revealed characteristic strong positivity in 6 of 11 cases(54.5%). All enchondromas and chondromyxoid fibromas were negative except in one case. In conventional chondrosarcomas, three cases(17.6%) were strongly reactive with COX-2 and all positive cases represented grade III chondrosarcomas. Clear cell chondrosarcomas were found to be focally positive in two cases(28.5%), while all mesenchymal chondrosarcomas were negative. Conclusion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COX-2 overexpression in conventional chondrosarcoma may represent an advanced histologic grade. Interestingly, expression of COX-2 in chondroblastomas could be an important factor for inducing peritumoral inflammatory changes in these specific tumo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