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고전번역대학원 설립방안 연구

        남지만 한국고전번역학회 2019 고전번역연구 Vol.10 No.-

        The Institute for the translation of Korean classics has led many translation projects of Korean classics and it has accumulated a lot of achievements, but the limits of these achievements have been revealed. This research proposed the establishment of a graduate school of classical translation studies as a way to overcome these limitations. The establishment of a graduate school of classical translation studies will make the opportunity to overcome the limitations and problems of translation of Korean classics by means of strengthening the capacity of academic research of Korean society related to classical translation. Most of the limitations and problems of translation of Korean classics was related to the lack of preparation of basic researches such as classical theories on the translations of classics. That is why the graduate school of the classical translation studies was discussed as a supplement. The graduate school of the classical translation studies which was suggested in this project, will play a major role in activating classical translation studies into academic field. Korean Chinese-written Classics is the key chain that inherits the historical and cultural traditions of the Korean people. However, it is at a limit that could not be fully utilized due to linguistic and cultural barriers. The graduate school of the classical translation studies will build and cultivate the ability to develop various cultural contents of Korean classics by connecting education and field in research and education. If the establishment of the graduate school of the classical translation studies is complemented with the Institute for the translation of Korean classics, the concrete connection of education and the working field will be realized. It would be a collaborative research system between classical translator and graduate school. In order to achieve this goal, it is necessary to plan and prepare the establishment the network among the related institute such as Institute for the translation of Korean classics, the graduate school of the classical translation studies and other universities. This network will provide graduate students with various research and training opportunities through research networking with academic institutions in and outside of Korea. 근대 이전 시기의 우리 민족공동체의 기록물은 대부분 한문이다. 현대에 이르러 이 기록들이 현대한국어로 번역되지 않으면 민족공동체의 기억이 단절될 수도 있다. 국고지원으로 고전번역사업을 진행하는 까닭은 이 일이 민족공동체의 기억을 이어가는 행위라는 것을 인식했기 때문이다. 고전번역작업은 다양한 경로로 고전번역자가 양성되었기 가능하였다. 본고는 고전번역이 이어지기 위한 필요조건인 고전번역자 양성문제에 대하여, 특히 최상급의 학술과정인 대학원 과정을 중심으로 검토하려 한다. 우리나라에서 학문적 축적은 학과형태의 학술적 연속성에 기초하기에 협동과정 형태의 운영으로는 번역의 질적 수준을 높이는데 한계를 피할 수가 없다. 독립된 학과형태의 고전번역학 과정이 필요한 이유이다. 이러한 학과 과정은 한학(漢學)이 갖는 학문체계의 통합성을 복원하여, 번역학의 기반에서 학문적으로 재구성해야 하는 학문적 요구에 부응하는 명실상부한 ‘고전번역학’ 과정이 되어야 할 것이다. 이에 대한 해답으로 고전번역사업을 주도하는 한국고전번역원을 중심으로 독립적인 고전번역대학원을 설립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현실적으로 독립적인 학문기구로서 고전번역대학원의 설립이 어렵다면, 공동학위제도를 바탕으로 하는 통합적인 협동과정 형태를 상정할 수 있다. 대학의 기존 고전번역협동과정과 한국고전번역원이 ‘한국고전번역학 공동학위과정’을 만들어 고전번역자 자격취득에 관한 부분은 한국고전번역원이 주로 담당하고, 연구를 통한 학위 취득에 관한 부분은 대학에서 주로 담당하는 형태로 고전번역대학원 과정을 운영하는 것이다. 서울과 지방에 있는 대학의 고전번역협동과정을 하나로 연계하여 공동학위과정 혹은 복수학위과정으로 운영하고 거기에 고전번역원의 번역교육과정을 공통과정으로 설정하는 방법이다. 이와 같은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현재의 고전번역원은 다음과 같은 변화가 요청된다. 첫째, 현재의 연수과정과 연구과정은 학점인정제를 바탕으로 하여 학점교류가 가능한 형태로 변화하여 정규 교육제도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둘째, 2018년 처음 도입되어 직업교육에 가까운 형태로 운용되는 교감표점전문가 양성과정, 편집전문가 양성과정을 온전한 직업교육훈련 과정으로 만들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교육부는 물론 고용노동부 등의 충분한 정부지원을 얻어서 내실 있는 교육이 될 수 있도록 해야할 것이다. 고전번역대학원 과정에 대해서는 국가의 정체성확인과 그것을 기초로 국가의 정신문화를 창달하는 기반사업이기에 국가주도의 투자가 요청된다.

      • KCI등재

        ‘1760년 상송 읍지’의 성립과 전래, 그리고 현존본-한국교회사연구소 소장 ‘여지도서’와 신발굴 ‘여지승람’ 2종에 대하여-

        손성필,김준섭 한국고전번역학회 2021 고전번역연구 Vol.12 No.-

        This study analyzed the records of Yeoji-doseo and reviewed three existing manuscripts of the 'Eupji submitted nationwide in 1760', including two newly discovered ones. The main contents of the discussion, focusing on the three existing manuscripts, are as follows. First, Yeoji-doseo, which is kept in the research foundation of Korean church history, is the original version of 'Eupji in 1760'. Contrary to what is generally known, Yeoji-doseo cannot be said to be a national name because it is named by Seo Myeong-eung in a manuscript kept in his house. Second, the newly discovered Yeoji-seungram, which is kept in various places such as Keimyung University, is the original version of 'Eupji in 1760'. In this manuscript, a new Eupji in seven regions that are not in the Yeoji-doseo, which is kept in the research foundation of Korean church history', was discovered. Third, the newly discovered Yeoji-seungram, which is kept in the the museum of silhak, is a manuscript that reproduces the 'Eupji in 1760'. In this manuscript, a new eupji in four regions, which is not in the Yeoji-doseo, which is kept in the research foundation of Korean church history, was discovered. 이 논문은 ‘여지도서’의 성립과 전래에 대한 기록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새로 발굴된 2종을 포함한 ‘1760년 상송 읍지’ 현존본 3종을 비교, 검토하여 논의한 것이다. 현존본 3종을 중심으로 주요 논의 내용을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교회사연구소 소장 ‘여지도서(55책)’는 ‘1760년 상송 읍지’의 원본이다. 일반적으로 알려진 바와는 달리 영조 41년(1765) 12월 8일에 서명응은 ‘여지도서’를 영조에게 진상하기 위해 입시한 것이 아니었다. 서명응은 ‘1760년 상송 읍지’ 원본 중의 1건을 입수하여 소장하였고, ‘여지도서’라는 명칭은 서명응이 이 ‘1760년 상송 읍지’ 원본 1건을 소장하고 장정하면서 임의로 명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여지도서’는 서명응의 개인 소장본을 지칭하는 것일 뿐, 국가적이거나 공식적인 명칭이라고 할 수 없다. 한국교회사연구소 소장 ‘여지도서’는 이 서명응 가문에 소장되어 전래된 ‘1760년 상송 읍지’ 원본이며, 이른바 ‘여지도서’라는 문헌의 실체는 ‘1760년 상송 읍지’ 원본 중의 1건인 것이다. 둘째, 새로 발굴된 계명대 등에 분산 소장된 ‘여지승람(8책)’은 ‘1760년 상송 읍지’의 원본이다. 1759년부터 홍문관이 하달한 범례에 따라 각 군읍에서 읍지를 찬집하여 홍문관, 감영 등으로 3건 또는 5건 상송했다. 홍문관에 상송된 읍지는 2건인데, 그중 어람용 1건은 홍문관에 보관된 것으로 보이나 1765년 이래 그 존재나 전승이 불분명해졌으며, 1건은 이은에게 분아되었는데 이를 서명응이 입수하여 ‘여지도서’로 명명한 것이다. 한국교회사연구소 소장 ‘여지도서’와의 비교를 통해 볼 때, 계명대 등에 분산 소장된 ‘여지승람’은 ‘1760년 상송 읍지’의 원본인 것으로 판단된다. 이 ‘1760년 상송 읍지’의 계명대 등 분산 소장본에서는 한국교회사연구소 소장본에 누락된 40여 군읍의 읍지 중에 7개 읍지의 존재가 확인된다. 셋째, 새로 발굴된 실학박물관 소장 ‘여지승람(6책)’은 ‘1760년 상송 읍지’를 복제한 정사본이다. ‘1760년 상송 읍지’ 원본은 각 군읍에서 찬집, 필사한 것이기 때문에 필체, 지도의 화풍 등이 군읍별로 각각 다른 반면, 실학박물관 소장본의 경우 전체 군읍 읍지의 필체가 유사하며, 채색 지도의 화풍도 유사하다. 또한 ‘1760년 상송 읍지’ 원본은 각 군읍별로 광곽과 계선의 형식, 색상이 다른 반면, 실학박물관 소장본은 동일 목판으로 광곽과 계선을 인출한 다음 필사한 괘인사본이다. 그러므로 실학박물관 소장 ‘여지승람’은 ‘1760년 상송 읍지’ 원본의 복제를 위해 조직적이고 체계적으로 필사, 채색하여 제작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 실학박물관 소장본에서는 한국교회사연구소 소장본에 누락된 4개 군읍의 읍지가 확인된다.

      • KCI등재후보

        한국인 인체 중심 산출 방안 연구

        신성휴 한국운동역학회 1996 한국운동역학회지 Vol.6 No.1

        본 연구는 생체역학 연구 가운데 많이 사용되고, 스포츠 기술과 밀접하게 관련된 인체중심을 정확하게 산출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즉 한국인의 인체 중심을 실측하고, 실측치와 차이를 보인 선행 연구 결과들 가운데 국내에서 많이 사용되는 외국의 결과를 보정하여 정확한 인체 중심을 구할 수 있도록 인체 분절의 질량비를 제시함으로써 생체역학 연구와 운동 기술 평가에 도움을 주고자 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인체 중심을 구할 때 현재 국내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Dempster(1955), 또는 松井(1956)이 구한 인체 분절별 전신에 대한 비율을 한국인의 인체 중심에 알맞게 보정하고 타당성을 분석한 다음 제시하였다. Dempster가 제시한 방법은 한국인 남자의 인체 중심과 2.29% 차이를 보였으며, 松井이 제시한 방법은 1.54% 차이를 보였다. 이러한 차이를 인체 중심에 국한하여 정확한 값을 얻을 수 있도록 그들이 제시한 분절의 질량비를 개선하여 제시하였다.

      • KCI등재

        축구 인사이드 페널티킥 동작 시 목표변화에 따른 하지분절의 운동학적 분석

        소재무 ( Jae Moo So ),김재정 ( Jai Jeong Kim ),박혜림 ( Hye Lim Park ),강성선 ( Sung Sun Kang ) 한국운동역학회 2013 한국운동역학회지 Vol.23 No.2

        시간변인을 살펴보면 Phase 2 구간에서는 T2의 시간변인이 T1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되었다. Chae 등 (2010)은 킥 시 불안정한 자세가 유발되면 강한 킥보다는 정확성을 높이기 위해 준비 시간을 증가시킬 수 있다고 하였다. 따라서 인사이드로 페널티 킥 하기 어려운 지점인 T2에 볼을 정확히 보내기 위해 Phase 2 구간의 시간을 증가시킨 것으로 생각되어진다. 우측 하지분절 질량중심의 X, Y축 선속도 결과를 보면 타겟의 위치와 관계없이 대퇴, 하퇴, 발분절의 순서로 최대 속도가 발생되고 있으며 Y축의 속도가 가장 크게 나타내어 모든 분절의 속도에 영향을 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는 타격순간 끝 분절인 발의 속도를 최대로 증가시키기 위해 대퇴, 하퇴 분절의 순으로 최대속도 후 감속시키는 채찍동작의 형태를 나타낸다는 Hong 과 Kang(1997)의 연구와 일치한다. 그리고 LD 시점에서 대퇴와 하퇴 분절의 속도가 IP시점에서는 발 분절의 속도가 가장 크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로 LD 시점에서의 대퇴, 하퇴 분절의 속도가 임팩트 순간 발분절의 속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작용된다고 사료된다. 오른 발 질량중심의 선속도에서 LD, IP 시점에서 T2가 다른 타겟보다 Y축 방향의 선속도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되었다. 이는 Lim 과 Yoon (2002)의 연구에서 도움닫기 속도는 오른쪽 뜬공일 때 가장 느린 속도를 나타내며 도움닫기 속도를 달리하여 골키퍼의 타이밍을 어렵게 하는 동시에 정확성을 높이려는 것과 일치하는 결과이다. 관절각은 LD 시점에서 T1과 T2가 T3와 T4보다 Trunk 각이 크게 나왔으나 통계적으로 차이는 없었다. 이러한 결과는 디딤발 착지 시 몸통 전 후경각은 네 곳의 목표 모두 수직축에 대하여 뒤쪽으로 기울어 졌으며, 왼 땅볼로 킥을 할 때 뒤쪽으로 가장 적게 기울이는 것으로 나타났다(Lim & Yoon, 2002)는 결과와 일치한다. 킥을 하는 선수는 차고자하는 방향에 관계없이 몸통각을 유지하여 킥을 할 수 있는 능력을 키우고, 골키퍼의 측면에서는 킥을 하는 선수의 몸통을 주시하는 것이 골을 막아낼 확률을 높일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LD, IP, FT 시점에서 T2가 다른 타겟보다 Right foot 각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한 것은 T2 즉 오른 위쪽으로 킥 할 때 오른발의 각도를 시계방향으로 더 벌려서 킥의 방향을 결정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왼 발의 각은 LD와 IP에서 모두Y 축과 시계방향 즉 오른쪽으로 향하고 있어 Lim & Yoon (2002)의 왼쪽으로 킥 할 때에는 왼발의 각도가 왼쪽으로 향하고 오른쪽으로 킥 할 때는 오른쪽으로 향한다는 연구결과와 상이 하였다. 이는 피험자들이 페널티킥 시 골키퍼에게 디딤발의 방향으로 킥의 방향을 읽히지 않으려는 것으로 사료된다. 각속도의 경우 LD 시점에서 T1과 T3가 T2와 T4보다 Right foot 각속도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음(-)의 방향으로 증가하였는데 이는 T1과 T3가 왼쪽에 위치하고 있어 왼발의 착지부터 오른발을 Y축의 시계반대방향으로 가속시켜 방향을 결정하는 것으로 생각되어진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data to increase the success rate of penalty kicks through quantifying the shape of skilled kicks by performing a kinematic analysis on the change of movement during the kicking phase which the goalkeeper uses as a vital clue. Three high definition video cameras(GR-HD1KR, JVC, Japan) were used for the study and 18 reflective markers were attached to the body joints. Corners of the goal, difficult for goalkeepers to block, were set as aims and 1 m by 1.2 m targets were installed. Each subject had five sets of kicks at random, and the analysis was done on the movements that hit the target. Time, speed of the right lower limb`s center of mass, joint angle, and angular velocity were chosen as factors and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ed statistical significance. The player taking a penalty kick should train to avoid leaning one`s body towards the kicking direction and change the angle of the right foot right before the impact to decide the direction of the ball. The goalkeeper can increase the save success rate by studying the angle of the kicker`s body and the right foot as well as the timing of the kick.

      • KCI등재
      • KCI등재

        노르딕 워킹과 일반 보행의 효율성 비교 분석

        김로빈,조준행 한국운동역학회 2011 한국운동역학회지 Vol.20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analyze the changes in kinematic and kinetic parameters and to find biomechanical benefits of Nordic Walking and normal gait performed under the same velocity. Nine participants(age: 26.73±3.28 year, height: 182.45±4.62 cm, weight: 76.59±6.84 kg) was chosen. The velocity of gait was set by 5.75 km/h which was made by a Nordic Walking professional. The data were collected by using VICON with 8 cameras to analyze kinematic variables with 200 Hz and force platform to analyze kinetic variables with 2000 Hz.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when compared with Normal gait, Nordic Walking group showed decreased Plantarflexion angle and ROM. Second, Nordic Walking group showed decreased knee flexion angle and ROM. Third, Nordic Walking group showed increased hip joint movement. Fourth, Nordic Walking group showed higher active GRF but decreased loading rate from delayed Peak Vertical GRF time and increased impulse. Fifth, Nordic Walking group showed longer ground contact time. Through this study, we found that Nordic Walking showed higher stability and efficiency during gait than normal gait and that Nordic Walking may help people who have walking difficulties.

      • KCI등재

        다각형 클리핑 알고리즘(Polygon Clipping Algorithm)을 이용한 배구경기 분석 프로그램 개발

        홍성진 ( Seong Jin Hong ),이기청 ( Ki Chung Lee ) 한국운동역학회 2013 한국운동역학회지 Vol.23 No.1

        1. 프로그램의 개요 프로그램의 초기 화면은 <Figure 11>과 같다. File 메뉴에서 Open 메뉴를 선택하면, 각각의 공격 유형을 선택할 수 있다. Simulation 메뉴를 선택하면, 선수와 공의 움직임을 동영상으로 볼 수 있도록 하였으며, 스파이크 하는 순간에 형성되는 오픈면적에 대해서도 알아볼 수 있도록 하였다. Ball 메뉴를 선택하면, 세터의 위치, 세트한 공의 위치와 스파이크시 공의 위치를 팀별로, 그리고 공격의 성공과 실패로 구별하여 볼 수 있다. 2. 세터의 움직임과 세트시 공의 위치 세터가 세트를 하기 위해 이동한 거리와 세트시 공 접촉 위치는 <Figure 12>와 같다. <Figure 12>의 코트를 나타낸 아래 부분에서는 세터가 세트를 하기 위해 처음에 위치한 지점에서 실제 세트를 하기 위해 이동한 지점과의 이동 거리를 나타냈다. 네트로 표시한 Figure에서는 세트시 세터의 공 접촉 위치를 네트를 기준으로 나타냈다. 여기서 공격의 성공과 실패를 구별하기 위해서 성공의 경우에는 붉은색 테두리에 원의 안을 빈 상태로 나타나도록 표현하였고, 실패한 경우에는 초록색 테두리로 원의 안을 채워서 표현하였다. 또한 각 팀별로도 볼 수 있으며, 두 팀을 함께 나타낼 수도 있도록 하였다. 3. 스파이크시 공의 위치 초기 화면의 Ball 메뉴에서 Spike 메뉴를 선택하면, <Figure 13>과 같이 공격수가 공격하는 순간의 공의 위치를 볼 수 있도록 하였다. 네트로부터 떨어진 위치와 높이를 동시에 볼 수 있도록 구현하였다. 또한, 스파이크시 공격의 성공과 실패시 타점의 위치를 코트 내의 위치와 네트를 기준으로 한 높이로 볼 수 있도록 하였다. 세트시 공의 위치와 마찬가지로 성공과 실패를 구분할 수 있도록 공의 색상을 다르게 하였고, 역시 팀별로 또는 두 팀을 합친 수행을 모두 표현할 수 있도록 하였다. 4. 선수와 공의 움직임 및 오픈면적 계산 File 메뉴를 선택한 후, Open 메뉴에서 공격유형을 선택하면 미리 만들어 놓은 .txt 파일이 나온다. 이 중에서 한 trial을 선택하면 <Figure 14>와 같이 선수와 공의 움직임 및 공격하는 순간에 형성되는 오픈면적을 볼 수 있다. 선수는 세터와 보조공격수 2명, 공격수, 그리고 블로커 2명을 표현하였다. 세터와 보조공격수, 그리고 공격수는 각각 머리로 위치를 표현하였고, 오른쪽 블로커는 오른손 왼쪽 블로커는 왼손의 위치로 표현하였다. 경기장으로 표현한 부분에서는 선수들과 공의 움직임, 그리고 공과 블로커의 상대적인 위치에 따른 오픈면적의 변화를 시뮬레이션으로 볼 수 있도록 하였으며 <Figure 15>와 같은 도표를 출력할 수 있게 하였다. 왼쪽 위부분에서는 블로커와 공의 위치 변화를 3차원 좌표로 나타나게 하였다. 중앙 부분에서는 전체 프레임에 대한 현재의 프레임을 표시해주며, 그 옆에는 프레임을 임의로 혹은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는 기능을 구현하였다. 아래 부분에서는 블로커의 왼쪽과 오른쪽, 그리고 위쪽에 형성된 오픈면적과 이를 종합한 전체 오픈면적을 시시 각각으로 볼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마우스를 이용해 공과 블로커의 위치를 임의로 변화시켜볼 수 있도록 하여 최적의 오픈면적을 확보하기 위한 위치에 대해서도 이해 할 수 있도록 하였다. The current study developed the analysis program by employing the Polygon Clipping Algorithm to calculate the open area on the court when players try to spike a ball. The program consists of two kinds of output screen. First, on the main output screen, it is possible to calculate both blocked area by net and blockers, and opened area to avoid the blocked area when players spike the ball. Additionally, the secondary output screen shows the moving path of setter and the location of set. Main output screen indicates hitting points of spiking, blocking, and open area. Also, it is possible to analyze the movement of setter, location of set, and hitting point of attacker. The program was tested by comparing real coordinate value and location coordinate value which is operated on the program. To apply this program in the field, future study needs to develop the program that can calculate three dimensions coordinate fast by tracking the location of players or ball in real time.

      • KCI등재

        스쿼트 동작 시 경사기능전신진동기의 적용이 몸통 및 하지 근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오주환 ( Ju Hwan Oh ),강승록 ( Seung Rok Kang ),권대규 ( Tae Kyu Kwon ),민진영 ( Jin Young Min ) 한국운동역학회 2015 한국운동역학회지 Vol.25 No.4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dynamic squats with slope-whole body vibration (WBV) on the trunk and lower limb in muscle activities. Method : 9 healthy women (age: 21.1±0.6 years, height: 160.5±1.4 cm, body weight: 50.5±2.4 kg) were recruited for this study. Muscle activities in the trunk and lower limb muscles, including biceps femoris (BF), rectus femoris (RF), rectus abdominum (RA), gastrocnemius (GCM), iliocostalis lumborum (IL) and tibialis anterior (TA), were recorded using an EMG measurement system. The test was performed by conducting dynamic squats with slope-WBV using frequency (10Hz, 50Hz), amplitude (0.5mm), and degree (0°, 5°). Experimental method consisted of 2-pre-sessions and 1-test-session for 20 seconds. Results : The results showed that the muscle activities of the trunk and low limb muscles increased significantly with the 5° slope and lower frequency (10Hz) except for in the TA. From this result, we confirmed that the slope and WBV could efficiently affect stimulation, enhancing muscle activities by facilitating neural control trail and muscle chain tightness. Conclusion : Utilizing the slope-WBV device while squatting could give positive effects on muscle activation in the trunk and lower limb muscles and provide neural stimulation, enhancing muscle chain of control subsystem through TVR (tonic vibration reflex).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