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농업기초기술I 및 조경과목의 이러닝과 면대면 수업 방법에 따른 학습효과성 분석

        박성열,김수욱,남민우,차승봉,박혜진 한국농·산업교육학회 2010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Vol.42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verifying distinctions between the e-learning classes and the face-to-face classes of learning achievement and satisfaction. For this, this study conducted field experimental research by Nonrandomized Control-Group Pretest-Posttest Design Nonequivalent Control-Group Design. Also this study analyzed the result by using pre-post t-test and one way ANCOVA. This study showed two results. First, agricultural basic technology I class had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e-learning classes and the face-to-face classes in lecture that taught by same teacher. On the other hand landscape architecture class has no had significant difference, however the e-learning classes shoed higher learning achievement then the face-to-face classes thus it means the e-learning classes have positive effect in learning achievement. Second, learning satisfaction of the e-learning classes and the face-to-face classes have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m. Yet, landscape architecture class has higher learning satisfaction in the face-to-face classes. Because in the landscape architecture class curse had problems when it was conducted like connecting errors with LMS server, delaying play of the content. It caused students’ low concentration and low motivation. According to this researchers are able to know the importance of checking stable infra, when they want to apply really courses. 이 연구는 농업 교과 과정에서 동일 교수자의 이러닝과 면대면 수업 환경을 비교ㆍ분석하여 학업성취도와 학습만족도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에 대한 학습효과성을 검증하고자 이질집단 전후 검사설계 방법에 의한 현장실험연구(Field Experimental Research)를 수행하였다. 통계방법은 사전-사후 t-test와 one way ANCOVA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농업기초기술I 과정은 동일한 교수자에 의한 이러닝과 면대면 수업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조경 과정은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하지만 학업성취도의 평균점수가 이러닝 집단이 면대면 수업 집단보다 높은 점수를 얻어 교과서 위주의 면대면 수업보다 학업성취도면에서 긍정적인 효과가 있다고 해석할 수 있다. 둘째, 동일 교수자에 의한 이러닝과 면대면 수업의 학습만족도를 측정한 결과 두 과정 모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발생하였다. 하지만 조경 과정은 면대면 수업에서 학습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조경 과정의 경우 실험연구 당일 LMS 서버와 네트워크 상의 접속 오류와 이러닝 콘텐츠 재생의 버퍼링 현상이 학생들의 주의 집중 및 동기가 저하된 원인으로 들 수 있다. 따라서 이러닝 코스웨어를 개발하여 실제 수업에 적용하고자 할 때에는 학교의 정보화 시설(인터넷 환경과 컴퓨터 사용 실습실 환경)에 대한 점검과 이러닝 운영하는데 필요한 LMS와 같은 제반 시스템 환경 등 안정적인 지원을 제공하는 인프라(infrastructure) 구축의 중요성을 시사하는 결과로써 그 의의가 있다.

      • KCI등재

        대학교 신입생의 토익에 대한 학습 방법 및 성과에 대한 비교 분석

        김태훈 한국자료분석학회 2015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17 No.1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verify the effect of TOEIC of university freshmen by the learning methods. The sample is 142 students enrolled online TOEIC and 332 students enrolled face-to-face TOEIC and TOEIC test results of the students are compared and analyzed in this study.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the followings: First, it showed that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male and female by online and face-to-face learning methods. Second, also it showed that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categories (humanities, social sciences, engineering, natural sciences, and arts & physical education) by online and face-to-face learning methods. Third, as one-way ANOVA results, LC TOEIC score (MAX) of face-to-face learning are better than those of online learning. The other results of online learning are better than those of face-to-face learning. Fourth, as three-way ANOVA results, there are not the interaction effects in the model. The main effects of RC scores in the online learning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Finally, there are i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 in face-to-face learning to online learning. That is, the improvement of face-to-face learning has been analyzed to approximately 1.8 times higher than the improvement of online learning. 온라인 학습과 면대면 학습을 통해 토익성과를 비교·분석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A 대학교 2014년 신입생 중에서 온라인 토익을 수강 신청한 학생 142명과 면대면 강의를 수강 신청한 학생 332명을 대상으로 모의토익 시험 결과를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온라인 학습에서는 여학생 비율이, 면대면 학습에서는 남학생 비율이 높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2) 계열별로 온라인 학습과 면대면 학습 수강생 비율간 차이에 있어 사회과학계열의 비율은 온라인에서, 면대면 학습의 비율은 공학계열과 인문계열에서 높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3) 독립표본 t-검정 결과 LC 성적의 최대값만이 면대면 학습의 성적이 온라인 학습의 성적보다 낫고 나머지에서는 모두 온라인 학습의 성적이 뛰어남을 알 수 있었다. 4) 삼원분산분석결과 교호작용들은 통계적 유의성이 없었으며 온라인 학습에 의한 RC 성적들이 면대면 학습보다 좋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5) 온라인 학습과 면대면 학습의 개선정도에 통계적 유의성이 있었으며 면대면 학습의 개선정도가 온라인 학습의 개선정도보다 약 1.8배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러나 온라인 학습이 면대면 학습방법의 성과보다 낫다고 할 수 있는 객관적이고 보편적인 사실을 증명하는 데는 한계점이 있으며, 혼합학습의 성과와 비교하지 못한 점 또한 한계점으로 지적된다.

      • KCI등재

        대학생의 비대면 서비스-러닝에서 학습 경험과 성장의 탐색

        유숙영,김선경 한국사고와표현학회 2021 사고와표현 Vol.14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if non-face-to-face Service-Learning (S-L) environment can effectively provide the learning experience needed to advance the participating university students. The participating students will apply their learned knowledge of serving the community not just within campus grounds but also outside in the real live environment. The main focus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these students were able to apply their learned knowledge in this COVID-19 pandemic situation where face-to-face community services are limited, and what kind of growth and experience they were able to gain from that environment. First, what kind of learning experiences did the students have from the non-face-to-face S-L? Second, what kind of advancement were the students able to make in the non-face-to-face S-L? The results of this study revealed that the participating students were very satisfied in their learning experiences and felt that the process of thinking outside the box to meet the needs of non-face-to-face community and applying these ideas gave them a better experience and achievement feeling. This study shows that there are unlimited applications that can be made with non-face-to-face S-L, and that unexpected better results may be received by further challenging the students when they are put in a difficult situation. This study shows that non-face-to-face learning can be just as effective as face-to-face learning in the S-L field, and most important we can overcome the limitations of COVID-19’s pandemic sense of disconnection and alienation felt by the community. In addition, through the service-learning, students had advanced to the point of showing positive attitudes toward life, improvement of learning motivation and self- confidence, independent thoughts and wills in career setting. This study will be the base for drawing more interest and participation in non-face-to-face S-L in the future.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이 비대면 서비스-러닝에서 가지는 학습 경험과 성장을 탐색하는 것이다. 서비스-러닝에서 학생들은 대학 울타리를 벗어난 실제 현장에서 봉사하면서 수업에서 배운 지식을 적용하고 성찰하며 의미 있는 지식을 구성한다. 코로나19로 실제 현장에 접근하기 어려운 상황에 대응하여 비대면 서비스-러닝에 참여할 때 대학생들은 어떤 학습 경험과 성장을 하고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다음 연구문제를 중심으로 탐색하였다. 첫째, 비대면 서비스-러닝에서 학생들은 어떤 학습 경험을 하였는가? 둘째, 비대면 서비스-러닝에서 학생들은 어떤 성장을 하였는가? 연구결과, 대학생들은 비대면 서비스-러닝을 통해서 자신의 성장과 변화, 봉사의 보람, 봉사대상자의 눈높이에 맞춘 준비와 노력, 환경의 제약에서 벗어난 관계 맺음의 즐거움을 경험하며 코로나19로 겪고 있는 소외와 단절감을 극복할 수 있었다. 그리고 서비스-러닝 경험을 통해 학생들은 삶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 학습동기와 자신감의 향상, 진로 설정에 있어서 주체적인 생각과 의지를 보여줄 정도로 성장하였다. 본 연구는 비대면 서비스-러닝에서의 학습 경험을 탐색하며 교육적 가능성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또한 향후 비대면 서비스-러닝에 보다 많은 관심과 참여를 이끌어내기 위한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플립드 러닝 기반 토론 강의의 블렌디드 러닝 활용 방안에 관한 탐색적 연구

        조유현(Cho, Youhyun) 한국소비문화학회 2021 소비문화연구 Vol.24 No.4

        COVID-19의 전 세계적인 확산에 기인한 교육환경의 변화로 전면적인 비대면 강의가 실시되었고 비대면 교육이 대표적인 교육 유형으로 인식되면서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도 비대면 학습의 중요성은 더욱 커질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온라인 비대면 강의는 시간적·공간적 편이성, 유연성, 지식 전달의 효율성, 교육비용의 감소, 교육 기회의 불평등 완화 측면에서 많은 장점을 가지고 있지만 상호작용 기반의 의사소통이나 체험학습을 통한 사회적 역량의 증진을 도모하기에는 여전히 취약한 측면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교재를 위주로 한 지식 전달식 오프라인 대면 강의로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인재가 갖추어야 할 비판적 사고 능력이나 소통 및 협업 등과 같은 역량을 강화시키기도 어려울 것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기존의 대면 수업의 한계를 보완하는 동시에 비대면 강의의 태생적인 한계를 보완할 수 있는 강의 유형인 블렌디드 러닝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플립드 러닝 기반 토론 강의에 블렌디드 러닝을 활용하는 방안을 탐색적으로 연구하기 위하여, “사회적 책임과 기업윤리” 강의를 사례로 ADDIE 모형에 근거한 플립드러닝 기반 블렌디드 러닝 강의의 특성과 구성 요인들을 분석하였다. 토론의 참가자나 패널로서 강의에 참여하는 학생들에게 대면 혹은 비대면 참여 방법에 대한 자율성을 부여하는 것은 효과적인 블렌디드러닝 강의를 설계하기 위한 중요한 요소로 판단되었다. 실시간으로 강의에 참여할 수 없는 경우에 LMS 강의자료실에 공유된 녹음이나 녹화자료를 통해 토론 내용을 확인하고 토론방을 통해 의견이나 관련 자료 등을 공유하는데, 이것은 LMS의 활성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블렌디드 러닝을 설계할 때 공정성, 다양성, 자율성 등 평가상의 다양한 측면을 고려하여 학생들의 부담을 줄여줄 수 있는 평가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플립드 러닝 기반 토론 강의를 비대면으로 진행하였던 4개 강좌의 강의 평가 평균 점수는 92.6점으로 같은 강의를 대면으로 진행하였던 5개 강좌의 강의 평가 평균 점수인 90.1점 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비대면 토론 강의에 수반된 어려움과 제한점에도 불구하고 학생들은 줌을 활용한 비대면 토론 강의에 대해 만족하는 것으로 유추되며, 기존의 대면 강의에 비해서도 강의 만족도와 지지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블렌디드 러닝의 설계 방안을 모색하는데 유용한 정보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의 논의는 특정한 대학의 특정 강의를 사례로 전개되어 제시된 모델을 전공이나 강의 유형에 관계없이 모든 강의에 일반화시키기에는 어려움이 있겠지만,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효율적이고 유용한 대학 강의 모델을 제시하였다는 측면에서 그 의의가 크다고 생각된다. 본 연구의 결과가 교육 환경의 변화를 반영한 교육 모델을 융합적 관점에서 연구하고 대안을 모색하는데 체계적으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Due to the change in the educational environment caused by the worldwide spread of COVID-19, all non-face-to-face lectures were conducted. As non-face-to-face education is recognized as a representative type of education, the importance of non-face-to-face learning is expected to grow even more in the post-corona era. Online non-face-to-face lectures have many advantages in terms of temporal and spatial convenience, flexibility, efficiency of knowledge transfer, reduction of education costs, and alleviation of inequality in educational opportunities; however, it still has a weak aspect to promote social competence through interaction-based communication or experiential learning. On the other hand, it will be difficult to strengthen the critical thinking skills, communication and collaboration skills that talents in the era of the 4th revolution need to have through offline, face-to-face lectures that deliver knowledge mainly based on existing textbooks. In this respect, interest in blended learning, a lecture type that can supplement the limitations of the existing face-to-face classes and the inherent limitations of non-face-to-face classes, is increasing. Therefore, in order to explore the use of blended learning in flipped learning-based discussion lectures, this study takes the “Social Responsibility and Business Ethics” lecture as an example and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and the constituent factors of flipped learning-based blended learning lectures with ADDIE model. Giving autonomy over face-to-face or non-face-to-face participation methods to students participating in lectures as participants or panelists was judged to be an important factor for designing effective blended learning lectures. In the case of difficulties in participating in a lecture in real time, it has been shown that there are advantages in the aspect that the LMS is activated by providing an alternative to check the discussion contents using the recorded materials shared in the LMS lecture data room and to share opinions or related materials in the discussion room. In addition, when designing blended learning, it would be desirable to conduct the evaluation in a direction that can reduce the burden on students by considering various aspects of evaluation such as fairness, diversity, and autonomy. The average lecture evaluation score of the four lectures in which the flipped learning-based discussion lectures were conducted non-face-to-face was 92.6, which was higher than the lecture evaluation score of the five lectures in which the same lecture was conducted face-to-face which was 90.1. Despite the difficulties and limitations of non-face-to-face discussions, it is inferred that students are satisfied with the non-face-to-face discussion lectures using Zoom, and the satisfaction and support of the lectures are high compared to the existing face-to-face lectures. These results can be used as useful information to find a design method for blended learning. The discussion in this study is developed with a specific lecture at a specific university as a case, and thus, it is difficult to generalize the presented model to all lectures regardless of major or lecture type. However, it is of great significance in that respect of suggesting the efficient and useful university lecture model in the post-corona era.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ystematically used to study the educational model that reflects changes in the educational environment from a convergence point of view and to seek alternatives.

      • KCI등재

        S대학교 재학생의 코로나19 대응 학사운영과 원격수업 만족도, 비대면 수업에 대한 인식, 학습지속 의향 간의 구조적 관계

        조혜영(HyeYoung Jo),오세원(SeWon Oh) 한국산학기술학회 2023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4 No.5

        본 연구는 S대학교 재학생의 코로나19 대응 학사운영과 원격수업 만족도, 비대면 수업에 대한 인식, 학습지속 의향 간의 구조적 관계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수도권 S대학교 224명이며, SPSS 25.0과 AMOS 23.0을 이용하여 연구변인들 간의 상관관계와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여 제시하였다. 매개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95%신뢰구간에서 양측 검정(two tailed test)으로 부트스트래핑(bootstrap) 추정방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지속 의향은 코로나19 대응 학사운영과 원격수업 만족도, 비대면 수업에 대한 인식과 하위영역인 수업내용, 교수자와의 상호작용, 학습자 간 상호작용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연구변인들간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한 결과 구조모형의 적합도는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생의 코로나19 대응 학사운영은 학습지속 의향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진 않지만, ‘코로나19 대응 학사운영→원격수업 만족도→비대면 수업에 대한 인식→학습지속 의향’과 ‘코로나19 대응 학사운영→원격수업 만족도→학습지속 의향’, ‘코로나19 대응 학사운영→비대면 수업에 대한 인식→학습지속 의향’의 경로로 원격수업 만족도와 비대면 수업에 대한 인식 요인이 완전 매개하여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코로나19 대응 학사운영이 학습지속 의향에 영향을 주는 과정에서 비대면 수업에 대한 인식이 이중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비대면 수업에 대한 인식 제고를 통해 대면수업 뿐만 아니라 비대면 수업에서의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원격수업 만족도와 비대면 수업에 대한 인식을 긍정적으로 이끌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structural relationships regarding COVID-19 educational management, satisfaction with online learning, perceptions about non-face-to-face classes, and willingness to continue learning among university student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224 students at University S in the capital area, and the correlation and structural relationships of the research variables were analyzed and presented using SPSS 25.0 and AMOS 23.0. To find mediating effects, variables were analyzed using the bootstrap estimation method with a two-tailed test at the 95% confidence interval.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willingness to continue learning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COVID-19 educational management, satisfaction with online learning, plus perceptions of non-face-to-face classes, and several sub-areas (class content, interactions with instructors, and interactions among learners). Second, after analyzing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the variables, the suitability of the structural model was found to be good. Although University S students COVID-19 educational management did not directly affect their willingness to continue learning, their satisfaction with online learning and their perceptions of non-face-to-face classes fully mediated and affected the other variables through several paths: 1) COVID-19 educational management⟶satisfaction with online learning⟶perception about non-face-to-face classes⟶willingness to continue learning, 2) COVID-19 educational management⟶satisfaction with online learning⟶ willingness to continue learning, and 3) COVID-19 educational management⟶perception about non-face-to-face classes⟶willingness to continue learning. In addition, we found that perceptions about non-face-to-face classes double-mediated the process of COVID-19 educational management, influencing the willingness to continue learn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meaningful in that they provide basic data to suggest ways to improve satisfaction not only with face-to-face classes but also with non-face-to-face classes by raising awareness about non-face-to-face classes. Therefore, the results of this study offer ways to positively lead satisfaction with online classes and perceptions about non-face-to-face classes.

      • KCI등재

        대면.비대면 블렌디드 음악 학습에 대한 고등학생의 만족도와 인식

        김일영(Kim, Ilyo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8

        목적 본 연구는 코로나-19로 인한 대면⋅비대면 교육 환경에서 온⋅오프라인으로 혼합된 블렌디드 음악 학습에 대한 고등학생의 만족도와 인식을 알아보는 데 목적을 두었다. 방법 2020학년도 1, 2학기 동안 블렌디드 음악 수업에 참여한 서울 소재 A고등학교 1학년 학생 143명을 대상으로 블렌디드 음악 학습에 대한 만족도 및 인식을 조사하였다. 만족도는 리커르트 척도의 7개 문항에 대해 문항별 응답수와 응답률을 분석하였고, 인식조사는 서술식 2개의 문항에 대한 응답을 귀납적 분석법에 따라 긍정적⋅부정적 인식으로 나누어 개념화한 후, 이를 학습 영역에 따라 범주화한 결과를 토대로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블렌디드 음악 학습에 대한 학생 만족도는 대체로 높았으나, 상대적으로 대면⋅비대면의 혼합 등교 방식에 따른 수업 운영에 대한 만족도는 낮았다. 인식조사 결과는 음악 지식의 폭 확대, 다양한 음악 활동 유형, 자기 주도적 학습, 온라인 학습 환경 조성 등에 긍정적 인식을 보였다. 반면에, 학생 간 학습 공감대 형성의 어려움, 온라인 학습 도구 사용의 미숙함, 교사와의 소통과 피드백 문제 등에 관한 부정적 인식을 드러냈다. 결론 블렌디드 음악 학습에서는 학생과 학생, 학생과 교사 간의 원활한 피드백과 적극적인 소통이 요구되며, 블렌디드 음악 학습의 긍정적 효과를 활성화하고, 효율적인 블렌디드 음악 학습 방법을 모색함으로써 미래 음악 교육으로 성장해가는 토대를 마련해 나가야 할 것이다. 이 연구의 결과가 코로나-19 이후 효과적인 블렌디드 음악 교수학습 방안 개발과 적용에 관한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atisfaction and perception of high school students for blended music learning mixed online and offline in face-to-face and non-face-to-face educational environments due to COVID-19. Methods A satisfaction and perception survey was conducted on 143 first-year high school students in Seoul who participated in blended music classes in the first and second semesters of the 2020 academic year. The seven items of the Likert scale for the satisfaction survey were analyzed by the number of responses and the response rate for each item. In the perception survey of two descriptive items, the concepts of positive and negative perceptions were extracted according to an inductive method, and then comparatively analyzed based on the results of categorizing them into learning areas. Results As a result, student satisfaction with blended music learning was high, satisfaction with the operation of classes following face-to-face and non-face-to-face attendance was relatively low. In addition, as a result of the students perception on blended music learning, positive perceptions were shown by the expansion of music knowledge, diversification of music activity, self-directed learning, and online learning environment. On the other hand, it was found to have negative perceptions such as non-formation of learning consensus among students, immaturity in using online learning tools, and problems with communication and feedback with teachers. Conclusions Blended music learning requires smoother feedback and communication between students and students and between students and teachers. By activating the positive effects of blended music learning and finding an efficient blended music learning method, it is necessary to lay the foundation for future music education that will grow.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used as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and effective application of blended music learning methods in high schools after COVID-19.

      • KCI등재

        전문대학교 물리치료과 학생의 대면수업과 비대면 수업의 수업태도, 수업 만족도 및 자기조절학습능력의 비교

        정은정 대한물리치료과학회 2023 대한물리치료과학회지 Vol.30 No.4

        Backgroun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ison of learning attitude, class satisfaction, and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of face-to-face and non-face-to-face classes in college physical therapy students to improve the educational effect and quality of non-face-to-face classes when face-to-face classes such as COVID-19 become inevitable in the future. Design: Cross-section study. Methods: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91 college students, 3rd year students of physical therapy department at a community college in 'A' region, Gyeongsangbuk-do, who took face-to-face classes in the first semester of 2022 and non-face-to-face classes in 2021 of the previous semester. Results: Class attitude was higher in face-to-face classes than in non-face-to-face classe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class satisfaction between face-to-face and non-face-to-face classes, In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face-to-face classes had a more positive effect on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than non-face-to-face classes. Conclusion: This study serves as empirical basic data on the actual condition of non-face-to-face classes compared to face-to-face classes for college physical therapy students, suggests the direction of future research, and improves the quality of non-face-to-face classes in the field of physical therapy, which requires a lot of practice. and hope it will be used for development.

      • KCI등재

        코로나19로 인한 비대면 원격교육환경에서 학습성과 영향 요인 분석

        홍성연 ( Seongyoun Hong ),유연재 ( Yeonjae Ryu ) 한국교육공학회 2020 교육공학연구 Vol.36 No.S

        2020년 상반기 코로나19로 인해 학생의 등교가 제한되면서 대학에서 이루어지던 다양한 교육 활동이 급감하였다. 대학의 정규 교육과정은 비대면으로 전환되었지만, 비교과 활동이나 다양한 상호작용의 위축은 피할 수 없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학생의 전반적인 학습성과를 확인하고 결손이 나타난 부분을 보완하도록 교육환경을 개선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이 연구는 대면과 비대면 교육환경에서 학습성과에 영향을 미친 요인을 비교하고, 비대면 교육환경에서 학습성과 하위영역에 영향을 미친 요인과, 학습성과 상·하위집단을 구분하는데 기여하는 요인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2019년 11월과 2020년 5월 A대학에서 실시된 K-NSSE 데이터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그 결과, 비대면 교육환경에서 학습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유의미학습, 자기주도학습, 효과적 수업전략, 고효과 프로그램, 대학몰입 등 다섯 요인이었다. 대면교육 환경에서는 유의미학습, 효과적수업, 대학몰입이 학습성과에 영향을 미쳤으며, 자기주도학습과 고효과 프로그램의 영향은 확인되지 않았다. 학습성과의 하위 영역인 의사소통역량, 전공·직무역량, 핵심역량을 설명하거나, 학습성과 상·하위 집단을 구분하는데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유의미학습이었다. 논의 부분에서 비대면 교육환경에서 학습성과를 제고하기 위한 수업 및 교육환경의 설계 방안을 제안하였다. 이 연구는 코로나19 사태로 인한 비대면 교육환경에서 학습성과의 영향 요인을 분석하고, 이를 제고하기 위한 대응전략을 모색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The unexpected outbreak of Covid-19 forced the universities to transform from traditional face-to-face education to online synchronized or asynchronized education. The variety of educational activities in the campus had plummeted and the students’ learning outcomes had declined.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compare the factors affecting learning outcomes in the online education to face-to-face education last year, and to analyze the factors that distinguish the upper group and the lower group of learning outcome. K-NSSE survey data conducted at A University in November 2019 and May 2020 were analyzed. As a result of analysis, the five factors such as meaningful learning, self-directed learning, effective teaching strategies, high impact programs and integration in university were identified as significant. Meaningful learning was the most important factor for learning outcomes in both face-to-face and non-face-to-face educational environments and the most statistically significant factor to divide the upper group and the lower group of learning outcome. Considering the findings of the study, some pedagogical implications were suggested for teachers in redesigning the courses and for providers in encouraging students’ meaningful learning. This study could be useful to understand the current learning outcomes of higher education in Covid-19 pandemic and contribute to establish the response strategies.

      • KCI등재

        대면교육과 비대면교육에 의한 학습만족도 차이 분석 -미용종사자의 학습몰입도와 상호작용 중심으로-

        서은희,홍미화,이주양,권오혁 한국미용학회 2022 한국미용학회지 Vol.28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s of face-to-face education and non-face-to-face education of beauty workers on learning satisfaction. For the investigation of this study, 400 beauty workers nationwide who have received face-to-face education and non-faceto-face education were targeted. Previous studies that studied the satisfaction of face-to-face education and non-face-to-face education were referenced, and a total of 400 copies were distributed for three months from November 01, 2021 to January 31, 2022 and 273 copies were used as survey data. For data analysis,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T-test were conducted through the SPSS 25.0 program.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ffect of face-to-face education and non-face-to-face education of beauty workers on learning satisfaction, learning commitment and interaction with students showed a positive (+) effect on learning satisfaction. It is believed that it will be very effective for learning satisfaction by using smart mixed training courses in NCS training or blended learning education that mixes face-to-face and non-face-to-face education as basic data for learning training methods.

      • KCI등재

        Analyzing the Shift of Korean College Students’ Learning Styles and Strategies in Non-Face-to-Face and Face-to-Face Environments

        나경희 한국중원언어학회 2023 언어학연구 Vol.- No.68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if there was a shift between the learning styles and strategies Korean college students used as they took non-face-to-face, and face-to-face classes. The specific research questions were as follows; What styles or strategies did they employ as they took non-face-to-face classes during the pandemic and face-to-face classes after the pandemic, and how did those change over time. Two groups of 64 students responded to the Learning Styles Questionnaire (O’Brien, 1989) and the modified Strategy Inventory of Language Learning (Oxford, 1990). An independent t-test and descriptive statistics were employed. The findings showed that, first, the kinesthetic style was chosen as the most preferred style during the pandemic, and the visual style as the most preferred one after the resumption of face-to-face classes. Second, they were more likely to use meta-cognitive strategies in both environments. Third, the visual and auditory styles showed some changes, while their use of learning strategy remained almost the same throughout different environments. Based on these findings, pedagogical implications for the effective learning environment are sugges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