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심영옥(Sim, Young Ok) 한국미술교육학회 2019 美術敎育論叢 Vol.33 No.4
한국 미술문화 전반에서 한국미의 특색을 규명하는 일은 매우 중요한 일이므로 많은 학자들에 의해서 지속적으로 연구되어 왔다. 그런데 지금까지 한국미의 특색으로 규정된 용어들은 대체로 고유섭과 최순우의 담론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고 있다. 그만큼 한국미를 연구하는 데는 두 사람이 영향이 큰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고유섭과 최순우가 어떤 가치와 의미를 가지고 한국미의 특색을 도출하고 담론을 이끌어내었는지 두 견해를 비교 분석하였다. 두 사람의 견해를 살펴보면 사용한 용어는 비록 다르지만 본질적인 의미는 크게 다르지 않다. 그러한 의미에서 고유섭과 최순우의 견해가 유사한 용어들을 대입시켜 그 사례를 분석하고 한국미의 특색을 좀 더 정확하게 이해시키고자 하였다. 한국미의 특색에 대해 고유섭은 무기교의 기교, 무계획의 계획 , 민예적인 것 , 비정제성 , 무관심성 , 구수한 큰 맛 , 기술적인 면의 상감기술 을 꼽았으며, 최순우는 같은 맥락으로 은근의 미 , 담조의 미 , 고요와 익살의 미 , 순리와 분수의 미 , 백색의 미 , 청자비색, 곡선, 상감기법의 독자적인 아름다움 을 꼽았다. 하지만 두 사람이 말한 한국미의 특색은 각각의 특색이 개별적인 의미를 갖는 것이 아니라 서로 교집합을 이루며 결국 특색 하나하나가 합쳐져서 한국미의 특색으로 귀결됨을 알 수 있다. It is thought that because it is a very important matter to define the characteristics of the beauty of Korea, it has been studied by many scholars. However, those terms which are defined as the characteristics so far have never been contrary from the discourse of Yuseop Koh and Soonwoo Choi on the whole. Therefore, the present research has compared and analyzed the two s opinions to understand what value and meaning they have had in order to draw a conclusion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beauty of Korea. It is shown that we can realize after examining their opinions that the terms they used are different but that essentially they are not so different in meaning. In that sense, the writer tried to make the characteristics of the beauty of Korea more precisely understood by substituting those terms in which they have the similar opinions. Concern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beauty of Korea, Yuseop Koh pointed out technique with no techniques, planning with no planning , something that is folk art , no refining , indifference , delicate big flavor , and inlay techniques of technical aspect while Soonwoo Choi in the same context picked the beauty of secrecy , the beauty of serenity , the beauty of quietness and humor , the beauty of rationalism and discretion , the beauty of white , and the unique beauty of celadon s jade green color, its curve, and inlay . It is revealed, however, that what they talked about the characteristics of the beauty of Korea was, each characteristic did not mean individually, but that they compose the intersection of two sets and eventually each of the characteristics are gathered up, resulting in the characteristics of the beauty of Korea.
(사)한국미술치료학회 학회 활동에 대한 학회원의 만족도와 개선과제
김재훈(Jaehoon Kim),김갑숙(Gap Sook Kim),원희랑(Hee Rang Won) 한국미술치료학회 2025 미술치료연구 Vol.32 No.1
본 연구는 국내 미술치료 분야의 변화에 따른 한국미술치료학회 회원들의 학회 활동에 대한 인식과 만족도를 파악하여, 미술치료 분야의 미래 발전을 위한 계획과 전략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23년 7월 09일부터 7월 16일까지, 한국미술치료학회 정회원으로 자격 취득자와 자격증 준비과정에 있는 학회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내용은 학술영역, 전문인력 양성 영역, 대외협력 및 홍보 영역, 학회원 지원 영역으로 구분하여 구성하였다. 최종 140명의 자료를 분석한 결과 첫째, 학술활동에 대한 만족도는 전반적으로 높았으나 연구비 지원에 대한 만족도는 낮았다. 둘째, 자격검증에 대한 만족도는 중간 수준이었으나, 수퍼비전과 자격시험의 주관식 채점에 대한 아쉬움을 드러내었다. 셋째, 전문상담서비스법을 위한 외부기관과의 협업에 대한 만족도는 높았으나, 미술심리상담사를 위한 외부기관과의 협력 및 홍보활동에 대한 만족도는 낮았다. 넷째, 학회의 지원활동에 대한 만족도는 낮게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확인된 학회원들의 문제인식과 개선점을 효과적으로 제시하기 위해 학술 및 전문가 양성 활동, 학회원 지원을 위한 대외협력 및 홍보 활동의 측면에서 개선 방향을 제언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understand the perceptions and satisfaction of the Korean Art Therapy Association members regarding their association activity participation in domestic art therapy field and explore plans and strategies for the future development of the art therapy sector. To this end, the study conducted a survey from July 9 to July 16, 2023, targeting full members of the Korean Art Therapy Association, including those who acquired qualifications and in certificate processing. The survey content was divided into four areas: academic activities, professional training, external cooperation and promotion, and member support. The analysis of the final data from 140 respondents reveale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overall satisfaction with academic activities was high, but satisfaction with research funding support was low. Second, satisfaction with the certification process was at a moderate level, but respondents expressed dissatisfaction with the supervision process and the subjective grading of certification exams. Third, the satisfaction with collaboration with external organizations for the Professional Counseling Service Act was high, but the satisfaction with cooperation and promotional activities for art psychotherapists was low. Fourth, satisfaction with the association's support was low. Based on the identified issues and areas for improvement raised by the members, the study suggested directions for improvement in terms of academic and professional training activities, as well as external cooperation and promotion efforts to better support the members. Based on these research findings,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미술사와 인문학적 가치 -한국미술사의 ‘20세기 구미 미술사 이론’의 수용과 전개-
권영필 한국미술사학회 2010 美術史學硏究 Vol.268 No.268
This paper, written for the occasion of the 50th anniversary of the Association of Korean Art History, is a review of major methodological issues in Korean art history from the perspective of humanities‘. Korean art history,’here, should be understood as the history of traditional Korean art. Meanwhile, the papers examined here are mainly those that were presented at the Association of Korean Art History, but, in some cases, papers from other fields were considered as well. This essay discusses how, pioneered by Mun Myeong-dae who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methodology in art historical studies, methodology has been continuously discussed over the past fifty years, as an area of research in its own rights, and how the application of stylistic analysis has become common since the 1970s,championed by An Hwi-jun. The discussion of methodological evolutions also includes iconology, popularized by Erwin Panofsky’s works. Iconology has been prominent in the field of Korean art history since the 1990s. Iconology is particularly widely applied in the study of Buddhist art, as can be seen in papers by Choe Seong-eun and Kim Jeong-hui. To draw attention to the overlapping characteristics between art history and other disciplines in humanities, I quote extensively from Panofsky’s discussion of humanistic art history, examining also the influence that Panofsky has had on American art history. I, then,turn to works by the US art historian V. H. Minor, published in the 1990s, proving that the influence of stylistic analysis in the field of art history remains undiminished. Examples from Japan, such as research by Nagahiro Toshio, attesting to the dominance of stylistic analysis and formalism and other European methodologies among researchers of Asian art,are cited as well. As Max Loehr famously said tha“t art exists not to express its time but to give content to its time,”art cannot be properly assessed without considering its humanistic roots. Interpreting and assessing paintings by Jeong Seon(1676-1759), to take an example of a Joseon painter, cannot be accomplished meaningfully without considering their humanistic context and subtext. Korean art history as a humanistic discipline could be especially useful for building a theoretical foundation for what we can call“Korean beauty or“Korean aesthetics.”Korean aesthetics, as a subject with humanistic values, can be mostly readily understood in art works. Art history and aesthetics, in my opinion, are two inseparable and mutuallycomplementary fields. As is well-known, the methodological framework of art history in Europe is greatly indebted to modern aesthetics. Meanwhile, due to the dearth of historical records dating from before modern times, one is forced to rely on art history in order to study Korean aesthetics. Finally, to predict future methodological directions, I turn to related phenomena in Western art history. For example, I value the viewpoint that Da Vinci’s sfumato is interpreted as an inclusive gesture toward uncertainty and argue that art plays a reconciliatory role in the history of civilization. I also argue that Western aesthetics such as the aesthetics of reception have proved useful to an extent as a basis for Korean art historical interpretations. The guiding principle, as we search for a new methodology, should be finding a place for Korean art history in the history of world art, while not sacrificing its specific nature. 이 글은 한국미술사학회 50주년 기념에 즈음하여 한국미술사에서의 방법론의 문제를 인문학의 관점에서관찰하고자 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여기에서의 ‘한국미술사’는 한국의 전통미술을 의미한다. 또한 분석 대상의 논문들은 한국미술사학회에서 발표된 것을 줄거리로 잡되, 필요에 따라 그 외의 것들도 포함시켰다. 문명대가 방법론을 강조한 것을 필두로 지난 50년 동안 방법론 자체가 지속적으로 연구되었음을 확인하는일면, 그 동안 발표된 논문에서, 예컨대 70년대의 안휘준의 논문을 비롯하여 ‘양식론’ 적용이 보편화되었으며, 90년대 이후부터는 파노프스키의 도상해석학이 강세를 보이며 등장한 사실을 파악하게 된다. 최성은,김정희의 논문에서 보듯, 도상해석학은 불교미술에서 이용도가 두드러진다고 하겠다. 특히 이 논문에서는 미술사의 인문학적 특성을 피력하기 위해 파노프스키의 인문학적 미술사론을끌어들였다. 이 국면에서는 미국 미술사학계에서의 파노프스키의 영향을 아울러 검토하였다. 또한 미국의마이너(V.H.Minor)는 그의 90년대의 저서에서 양식론의 위력이 아직도 건재함을 입증하고 있다. 일본의 경우도 나가히로 도시오(長廣敏雄) 등에서 보듯이 동양미술사 연구자들이 유럽의 양식론을 비롯한 서구 방법론에 주력하고 있음을 보게 된다. “미술이 시대를 표현하려고 존재하는 것이 아니고, 시대에 내용을 부여하려고 존재한다”는 뢰어(M.Loehr)의 명제는 인문학으로서의 미술사의 입장을 더 깊이 있게 만든다. 궁극적으로 겸재 회화의 평가도 이런 각도에서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인문학으로서의 ‘한국미술사’는 ‘한국미’와 ‘한국미학’의 이론적 기반을 이루는 데에도 효용가치가 있다고 하겠다. 한국미는 인문학적 가치를 지닌 주제로서 무엇보다도 미술작품에서 그것의 본질을 발견할 수있다는 점에서 그러하다. 필자는 미술사와 미학의 관계를 상보관계로 본다. 알려져 있듯이 미술사의 방법론 정립은 근세 이래 미학으로부터 많은 빚을 지고 있다. 한편 ‘한국미학’은 근세 이전의 경우 문헌사료가 영성하여 미술사에 의존할 수 밖에 없는 사정이다. 방법론의 전망에 대해서는 서양미술사에 나타난 현상을 차용하여 풀어 보았다. 예컨대 다빈치의 ‘스프마토’를 ‘불확실성에 대한 포용력’으로 해석한다든가, 미술이 문명사에서 ‘화해자(和解者)의 역할을 한다는 등의 관점을 제시하였다. 또한 한국미술사 해석을 위한 기초로서는, 예컨대 ‘수용미학’ 같은 서양미학이어느 정도 값어치를 발휘할 것으로 본다. 무엇보다도 한국미술사의 고유성을 지키면서 세계미술사 속에 자리매김 되는 방법론을 찾아야 할 것이다.
김윤정(Kim, YunJeong) 한국미술사교육학회 2016 美術史學 Vol.- No.32
미국에 소장된 한국 도자의 흐름을 조사하는 과정에서 관련 출판물을 통해서 연구할 수 있는 내용이 적지 않고, ‘한국 도자’에 대한 인식의 수준도 정치·경제·사회·외교적인 상황에 따라서 시기적인 변화를 보이고 있었다. 따라서 19세기 후반부터 20세기 전반까지 미국에서 간행된 ‘한국 도자’ 관련 출판물을 성격에 따라서 저서, 보고서, 논문, 카탈로그 등으로 분류하였다. 이러한 출판 자료의 분석을 통해서, 근대 미국 사회에서 한국 도자를 어떻게 인식하고 있었는지, 시기별로 어떤 변화가 보이고, 그 변화의 원인이 무엇인지를 살펴보았다. 미국에서 출판된 저서나 논문 등의 자료에서 한국 도자에 대한 인식은 1880년을 전후한 시기부터 보이기 시작하지만 일본이나 유럽 자료의 재인용 수준이었다. 당시 미국에 유입된 한국 도자가 어떤 종류였는지는 정확하지 않지만 대부분 분청사기나 16-17세기 지방백자 다완류였으며, 일본인의 취향에 맞춘 왜곡된 이미지였음은 부인할 수 없다. 이러한 분위기는 1880년대부터 1900년대 초까지 이어지며, 1882년 조·미 수호 조약으로 미국인들이 점차 다양한 방법으로 한국 도자의 실체에 접근하면서 1910년대 이후에는 여러 면에서 한국도자에 대한 인식에 많은 변화를 보인다. 1910년대에서 1920년대 미국에서 형성되는 한국 도자 컬렉션의 주요 유물은 고려청자였으며, 컬렉션에 포함된 고려청자들은 미국 내 동양 도자 연구자들에게 한국 도자의 새로운 면을 인식시키는데 큰 역할을 하였다. 이 시기에는 Japan Society(1914), 보스턴미술관(1914), 메트로폴리탄미술관(1916), 시카고미술관(1920), 클리브랜드미술관(1921) 등에서 연달아 고려청자와 관련된 전시가 개최되면서 연구자들뿐만 아니라 일반 대중들에게도 한국도자를 알리는 계기가 되었다. 또한 이 시기에 출판된 많은 글과 카탈로그는 고려청자를 실견하면서 형태, 문양, 유색 등의 조형성과 제작 기술에서 발전된 모습이 중국이나 일본 도자와는 완전히 다르다는 사실을 인식한 결과물이었다. 이 시기는 미국 내에서 고려청자를 중심으로 컬렉션, 전시, 연구 등에서 가장 절정기였다. 1920년대 말부터 고려청자를 소장하고 있던 개인 컬렉터들이 사망하면서 1930년대 이후에는 새로운 컬렉션이 거의 형성되지 않았다. 이는 고려청자의 경제적 가치, 즉 가격의 수직 상승과 고려청자에 대한 기대치가 이미 높아진 상황에 맞는 좋은 질의 고려청자를 찾는 것이 점점 힘들어지는 상황이 지속되었던 것이 주요 원인이었을 것으로 보았다. 새로운 자료의 부재는 당연히 새로운 전시나 연구 자료의 고갈로 이어지면서 미국 내에서 고려청자에 대한 관심이 점차 사라지고 있는 상황을 볼 수 있었다.
심포지엄 한국미의 심층 구조 : 태극음양론과 한국전통예술의 미의식
조민환 ( Jo Min Hwan ) 한국미학예술학회 2003 미학예술학연구 Vol.17 No.-
東洋的藝術作品通常都講究恒常之道。一般來說,東洋繪畵作品或是藝術作品都富含着藝術家超越豊富的思想,因此也稱之爲寫心畵。一介藝術家的思想根源來自于對天地自然的理解,而太極陰陽論是其核心理論。韓國從흔早以前就已將陰陽思想運用于傳統的藝術作品之中。我認爲太極陰陽的思想是體現韓國傳統藝術美的根源。回顧過去的傳統藝術作品,大多是體現隨意,朴素等直接蘊含大自然氣息的作品。這正是太極陰陽論的立足点也是一種從天地萬物繁衍生長中獲得的對生命意識的感動。在此有三介具體實例。首先是繪?,例如鄭敾的「金剛全圖」。這一作品充分體現了太極的陰陽內涵,幷且含有「周易」中由剝卦到復卦的變化過程中天地自然的繁衍定理。這一作品綜合南北方的繪?手法,蘊含着李珥二氣之妙的繪畵意境。 第二是書法,例如李서的的「筆訣」。李서的書法藝術結合了陰陽論和河圖洛書論。령外李서以隨時處變爲基礎,以不同形式體現時代的變化,創造出富有自己獨特介性的書法體系--東國眞體。最后看一下韓國語字體的創作原理。韓國語字體的原理爲太極,陰陽及五行。發音中含有天地人三才思想。韓國語也正因爲含有太極,陰陽,五行以及天地人三才思想才會散發出與衆不同的氣息。綜上所述,太極陰陽論可謂是韓國傳統藝術美的根源。
근대전환기 한국화단에의 日本畵 유입과 한국화가들의 일본체험
강민기(Kang Minki) 한국미술사학회 2007 美術史學硏究 Vol.- No.253
1890년대에서 1910년대까지는 근대 전환기로서 한일 양국의 화단은 조선왕조의 종말과 신흥 일본 제국의 건설이라는 대조적인 정치상황 속에서 전개되었다. 이 시기는 사실상 일본화가들의 내한 활동이 시작되는 기점이기도 하며, 개항기의 한일 회화 교류와 1920년대부터 풍미하는 일본화풍 논의가 복합적으로 얽혀 있는 과도기이기도 하다. 한국화단에의 일본화 유입은 러일전쟁 후 일본인들의 한반도 이주가 자유로워지면서 종군화가로서, 또는 대한제국 황실 내에서 御眞(왕의 초상화)이나 휘호 활동을 했던 화가들에 의해 시작 되었다. 이러한 일본화가들의 활동은 망국의 군주를 위한 단순한 오락물과 황실 내의 반일감정을 무마시키는 정치적인 회유 수단으로 이용되었으며, 그들이 남긴 회화는 결과적으로 황실 내부를 일본식으로 장식하여 식민지하의 ‘조선’이라는 이미지를 대내외적으로 공고히 하는 데 이용되었음을 지적할 수 있다. 기존에 어진을 그린 화가로 알려진 후쿠이 코비(福井耕美), 안도 나가타로(安藤仲太郞) 외에 야마모토 바이가이(山本梅涯), 스즈키 시미쓰로(鈴木?三郞), 후지타 쓰쿠지(藤田嗣治) 등이 이번 연구에서 새로 확인된 화가들이다. 그 밖에 국립중앙박물관이나 국립고궁박물관 소장의 일본화 중에서 오하시 비슈(大橋美州), 가나이 텐로쿠(金井天祿)는 그림 위에 쓴 ‘美州’와 ‘天祿’이라는 사인만 알려져 있었으나 화가의 이름이나 한국에 온 시기, 그리고 각각 조선물산공진회와 대한제국 황실에서 활약했던 화가임을 밝혀냈다. 이들은 안도 나가타로나 후지타 쓰쿠지를 제외하면 일본 근대 미술사에서 무명화가들이었고, 그들의 발탁 경위는 통감부나 총독부의 일본인 관료들의 추천에 의해서였다. 한국에 정착했던 아마쿠사 신라이(天草神來)나 시미즈 토운(淸水東雲), 구보타 텐난(久保田天南) 같은 일본화가들은 서울에 개인 화숙을 열어 일본인 제자들을 교육했고, 그들의 제자들은 한국 근대화단에서 활동했던 대표적인 화가가 되었다. 신라이나 토운 같은 화가들은 한국의 서화가들과도 교류하며 전통적인 수묵문화를 공유하는 공감대를 이루었다. 하지만 1910년대 중반을 넘어가면서 한국화단 내에 일본화가들의 수가 늘어나고 일본화가들 사이에 사승관계가 형성되면서 점차 일본화풍의 특성이 드러나기 시작했다. 일본화가들에 의해 전람회라는 새로운 전시제도가 도입되어 전통적인 寫意的 수묵문화가 지배적이던 한국화단에 변화를 가져왔으며, 서구문화의 적극적인 유입과 함께 전통화단에 대한 반성의 기운을 불러일으켰다. 아편전쟁 이후 청의 와해로 중화주의에 바탕을 둔 중세적 세계관에 변화가 왔던 점은 전통화단의 변화에 중요한 요인이 되었다. 또한 일본에 대해서 오랫동안 지녀온 문화적 우월의식도 이 시기에는 변화를 가져와 일본은 개화정책의 새로운 모델이 되었으며, 문화적으로도 선진화된 이미지로 변화되었다. 安中植, 楊基薰, 許百鍊, 蔡龍臣의 직접적인 일본 체험도 일본화의 유입적 측면과 관련하여 중요하다. 정치적 망명으로 일본에 갔던 안중식과 달리 양l훈, 허백련, 채용신은 일본에서 전시회를 열거나, 개인화숙에서 미술교육을 받기도 했으며 또는 일본에서 일본 명사들의 초상화를 대량으로 제작한 경우도 있었다. 이들이 일본에서 제작한 작품들은 당시 유행하던 일본화풍에 대한 관심을 처음부터 적극적으로 보이지는 않았다. 그들이 일본에서 그린 그림 속에는 일시적으로 사생적인 터치가 엿보이는 등 새로운 요소가 보이지만 자신의 화풍을 변화시킬 만큼은 아니었다. 오히려 화풍상의 영향보다는 개인화숙을 통한 일본의 활발한 제자양성 시스템, 전람회 제도를 직접 경험하는 계기가 되었던 점이 더욱 중요할 것이다. 그러나 1910년대 중반부터 한국화가들의 회풍 속에는 일본화의 영향이 나타나기 시작했다. 여기에는 한국화가들의 일본 체험 및 한국에서 활동하던 일본화가들의 역할, 그리고 다양해지는 대중 매체를 통한 대중문화의 형성도 중요한 역할을 했을 것이다. 무엇보다 근대 전환기에 한국화단에서 일본화는 새로운 시대양식을 창출하려는 문화예술계 전반의 시대사조, 한국화단 내부의 자생적 욕구 그리고 식민지하라는 역사적 상황 속에서 유입되고 확산된 것임을 간과해서는 안 될 것이다. Korea and Japan developed their artists' world in contrasting situations with the downfall of the Joseon Dynasty and the establishment of the Japanese imperial rule in the period from 1890s to 1910s-a turning point to modern times. Japanese artists started their work in Korea from this time. and it is also a transitional epoch when Japanese painters arrived in Korea and their style exerted influence on Korean painting in a complex form. The Japanese painting styles into Korean painting started from Japanese war artists who had moved freely into Korea after the Russian-japanese War. the King's portraitists in Joseon Dynasty. This Japanese painters' work was used as an entertainment for the King of ruined country and political conciliation for anti-Japanese emotions in the Imperial. The paintings decorated the palace of the Great Han Empire as Japanese style to confirm the Joseon Dynasty as a colony. In this paper, I found that Yamamoto Baigai (山本梅涯). Suzuki Shimizuro (鈴木?三郞) and Fujita Tsukuji (藤田嗣治) were also the King's portraitists as well as Fukui Kobi (福井耕美) and Ando Nagataro (安藤仲太郞), I also found the real names of Ohasi Bishu (大橋美州) and Kanai Tenroku (金井天祿). who were only known as having worked as artists in me Nationwide Exposition of Joseon (朝鮮物産共進會) and the Great Han Empire. They were minor painters except Ando and Fujita. They were employed upon the recommendation of Japanese Colonial Office. Then in Korea lived Japanese painters like Amakusa Sinrai (天草神來), Shimizu Toun (淸水東雲) and Kubota Tennan (久保田天南). They opened their private studios in Seoul and educated Japanese disciples. who became prominent painters in Korean modem painting circle. Sinrai and Toun associated with Korean painters and sympathized with the traditional literati culture. Around the mid 1910s. however. a number of Japanese painters in Korea has increased and pointed to Japanese art taste. The Introduction of the new mode of exhibition system changed Korean painting, which had been dominated by traditional ink painting, and resulted from self-examination about traditional Korean paintings. Probably it was a cause that the traditional view of Chinese world was collapsed after the Opium War. Japanese painting style was actually recognized as an ideal and civilized model. The direct experience of An Jung-sik (安中植), Yang Ki-hun (楊基薰), Heo Baeg-ryeon (許百鍊) and Chae Yong-sin (蔡龍臣) in Japan are also important in connection with the influx of Japanese style painting (nihonga), Unlike An. Jung-sik who went to Japan for political asylum, Yang Ki-hun Heo Baeg-ryeon and Chae Yong-sin held an exhibition in Japan, taught in a private-art studio or painted many portraits of notable Japanese. These paintings did not represent early the Japanese style. which was popular in those days. Even the paintings expressed once some new tools like a drawing touch. the artists did not change their painting style. Rather, they experienced direct the disciple training system at the private-art studio and the exhibition system instead of the painting style. However, from the mid-1910s the influence of nihonga appeared on the painting style of Korean painters. Experience of Korean painters in Japan and role of Japanese painters worked in Korea influenced the Korean painting style as well. It is important that nihonga at a turning point in modem times come and diffused in Korean painting circle under the time spirit in the whole Korean culture-an circles, that will create a new age style. the spontaneous desire of Korean painting circles and the colonial situation at that ti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