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Early Bowel Complications Following Radiotherapy of Uterine Cervi)( Carcinoma

        김원동,Kim, Won-Dong The Korean Society for Radiation Oncology 1999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17 No.2

        목적 : 저자는 자궁경부암으로 외부 방사선치료와 고선량 강내치료를 받은 신선 증례에서 급성 장관 방사선 합병증에 대하여 관찰하고 이와 연관된 여러 인자들을 밝히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 1994년 4월부터 1998년 12월까지 충북대학교병원 치료방사선과에서 근치적 방사선치료를 시행한 56례를 대상으로 급성 장관 합병증에 대하여 후향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모든 환자는 본과의 치료원칙에 따라 4cm 미만의, 병기 IB1 와 IIA 경우는 41.4Gy의 체외조사후 30Gy의 강내조사를 A점 기준으로 실시하였으며 그 이외에는 50.4Gy의 체외조사후 24Gy의 강내조사를 실시하였다. 급성 장관 합병증의 기준으로는 EORTC/RTOG morbidity criteria를 이용하였으며 이 기준에 따라 치료 첫날부터 90일까지 발생한 합병증을 급성으로 간주하였다. 급성 합병증의 빈도 및 경중을 파악하였으며 급성 장관 합병증과 연관된 여러 치료전 임상 요인을 밝히기 위하여 단변수 분석과 다변수 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총 66 명의 환자 중 30명(46$\%$)에서 급성 장관 합병증이 발생하였고 그 중 25명(38$\%$)은 grade 1, 2의 경미한 합병증이었으며 4명(6$\%$)은 grade 3, 1명(2$\%$)은 grade 4의 중증 합병증이었다. 거의 모든 합병증은 방사선 치료 시작 3주 후에 발생하였으며 누적 발생빈도는 10주에 41$\%$였다. 고연령과 복부 및 골반부 수술 과거력이 급성 장관 합병증과 유관한 인자였으며 3명의 환자에서는 급성 장관 합병증으로 전체 치료기간이 약 2주 증가하였으며 결국 3명 모두 골반 내 재발을 경험하였다. 결론 : 46$\%$의 환자가 급성 장관 합병증을 경험하였으며 대부분은 경미하여 임상적인 문제를 야기하지 않았다. 다만 고연령 및 수술병력이 있는 환자에서는 급성 장관 합병증으로 인하여 방사선치료에 대한 환자의 순응도(compliance)가 낮아질 수 있으므로 보다 더 적극적인 주의가 필요하다고 하겠다. Purpose : This study evaluated early bowel complications in cervix cancer patients, following external radiotherapy (ERT and high dose rate intracavitary radiation (HDR ICR). Factors affecting the risk of developing early bowel complications and its incidence are analyzed and discussed Materials and Methods : The study is the retrospective review of 66 patients who received radiotherapy at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from April 1994 to December 1998. The patients underwent 41.4 or 50.4 Gy ERT according to FIGO stage and tumor size, then A point dose was boosted to 71.4 or 74.4 Gy using a remotely controlled afterloading Buchler HDR ICR. The EORTC/RTOG morbidity criteria were used to grade early bowel complications, which are valid from day 1, the commencement of therapy, through day 90. The actuarial incidence, severity of complications were investigated and clinical pretreatment factors relevant to complications were found through univariate (Wilcoxon) and multivariate (Cox proportional hazard model) analysis. Results : Of the 66 patients, 30 patients (46$\%$) developed early bowel complications; 25 patients (38$\%$) with grade 1 or 2, 4 patients (0$\%$) with grade 3 and 1 patient (2$\%$) with grade 4. The complications usually began to occur 3 weeks after the commencement of radiotherapy. The actuarial incidence of early bowel complications was 41$\%$ at 10 weeks. The early bowel complications were associated significantly with an old age and a history of previous abdomino-pelvic surgery. All three patients who had a protracted overall treatment time (about 2 weeks) due to severe bowel complication, suffered from pelvic recurrences. Conclusion : Forty six percent of patients experienced early bowel complications, most of which were grade 1 or 2 and relieved spontaneously or by medication. The patients with an old age or a previous surgery have a high probability of early complications and they may be less compliant with planned radiotherapy. So more careful precaution is necessary for these patients.

      • KCI등재

        식도암 수술 후 발생한 호흡기 합병증

        이장훈,이정철 대한흉부외과학회 2006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39 No.2

        배경: 식도암 수술 후 발생하는 합병증은 매우 다양하다. 이 중 호흡기 합병증은 환자의 경과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며 사망에 이르게 할 수 있는 중요한 합병증이다. 이에 수술 후 호흡기 합병증에 관여하는 인자들을 비교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6년부터 2005년 8월까지 근치적 식도암 수술을 시행받은 환자 88명 중 수술 중 사망한 1예를 제외한 87명을 대상으로 후향적 조사를 하였다. 호흡기 합병증이 발생한 군(group A, 28예)과 발생하지 않은 군(group B, 59예)으로 나누어 두 군을 비교, 분석하였다. 통계 처리는 Fisher's exact test로 검증하였다. 결과: 호흡기 합병증은 28예에서 발생하여 32.2%의 호흡기 합병증 발생률을 보였다. 환자의 과거력, 수술시간, 문합방법, 술 전 폐기능, 병기, 술 전 항암요법의 유무 등은 두 군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호흡기 합병증이 발생한 군에서 환자의 나이가 유의하게 많았으며(p=0.001) 경부 문합의 빈도가 유의하게 높았다(p=0.023). 수술 직후 상용적인 인공호흡기 치료를 받은 예는 호흡기 합병증이 발생하지 않은 군에서 유의하게 높았다(p=0.007). 호흡기 합병증 발생군에서 흉관 거치기간, 재원기간이 유의하게 길었다(p=0.011, p=0.001). 수술 사망은 모두 5예에서 발생하여 5.7%의 수술 사망률을 보였는데 모두가 호흡기 합병증에 의한 것이었고 폐렴이 4예로 가장 많았다. 폐렴이 발생한 환자들의 객담 배양검사에서 MRSA (methicillin 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가 가장 많이 검출되었으며 폐렴으로 사망한 4예 모두 MRSA 폐렴에 의한 것이었다. 결론: 식도암 수술 후 발생한 호흡기 관련 합병증이 수술 사망의 주된 원인이었으며 환자의 나이가 많은 경우, 경부문합인 경우가 호흡기 합병증 발생의 위험인자였다. 수술 직후 상용적인 인공호흡기의 사용이 호흡기 합병증 예방에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하며 MRSA에 의한 병원 감염의 예방이 호흡기 합병증과 수술 사망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 생각한다.

      • KCI등재

        노인의 퇴행성 요추 질환에서 후방 요추 수술후 수술주의기간의 합병증

        석세일,김진혁,김원중,이상민,정의룡,황훈,김우일,김태윤 대한척추외과학회 2000 대한척추외과학회지 Vol.7 No.2

        연구계획 : 퇴행성 요추 질환으로 후방감압 및 후외방 유합술을 시행받은 노인에서의 수술 주위기간 합병증을 후향적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목적 : 후방감압 및 후외방 유합술의 수술 주위기간 합병증과 유합 범위가 이환율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97년 6월부터 1998년 7월까지 본원에서 퇴행성 요추 질환으로 후방감압 및 후외방 유합술을 시행 받은 65세 이상의 환자 51례로 3개월 이상 추시 가능했던 경우를 대상으로 하였다. 동반된 내과적 질환, 수술중 감압 및 유합 범위 따른 합병증을 분석하였다. 결과 : 51명중 17명(33.3%)에서 수술주위기간 합병증이 발생하였으며 7명(13.6%)은 적어도 1개 이상의 고도의 합병증을, 5명(9.8%)은 적어도 1개 이상의 중등도의 합병증을, 8명(15.7%)은 적어도 1개이상의 경도의 합병증을 가지고 있었다. 혈종 및 감염이 흔한 수술적 합병증이었다. 가장 흔한 내과적 합벙증으로 마비성 장폐색이었다. 분류한 유합군 사이의 수술 주위기간 합병증의 비는 통계적으로 의미있는 차이는 없었다. 75세 이상의 환자들은 수술 주위기간 합병증의 높은 발생율을 보였다. 환자의 성별, 진단, 수술시간, 골이식 방법, 혹은 수혈량과 수술 주위기간 합병증 발생사이의 통계학적으로 의미있는 관계는 없었다. 결론 : 수술 주위기간의 합병증이 전체 33.3%로 비교적 높은 편이었으며, 75세 이상의 고령은 수술주위기간의 합병증 발생의 위험요소였다. 유합범위와 동반 질환은 합병증 발생과 연관성이 없었다. Study Design : A retrospective study of perioperative complications was performed in elderly patients undergoing posterior decompression and fusion for lumbar degenerative conditions. Objective : To identify the perioperative complications and to analyze the influence of posterior decompression and fusion on the occurrence of the morbidity. Summary of Background Data : Because of the better long-term results, the decompression and fusion with instrumentation have been recently recommended for treatment of degenerative lumbar disease in the elderly. However, the perioperative complication rate and their correlating factors have not been adequately defined. Materials and Methods : A retrospective review of the medical charts of fifty-one patients aged 6.5 years or older operated during June 1997 to July 1998 was undertaken. The minimum follow-up required for inclusion was three months. All medical and surgical perioperative complications directly related to the surgical procedure were noted. The association of fusion levels and other factors with the occurrence of perioperative complications were analyzed. Results : Perioperative complications occurred in 17(33.3%) of the 51 patients. Seven satients(13.7%) had at least one major complication, 5(9.8%) had at least one minor complication and 9(17.6%) had insignificant complications. Hematoma and wound infection were the most common surgical complications Paralytic ileus was the most common medical complication.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rate of perioperative complications between the long and short fusion groups. An age of more than eventyfive years at the time of surgery was associated with a higher risk of complications.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the perioperative complications and sex diagnosis, operative time, type of bone grafting, amount of blood transfusion, or preoperative comorbidity of the patients. Conclusion : Perioperative complications were quite common in the present series, occurring in 33.3% of the patients. An age over seventy-five hyears was a risk factor for associated with morbidity. The number of levels fused and the comorbidity did not associated the development of the complications.

      • 위절제 수술 후 합병증 발생에 있어 영양평가 및 검색도구의 적합성 비교 연구

        김윤,김원경,박미선,이영희,이혁준,양한광 한국정맥경장영양학회 2010 한국정맥경장영양학회 학술대회집 Vol.2010 No.-

        목적: 수술 전 환자의 영양상태는 수술 후 합병증 발생과 같은 환자의 예후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수술 전후의 영양지원은 환자의 합병증이나 사망률을 낮출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그 효과는 대상환자의 영양불량 정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수술 전 영양지원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영양지원 대상환자의 선정이 중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이에 위절제수술 환자의 입원 초기 영양상태 및 영양불량 위험도를 각종 영양평가 및 검색 도구를 이용하여 각 도구의 타당도를 분석하고, 수술 후 합병증 발생의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9년 3월 13일부터 7월 1일까지 서울대학교병원에서 위선암으로 위절제수술을 시행한 환자 중, 수술 전 면담이 가능했던 174명을 대상으로 환자 기본 정보, 기저 질환, 위암의 병기, 수술 방법, 재원기간, 수술 후 합병증 여부 등을 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수술 전 영양 평가를 위해서는, 기존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patient-generated Subjective Global Assessment (PG-SGA)를 시행하였고, 본 연구진이 자체 개발한 서울대병원 영양검색 도구(SNUH-NSI; 식욕상태, 체중변화, 소화기장애, 식사 형태, 혈중 알부민치, 혈중 총 콜레스테롤 치, 총 임파구수, 헤모글로빈, 체질량지수, 연령)와 NRS-2002(ESPEN; 체중 및 식사 상태를 포함한 영양불량 정도,질환의 중증도)을 이용하여 영양불량 위험도를 평가하였다. 각각의 검색도구를 이용한 영양불량 위험도를 PG-SGA 결과를 기준으로 일치도를 살폈으며, 영양평가 및 영양위험도에 따른 합병증 발생의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결과: 환자군의 평균 연령은 59.1세였고, 남자 114명, 여자 60명(1.9:1)이었으며, 수술 전 영양 평가에서 PG-SGA상 영양불량 환자는 15명(8.6%)였고, SNUH-NSI 상 영양불량 고위험군은 18명(10.3%), NRS-2002상 영양불량 위험군(3점이상)은 47명(27%)이었다. 또한 NRS-2002상 영양불량 위험 환자는 PG-SGA를 이용한 영양평가 결과와 비교하였을 때, 중증의 영양불량환자와의 분류 일치도는 κ=0.369인 반면, 중등도 이상의 영양불량 환자와의 분류 일치도가 0.645로 크게 높았다(p<0.001) 한편 SNUH-NSI상 영양불량 고위험환자와 PG-SGA 결과의 비교 결과, 중증의 영양불량 환자와의 분류 일치도(κ=0.469, p<0.001)가 영양불량 중등도 이상의 위험환자와의 분류 일치도(κ=0.304, p<0.001)에 비해 높았다. 수술 후 총 합병증 발생율은 24.1%였으며, 합병증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단변량 분석 결과, PG-SGA 및 SNUH-NSI 상 영양불량 고위험군인 경우, 진행성 위암군일수록 수술 후 합병증의 발생율이 유의하게 높았다. 반면, 연령 및 성별, 기저 질환 여부, 수술 접근 방법(개복 vs. 복강경), 위절제 범위, 림프절 절제 범위, 수술의 근치도, 수술 시간 등에 의한 합병증 발생의 차이는 없었다. 이에 위암의 진행성 여부와 각각의 영양평가 및 영양불량 위험도를 인자로 하여 다변량 분석을 실시한 결과, 진행성 위암만이 합병증 발생의 독립적인 위험 인자로 나타나 영양상태에 따른 유의한 차이가 관찰되지는 않았다. 다만 각 평가 도구에 따른 예측 정도에 차이가 있었는데, SNUH-NSI를 이용한 영양불량 고위험군은 우도비 2.354(95% CI 0.791∼7.005, p=0.124)로 PG-SGA상중증의 영양불량 환자(OR 2.159, 95% CI 0.693∼6.721, p=0.184), NRS-2002상 영양불량 위험 환자(OR 1.169, 95% CI 0.529∼2.581, p=0.7)에 비해 위절제 수술 후 합병증 발생과의 관련성이 가장 컸다. 결론: PG-SGA를 기준으로 SNUH-NSI와NRS-2002를 이용한 영양불량 위험도의 타당도를 비교 분석하였을 때, SNUH-NSI가 중증의 영양불량 환자를 선별하는 민감도(sensitivity)가 다소 더 높았다. 또한 통계적으로 유의적이지는 않았으나 SNUH-NSI는 위절제 수술 후 합병증을 예측하는 도구로서도 PG-SGA와 유사한 정도의 가치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수술 후 합병증과 같이 중증의 영양불량 환자를 선별하여 적극적인 관리가 요구되는 경우라면 NRS-2002에 비해 중증환자를 선별하는데 있어 민감도(sensitivity)가 높고 PG-SGA에 비해 평가에 소요되는 시간이 적은 SNUH-NSI가 보다 효율적인 도구일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후보

        자궁경부암 환자의 고선량률 강내치료 시행 시 직장합병증의 예측

        이정은(Jeung Eun Lee),허승재(Seung Jae Huh),박원(Won Park),임도훈(Do Hoon Lim),안용찬(Yong Chan Ahn) 대한방사선종양학회 2003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21 No.4

        Purpose Although high-dose-rate intracavitary radiotherapy (HDR ICR) has been used in the treatment of cervical cancer, the potential for increased risk of late complication, most commonly in the rectum, is a major concern. We have previously reported on 136 patients treated with HDR brachytherapy between 1995 and 199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pgrade the previous data and confirm the correlation between late rectal complication and rectal dose in cervix cancer patients treated with HDR ICR. Materials and Methods A retrospective analysis was performed for 222 patients with cervix cancer who were treated for curative intent with external beam radiotherapy (EBRT) and HDR ICR from July 1 9 95 to December 2001. The median dose of EBRT was 50.4 (30.6 56.4) Gy with a daily fraction size 1.8 Gy. A total of six fractions of HDR ICR were given twice weekly with fraction size of 4 (3 5.5) Gy to A point by Iridium-192 source. The rectal dose was calculated at the rectal reference point using the barium contrast criteria. in vivo measurement of the rectal dose was performed with thermoluminescent dosimeter (TLD) during HDR ICR. The median follow-up period was 39 months, ranging from 6 to 90 months. Results Twenty-one patients (9.5%) experienced late rectal bleeding, from 3 to 44 months (median, 13 months) after the completion of RT. The calculated rectal doses were not different between the patients with rectal bleeding and those without, b ut the measured rectal doses were higher in the complicated patients. The differences of the measured ICR rectal fractional dose, ICR total rectal dose, and total rectal biologically equivalent dose (BED)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When the measured ICR total rectal dose was beyond 16Gy, when the ratio of the measured rectal dose to A point dose was beyond 70%, or when the measured rectal BED was over 110 Gy3, a high possibility of late rectal complication was found. Conclusion Late rectal complication was closely correlated with measured rectal dose by in vivo dosimetry using TLD during HDR ICR. If data from in vivo dosimetry shows any possibility of rectal bleeding, efforts should be made to reduce the rectal dose. 목 적 : 자궁 경부암의 고선량률 근접치료는 근치적 치료에서 중요한 역할을 차지하나 만성합병증 특히 직장합병증의 위험도 증가하게 된다. 이에 저자들은 직장합병증과 직장 방사선 선량을 비교하여 합병증과 관련된 인자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95년 7월부터 2001년 12월까지 자궁경부암으로 진단받고 근치적 방사선치료로 외부방사선치료와 고선량률 강내치료를 모두 받은 환자 22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외부방사선치료의 총방사선량 중앙값은 50.4 Gy (30.6˜56.4 Gy)이고 고선량률 강내치료는 이리듐(Ir)-192를 이용하여 pointA에 3˜5.5Gy (중앙값 4 Gy), 조사횟수는 5˜8회(중 앙값 6회)로 주 2회 조사하여 총 15˜32.5 Gy (중앙값 24Gy)를 조사하였다.환자의 중앙 추적기간은 39개월(6˜90개 월)이었다. 결 과: 만성 직장합병증은 21명(9.5%)에서 관찰되었다.이들은 모두 직장출혈을 보였으며 다른 합병증은 나타나지 않았다. 직장합병증이 발생하기까지의 시간은 방사선치료 종료 후 3˜44개 월(중 앙값 13개 월)이 었다.이전의 결과와 마찬가지로 직장합병증을 보인 군의 계산직장선량은 합병증을 보이지 않았던 군과 비슷하고 그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그러나 직장합병증을 보인 군 의 측 정 직 장 선 량의 평균값과 BED는 합병증을 보이지 않았던 군에 비해 높았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측정 직장선량이1 6 G y를 넘거나 측정 직장선량과 A point 선량과의 비가 70%를 넘는 경우 또는 측정 직장선량의 BED가 120 Gy3을 넘는 경우는 직장 합병증의 가능성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결 론: 자궁경부암에서 고선량률 강내치료시 TLD를 이용한 생체 내 선량측정을 하고 이를 조정함으로써 만성 직장합병증을 예측하고 그 가능성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SCOPUSKCI등재

        Early Bowel Complications Following Radiotherapy of Uterine Cervix Carcinoma

        김원동(Won Dong Kim) 대한방사선종양학회 1999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17 No.2

        목 적 : 저자는 자궁경부암으로 외부 방사선치료와 고선량 강내치료를 받은 신선 증례에서 급성 장관 방사선 합병증에 대하여 관찰하고 이와 연관된 여러 인자들을 밝히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 1994년 4월부터 1998년 12월까지 충북대학교병원 치료방사선과에서 근치적 방사선치료를 시행한 66례를 대상으로 급성 장관 합병증에 대하여 후향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모든 환자는 본과의 치료원칙에 따라 4cm 미만의, 병기 IB1 와 IIA 경우는 41.4Gy 의 체외조사후 30Gy 의 강내조사를 A점 기준으로 실시하였으며 그 이외에는 50.4Gy 의 체외조사후 24Gy 의 강내조사를 실시하였다. 급성 장관 합병증의 기준으로는 EORTC/RTOG morbidity criteria를 이용하였으며 이 기준에 따라 치료 첫날부터 90일까지 발생한 합병증을 급성으로 간주하였다. 급성 합병증의 빈도 및 경중을 파악하였으며 급성 장관 합병증과 연관된 여러 치료전 임상 요인을 밝히기 위하여 단변수 분석과 다변수 분석을 실시하였다. 결 과 : 총 66 명의 환자 중 30명(46%)에서 급성 장관 합병증이 발생하였고 그 중 25명(38%)은 grade 1, 2의 경미한 합병증이었으며 4명(6%)은 grade 3, 1명(2%)은 grade 4의 중증 합병증이었다. 거의 모든 합병증은 방사선 치료 시작 3 주 후에 발생하였으며 누적 발생빈도는 10주에 41%였다. 고연령과 복부 및 골반부 수술 과거력이 급성 장관 합병증과 유관한 인자였으며 3명의 환자에서는 급성 장관 합병증으로 전체 치료기간이 약 2주 증가하였으며 결국 3명 모두 골반 내 재발을 경험하였다. 결 론 : 46%의 환자가 급성 장관 합병증을 경험하였으며 대부분은 경미하여 임상적인 문제를 야기하지 않았다, 다만 고연령 및 수술병력이 있는 환자에서는 급성 장관 합병증으로 인하여 방사선치료에 대한 환자의 순응도(compliance)가 낮아질수 있으므로 보다 더 적극적인 주의가 필요하다고 하겠다. Purpose : This study evaluated early bowel complic ations in cervix cancer patients, following external radiotherapy (ERT) and high dose rate intracavitary radiation (HDR ICR). Factors affecting the risk of developing early bowel complications and its incidence are analyzed and discussed Materials and Methods : The study is the retrospective review of 66 patients who received radiotherapy at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from April 1994 to December 1998. The patients underwent 41.4 or 50.4 Gy ERT according to FIGO stage and tumor size, then A point dose was boosted to 71.4 or 74.4 Gy using a remotely controlled afterloading Buchler HDR ICR. The EORTC/RTOG morbidity criteria were used to grade early bowel complications, which are valid from day 1, the commencement of therapy, through day 90. The actua rial incidence, severity of complications were investigated and clinical pretreatment factors relevant to complications were found through univariate (Wilcoxon) and multivariate (Cox proportional hazard model) analysis. Results : Of the 66 patients, 30 pat ients (46%) developed early bowel complications; 25 patients (38%) with grade 1 or 2, 4 patients (6%) with grade 3 and 1 patient (2%) with grade 4. The complications usually began to occur 3 weeks after the commencement of radiotherapy. The actuarial incid ence of early bowel complications was 41% at 10 weeks. The early bowel complications were associated significantly with an old age and a history of previous abdomino-pelvic surgery. All three patients who had a protracted overall treatment time (about 2 we eks) due to severe bowel complication, suffered from pelvic recurrences. Conclusion : Forty six percent of patients experienced early bowel complications, most of which were grade 1 or 2 and relieved spontaneously or by medication. The patients with an old age or a previous surgery have a high probability of early complications and they may be less compliant with planned radiotherapy. So more careful precaution is necessary for these patients.

      • KCI등재

        용종절제술 중 발생한 의인합병증에 대한 다기관 공동 연구

        최민호,최윤선,소찬수,신운건,김경오,장현주,박철희,김경호,김진배,백일현,백광호,계세협,김학양 대한장연구학회 2013 Intestinal Research Vol.11 No.1

        목적: 내시경 폴립절제술은 대장폴립을 치료하기 위한 유용한 방법이다. 최근 내시경 폴립절제술이 광범위하게 시행되면서 천공이나 출혈 등의인합병증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저자들은 내시경 폴립절제술 중 발생한 합병증의 발생률을 알아보고, 합병증의 임상 양상과 치료 경과를 조사하였다. 방법: 2005년 6월에서 2008년 6월까지 한림대학교 산하 5개 병원에 내원하여 대장내시경을 시행한 환자들을 대상으로 대장내시경 중 합병증이 발생한 환자들에 대해서 후향 연구를 시행하였다. 결과: 연구 기간 중 총 26,773명에서 대장내시경을 시행하였고, 이중 4,123명에서 내시경 폴립절제술을 시행하였다. 이중 합병증은 43명에서발생하였으며(1.04%), 천공이 8명에서 발생하였고(0.19%), 출혈이 35명에서 발생하였다(0.85%). 천공이 발생한 환자에서 각 시술별 합병증의 발생률은 올가미법, 점막 절제술, 점막하 절제술에서 각각 0.05%, 1.09%, 7.14%였다. 출혈이 발생한 환자에서 각 시술별 합병증 발생율은 올가미법, 점막 절제술, 점막하 절제술에서 각각 0.8%, 1.09%, 3.57%였다. 점막하 절제술이 올가미법이나 점막 절제술에 비해서 합병증의 빈도가 높았다(P <0.001). 천공이 발생한 8명 중 2명(25%)과 출혈이 발생한 35명 중 23명(66.7%)이 지혈클립과 보존적인 치료로 성공적인 치료가 가능하였다. 천공이 발생한 환자의 75%와 출혈이 발생한 환자의 100%에서 내과적 치료가 성공적이었고, 추가적인 수술이 필요한 경우는 3예가 있었다. 결론: 내시경 폴립절제술은 대장폴립의 치료에 비교적 안전한 시술이지만 드물게 심각한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다. 특히 올가미법이나 점막절제술에 비해서 점막하 절제술에서 합병증이 흔하게 발생하였다. 폴립절제술 중 합병증이 발생하였을 때 내시경 치료법에 이은 보존적인 치료는 치료내시경 중 발생한 합병증을 치료하는 데 유용하다. Background/Aims: Colonoscopic polypectomy is an effective tool for the treatment of colonic polyps. With the recent widespread use of colonoscopic polypectomy, there is a growing concern about iatrogenic complications, such as bleeding and perforation.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linical presentation and management of complications during colonoscopic polypectomy. Methods: We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medical records of colonoscopic examinations performed at 5 hospitals of Hallym University Medical Center between June 2005 and June 2008. Results: A total of 26,773 colonoscopies and 4,123 colonoscopic polypectomy were performed. The overall rate of complication was 1.04% (43/4,123). Perforation occurred in 0.19% (8/4,123) of cases, and bleeding occurred in 0.85% (35/4,123) of cases. Perforation occurred in 0.05% of snare polypectomies,1.09% of endoscopic mucosal resections (EMR), and 7.14% of endoscopic submucosal dissections (ESD). Bleeding occurred in 0.8% of snare polypectomies, 1.09% of EMRs, and 3.57% of ESDs. The complication rate of ESDs was higher than in EMRs and snare polypectomies (P<0.001). Endoscopic clippings were performed in 25% of perforation and 66.7% of bleeding cases. Medical treatment was successful in 75% of perforation and 100% of bleeding cases. Conclusions: Colonoscopic polypectomy is a safe procedure for the treatment of colonic polyps, but rarely, serious complications occur. Compared to a snare polypectomy or an EMR, the complication of an ESD occurs more frequently. Endoscopic treatment and further conservative management seems to be appropriate in most cases with complication. (Intest Res 2011;13:46-51)

      • 조혈모세포이식시 발생한 급성 비감염성 합병증

        김준석,김병수,서재홍,김열홍,신상원,최철원 대한조혈모세포이식학회 1998 대한조혈모세포이식학회지 Vol.3 No.1

        연구배경 : 조혈모세포이식시 발생하는 급성 비감염성 합병증이라 함은 고용량의 항암화학요법으로 인한 독성과 채집된 조혈모세포가 포함된 혈액을 중심정맥을 통하여 주사할 때 발생하는 부작용 및 이식된 조혈모세포가 골수에 생착하여 조혈기능이 정상화되기까지의 시기에 발생하는 감염을 제외한 모든 합병증을 말한다. 저자 등은 고려대 의료원 혈액종양내과에 내원하여 조혈모세포이식을 시행받은 환자들에서 발생한 급성 비감염성 합병증의 양상을 보고하고자 한다. 방법 : 1995년 1월부터 1997년 12월까지 고려대 의료원 혈액종양내과에 입원하여 조혈모세포이식을 시행받은 45명(구로병원; 36명, 안암병원; 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 중 동종 골수이식은 17명 , 자가 조혈모세포이식은 28명이 시행받았다, 저자 등은 조혈모세포이식을 시행받은 환자들의 급성 합병증으로 항암요법과 관련된 비혈액학적 독성(WHO기준), 조혈모세포가 포함된 혈액의 주사와 관련된 부작용, 골수생착시기에 발생한 비감염성 합병증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결과 : 1) 고용량 항암요법과 관련된 비혈액학적 독성 ; 자각증상으로는 오심 및 구토가 전례에서 발생하였으며 46.7%(21/45)에서는 gradeⅢ이상으로 심하였으며 이학적 소견으로는 점막염이 89%(40/45)로 가장 흔히 발견되었다. 기타, 간독성이 11.1%(5/45), 신독성이 6.7%(3/45)에서 관찰되었다. 고용량 항암요법과 관련된 치명적인 비혈액학적 독성(간의 정맥폐쇄증후군, cytoxan에 의한 심근독성)으로 4.4%(2/45)에서 사망하였다. 2) 조혈모세포가 포함된 혈액의 주사와 관련된 부작용 : 동종 골수 이식시 환자의 중심정맥을 통하여 이식된 조혈모세포가 포함된 혈액의 주사와 관련된 부작용은 매우 경미하였다. 자가 조혈모 세포이식시 말초혈에서 혈액성분 분리기를 통하여 채집한 후 냉동보호제인 DMSO와 10%의 농도로 혼합하여 냉동보존(-80∼-180℃)한 조혈모세포가 포함된 혈액을 40℃수조에서 해동한 후 환자의 중심정맥을 통하여 이식하였다. 그 결과 평균 용적이 커서 DMSO가 보다 많이 포함된 조혈모세포가 포함된 혈액을 이식받는 환자들에서 오심, 열감 및 오한, 구토, 혈뇨 등의 합병증이 호발하였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3) 골수 생착시기에 발생한 비감염성 합병증 : 동종 솔수이식 환자에서 골수생착시기에 해당하는 무균실 입원기간 중에 발생한 비감염성 합병증으로 급성 이식편대 숙주반응이 25%에서 발생하였으며 생착실패가 6.7%에서 관찰되었다. 급성 이식편대 숙주반응은 모두 grade Ⅰ,Ⅱ로 경미하였으며 생착실패를 보인 환자는 이식70일 만에 기존 백혈병이 재발되어 사망하였다. 자가 조혈모세포이식 환자에서는 3예에서 자연생착이 관찰되었다. 결론 : 조혈모세포이식시 비감염성 급성 합병증으로 발생하는 항암요법과 관련된 독성, 조혈모세포가 포함된 혈액의 주사와 관련된 합병증, 골수생착기에 발생한 비감염성 합병증들은 빈도가 낮고 경하지만 치명적인 경우도 있었다. Background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acute non-infectious complications of hematopoietic stem cell transplantation, at the patients admitted to hemato-oncology department, Korea University Medical Center, from January, 1995 to September 1997. Methods : Forty-five patients (17 allogeneic bone marrow transplantation, 28 autologous hematopoietic stem cell transplantation) were evaluated for the incidence and severity of the acute non-infectious complications associated with hematopoietic stem cell transplantation, such as regimen related toxicities, transfusion reactions of blood containing hematopoietic stem cells, complications associated whit engraftment. Results : 1)Regimen-related toxicities : The patients complained the symptoms of nausea, vomiting, anorexia, diarrhea, fatigue, myalgia, arthralgia, sore throat, and febrile sensation. Mucositis was most frequently observed regimen related toxicity with the incidence of 89%(40/45). The other regimen related toxicities were liver toxicity (11.1%, 5/45) and renal toxicity (6.7%, 3/45). The fatal regimen related toxicities such as veno-occlussive disease and cardiomyopathy, were observed at two patients. 2) Transfusion reactions of blood containing hematopoietic stem cells : At allogeneic bone marrow transplantation, the transfusion of RBC depleted bone marrow blood were tolerable at all patients with minimal side reactions. At autologous hematopoietic stem cell transplantation, the side reactions such as nausea and vomiting (85.7%) febrile sensation(78.6%), abdominal pain(28.6%), hematuria (28.6%), dyspnea (14.3%), seizure (7.1%), and sudden death(3.6%), were observed during the transfusion of thawed blood containing hematopoietic stem cells mixed with DMSO for cryopreservation. The incidence and severity of side reactions were assocaited with the transfusion volume and DMSO amount. 3) Complications associated with engraftment : Graft failure associated with leukemia relapse was observed at 1 case of allogeneic bone marrow transplantation, and three patients, transplanted with autologous hematopoietic stem cells, experienced delayed engraftments. The incidence of acute GVHD in allogeneic bone marrow transplantation was 25%(grade Ⅰ,Ⅱ). All patients with acute GVHD were successfully treated by cyclosporin A, methotrexate, steroid therapy. Conclusion : The acute non-infectious complications of hematopoietic stem cell transplantation occured infrequently, and the severity was mild. But, fatal outcomes associated with acute non-infections complications of hematopoietic stem cell transplantation were observed rarely.

      • KCI등재후보

        간절제술 후 간내담석 관련 합병증에서 피부간경유쓸개관조영술의 효과 및 경과

        권태진,이걸,이광혁 대한췌담도학회 2019 대한췌담도학회지 Vol.24 No.2

        배경/목적: 간내결석으로 간절제술 시행 후 재발한 경우, 주로 피부간경유쓸개관조영술(PTCS)로 치료하는데 이런 PTCS의 효과 및 경과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다. 이에 간절제술 후 간내결석 관련 합병증이 발생한 환자에서 PTCS의 효과 및 경과에 대해서 보고한다. 방법: 1998년 1월부터 2014년 12월까지 삼성서울병원에서 간내결석으로 수술 후 PTCS를 시행한 19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후향적 연구를 시행하였다. PTCS 시행 전 환자 특성, 시술 후 결석의 제거 여부 및 합병증, 경과 관찰 중에 재발 여부 등에 대해서 조사하였으며, 시술 후 간내결석의 재발과 관련된 요인에 대한 분석을 하였다. 결과: PTCS의 적응증은 담관염(12/19, 63.2%), 복통(3/19, 15.7%), 간농양(2/19, 10.5%), 담관 확장(2/19, 10.5%) 등의 급성 합병증이었으며 이러한 급성 합병증은 치료 후 모두 호전되었다. PTCS 시행 후 63.2% (12/19)에서 간내결석이 완전히 제거되었고, 평균 4.9년(범위, 1.8-7.8)의 추적관찰 기간 동안에 간내담석 관련 합병증이 52.6% (10/19)에서 발생하였다. 합병증은 담관염 5명(50%), 담관염 및 간농양 3명(30%), 간 농양 1명(10%), 복통을 동반한 결석 1명(10%)이었다. 재발과 관련된 요인으로 결석의 다발성, 완전 제거 여부, 담관 협착 등을 분석하였으나 합병증 재발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련성이 없었다. 결론: PTCS는 간내결석으로 간절제술을 받은 환자에서 재발된 간내결석의 급성 합병증에 효과적인 치료 방법이다. 그러나 PTCS로 결석 치료 후에도 간내결석의 재발 및 급성 합병증이 흔하게 발생하므로 추적관찰이 필요하다. Background/Aims: Percutaneous transhepatic cholangioscopy (PTCS) is an effective treatment used for intrahepatic stone in patients who have undergone hepatectomy. There are few reports on natural course in these patients. Thus, we report the long-term results. Methods: We conducted a retrospective study of 19 patients who underwent PTCS after hepatectomy at Samsung Medical Center between January 1998 and December 2014. We investigated patient characteristics and recurrence of biliary complications during follow up period. Then, we analyzed the factors related to recurrence. Results: Indications for PTCS were cholangitis, symptomatic stone, liver abscess and biliary dilatation. Complete stone removal was achieved in 12 patients (63.2%). After receiving PTCS, the recurrence of intrahepatic stone related complication occurred in 52.6% (10/19) of patients during a median follow-up of 4.9 years (range, 1.8-7.8). Complications were cholangitis (5/10, 50%), cholangitis with liver abscess (3/10, 30%), liver abscess (1/10, 10%) and symptomatic stone (1/10, 10%). On univariate analysis, factors including multiple stone involvement, complete stone removal and bile duct stricture were not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recurrent biliary complications. Conclusions: PTCS is an effective treatment for complications of recurrent intrahepatic stones in patients who have undergone hepatectomy. However, long term follow-up is necessary because of the recurrence of biliary complica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