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정위방사선치료 시 적분 생물학적 유효선량 및 방사선조사용적을 이용한 Total Arc Degree 의 최적화

        임도훈(Do Hoon Lim),이명자(Myung Za Lee),전하정(Ha Chung Chun),김대용(Dae Yong Kim) 대한방사선종양학회 2001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19 No.2

        목 적 :정위방사선치료 시 정상 뇌 조직을 고선량의 방사선으로부터 최대한 보호하며 치료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하여 치료 인자 중 콜리메이터의 크기와 arc 간 간격에 따른 이상적인 total arc degree (TAD) 값을 제시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XKnife-3 planning system을 사용하여 환자의 송과체 부위에 방사선 빔의 회전중심점을 위치시킨 후 12, 20, 30, 40, 50 그리고 60 mm 직경의 정위방사선치료용 원형 콜리메이터를 이용하여 각각의 콜리메이터 직경별로 TAD를 100, 200, 300, 400, 500, 600도, 그리고 arc 간 간격을 30도(6- arc system)와 45도(4- arc system)로 설정하여 방사선치료계획을 수립하였다. 치료계획을 통해 얻은 누적선량체적히스토그람을 이용하여 회전중심점 처방선량의 50% 이상 조사되는 정상 뇌의 용적(V50) 및 적분 생물학적 유효선량(integral biologically effective dose)을 이용하여 각각의 TAD에 따른 방사선치료계획을 비교하였다. 결 과 :TAD에 따른 V50의 변화는 arc 간 각도가 30도인 경우에는 콜리메이터 직경과 관계없이 TAD가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으나, 45도의 arc 간 각도에서는 400도의 TAD까지는 감소하다가 400도 이상의 TAD에서 V50은 증가하거나 변화가 없었다. 적분 생물학적 유효선량 값의 변화는 arc 간 간격이 30도인 경우에는 콜리메이터의 직경에 관계없이 TAD가 증가함에 따라 미소하게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다. arc 간 각도가 45도인 경우에는 콜리메이터 직경이 40 mm 이하에서는 TAD가 증가함에 따라 적분 생물학적 유효선량은 계속 감소하였으나, 50 mm와 60mm 직경의 콜리메이터에서는 TAD가 400도까지는 감소하다가 500도 이상의 TAD에서는 증가하였다. 결 론 :정위방사선치료 시 400도 정도의 TAD를 사용하는 것은 300도 이하 혹은 500도 이상의 TAD를 사용하는 것보다 치료 효과를 높이면서 치료계획과 치료 시 장비 및 인적 자원의 효율적인 운용을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Purpose : To find the optimal values of total arc degree to protect the normal brain tissue from high dose radiation in stereotactic radiotherapy planning Methods and Materials :With Xknife- 3 planning system & 4 MV linear accelerator, the authors planned under various values of pa rameters . One isocenter, 12, 20, 30, 40, 50, and 60 mm of collimator diameters , 100˚, 200˚, 300˚, 400˚, 500˚, 600˚ of total arc degrees , and 30˚ or 45˚ of arc intervals were used. After the completion of planning, the plans were compared each other us ing V50 (the volume of normal bra in that is delivered high dose radiation) and integral biologically effective dose. Results :At 30˚ of a rc interva l, the values of V50 had the decreased pattern with the increase of total arc degree in any collimator diameter. At 45˚ a rc interva l, up to 400˚ of total arc degree, the values of V50 decreased with the increase of tota l arc degree, but at 500˚ and 600˚ of total arc degrees , the values increased. At 30˚˚of arc interval, integral biologica lly effective dose showed the decreased pattern with the increase of tota l arc degree in any collimator diameter. At 45˚ arc interval with less than 40 mm collimator diameter, the integra l biologically effective dose decreased with the increase of tota l arc degree, but with 50 and 60 mm of collimator diameters , up to 400˚ of total arc degree, integral biologically effective dose decreased with the increase of total a rc degree, but at 500˚ and 600˚ of total arc degrees , the values increased. Conclusion : In the stereotactic radiotherapy planning for brain les ions , planning with 400˚ of tota l arc degree is optimal. Especially, when the larger collimator more than 50 mm diameter should be used, the uses of 500˚ and 600˚ of total arc degrees make the increase of V50 and integral biologica lly effective dose. Therefore stereotactic radiotherapy planning us ing 400˚ of total arc degree can increase the therapeutic ratio and produce the effective outcome in the management of personal and mechanical sources in radiotherapy department.

      • SCOPUSKCI등재

        골반부 방사선 조사야 내의 소장 용적을 줄이기 위한 Small Bowel Displacement System(SBDS)의 사용

        임도훈(Do Hoon Lim),허승재(Seung Jae Huh),안용찬(Yong Chan Ahn),김대용(Dae Yong Kim),우홍균(Hong Gyun Wu),김문경(Moon Kyung Kim),최동탁(Dong Rak Choi),신경환(Kyung Hwan Shin) 대한방사선종양학회 1997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15 No.3

        Purpose : Authors designed a customized Small Bowel Displacement System (SBDS) to displace the small bowel from the pelvic radiation fields and minimize treatment-related bowel morbidities. Methods and Materials : From August 1995 to May 1996, 55 consecutive patients who received pelvic radiation therapy with the SBDS were included in this study. The SBDS consists of a customized styrofoam compression device which can displace the small bowel from the radiation fields and an individualized immobilization abdominal board for easy daily setup in prone position. After opacifying the small bowel with Barium , the patients were laid prone and posterior-anterior (PA) and lateral (LAT) simulation films were taken with and without the SBDS. The areas of the small bowel included in the radiation fields with and without the SBDS were compared. Results : Using the SBDS, the mean small bowel area was reduced by 59% on PA and 51% on LAT films (P=0.0001). In six patients (6/55, 11%), it was possible that no small bowel was included within the treatment fields. The mean upward displacement of the most caudal small bowel was 4.8 cm using the SBDS. Only 15% (8/55) of patients treated with the SBDS manifested diarrhea requiring medication. Conclusion : The SBDS is a novel method that can be used to displace the small bowel away from the treatment portal effectively and reduce the radiation therapy morbidities. Compliance with setup is excellent when the SBDS is used. 목 적 : 저자들은 골반부 방사선 치료에 있어서 소장을 방사선 조사야 밖으로 밀어냄으로써 방사선치료로 인한 소장의 부작용을 최소화하고자 Small Bowel Displacement System (SBDS)을 만들어 환자 치료에 적용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95년 8월부터 1996년 5월까지 SBDS를 이용하여 골반부에 방사선 치료를 받은 55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SBDS는 환자의 하복부를 눌러줌으로써 골반부 내의 소장을 방사선 조사야 밖으로 밀어내는 Styrofoam compression device와 이로 인한 환자의 하복부 불편감을 줄이며 치료시 환자 자세의 안전성을 유지시키기 위해 환자 개개인별로 만든 Immobilization device로 구성된다. 모의치료시 소장을 조영제로 조영시킨 후 복와위 상태에서 SBDS 를 사용하기 전과 사용한 후의 후방-전방 및 측방 촬영을 하여 방사선 조사야 내에 포함되는 조영제로 조영이 되는 소장의 면적을 측정하여 서로 비교하였다. 결 과 : SBDS를 사용했을 때 사용전에 비하여 후방-전방 촬영 필름에서는 59%의 소장이 그리고 측방 촬영 필름에서는 51%의 소장이 방사선 조사야 밖으로 밀려났다(P=0.0001). 조영된 소장의 평균 상향 이동 거리는 4.8cm였으며, 55명의 환자중 단지 8명 (15%)에서만 투약이 필요할 정도의 설사를 호소하였으며, 이로 인하여 방사선치료가 중단되거나 지연된 경우는 없었다. 결 론 : SBDS는 소장을 골반부 방사선 조사야 밖으로 효과적으로 밀어내는 기구로서 방사선 치료로 인한 소장의 부작용을 감소시키는 기구이다. 또한, 제작이 용이하며 환자 치료 자세의 높은 재현성을 보였다. SBDS를 사용한 환자에서 향후 방사선 만성 부작용의 발생 빈도 감소에 기여한다면 필요한 경우에 골반부에 조사하는 방사선량을 증가시켜 보다 향상된 치료효과를 기대할 수 있겠다.

      • SCOPUSKCI등재

        악성 기도 폐쇄에 대한 기관내 근접 조사 방사선치료의 단기 임상 경험

        안용찬,임도훈,최동락,김문경,김대용,허승재,김호중,정만표,권오정,이종헌,Ahn Yong Chan,Lim Do Hoon,Choi Dong Rak,Kim Moon Kyung,Kim Dae Yong,Huh Seung Jae,Kim Ho Joong,Chung Man Pyo,Kwon O Jung,Rhee Chong Heon 대한방사선종양학회 1996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14 No.4

        목적 : 주요 기도의 악성 종양으로 인한 호흡기 증상은 적절한 조치를 취하지 않을 경우 때로는 환자의 생명을 위협할 정도로 위급한 경우가 있으며 환자의 삶의 질을 저하시키는 주요 원인이 된다. 이러한 호흡기 증상의 완화를 위하여 적용한 기관지 내시경을 이용한 고선량율 기관내 근접 조사 방사선차료의 단기 임상 관찰 결과를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 1994년 12월부터 1996년 3월까지 원발성 또는 전이성 폐암으로 인한 기도폐쇄 와 이로 인한 주요 호흡기 증상이 있는 25명의 환자들에 대하여 고선량율 기관내 근접 조사 방사선치료를 시술하였다. 원발 병소는 비소세포성 폐암이 21례 ($84\%$), 원발성 기관암이 3례($12\%$), 재발된 식도암이 1례였다. 20명의 환자들에 대하여는 외부 조사 방사선치료를 병행하였으며, 급성 기도 폐쇄로 위급한 증상을 호소하였던 6명의 환자에 대하여는 응급 기관내 Laser 소작술을 먼저 시행하였다. 기관내 근접 조사 방사선치료는 모든 환자에서 각 3회씩 시행하도록 예정하였으며 모두 70회의 치료를 시행하였다. 결과 : 기관내 근접 조사 방사선치료의 전후로 조사한 주요 호흡기 증상은 기침, 호흡곤란, 각혈, 폐쇄성 폐렴이 각각 $88\%$ (22/25), $96\%$ (22/23), $100\%$ (15/15), $100\%$ (9/9)에서 호전되었으며, 환자의 일반 활동도 (ECOG performance score)는 전체 환자의 $56\%$에서 호전되었고 악화된 경우는 없었다. 관찰 기간 동안 15명이 사망하였으며 치료 개시로부터 사망까지 기간의 중앙값은 4개월 (범위: 1개월$\~$17개월) 이었고 10명의 생존자들의 생존 기간의 중앙값은 9개월 (범위: 5개월$\~$19개월)이었다. 치료 후 1년 이상 생존한 환자는 5명이었으며 이들 모두에선 원발 병소의 완전 관해를 확인할 수 있었다. 사망자들은 모두 원발 및 전이 병소의 진행으로 인한 경우였다. 대량 각혈로 사망한 경우는 4명이었으며 이 중 3명은 응급 기관내 Laser 소작술을 선행하였던 경우였다. 결론 : 기관지 내시경을 이용한 기관내 근접 조사 방사선 치료는 기도의 악성 병변시 호흡기 증상 및 환자의 활동도를 호전시키는 데 매우 효과적인 치료 방법이다. 저자들의 관찰 경험을 바탕으로 하여 기관내 근접 조사 방사선치료는 근치적 방사선치료의 국소 추가 방사선 조사의 한 방법으로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Purpose : Respiratory symptoms related with malignant airway disease have been the main causes of lowered qualify of life and also sometimes may be life-threatening if not properly managed. The authors report the short-term experiences of endobronchial brachytherapy for symptomatic malignant airway obstruction using high dose rate after-loading brachytherapy unit. Materials and Methdos : Twenty-five Patients with symptomatic malignant airway obstruction were treated with endobronchial brachytherapy between the period of December 1994 and March 1996 at Department of Radiation Oncology of Samsung Medical Center Twenty-one ($84\%$) were patients with non-small cell lung cancer, three with tracheal malignancies, and one with recurrence of esophageal cancer. Twenty Patients were given elective external beam radiation therapy, while six were given endobronchial laser evaporation therapy on emergency bases in addition to endobronchial brachytherapy. Three procedures for each patient were planned and total of 70 procedures were completed. Results : Improvement rates of major respiratory symptoms after endobronchial brachytherapy procedures were $88\%$(22/25). $96\%$(22/23), $100\%$ (15/15), and $100\%$(9/9) for cough, dyspnea, hemoptysis and obstructive pneumonia, respectively. ECOG performance scores were improved in $56\%$ of total patients group, while there was no case with worsened ECOG score. Fifteen patients died and the median interval from the start of treatment to death was 4 months (range: $1\~17$ months), while that of ten survivors was 9 months (range $5\~19$ months). There were five patients with controlled intrathoracic disease, who have survived over one rear. All deaths were associated with uncontrolled local and/or distant disease. Four Patients died of massive fatal hemoptysis, three of who received emergency endobronchial laser evaporation therapy before the start of endobronchial brachytherapy. Conclusion : Endobronchial brachytherapy has been confirmed as an excellent palliative treatment modality improving respiratory symptoms as well as patients' general performance status. Based on the current observations, use of endobronchial brachytherapy in curative setting as a boost technique may be warranted.

      • SCOPUSKCI등재

        디지털 화상 병력 시스템과 디지털 방사선치료 기록 시스템의 개발과 사용 경험

        허승재,안용찬,임도훈,조정근,김대용,여인환,김문경,장승회,박석원,Huh Seung Jae,Ahn Yong Chan,Lim Do Hoon,Cho Chung Keun,Kim Dae Yong,Yeo Inhwan,Kim Moon Kyung,Chang Seung Hee,Park Suk Won 대한방사선종양학회 2000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18 No.1

        목적 : 방사선치료 기록의 전산화를 통하여 "paperiess" 환경을 이룩하고 원활한 방사선치료의 흐름에 도움을 주기 위 함. 대상 및 방법 : 삼성서울병원의 병원 정보 시스템과 네트워크를 통하여 통합 방사선 관리 시스템(Comprehensive Radiation Oncology Management System:C-ROMS)을 구축하였다. C-ROMS의 한 부분인 디지털 화상 병력 시스템(digital image chart: DIC)과 디지털 방사선치료 기록 시스템(digital radiotherapy record system: DRRS)을 개발하였다. DIC와 DRRS는 Deiphi 프로그래밍 언어에 의해서 개발되었고 windows 95 환경에서 구동이 되며 과내 23대의 개인용 컴퓨터를 근거리 통신망으로 연결하여 사용하고 있으며 전송 속도는 10 Mbps (megabit per second)이다. DIC와DRRS은 1998년 12월부터 1999년 12월까지 2,556명의 환자에서 사용하였다. 결과 : lU년 2월부터 1999년 12월까지 2,556명의 환자에서 IS,732개의 이미지를 파일로 저장하여 DIC에 이용하였다. 1998년 12월부터 DRRS를 이용하여 120명의 환자에서 종래의 치료 기록지를 대체해서 DRRS에 의존하여 방사선치료 및 치료 중 환자 관리를 이룩할 수 있었다. 치료 완료 후에는 규격화된 치료 기록지를 인쇄해서 보관하고 방사선치료 중 "Paperless" 환경을 이룩함으로써 환자의 원활한 치료 및 자료의 보관이 용이하게 되었다. 결론: DIC와 DRRS를 이용하여 치료기록의 전산화와 데이터베이스 구축하였으며 기존의 방사선치료 기록지를 디지털화 하여서 "paperless" 환경의 치료에 기여하였다. Background :The authors have developed a Digital image chart(DIC) and digital Radiotherapy Record System (DRRS). We have evaluated the DIC and DRRS for reliability, usefulness, ease of use, and efficiency. Materials and Methods :The basic design of the DIC and DRRS was to build an digital image database of radiation therapy Patient records for a more efficient and timely flow of critical image information throughout the department. This system is a submit of comprehensive radiation oncology management system (C-ROMS) and composed of a picture archiving and communication system (PACS), a radiotherapy information database, and a radiotherapy imaging database. The DIC and DRRS were programmed using Delphi under a Windows 95 environment and is capable of displaying the digital images of patients identification photos, simulation films, radiotherapy setup, diagnostic radiology images, gross lesion Photos, and radiotherapy Planning isodose charts with beam arrangements. Twenty-three clients in the department are connected by Ethernet (10 Mbps) to the central image server (Sun Ultra-sparc 1 workstation). Results :From the introduction of this system in February 1998 through December 1999, we have accumulated a total of 15,732 individual images for 2,556 patients. We can organize radiation therapy in a 'paperless' environment in 120 patients with breast cancer. Using this system, we have succeeded in the prompt, accurate, and simultaneous access to patient care information from multiple locations throughout the department. This coordination has resulted in improved operational efficiency within the department. Conclusion :The authors believe that the DIC and DRRS has contributed to the improvement of radiation oncology department efficacy as well as to time and resource savings by providing necessary visual information throughout the department conveniently and simultaneously. As a result, we can also achieve the 'paperless' and 'filmless' practice of radiation oncology with this system.

      • SCOPUSKCI등재

        국한성 소세포 폐암에서 항암 화학 및 흉부 방사선치료의 병합요법 적응

        김문경,안용찬,박근칠,임도훈,허승재,김대용,신경환,이규찬,권오정,Kim Moon Kyung,Ahn Yong Chan,Park Keunchil,Lim Do Hoon,Huh Seung Jae,Kim Dae Yong,Shin Kyung Hwan,Lee Kyu Chan,Kwon O Jung 대한방사선종양학회 1999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17 No.1

        목적 : 국한성 병기의 소세포 폐암에 대하여 항암 화학 및 흉부 방사선치료의 병합요법을 적용하여 국소 반응율, 급성 부작용의 빈도, 단기 임상 추적 관찰 결과 등을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 1994년 10월부터 1998년 4월까지 국한성 병기의 소세포 폐암으로 진단되어 VIP 요법(etoposide, ifosfamide, cis-platin) 또는 EP 요법(etoposide, cis-platin)의 복합 항암 화학 및 흉부 방사선치료의 동시 병합요법을 시행받은46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항암 화학요법은 3주 간격으로 모두 6회의 시행을 목표로 하였고, 흉부 방사선치료는 10MV X-ray를 사용하여 일일선량 2Gy씩 44Gy를 4.5주간에 첫번째 화학요법과 동시에 시행하고자 하였다. 관해율은 예정된 치료가 모두 종료된지 4주만에 판정하였으며, 완전 관해를 얻었던 경우에는 10회에 걸쳐 25Gy의 예방적 전뇌 방사선치료를 예정하였다. 급성 부작용의 빈도와 정도는 SWOG 부작용 판정 등급체계를 적용하였으며, 단기 추적 관찰 결과로서 1년 및 2년 생존율, 무병 생존율 등은 Kaplan-Meter법을 사용하였다. 결과 : 전체 환자에 대한 추적 기간의 중앙값은 16개월이었다(범위 2개월$\~$41개월). 완전 관해는 30명(65$\%$)에서 있었으며, 이 중 22명에서 예방적 전뇌 방사선치료를 시행하였다. 동시 병합요법의 3도 이상의 혈액학적 부작용의 빈도는 각각 백혈구감소증 23명(50$\%$), 적혈구감소증 17명(37$\%$), 혈소판감소증 9명(20$\%$)이었고, 비혈액학적 부작용은 탈모 9명(20$\%$), 오심 및 구토 5명(11$\%$), 그리고 말초신경염 1명(2$\%$)이었으며, 이로 인한 화학요법의 지연은 한명에서, 화학요법제의 용량 감소는 전체 246회의 화학요법 중 58회에서 있었다. 3도 이상의 방사선 식도염은 없었으나 화학요법의 부작용으로 인한 흉부 방사선치료의 일시 중단은 21명에서 평균 8.3일간 필요하였다. 국소 재발은 완전 관해 환자에서 8명, 국소 진행은 부분관해 및 불변 환자에서 6명이 확인되었고, 원격 전이는 17명에서 확인되었으며, 이 중 4명에서 국소 재발과 원격 전이가 함께 확인되었다. 원격 전이의 주요 장기로는 뇌가 10명으로 가장 많았고, 간이 4명으로 다음을 차지하였다. 전체 환자들의 생존기간의 중앙값은 23개월이었으며, 1년, 2년 생존율 및 무재발 생존율은 각각 79%$\%$ 45$\%$ 및 55$\%$, 32$\%$였다. 결론 : 국한성 소세포 폐암환자에서 항암 화학 및 방사선치료의 병합요법을 적용하여 만족할 만한 관해율 및 1년, 2년 생존율을 얻었으며, 대체적인 환자들의 치료 방침에 대한 순응도는 양호한 편으로 판단된다. Purpose : This is a retrospective study to evaluate the response rate, acute toxicity, and survival rate of a combined chemotherapy and radiation therapy in limited disease small cell lung cancer, Materials and Methods : Firty-six patients with limited disease small-cell lung cancer who underwent combined chemotherapy and radiation therapy between October 1994 and April 1998 were evaluated. Six cycles of chemotherapy were planned either using a VIP regimen etoposide, ifosfamide, and cis-platin) or a EP regimen (etoposide and cis-platin). Thoracic radiation therapy was planned to deli- ver 44 Gy using 1 OMV X-ray, starting concurrently with chemotherapy. Response was evaluated 4 weeks after the completion of the planned chemotherapy and radiation therapy, and the prophylaetic cranial irradiation was planned only for the patients with complete responses. Acute toxicity was evaluated using the SWOG toxicity criteria, and the overall survival and disease-free survival were calculated using the Kaplan-Meier Method. Results : The median follow-up period was 16 months (range:2 to 41 months). Complete response was achieved En 30 (65$\%$) patients, of which 22 patients received prophylactic cranial irradiations. Acute toxicities over grade III were granulocytopenia in 23 (50$\%$), anemia in 17 (37$\%$), thrombo- cytopenia in nine (20$\%$), alopecia in nine (20$\%$), nausea/vomiting in five (11$\%$), and peripheral neuropathy in one (2$\%$). Chemotherapy was delayed in one patient, and the chemotherapy doses were reduced in 58 (24$\%$) out of the total 246 cycles. No radiation esophagitis over grade 111 was observed, while interruption during radiation therapy for a mean of 8.3 days occurred in 21 patients. The local recurrences were observed in 8 patients and local progressions were in 6 patients, and the distant metastases in 17 patients. Among these, four patients had both the local relapse and the distant metastasis. Brain was the most common metastatic site (10 patients), followed by the liver as the next common site (4 patients). The overall and progression-free survival rates were 79$\%$ and 55$\%$ in 1 year, and 45'/) and 32% in 2 years, respectively, and the median survival was 23 months. Conclusion : Relatively satisfactory local control and suwival rates were achieved after the combined chemotherapy and radiation therapy with mild to moderate acute morbidities in limited disease small cell lung cancer.

      • KCI등재후보

        두개 내 다형성아교모세포종 환자의 방사선치료 결과

        남희림(Hee Rim Nam),임도훈(Do Hoon Lim),안용찬(Yong Chan Ahn),이정일(Jung Il Lee),남도현(Do-Hyun Nam),김종현(Jong Hyun Kim),홍승철(Seung-Chyul Hong),이정은(Jeong Eun Lee),강민규(Min Kyu Kang),박영제(Young Je Park),김경주(Kyung Ju Kim 대한방사선종양학회 2004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22 No.2

        목 적: 두개 내 다형성아교모세포종 환자의 방사선치료 후 생존율을 조사하고 그 예후 인자의 중요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4년부터 2003년까지 삼성서울병원에서 병리학적으로 다형성아교모세포종으로 확진된 환자 중 근치적 목적으로 방사선치료를 시행한 120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남자는 64명(53%), 여자는 56명(47%)이었으며, 20례(17%)의 종양은 다발성이었다. 수술은 육안적 완전 절제, 부분 절제 및 조직검사를 각각 22례(18%), 69례(58%), 29례(24%)에서 시행하였고, 방사선치료는 4∼10 MV 선형가속기를 이용하여 54∼72 Gy (중앙값 60 Gy)를 조사하였다. 대상 환자의 추적관찰기간은 2개월에서 62개월(중앙값 12개월)이었다. 결 과: 전체 환자군의 1년 및 2년 생존율은 52%와 14%이었으며, 중앙생존기간은 13개월이었다. 예후 인자에 따른 1년 생존율은 50세 미만은 64%, 50세 이상은 41% (p<0.01), 수술 전 활동도가 ECOG 0 혹은 1인 경우는 57%, 2 이상은 44% (p=0.03)였다. 두개 내 병변 수에 따른 1년 생존율은 단일병변은 57%, 다발성 병변은 23% (p=0.02)이었으며, 절제정도에 따른 생존율은 육안적 완전 절제, 부분 절제, 조직검사만 시행한 경우에 각각 67%, 48%, 47% (p=0.04)였다. 다변량 분석에 따른 예후인자로는 여자(p<0.01), 50세 미만(p<0.01), 활동도가 ECOG 0 혹은 1 (p=0.05), 육안적 완전절제(p=0.05)가 좋은 예후 인자이었다. 결 론: 근치적 목적으로 방사선치료를 시행한 두개 내 다형성아교모세포종 환자의 중앙생존기간은 13개월로 기존의 문헌보고와 비슷한 수준이었다. 치료성적의 향상을 위하여 다양한 방사선치료 기술의 적용을 통한 방사선량의 증가와 효과적인 항암화학요법 약제의 개발 및 사용 등의 연구가 필요하고, 환자의 예후인자에 따라 개별화된 치료방법이 적용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Purpose: To analyze the survival outcomes and prognostic factors in glioblastoma patients treated with surgery and radiation therapy. Materials and Methods: One hundred twenty glioblastoma patients treated with postoperative radiation therapy from 1994 to 2003 at Samsung Medical Center were retrospectively reviewed. Surgical extents were gross total resection in 22 patients (18%), subtotal resection in 69 (58%), and biopsy only in 29 (24%). The median radiation dose was 60 Gy, ranging from 45 Gy to 72 Gy. The median follow-up period was 12 months ranging from 2 to 62 months. Results: The overall 1- and 2-year survival rates were 52% and 14%, respectively, and the median survival duration was 13 months. Favorable prognostic factors by Uunivariate analyses of prognostic factors on 1-year survival rate wererevealed that age under 50 (p<0.01), ECOG performance status 0 or 1 (p=0.03), single lesion (p=0.02), and gross total resection (p=0.04), were the favorable prognostic factors. and by Mmultivariate analyses wererevealed that female (p<0.01), age under 50 (p<0.01), ECOG performance status 0 or 1 (p=0.05) and gross total resection (p=0.05) were the favorable prognostic factors. Conclusions: The results of our study were comparable with those previously reported. To improve treatment outcome, various modifications, including radiation dose escalation through newer radiation therapy techniques and use of effective chemotherapy regimen, should be further investigated. investigated. Also Furthermore, the application of individualized treatment strategy based on the patient's' prognostic factors might be needed.

      • SCOPUSKCI등재

        소장 용적 측정을 통한 직장암의 수술 후 방사선치료 시 사용하는 소장 전위 장치(Small Bowel Displacement System : SBDS) 의 효용성 검토

        안용찬(Yong Chan Ahn),임도훈(Do Hoon Lim),김문경(Moon Kyung Kim),우홍균(Hong Gyun Wu),김대용(Dae Yong Kim),허승재(Seung Jae Huh) 대한방사선종양학회 1998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16 No.1

        목 적 : 본 연구는 치료 선량의 방사선 조사역 내에 포함되는 소장의 용적을 전산화 단층 촬영을 통하여 측정함으로써 직장암의 수술 후 방사선치료 시 사용하는 소장 전위 장치의 효용성을 검토해 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97년 5월에 삼성서울병원 치료방사선과에서 방사선치료를 시작하게 된 10명의 직장암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소장의 확인 및 구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모의 치료 시작 전에 환자들에게 Gastrographin 을 마시게 하였으며, 모의치료 시에는 환자들을 복와위로 엎드리게 하여 소장 전위 장치를 사용하지 않은 상태와 사용한 상태에서 방사선 조사역을 각각 결정하여 후전 및 측방 X-ray 영상을 얻었고, 같은 조건으로 전산화 단층 촬영을 각각 시행하였다. 전산화 단층 촬영 영상에서 조영제로 구별이 되는 소장 중에서 치료 선량의 방사선 조사역 내에 포함되는 소장의 용적을 영상 저장 및 전송 시스템(PACS) 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결 과 : 소장 전위 장치의 사용 전 및 사용 후의 측정된 소장의 평균 용적은 185.1ml(54.5-434.2ml) 및 176.0ml (5.2-415.6ml) 이었다. 소장 전위 장치의 사용 전과 비교한 사용 후의 소장 용적의 증감은 10% 이상 감소가 3명, 10% 이하의 감소가 2명, 10% 이하의 증가가 3명, 10% 이상의 증가가 2명씩 이었다. 결 론 : 직장암의 수술 후 방사선치료 시 사용하는 소장 전위 장치의 효용성을 소장 용적의 측정을 통하여 검토하여 본 결과 이 장치의 제작 및 사용에 소요되는 추가적인 시간과 노력을 감안하여 볼때 큰 이득이 없을 것으로 판단된다. Purpose :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efficacy of small bowel displacement system(SBDS) in post-operative pelvic radiation therapy(RT) of rectal cancer patients by measurement of small bowel volume included in the radiation fields receiving therapeutic dose. Materials and Method : Ten consecutive new rectal cancer patients referred to the department of Radiation Oncology of Samsung Medical Center in May of 1997 were included in this study. All patients were asked to drink Gastrographin before simulation and were laid prone for conventional simulation and CT scans with and without SBDS. The volume of opacified small bowel on CT scans, which was to be included in the radiation fields receiving therapeutic dose, was measured using picture archiving and communication system(PACS). Results : The average small bowel volumes with and without SBDS were 176.0ml(5.2-415.6ml) and 185.1ml(54.5-434.2ml), respectively. The changes of small bowel volume with SBDS compared to those without SBDS were more than 10% decrease in three, less than 10% decreaseintwo, lessthan10% increaseinthree, andmorethan10% increaseintwopatients. Conclusion : No significant advantage of using SBDS in post-operative pelvic RT for rectal cancer patients has been shown by small bowel volume measurement using CT scan considering additional effort and time needed for simulation and treatment setup.

      • SCOPUSKCI등재

        국소 재발 비인강암에 대한 정위적 방사선 분할 치료의 적용

        안용찬(Yong-Chan Ahn),임도훈(Do Hoon Lim),최동락(Dong Rak Choi),김문경(Moon Kyung Kim),김대용(Dae Yong Kim),허승재(Seung Jae Huh),백정환(Chung- Hwan Baek),추광철(Kwang chol Chu),윤성수(Sung Soo Yoon),박근칠(Keunchil Park) 대한방사선종양학회 1997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15 No.1

        목 적 : 근치적 방사선치료 후 국소 재발된 비인강암의 방사선 재치료의 방법으로서 정위적 방사선 분할치료를 적용하여 그 치료 효과를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 1995년 9월부터 1996년 8월까지 삼성 서울 병원 치료방사선과에서 정위적 방사선 분할치료를 시행받은 3명의 국소 재발 비인강암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2명은 정위적 방사선 분할치료의 적용이 세번째의 방사선치료였다. 2명은 방사선 민감제로서 항암치료를 함께 시행하였다. 정위적 방사선 분할치료는 환자 개별적으로 제작되어 재장착이 용이한 Gill-Thomas - Cosman(GTC) 정위틀의 좌표계를 기준으로 하였으며 XKnife- 3를 이용하여 multiple non- co planar arc therapy의 치료 계획을 수립하여 일회당 2.5Gy씩 모두 45Gy 또는 50Gy를 조사하였다. 결 과 : 3명 모두에서 만족할 만한 자각 증상의 호전을 경험하였으며 치료 종료 후 1개월에 시행한 자기 공명 영상에서 종양 크기의 현저한 감소를 확인하였으며 방사선으로 인한 뇌신경 장애의 부작용은 없었다. 2명은 정위적 방사선 분할치료의 치료 범위 바깥에서 다시 재발하여 7개월 및 9개월에 사망하였으며 1명은 4개월째 생존해 있다. 결 론 : 정위적 방사선 분할치료는 국소 재발 비인강암의 방사선 재치료의 방법으로서 비교적 안전하고도 효과적인 치료 방법임을 확인하였으며 원격 전이에 대한 보다 효과적인 항암치료의 개발이 요구된다. Purpose : This study is to report experience with Fractionated Ste reotactic Radiation Therapy(FSRT) for loca lly recurrent nasopha rynx cancer after curative conventional radiation therapy. Materials and Methods : Three patients with locally recurrent and symptomatic nasopharynx cancer were given FSRT as reirradiation method between the period of September of 1995 and August of 1996. For two patients , application of FSRT is their third radiation therapy directed to the nasopharynx. Two patients were given low dose chemotherapy as radiation sensitizer concurrently with FSRT. Authors used 3- dimensional coordinate system by individually made , relocata ble Gill- Thomas- Cosman (GTC) stereotactic frame and multiple non- coplanar arc therapy dose planning was done using XKnife-3. Total of 45 Gy/18 fractions or 50 Gy/20 fractions were given. Results : Authors obse rved satisfactory symptomatic improvement and remarkable objective tumor size decrease by follow-up MR images taken 1 month post- FSRT in all three patients , while no neurologic side effect attributable to reirradiation was noticed. Two died at 7 and 9 months with loco- regional and distant seeding outside FSRT field, while one patient is living for 4 month. Conclusion : Authors experienced satisfactory therapeutic effectiveness and safety of FSRT as reirradiation method for locally recurrent nasopharynx cancer. Deve lopme nt of more effective systemic chemotherapeutic regimen is desired for distant metastasis .

      • KCI등재

        Is Radiotherapy Necessary for Stage 1 Testicular Seminoma?

        Jung Ae Lee(이정애),Won Park(박원),Do Hoon Lim(임도훈),Yong Chan Ahn(안용찬),Seung Jae Huh(허승재),Jeong Il Yu(유정일),Han Yong Choi(최한용),Hyun Moo Lee(이현무),Eun Yoon Cho(조은윤) 대한방사선종양학회 2009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27 No.2

        목 적: 제 1 병기 성인 고환 정상피종 환자에 대한 임상적 고찰과 함께 근치적 고환절제술 후 보조적 방사선 치료와 고환절제술 단독치료의 결과를 후향적으로 분석 비교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6년 1월부터 2005년 9월까지 삼성서울병원에서 제 1 병기 정상피종으로 진단을 받은 환자 32명의 순수 정상피종(pure seminoma)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근치적 고환절제술 후 22명은 보조적 방사선 치료를 시행하였고, 10명은 추가치료 없이 종양표지자와 복부골반 전산화단층촬영을 이용한 정기적 추적관찰을 행하였다. 방사선 치료는 10∼15 MV 광자선을 사용하였으며 일일치료선량 1.8∼2 Gy로 총 24∼30.6 Gy (중앙값, 25.2Gy)를 대동맥주위림프절(L1∼L5)에 이문조사하였다. 전체 추적관찰기간은 근치적 고환절제술 시행일을 기준으로 24∼155개월(중앙값, 96개월)이었다. 결 과: 환자의 연령은 22∼58세(중앙값 34세)였고, 임상적으로 진단 전 주증상은 음낭 종괴 및 불편감이 대부분이었다. 이중 2명에서 잠복고환의 병력이 있었으며, 병리적으로 32명 중 23명에서 정상피종에 관내배아세포종(intratubular germ cell neoplasia)이 동반되어 있었다. 술후 보조적 방사선 치료를 시행한 군은 분석시점에 모든 환자가 무병상태로 100%의 국소제어율 및 생존율을 보였다. 술후 추적관찰만을 시행한 군은 10명 중 1명에서 좌측대동맥주위 림프절에 재발하여 구제 항암화학요법 후 완전관해되었으며 국소제어율 88.9%, 생존율 100%를 보였다. 결 론: 제 1 병기 정상피종에서 근치적 고환절제술 후 보조적 방사선 치료를 시행한 군과 추적관찰만을 시행한 군간에 생존율의 차이는 없었다. 환자수가 적고 추적관찰기간이 짧기는 하지만 재발 후 항암화학요법으로 구제가 잘되고, 방사선 치료시 이차암의 가능성이 있음을 고려한다면 정기적인 추적관찰이 가능한 환자에서 수술 후 방사선치료를 생략할 수도 있겠다. Purpose: To report on the clinical outcome of patients with stage I testicular seminoma by postoperative radiotherapy (PORT) or surveillance after radical inguinal orchiectomy. Materials and Methods: This study is a retrospective review of 32 stage I pure seminoma patients treated between 1996 and 2005 at the Samsung Medical Center. Twenty two of the patients were treated by PORT, which was directed at the paraaortic lymphatics with a median dose of 25.2 Gy in 14 fractions for 3 weeks. The 10 remaining patients were managed by surveillance. The median follow-up period was 96 months with a range of 24 to 155 months. Results: Clinically, most patients presented with a testicular mass or discomfort. Two of the patients had a history of undescended testes. Pathologically, 23 of the patients had intratubular germ cell neoplasia with seminoma. Both recurrence-free survival (RFS) and overall survival (OS) rates of patients treated by PORT were 100%. In the control group, 1 of the 10 patients suffered a para-aortic lymph node relapse. The RFS and OS rates of the surveillance group were 88.9% and 100%, respectively. Conclusion: No difference in survival was observed between the two groups. Moreover, symptom recurrence was only observed in 1 patient in the control group. The use of PORT may reduce the risk of relapse. With the availability of effective diagnostic and salvage modalities, surveillance monitoring may be considered for patients in good compliance.

      • KCI등재후보

        편도암의 근치적 치료 결과

        박원(Won Park),안용찬(Yong Chan Ahn),임도훈(Do Hoon Lim),백정환(Chung Whan Baek),손영익(Young Ik Son),박근칠(Keunchil Park),김경주(Kyoung Ju Kim),이정은(Jeong Eun Lee),강민규(Min Kyu Kang),박영제(Young Je Park),남희림(Hee Rim Nam), 대한방사선종양학회 2003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21 No.4

        목 적: 편도암으로 진단받고 근치적 목적의 치료를 시행받은 환자들의 치료성적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여 그 결과를 보고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95년 1월부터 2000년 12월까지 삼성서울병원에서 편도의 편평상피세포암으로 진단받고 근치적 목적의 치료가 시행된 27례를 대상으로 하였다.대상환자들에 대한 국소 치료법의 결정은 두경부 종양 협진팀에서 합의하여 결정하였으며, 방사선치료를 우선적으로 고려하였던 기준은 (1) 환자측 요인으로 전신마취와 수술의 위험이 큰 경우, (2) 환자의 수술 거부, (3) 근치적 수술 절제가 여의치 않거나, (4) 수술 후 기능장애가 클 것으로 예견된 경우 등이었다. 국소치료법으로 수술을 우선적으로 시행하고 수술 후 방사선치료를 선별적으로 추가한 경우가 17명이었고(S±RT군), 근치적 방사선치료 단독 혹은 동시병용 방사선-항암화학요법을 시행한 경우가 10명이었다(RT±CT군). 대상 환자들에 대한 추적관찰기간은 3˜ 94 (중앙값 41)개월이었다. 결 과:AJCC 병기는 I˜ II병기가 4명, III병기가 2명, IV병기가 21명이었다. 전체 환자의 5년 무병생존율은 73.3% 였고, S±RT군과 RT±CT군 각각 70.6%와 77.8%였다. 관찰기간 중 모두 7명에서 재발이 발현 하였으며,이들은 모두 III˜IV병기 환자들이었고 치료개시 후 2년 이내에 재발하였다. S±RT군에서는 국소재발 2명 , 영역재발 2명, 원격전이 1명을 포 함 하 여 모두 5명이 재발하였고(조재발률=29.4%),RT±CT군 에서는 국소+영역재발 1명,원격전이 1명을 포함하여 2명이 재발하였다(조 재발률=20%).전체 환자의 5년 생존율은 77.0%였고, S±RT군과 RT±CT군별로는 각각 80.9%와 70.0%였다. 결 론: 저자들은 편도암에 대한 국소치료법으로서 수술을 주로 적용한 경우와 방사선치료를 주로 적용한 경우 모두에서 다른 문헌들에서 보고되는 국소제어율,생존율과 비슷한 수준의 비교적 좋은 치료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국소적으로 진행된 편도암에서 방사선치료를 근간으로 하는 치료법은 수술에 의한 기능장애를 피할 수 있는 대안으로 판단된다. Purpose: To report the results of curative treatment for patients with tonsil cancer by retrospective analysis. Materials and Methods: From Jan. 1995 till Dec. 2000, 27 patients with squamous cell carcinoma of the tonsil received curative treatment at Samsung Medical Center. Therapeutic decision was made throughmultidisciplinary conference, and curative radiation therapy was favored when, (1) the patient's condition was not fit for general anesthesia and surgery, (2) the patient refused surgery, (3) complete resection was presumed impossible, or (4) too severedisability was expected after surgery. Surgery was the main local modality in 17 patients (S± RT group), and radiation therapy in 10 (RT± CT group). T he median follow-up period was 41 months. Results: AJCC stages were I/II in four, III in two, and Iv in 21 patients. The 5-year disease-free survival rate was 73.3% in all patients, 70.6% in the S ± RT group, and 77.8% in the RT ± CT group. Treatment failure occurred in seven patients, all with stage III/IV, and all the failures occurred within 24 months of the start of treatment. Five patients among the S ± CT group developed treatment failures; 2 local, 2 regional, and 1 distant (crude rate=29.4%). Two patients a m o ng the RT± CT group developed failures; 1 synchronous local and regional, and 1 distant (crude rate=20.0%). The 5-year overall survival rate was 77.0% in all patients, 80.9% in the S ± RT group, and 70.0% in the R T ± CT group. Conclusion: We could achieve favorable results that were comparable to previously reported data with respect to both the rates of local control and of survival by applying S± RT and RT± C T . RT± C T is judged to be an alternative option that can avoid the functional disability after surgical resec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