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관상동맥질환에서 안정시 심박변동 및 최대운동 후 심박수 회복에 대한 베타차단제의 영향

        김철 ( Chul Kim ),방인걸 ( In Keol Bang ),김영주 ( Young Joo Kim )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구 한국스포츠개발원) 2006 체육과학연구 Vol.17 No.3

        본 연구는 관상동맥질환 환자에서 안정시 심박변동 및 최대운동 후 심박수 회복을 통해 베타 차단제가 자율신경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 보고자 시행되었다. 연구의 대상자는 정상군 16명, 관상동맥질환 환자 중 베타차단제 비투여군 13명, 관상동맥질환 환자 중 베타차단제 투여군 9명의 세군으로 구분하여 안정시 심박변동 및 최대강도의 트레드밀 운동 후 5분간의 심박수 회복을 평가하였다. 심박변동은 시간영역 분석방법을 통한 RR간격의 표준편차(the standard deviation of the NN interval; SDNN), RMSSD(the root mean square successive differences)와 주파수영역 분석방법을 통한 저주파영역 전력(low frequency power; LF), 고주파영역 전력(high frequency power; HF), 저주파영역/고주파영역 비(LF/HF ratio)를 구하여 평가하였다. 심박수 회복은 최대심박수와 회복기 심박수의 차이로 최대운동 후 5분 동안 1분 간격으로 심박수를 측정하여 구하였다. 심박수 회복의 평가에서 개개인의 최대심박수 차이에 따른 영향을 극복하기위해 여유심박수 백분율[(회복기 심박수-안정시 심박수)/(측정된 최대심박수-안정시 심박수)×100]을 구하여 이용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SDNN과 저주파영역 전력은 관상동맥질환 환자군에서 정상군보다 유의하게 낮았으나 베타 차단제 투여군과 비투여군 사이에는 심박변동의 모든 지표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반면 최대강도운동 후 회복기에 매분마다의 심박수는 베타차단제 투여군이 정상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낮았고, 심박수 회복은 정상군이 베타차단제 비투여군과 투여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았다. 회복기 여유심박수 백분율은 베타차단제 비투여군이 정상군에 비해 최대운동 후 회복기 1분, 2분, 3분대에서 유의하게 낮았으며, 정상군과 베타차단제 투여군 사이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이상의 결과로 관상동맥질환 환자는 정상인에 비하여 교감신경 활동도는 증가되어 있고, 부교감신경 활동도는 감소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베타 차단제는 자율신경계를 정상화시켜 관상동맥질환 환자의 심박수 회복율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생각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beta blocker on autonomic nervous activity with using heart rate recovery(HRR) after maximum exercise and heart rate variability(HRV) at rest for coronary artery disease(CAD) patients. The 38 subject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The control group consisted of 16 normal subjects. The non beta blocker group consisted of 13 CAD patients who didn`t take beta blocker. The beta blocker group consisted of 9 CAD patients who took beta blocker. Time domain and frequency domain of HRV were measured in three groups at rest. The time domain consisted of the standard deviation of the NN interval(SDNN) and the root mean square successive differences(RMSSD). The frequency domain consisted of low frequency power(LF), high frequency power(HF), and LF/HF ratio. Heart rate, HRR(maximum heart rate-heart rate at recovery stage), the percent of heart rate reserve{(heart rate at recovery stage-resting heart rate)/(measured maximum heart rate-resting heart rate)×100} were evaluated during five minutes after maximum exercise. The criteria for maximum exercise were a respiratory exchange ratio of 1.1 or 90% of the age determined maximum heart rate. The SDNN and LF were significantly lower in both beta and non beta blocker groups than in control group.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beta blocker group and non beta blocker group. Heart rate during five minutes after maximum exercise was significantly lower in beta blocker group than in control. HRR from the maximal heart rate during five minutes after exercis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control group than in beta blocker and non beta blocker groups. The percent of heart rate reserve in control group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non beta blocker group at 1, 2 and 3 minutes after exercis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beta blocker group and control group for the percent of heart rate reserve. This study demonstrated reduced control of the autonomic nervous activity and delayed heart rate recovery in CAD patients. HRR in CAD patients was normalized by beta blocker. Beta blocker improve balance of autonomic nervous activity in CAD patients.

      • 이식형 심실 보조 장치와 베타 차단제의 병합 요법이 양의 심부전 모델에서 좌심실의 기능 및 심근에 미치는 영향

        민병구,오세일 제주대학교 인공심장이식연구소 2000 인공심장 연구 Vol.1 No.1

        새로운 약물 치료의 도입에도 불구하고 다수의 심장질환 환자들은 결국 울혈성 심부전으로 진행하는데, 이 환자의 5년 생존율은 50% 미만이다. 심부전 환자들에서 생존율 향상에 도움이 있는 것으로 알려진 약물로는 ACE억제제나 베타 차단제 등이 있다. 하지만 진행된 심부전 환자에서의 베타 차단제 사용은 negative inotropic effect로 인해 투여나 그 투여 용량에 제한을 받고 있으며, 이로 인하여 아직까지는 말기 심부전 환자에서의 베타 차단제 효용성은 입증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심부전이 유발된 동물 모델에서 이식형 VAD의 시술을 통해, 베타 차단제의 negative inotropic effect를 극복하면서 심실 구조와 기능의 개선 등 심부전 호전과 관련된 각종 변수들의 변화 양상을 확인함으로써 향후 말기 심부전 환자들에 대한 치료 방법 중의 하나로 VAD와 베타 차단제 병합 요법의 임상 적용 토대를 마련하고자 한다. Despite of introduction of .new pharmacological therapeutics, many types of cardiac disorder progress toward heart failure. Five-year survival of patients with heart failure is less than 50%. Anglotensin-converting enzyme inhibitors and beta blockades are well-known agents with survival benefit. However beta blocker administration is limited in end-stage heart failure due to negative inotropic effect, and survival benefit in these patients group has not been proved. In this experiment, we use ovine heart failure model and evaluate the effects of combination therapy of ventricular assist device and beta blocker on cardiac function and myocardial structure. The results will provide the basic concept and applicability of future novel therapeutic modality in end-stage heart failure management.

      • 좌심실비후 환자에서 베타차단제의 급중단이 임상증상 및 좌심기능에 미치는 영향

        황종현,김영태,배용학,임현주,조용근,채성철,전재은,박의현 慶北大學校 醫科大學 1997 慶北醫大誌 Vol.38 No.1

        목적 : 베타 차단제와 칼슘 길항제의 장기투여로 안정상태에 있는 비후형 심근증이나 고혈압성좌심실비후 환자에서 이들 약제를 갑자기 중단하였을 때 혈역학, 심기능 및 임상상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 경북대학교 병원 순환기내과에서 통원치료중인 비후형 심근중 환자 5명과 심한좌심실비후를 동반한 고혈압 환자 6명(남자 6명, 여자 5명)을 대상으로 장기투여 중이던 베타 차단제와 칼슘 길항제를 최소 5일 중단한 후 임상증상, 혈압 및 심박수의 변동, 그리고 투약중지 전후에 도플러 심초음파도를 기록하여 좌심실내경, 벽두께, 좌심실근량, 구혈율 및 승모판혈류속도곡선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결과 : 1) 약물치료 중단 후, 베타차단제의 경우 9명 중 6명에서, 그리고 칼슘길항제 및 디소피라미드를 복용하던 각 1명, 도합 7명의 환자에서 심계항진, 호흡곤란의 악화, 흉통이 관찰되었고, 심계항진을 호소한 1예에서는 심방세동이 재발되었다. 2) 혈압, 심박수, 확장말기 및 수축말기 좌심실내경, 심실중격 및 심실후벽 두께, 좌심실근량 및 구혈을 모두는 치료약물 중단 전후에 다소 변화하였으나 유의하지 않았다. 3) E파 최고속도와 E파 시간속도적분은 약물투여 중단 전후에 유의한 변화는 없었으나, A파 최고속도와 A파 시간속도적분은 중단 후에 각각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both P<0.01), E/A 최고속도비와 E/A 시간속도적분비는 각각 유의하게 감소하였다(both P<0.01). 한편, E파 감속시간, 등용이완시간 그리고 A-Ar 간격[A파의 최고점에서 A reversal(Ar)파의 최저점간의 시간] 모두는 중단 후 유의한 변화가 없었다. 1 결론 : 비후형 심근증 이나 고혈압성 좌심실비후 환자에서 장기투여중이던 베타 차단제와 칼슘길항제를 일시적으로 중단하였을 때 임상중상의 악화와 더불어 확장기 기능의 변화를 초래하였다. 따라서 약물치료로 비록 임상적으로 안정상태에 있더라도 치료를 갑자기 중단할 때는 주의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Objectives : This study was done to evaluate the changes in clinical findings, hemodynamics and cardiac function after abrupt withdrawal of longterm beta-blockers and/or calcium channel blockers in hemodynamically stable patients with hypertrophic cardiomyopathy and left ventricular(LV) hypertrophy associated with hypertension. Methods : Eleven patients with hypertrophic cardiomyopathy(n=5) and LV hypertrophy associated with hypertension(n=6) were studied. Symptom assessment, blood pressure, electrocardiography and echocardiography including pulsed Doppler examination were obtained before and at least 5 days after abrupt cessation of beta-blockers and calcium antagonists. Results : 1) Deterioration in symptoms(i.e. palpitation, aggravation of dyspnea and chest pain) was observed in seven patients after abrupt withdrawal. 2) There were no significant changes in blood pressure, heart rate, end-systolic and end-diastolic LV dimensions, interventricular septal thickness, LV posterior wall thickness, LV mass, and ejection fraction before and after drug withdrawal. 3) Doppler time intervals and E wave peak-velocity and time velocity integral(TVI) were not significantly changed before and after drug withdrawal. But A wave peak-velocity and TVI after abrupt withdrawal were significantly increased(both p<0.01), and E/A peak-velocity ratio and TVI ratio were significantly decreased(both p<0.01). Conclusions :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emporary omission of beta blockers and calcium channel blockers develops deterioration in symptoms and LV diastolic dysfunction in hypertrophic cardiomyopathy and LV hypertrophy associated with hypertension. Physicians should avoid abrupt withdrawal of longterm beta blockers in LV hypertrophy.

      • KCI등재후보

        유아혈관종의 최신 약물적 치료: 베타차단제를 중심으로

        이석종,이상범,정호윤,이종민,허승 대한의사협회 2011 대한의사협회지 Vol.54 No.8

        Infantile hemangioma (IH), a common vascular tumor from vascular birth marks, used to be untreated due to its natural course of spontaneous regression with few exceptions like cosmetic disfigurement, functional or life impairment. It has been treated through a variety of methods like the topical and systemic corticosteroid, surgery, laser, etc. Among them, systemic corticosteroid,which has been used most commonly, may sometimes cause troublesome side effects such as temporary growth retardation or personality change, so it is often clinically inapplicable. Recently,however, it was reported that treatment using beta blocker for IH is more effective with fewer side effects than conventional treatments. Oral beta blocker has been used for IH patients who concerns about presenting ulcerative lesions, impending cosmetic sequelae or functional and life impairment. Before the administration of beta blocker, the patient goes through inquiry about clinical history, physical examination, electrocardiogram and echocardiography in order to determine the applicability. During the hospital stay, vital signs and blood glucose level are checked regularly to rule out side effects of beta blocker, and the dosage is increased gradually up to 2 mg/kg/day and the same dose is maintained continuously after discharge with same dosage. After considering many previous studies about beta blocker for IH patients, we reached an interim conclusion. The treatment of IH using beta blocker is effective, highly satisfactory and safe with no side effects though the selection from various beta blockers, evaluation methods of therapeutic efficacy and its duration and end point of treatment need to be confirmed.

      • 말기 심부전의 내과적 치료: 병태 생리에 따른 새로운 치료

        김영훈,박희남,심완주,노영무 제주대학교 인공심장이식연구소 2000 인공심장 연구 Vol.1 No.1

        심장질환의 치료의 개선과 평균 연령의 증가로 인해 심부전의 유병률은 점차 증가하고 있으나 심부전으로 인한 사망률은 그다지 줄어들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심부전의 병태 생리적 기전을 토대로 한 치료 방법들이 개발되고 있다. 심부전의 병태 생리 모델로는 혈역학적 모델, 신경체액 모델, 심근 재구도 모델 등이 있다. 혈역학적 모델은 혈압, 혈관저항, 그리고 순환용적을 이뇨제, 강심제, 혈관 확장제 등으로 심장 부하를 최소화하는 치료법을 제시하였다. 그러나 이는 증상 호전에는 효과가 있으나 심부전의 진행은 늦추지 못한다. 신경체액 모델은 순환 부전에 이차적으로 증가하는 교감 신경 자극이나 호르몬들이 심근기능을 저하시킨다는 모델로서 이들 물질을 차단하는 베타 차단제, ACE차단제, spironolactone 등이 심부전의 진행을 완화시키고 사망률을 줄이는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최근에는 심부전 진행의 독립적 인자인 심근 재구도 현상을 막아줌으로 심부전으로부터 회복시키고자 하는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심근 재구도는 심근세포 기능의 저하 심근 세포 수의 감소와 세포 간질의 섬유화, 그리고 좌심실 입체 구조의 변화로 설명할 수 있는데 베타 차단제와 좌심실 보조기구 등이 이를 억제할 뿐 아니라 역재 구도를 일으켜 심부전을 호전시킬 수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또 최근에는 심근세포의 기능을 향상시키고 세포 간질 섬유화를 억제하는 유전자 치료들이 시도되고 있다. 향후 심부전의 치료는 역재 구도 치료와 유전자 치료를 이용한 심근 기능의 회복에 초점이 맞추어질 것이다. The prevalence of heart failure (HF) has increased due to improvement of treatment modalities of cardiac disease and prolonged life span of general population, but the mortality of HF does not decrease. For this reason, it has been attempted to develope the treatments based on the pathophysiology of HF. The pathophysiologic models include hemodynamic model, neurohormonal model and myocardial remodeling model. The hemodynamic model resulted in therapies with diuretics, intropes and vasodilators to minimize cardiac load by modulating blood pressure, vascular resistance and circulating volume. These therapies improve HF symptoms, however, they cannot delay the progression of HF. The neurohormonal model states that the sympathetic activation or diverse hormones secondarily increased by circulatory failure deteriorate myocardial functions. It has been known that certain drugs intercepting these neurohormones, such as, beta-blocker, ACE inhibitor and spironolactone, mitigate the progression and decrease the mortality of HF. Recently, some researchers try to restore failing hearts by stopping myocardial remodeling which is the independent factor of HF progression. Myocardial remodeling gives the depression of myocardial function, the decrease of myocyte number and fibrosis of interstitial matrix and the change of left ventricular geometry. Beta-blocker and left ventricular assist device (LVAD) have been known not only to suppress the remodeling but also to induce the reverse remodeling and improve the condition of HF. Gene therapies has also attempted which improve functions of myocytes and suppress interstitial fibrosis. It is expected that the future studies for the treatment of HF will be focused on the anti-remodeling and the recovery of heart muscle by gene therapy.

      • 비대상성 간경변증 환자에서 베타차단제와 알부민 사용 관련 업데이트

        윤기태 ( Ki Tae Yoon ) 대한간학회 2020 Postgraduate Courses (PG) Vol.2020 No.1

        간경변증에서 나타나는 대표적인 합병증으로 위식도 정맥류 출혈 및 복수가 있다. 정맥류 발생의 주요기전은 문맥압항진증이며 과역동적 순환의 기전에 의하여 더욱 악화된다. 비선택적 베타차단제 사용이 식도정맥류가 있는 간경변증 환자에서 초출혈 및 재출혈 예방 효과가 있다는 다수의 연구들이 있었으나, 일부 연구에서 복수를 동반한 간경변증 환자에서 비선택적 베타차단제 사용의 부정적 효과를 보고하였다. 그러나 최근 진행된 연구들에서는 비선택적 베타차단제의 정맥류 출혈 감소 및 생존률 개선에 대한 긍적적 효과를 보여주고 있다. 알부민은 간경변증 환자에서 대량의 복수천자로 인한 부작용을 감소, 자발성 세균성 복막염 환자에서 신기능 장애 및 간신증후군 발생을 감소 및 간신증후군에서 terlipressin과 병합요법으로 사용되고 있다. 또한 간경변증 환자에서 장기간의 알부민 투여가 간경변증 합병증 발생 감소 및 생존률 향상에 도움을 준다는 연구들이 보고되고 있다.

      • SCOPUSKCI등재
      • P-90 Blocking beta adrenergic signaling may be a target for overcoming EGFR TKI resistance - preliminary data

        허은영,이명진,이정실,박주희,이정규,김덕겸,정희순 대한결핵 및 호흡기학회 2017 대한결핵 및 호흡기학회 추계학술대회 초록집 Vol.124 No.-

        Objectives: Elevated expression of IL-6 has been detected in various cancers and high Il-6 levels are correlated with a poor clinical prognosis. EGFR mutations in lung adenocarcinoma cells cause an increase in IL-6 expression and secretion. Therefore, we studied beta-adrenergic blocking agent may be a target for overcoming EGFR TKI resistance by controlling IL-6 expression in EGFR mutated lung adenocarcinoma cells. Methods and results: We used PC9 (EGFR exon 19 deletion), H1975 (L858R with T790M double mutation), H1650 (EGFR exon 19 deletion with primary resistance to TKIs), A549 (EGFR WT), BEAS-2B cell lines. When we added norepinephrine 10uM to H1975, PC9, A549, BEAS 2B cells, IL-6 expression was increased in EGFR mutant cell lines (H1975, PC9), but in A549 cell, IL-6 expression was decreased. After norepinephrine, we treated cells with propranolol 10uM, IL-6 expression was totally suppressed in EGFR mutant cell lines. We compared mTOR, p-mTOR, AKT, p-AKT expressions after norepinephrine with propranolol or norepinephrine with gefinitib. Only gefitinib treated PC-9 cell showed decreased p-mTOR, p-AKT expression. However, in H1975 cell line, p-ERK, p-STAT3 expression was decreased under norepinephrine with propranolol but not under norepinephrine with gefitinib. Conclusion: Targeting beta-adrenergic signaling pathway may be a new approach for overcoming EGFR TKI resista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