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IESCOPUSKCI등재

        식도의 원주상피 피복 점막에서 점액유전자 발현 및 세포증식능에 대한 연구

        최석채 ( Suck Chei Choi ),김용성 ( Yong Sung Kim ),김기훈 ( Ki Hoon Kim ),김헌수 ( Hun Soo Kim ),조향정 ( Hyang Jeong Jo ),윤기중 ( Ki Jung Yun ) 대한소화기기능성질환·운동학회 2007 Journal of Neurogastroenterology and Motility (JNM Vol.13 No.1

        목적 : 바렛식도는 지속적인 위식도역류 등으로 원위부 식도에 정상적으로 존재하는 편평상피세포 대신에 배상세포를 포함하는 장형 원주세포로 식도 점막이 피복되는 것을 말한다. 그리고 이형성을 거쳐 선암종으로 진행할 수 있기 때문에 이형성 이전 단계인 바렛식도의 발암과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이에 바렛식도와 배상세포를 포함하지 않은 원주세포만 있는 식도를 대조군으로 하여 점액유전자 및 세포증식능에 대해 비교 연구하였다. 대상 및 방법 : 임상 및 내시경적으로 바렛식도가 의심되어 원위부 식도에서 생검한 환자들 중에서 배상세포가 있어 조직학적으로 바렛식도로 증명된 25명의 환자와 배상세포가 없었던 환자들 중에서 무작위로 선택한 30예를 대조군으로 하였다. 생검 당시의 나이와 성별 그리고 MUC1, MUC2, Ki-67에 대한 면역조직화학적 염색을 시행하였다. 결과 : 바렛식도의 평균 나이 및 남자 비율은 각각 65.3±10.1세, 76.0%이였고, 대조군의 평균 나이 및 남자 비율은 각각 53.0±14.8세, 60.0%로 바렛식도의 나이가 대조군식도보다 의의있게 높았다. MUC1은 바렛식도 및 대조군 모두에서 100% 발현되었고, MUC2 발현율은 바렛식도 및 대조군에서 각각 92%, 20%이었다. Ki-67 발현율은 바렛식도 및 대조군에서 각각 80.0%, 70.0%이였고, Ki-67 발현 강도의 평균은 바렛식도 1.20±0.76, 대조군 0.77±0.57로 발현 강도에서 바렛식도가 의의있게 높았다. 결론 : 바렛식도는 원주세포만 있는 식도에서 보다 좀더 지속적인 위식도역류 등의 자극으로 생긴다. 그리고 MUC2는 주로 바렛식도에서 발현되고 세포증식능은 바렛식도에서 좀더 높으며 이는 MUC2 발현과 관련될 수 있다고 생각된다. Background/Aims: Barrett`s esophagus is characterized by the presence of metaplastic columnar epithelium with goblet cells in the distal esophagus. Barrett`s esophagus progresses through low grade dysplasia and high grade dysplasia to adenocarcinoma. We studied the patient age, the mucin gene and the proliferation activity of biopsy-proven Barrett`s esophagus and simple columnar epithelium-lined esophagus. Methods: To evaluate the mucin gene expression and proliferation activity, twenty five cases of Barrett`s esophagus and thirty cases of control esophagus were examined immunohistochemically with using the monoclonal antibodies to MUC1, MUC2 and Ki-67. Results: The Barrett`s esophagus patients were older (mean: 65.3±10.1 years) than the control patients (mean: 53.0±14.8 years). The MUC1 expression was 100% in both Barrett`s esophagus and the control esophagus. An MUC2 expression was observed in 92.0% of the Barrett`s esophagus and 20.0% of the control esophagus. The rate and intensity of the Ki-67 expression was higher in the Barrett`s esophagus (80.0%, 1.20±0.76) than that in the control esophagus (70.0%, 0.77±0.57). Conclusions: Barrett`s esophagus is a metaplastic lesion due to the more long-standing gastroesophageal reflux than that in a simple columnar epithelium-lined esophagus. The cause of increased proliferation activity in Barrett`s esophagus may be related to the MUC2 expression. (Kor J Neurogastroenterol Motil 2007;13:21-25)

      • SCOPUSKCI등재

        한국인 바렛식도에서 p53과 Ki-67 단백의 면역조직화학 발현

        김창환 ( Chang Whan Kim ),이보인 ( Bo In Lee ),김병욱 ( Beung Wook Kim ),김진일 ( Jin Il Kim ),박수헌 ( Soo Heon Park ),김재광 ( Jae Kwang Kim ),한석원 ( Sok Won Han ),정인식 ( In Sik Jung ),선희식 ( Hee Sik Sun ),이아원 ( A Won L 대한소화기학회 2005 대한소화기학회지 Vol.46 No.3

        목적: 바렛식도는 식도선암의 전구병변으로 원주상피로 치환된 식도상피의 특수장상피화생에서 이형성이 존재할 경우 식도선암의 발생과 관련이 깊다. 최근 한국에서 역류 식도질환이 증가하고 있지만 아직 바렛식도와 식도선암의 유병률은 서구에 비해 현저히 낮다. 이에 저자들은 바렛식도의 암성 변화의 예측에 유용한 p53과 Ki-67단백의 면역조직화학 발현 양상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상부위장관 내시경검사에서 원주상피로 치환된 식도상피의 변화가 관찰되어 바렛식도의 확진을 위해 식도 조직검사를 시행한 9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특수장상피화생의 진단을 위해 모든 생검 예에서 alcian blue 염색(pH 2.5)을 시행하였고, 장형화생의 유무를 관찰하기 위해 high ion diamine 염색을 하였다. 그리고 전 예에서 p53과 Ki-67 면역조직화학 검사를 시행하였다. 결과: 내시경검사에서 바렛식도가 의심되었던 95명 중 55명(57.9%)에서 특수장상피화생이 관찰되었고 전 예에서 이형성은 없었다. 이들 55명 중 31명(56.4%)에서 sulfomucin 양성인 장형화생이 관찰되었다. 바렛식도로 조직 진단을 받은 55명 중 6명(10.9%)에서 p53 단백질의 핵내 침윤소견이 관찰되었고 이들 6명 모두에서 장형화생이 존재하였다. Ki-67 표지지수는 특수장상피화생이 있거나 p53 양성일 때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나 유의성은 없었다. 결론: 바렛식도 환자에서 p53 단백질이 발현된 경우는 10.9%로 이들 모두에서 장형화생을 동반하고 있어 한국인에서도 바렛식도는 이형성의 발생이나 암성변화의 위험도가 높은 전암병소이며 향후 이들에 대한 추적 검사가 필요하다. Background/Aims: Barrett`s esophagus is a premalignant lesion of the esophagus in which normal squamous epithelium is replaced by intestinalized columnar epithelium. In Korea, adenocarcinoma associated with Barrett`s esophagus is rare compared with that of Western countr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mmunohistochemical expression of p53 and Ki-67 in Barrett`s esophagus which had predictive value for cancer risk in Korea. Methods: Ninety five patients (43 male and 52 female, median age 44, range 21-75) who have been suspected to have Barrett`s esophagus by endoscopic assessment were enrolled in this study. Alcian blue (pH 2.5) and high ion diamine stain for the evaluation of specialized intestinal metaplasia (SIM) and immunohistochemical stain for p53 and Ki-67 were done. Results: 57.9% (55/95) of biopsies from the columnar lined esophagus showed SIM, but no dyspalsia. 56.4% (31/55) of Barrett`s esophagus showed sulfomucin positive colonic metaplasia. The p53 expression was observed in 10.9% (6/55) of the patients of Barrett`s esophagus and all of them showed colonic metaplasia. Ki-67 labeling index showed no difference significantly. Conclusions: In Korea, 10.9% of Barrett`s esophagus had p53 mutation and moreover all of them had colonic metaplasia. Consequently, we expect that these patients have high risk of developing dysplasia and adenocarcinoma and need careful follow-up. (Korean J Gastroenterol 2005;46:189-195)

      • KCI등재

        초단분절 바렛식도에서 발생한 식도 선암의 내시경 점막하 박리술 1예

        고평곤,정현용,문희석,성재규,송규상,노승무,조준식,신경숙 대한소화기내시경학회 2009 Clinical Endoscopy Vol.39 No.2

        Barrett’s esophagus is defined as the replacement of normal squamous epithelium of distal esophagus with specialized columnar epithelium. This condition is considered to be a premalignant lesion of esophageal adenocarcinoma. Barrett’s esophagus is classified into long-segment (≥3 cm in length) and short-segment (<3 cm in length). Detection of the former is more difficult. Adenocarcinomas arising from short-segment Barrett’s esophagus are uncommon in Korea. Barrett’s adenocarcinoma restricted to the mucosa can be treated by endoscopic mucosectomy. In recent years, endoscopic submucosal dissection for early esophageal cancer has been extensively applied because it is a reliable method to achieve en bloc resection. In this paper, we report a case of esophageal adenocarcinoma arising from ultrashort-segment Barrett’s esophagus, which was successfully resected by endoscopic submucosal dissection. 바렛 식도는 위식도 접합부위의 편평 상피 세포가 원주 상피 세포로 이행된 부위를 일컬으며 최근 증가하고 있는 식도 선암의 주요 원인이다. 바렛 식도는 편평 원주 상피 접합부가 위식도 접합부 상방으로 3 cm 이상 상승된 장분절 바렛 식도와 3 cm 미만으로 상승된 단분절 바렛 식도로 분류한다. 장분절 바렛 식도에서 악성변화가 더 빈번하나 바렛 식도의 길이에 관계없이 선암의 발생이 가능하다. 최근 조기에 진단되어 점막에 국한된 식도 선암에 대해 내시경적 치료를 통한 좋은 결과를 얻고 있다. 내시경 치료 중 점막하 박리술을 통해 국소 재발을 보다 효과적으로 낮추고 종양의 완전 절제가 가능하게 되었다. 저자들은 바렛 식도 중에서도 초단분절 바렛 식도에서 기원한 식도 선암을 내시경 점막하 박리술을 통해 성공적으로 치료한 증례를 경험하여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한다.

      • KCI등재

        단일 기관에서 경험한 바렛식도암의 임상적 고찰

        김상중,이준행,김범진,이풍렬,김재준,이종철,김경미,심영목 대한소화기내시경학회 2009 Clinical Endoscopy Vol.38 No.2

        Background/Aims: The prevalence of Barrett’s esophagus might also be changing along with changes in the epidemiology of GERD, and the incidence of Barrett’s cancer is expected to increase even mor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clinicopathologic features and outcome of the patients with Barrett’s cancer and who were seen at a single institution over a period of 13 years. Methods: The records of 39 patients with the esophageal adenocarcinoma and who were treated at Samsung Medical Center from January 1995 to August 2008 were reviewed. Among them, 11 patients (28%) with histologically-confirmed Barrett’s cancer were included in the study. The clinicopathological features, endoscopic manifestations and treatment outcome were evaluated. Results: The male to female ratio was 10:1. The mean age was 64 years. Most of the patients were diagnosed with Barrett’s cancer after 2000, and there were three such patients (27.3%) in 2008. The frequent chief complaints were epigastric pain (27.3%) and chronic acid reflux symptom (18.2%). Three patients (27.3%) were detected incidentally during screening endoscopy. The macroscopic types based on the endoscopic findings were as follows: 4 lesions with a type IIa appearance (36.4%) and 2 with a type IIb appearance (18.2%). The mean tumor size was 1.2 cm at the longest dimension and 0.8 cm at the shortest dimension. Tumor was located in the mucosal layer in six cases (54.5%) and the 5 cases (45.5%) showed submucosal invasion. Lymph node metastasis was found in one case (9.1%). All the cases underwent surgery, except one case for which the tumor was removed by endoscopic submucosal dissection. There was no recurrence during the follow up period. Conclusions: As the incidence of Barrett’s cancer is increasing, a standard surveillance program that includes the endoscopic biopsy method, the grading system for the dysplasia and the treatment modality should be established. 목적: 위식도역류질환이 흔해지면서 바렛식도의 증가가 예견되며, 이와 더불어 바렛식도암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단일기관에서 바렛식도암으로 판명된 환자들을 대상으로 내시경 소견과 기타 임상 소견을 살펴보았다. 대상 및 방법: 1995년 1월부터 2008월 8월까지 삼성서울병원에서 식도 선암으로 진단받은 환자 39명 중 조직병리검사에서 바렛식도암으로 최종 진단된 11예(28%)의 환자를 대상으로 임상 양상, 치료, 병리조직학적 소견, 재발 여부, 생사 여부에 대하여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결과: 바렛식도암은 남녀의 비는 10:1이었고, 평균 연령은 64세였다. 2000년 이후에 대부분의 환자가 진단을 받았으며, 2008년에는 8월까지 3예(27.3%)가 진단되었다. 주소는 상복부 통증이 3예(27.3%), 건강 검진에서 발견이 3예(27.3%), 위식도 역류 증상으로 내원한 경우가 2예(18.2%)였다. 내시경적 소견에서 모두 조기식도암이었으며 IIa 형이 4예(36.4%), IIb 형이 2예(18.2%)였다. 종양의 평균 크기는 장경 1.2 cm, 단경 0.8 cm이고, 점막내암이 6예(54.5%), 점막하 침윤이 동반된 경우가 5예(45.5%)였다. 림프절 전이는 1예(9.1%)에서 확인되었다. 내시경 점막하 박리법으로 치료한 1예(9.1%)를 제외하고, 나머지 환자들은 외과적 절제술을 시행하였다. 중도 탈락된 1예(9.1%)를 제외하고는 재발이나 전이의 증거가 없었다. 결론: 저자들은 지난 13년간 11예의 바렛식도암을 경험하였으며, 최근에는 빈도가 증가하는 추이를 보이고 있다. 서구와 같은 폭발적 증가 이전에 바렛식도에 대한 경각심을 불러 일으키고 체계적인 감시를 위한 내시경적 조직검사 방법이나 이형성 등급 판정의 표준화 그리고 치료방침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리라 생각한다.

      • KCI등재

        바렛식도에서 발생한 식도 선암의 점막하박리술 후 재발 1예

        정해영,주영은,조성범,황준일,이완식,김현수,최성규,김성균 대한소화기내시경학회 2009 Clinical Endoscopy Vol.38 No.2

        Surgery is the primary treatment for adenocarcinoma arising from Barrett’s esophagus. However, in order to avoid the high risk of complications of surgical resection, many physicians try various endoscopic treatments in cases of early adenocarcinoma and high-grade dysplasia of Barrett’s esophagus. Endoscopic submucosal dissection (ESD) is a recently highlighted technique because of its high rate of en bloc resection, but there is controversy about ESD because of the uncertain long-term effect. There is a high risk of local recurrence after endoscopic treatments especially in a long-segment Barrett’s esophagus, but there are no reports about this in Korea. This case we report on shows that the early adenocarcinoma arising from a long-segment Barrett’s esophagus was curatively removed by ESD, but recurred high-grade dysplasia was detected on the remnant Barrett’s esophagus after one year. We report here on a case of recurred esophageal malignancy after successful endoscopic resection of adenocarcinoma from a Barrett’s esophagus. 바렛식도에서 발생하는 식도 선암의 표준치료는 수술 절제이나 높은 수술 합병증으로 일부 조기 선암과 고도 형성이상인 경우 다양한 방법의 내시경 절제를 시도할 수 있으며, 최근 점막하박리술의 유용성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내시경 절제는 수술 절제에 비해 비침습적인 치료법으로 많은 장점이 있지만 병변 외 전암성 병변인 바렛상피를 모두 제거하기는 어렵다. 단분절 바렛식도와는 달리 장분절 바렛식도에서 발생한 조기 식도 선암이나 고도 형성이상인 경우 성공적인 내시경 절제 후에도 남은 바렛상피에서 병변이 재발할 가능성이 높으나 이에 대한 연구는 부족하며, 특히 국내에서는 장분절 바렛식도가 매우 드물며 조기 선암이 발생하여 내시경점막하박리술을 통해 제거한 증례보고는 아직 없다. 이번 증례는 7 cm 장분절 바렛식도에서 조기 선암이 발생하여 점막하박리술을 통해 선암은 성공적으로 절제 되었으나 1년 후 추적검사에서 남은 바렛 상피에서 고도 형성이상이 재발하였던 경우로서, 향후 장분절 바렛식도에서 발생한 선암이나 고도 형성이상 병변에 대한 치료 선택에 도움이 되고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한다.

      • KCI등재

        바렛 식도에 대한 국내 인터넷 의료 정보의 평가

        박성현 ( Sung Hyun Park ),이준행 ( Jun Haeng Lee ),김갑현 ( Kap Hyun Kim ),강기주 ( Ki Joo Kang ),김상중 ( Sang Jung Kim ),이승철 ( Seung Chul Lee ),김진용 ( Jin Yong Kim ),이풍렬 ( Poong Lyul Rhee ),김재준 ( Jae J. Kim ),이종철 ( 대한소화기학회 2009 대한소화기학회지 Vol.53 No.5

        목적: 구글을 통해 바렛 식도를 핵심단어로 사용하여 검색되는 웹사이트들과 의료정보의 적절성을 평가하였으며 이를 통해 바렛 식도에 대한 인터넷 정보의 향후 지향해 나가야 할 바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바렛 식도"를 핵심 단어로 2008년 5월 25일부터 8월 25일까지 구글에서 검색된 상위 50개의 Links를 대상으로 HON Code 원칙과 점검표를 이용하여 각 웹사이트의 의료정보를 평가하였다. 결과: 전체 49개의 사이트 중 개인 병의원의 검색 빈도가 매우 낮았고(21.3%) 대부분 대상이 불분명한 불특정 다수를 대상으로 하고 있었다(55.2%). HON code 원칙 8개 모두를 충족하고 인증된 웹사이트는 1개였다(2%). 바렛 식도의 정의를 자세히 설명한 사이트가 16개(32.0%)였고 대부분의 사이트(64.0%)에서 유병률에 대한 설명은 없었다. 식도선 암종의 전구병변이 된다는 설명은 43개(86.0%)의 사이트에서 진단에 관한 내용도 24개(48.0%)의 사이트에서 대체로 정확히 기술하였다. 치료에 내용은 빈약하여 단지 16개(32.0%) 사이트에서만 설명이 있었고, 추적 검사의 필요성과 기간에 대해서 정확하게 설명한 사이트는 4개(8.0%)에 불과했다. 예후에 대하여 설명한 사이트는 한 개도 없었다. 결론: 바렛 식도에 대한 인터넷 정보의 질이 대부분 기초적인 수준에 머물러 있거나 낮았고, 일반인들이 인터넷을 통해 바렛 식도에 대한 적절한 정보를 찾기 어려웠다. 구체적인 부분에서는 사이트마다 정보의 양과 내용에서 차이가 많았다. 인터넷상의 의료 정보의 적정성을 위해서 교육기관, 학교, 병원, 학회 등의 의료와 관련된 기관에서 인터넷 정보의 질 관리에 관한 시스템을 도입해야 할 것으로 생각한다. Background/Aims: Internet has become an important source of medical information not only for doctors but also patients. However, information available in the Internet may provide wrong or even harmful knowledge to the public.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quality of Internet-based medical information about Barrett`s esophagus in Korea. Methods: The first 50 Internet links were retrieved from the Google using the key word `Barrett`s esophagus`. The quality of information from a total of 49 websites was evaluated using a checklist. Results: Among total 49 sites related to `Barrett`s esophagus`, only 4 sites (8.2%) were made by hospitals or clinics, and 11 sites (22.4%) were for patients. Of the 49 sites, only one web site (2.0%) had all HON CODE principles (authority, complementarity, confidentiality, attribution, justifiability, transparency of authorship, transparency of sponsorship, honesty in advertising and editorial policy). Sixteen Internet links (32.0%) had fair contents for the definition, and 24 links (48.0%) for the diagnosis, and 15 links (30.0%) for the treatment. Conclusions: Information about Barrett`s esophagus was incomplete in the majority of medical web sites. It will bring about confusion in patients who want to get information about Barrett`s esophagus from the Internet. There is a need for better evidence-based information about Barrett`s esophagus on the web. (Korean J Gastroenterol 2009;53:292-296)

      • SCIESCOPUSKCI등재

        바렛식도의 진단과 치료에 대한 한국 의사들의 견해

        김갑현 ( Kap Hyun Kim ),이준행 ( Jun Haeng Lee ),정현욱 ( Hyun Wook Jung ),김종규 ( Jong Kyu Kim ),임현민 ( Hyun Min Lim ),최효경 ( Hyo Kyung Choi ),신도현 ( Do Hyun Shin ),이승철 ( Seung Chul Lee ),김진용 ( Jin Young Kim ),이풍렬 대한소화기기능성질환·운동학회 2009 Journal of Neurogastroenterology and Motility (JNM Vol.15 No.1

        목적: 국내에서 바렛식도의 진단과 치료에 관한 상세한 가이드라인이 현재 없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바렛식도의 진단과 치료에 관한 국내의사들의 다양한 의견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학술모임에 참석한 97명의 국내 의사를 대상으로 keypad 설문을 시행하였다. 내시경적육안소견에 기초하여 식도의 편평상피가 원주세포로 화생성 변화를 보이는 것(endoscopically suspected esophagealmetaplasia)이 의심되는 사진을 이용하여 PowerPoint 발표로 진행하였다. 결과: 각 질문에 대한 다양한 의견이 있었지만, 특히 조직검사 개수와 약물 치료 기간에 대한 의견이 다양하였다. 조직검사 개수에 대한 질문에 3-4개의 조직검사를 하겠다고 응답한 경우가 45명(49.5%)으로 가장 흔했고, 조직검사를 하지 않겠다 15명(16.5%), 1-2개 11명(12.1%),1cm 간격으로 4방향 11명(12.1%), 2cm 간격으로 4방향 9명(9.9%) 이었다. 서구 가이드라인에서 추천하고 있는 Seattleprotocol로 하겠다는 의견은 9.89% (9/91)에 불과했다. 약물치료 기간에 대한 응답은 호전 후 필요시 투여 방법 40명(43.5%)으로 가장 흔했고, 호전 후 간헐적 투여 방법 31명(33.7%), 매일 지속적 투여 방법 12명(13.0%), 격일 지속적투여 방법 6명(6.5%)이었다. 결론: 국내 의사들은 특히 바렛식도 환자에 대해 조직검사 개수와 약물 치료 기간에 관한 견해가 다양하였다.ㄹㅊ Background/Aims: There are no detailed guidelines for the diagnosis and management of Barrett`s esophagus in Korea.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variation in the management of Barrett`s esophagus among Korean physicians. Methods: Ninety-seven physicians were surveyed by keypad voting. Images of endoscopically suspected esophageal metaplasia were shown to the participants, who were then asked to answer seven questions in PowerPoint format. Results: Nearly 50% of responders answered that they would take three or four pieces of tissue, 12.1% would obtain one or two pieces, and 16.5% would take no biopsy. Twelve percent of responders would take tissues at points 1 cm apart in four directions and only 9.9% would do so at points 2 cm apart in four directions. Concerning medical treatment, 43.5% of responders would treat using an on-demand regimen after relief, 33.7% would use an intermittent regimen after relief, and 19.5% would use a proton pump inhibitor (13.0% daily, 6.5% every other day). Conclusions: Korean physicians have different opinions on Barrett`s esophagus, especially regarding the number of biopsies and the medical treatment. This variation indicates the need for guidelines. (Kor J Neurogastroenterol Motil 2009;15:23-30)

      • KCI등재

        바렛식도 - 내시경진단을 중심으로

        이준행 대한소화기내시경학회 2009 Clinical Endoscopy Vol.39 No.4

        Barrett’s esophagus is a metaplastic change of the esophageal mucosa, such that the normal squamous epithelium is replaced by specialized columnar epithelium. During the last decades, there has been a significant change in the definition, endoscopic diagnosis, pathologic diagnosis, surveillance and management of Barrett’s esophagus. Because of the rising prevalence of gastroesophgeal reflux disease in Korea, problems related to Barrett’s esophagus are expected to be much more common in the near future. In this review, methods of endoscopic diagnosis of Barrett’s esophagus are discussed in detail. Management strategies in the context of Korean epidemiology are also suggested. 바렛식도는 정상적인 식도편평상피가 배세포를 동반한 특수원주상피로 화생성변화를 보인 것으로 정의되고 있다. 지난 10년간 바렛식도의 정의, 내시경진단, 병리진단, 감시 및 관리에 대하여 많은 변화가 있어왔다. 국내에서 위식도역류질환이 증가하고 있으므로 향후 바렛식도와 관련된 문제들이 점차 흔해질 것으로 예측된다. 본 종설에서는 바렛식도를 내시경진단을 중심으로 고찰한 후 우리나라의 역학에 적합한 관리전략을 살펴보았다.

      • KCI등재

        바렛 식도에 발생한 식도 선암종의 수술적 치료 −1예 보고−

        정원상,강정호,송영주,김영학,김혁 대한흉부외과학회 2008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41 No.6

        Barrett’s esophagus is precancerous lesion of esophageal adenocarcinoma, but this has been rarely reported in Korea. A 81-year-old man with esophageal adenocarcinoma was admitted to our hospital, and we performed a distal esophagectomy and end-to-end esophagogastrostomy. The microscopic examination of the resected tissue revealed the intestinal metaplasia with goblet cells around the esophageal adenocarcinoma, which indicates this was a Barrett’s esophagus. We report here on this case along with a review of the relevant literature.

      • SCOPUS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