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Ti-6Al-4V 합금의 동적변형특성과 탄도충격성능 : 2. 동적비틀림 특성과 탄도충격성능 2. Dynamic Torsional Properties and Ballistic Performance

        이동근,이유환,이성학,이종수,이충열,허선무 대한금속재료학회 2003 대한금속·재료학회지 Vol.41 No.10

        The effects of microstructural morphology on dynamic deformation and fracture behavior and ballistic performance of a Ti-6Al-4V alloy were investigated in this study. Ballistic impact tests were conducted on equiaxed and bimodal microstructures, which were processed by different heat treatments, and then the test data were analyzed in relation to microstructures, tensile properties, and dynamic torsional test data. In the impacted region of the equiaxed microstructure, a number of adiabatic shear bands and cracks were observed to be formed along plastic flow lines, and delamination occurred because of cracking along the plastic flow lines or shear bands. In the case of the bimodal microstructure, shear bands were found in limited area near the impacted region without occurring delamination, and their number was fewer than that of the equiaxed microstructure. Thus, ballistic performance of the bimodal microstructure was better than that of the equiaxed microstructure. The ballistic performance of the two microstructures was also discussed by comparing the possibility of adiabatic shear band formation obtained from dynamic torsional test data.

      • KCI등재

        Ti-6Al-4V 합금의 동적변형특성과 탄도충격성능 : 1. 초고속 폭발충격 특성 1. Ultra-high-speed Exploding Properties

        이유환,이동근,이성학,이종수,최준홍,허선무 대한금속재료학회 2003 대한금속·재료학회지 Vol.41 No.10

        The effects of microstructural morphology on ultra-high-speed exploding properties of Ti-6Al-4V alloy were investigated in this study. Exploding bridge wire (EBW) test was conducted on equiaxed and bimodal microstructures, which were processed by different heat treatments. From the test, moving velocity of free surface vs time profiles were obtained to measure strength at Hugoniot elastic limit (HEL) and spall strength and to subsequently predict ballistic mass efficiency. The EBW results indicated that impact resistance of the bimodal microstructure was better than that of the equiaxed microstructure when the measured strength at HEL and spall strength were considered. It was also learned from the observation of fractured EBW specimens that fracture occurred by the initiation and propagation of long cracks in the equiaxed microstructure, whereas a number of microcracks were formed and connected each other in a zig-zag pattern to reduce the driving force for crack propagation in the bimodal microstructure. Since the EBW test helped experimentally estimate ultra-high-speed deformation and fracture behavior, it could be effectively used for the prediction of ballistic impact performance.

      • 이행성 협심증 환자에서 운동부하 심전도 검사

        이정우,박형서,박용규,노상필,이유선,정승현,김보영,이재환,최시완,정진옥,성인환 충남대학교 의과대학 의학연구소 2003 충남의대잡지 Vol.30 No.1

        목적 : 관상동맥의 경련에 의한 이형성 협심증환자에 있어서 운동부하 심전도 검사의 결과는 매우 다양하다. 이에 저자들은 충남대학교병원 순환기내과에서 관상동맥조영술상 이형성 협심증으로 확진된 환자를 대상으로 운동부하 심전도 검사를 시행하여 이에 대한 결과를 연구하였다. 방법 : 1995년 1월부터 2002년 3월까지 흉통을 주소로 충남대학교병원 순환기 내과에 입원하여 관상동맥조영술을 시행하여 관상동맥의 내경이 50% 미만의 협착이 있고, 에르고노빈(ergonovine) 유발검사도 이형성 협심증으로 진단을 받은 233명중 운동부하 심전도 검사를 시행 받은 183명의 환자를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운동부하 심전도 검사 결과의 판독시 발생할 수 있는 오류를 줄이기 위해서 운동부하 심전도 검사를 시행하기전 심전도상 ST분절의 상승(5예)이나 하강(8예)이 있는 경우 EH한 T파의 역위(19예)가 있는 32명의 환자를 제외한 총 151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운동부하는 Marquette사의 case 15 답차를 이용하였고, Bruce protocol에 따라 증상이 나타날 때까지 최대로 실시하였으며 각 stage 및 운동후의 혈압을 측정하고 12 유도 심전도를 기록하였다. 결과 : 1) 임상적 특성 - 내원시 임상 상은 안정형 협심증이 39예(25.8%), 불안정형 협심증이 103예(68.2%), 심근경색증이 9예(6.0%)이었다. 운동부하 심전도 검사 결과 양성 군과 음성군간에 있어서 당뇨병, 고혈압, 비만도, 총 혈청콜레스테롤치, 현재의 흡연 여부, 병력상 운동시 흉통의 유무, 내원시 임상적 진단, 협착의 정도, 연축의 수 등을 조사하였는 바 어떠한 인자들도 유의한 차이를 발견할 수 없었다. 2) 운동부하 심전도 검사 - 운동부하 심전도 검사를 시행 받은 151명의 환자중 음성인 경우는 134예(88.8%)이었고, 양성인 경우는 17예(11.2%)이었다. 양성 소견을 보인 환자들중 ST 분절의 상승이 4예(2.6%), ST 분절의 하강이 13예(8.6%)이었다. 3) 관상동맥조영술 - 관상동맥조영술상에서 혈관 경력 위치는 우관상동맥이 70예(46.1%), 좌전하동맥이 44예(28.9%), 좌회선동맥이 17예(11.2%)의 순으로 나타났다. 운동부하 심전도 검사상 ST 분절의 상승이 있었던 예중 Ⅱ, Ⅲ, aVF에서 ST 분절의 상승이 있었던 1예는 관상 동맥조영술상 우관상동맥에서 경련이 발생하였고, V2-V4에서 ST 분절의 상승이 있었던 2예중 관상동맥조영술상에도 좌전하행동맥에서 경련이 나타난 예는 1예이었으며 다른 1예는 좌회선동맥에서 경련이 나타났고, V5-V6에서 ST 분절의 상승이 있었던 1예는 관상동맥조영술상에도 좌회선동맥에서 경련이 나타났다. 운동부하 심전도 검사상 V5 또는 V6에서 ST 분절의 하강이 있엇던 13예중 6예(46.1%)는 관상동맥조영술상 우관상동맥에서 경련이 발생하였고, 3예(23.1%)는 좌전하행동맥에서, 1예(7.7%)는 좌회선동맥에서, 나머지 3예(23.1%)는 2개의 혈관이나 기타 분지에서 경련이 발생하였다. 결론 : 1) 이형성 협심증 환자는 운동부하 심전도 검사에서 11.2%의 양성소견을 보였다. 이중 ST 분절의 상승은 2.6%이었고, ST 분절의 하강은 8.6%이었다. 2) 이형성 환자중 운동부하 심전도 검사를 실시하여 음성을 보이는 경우 다혈관 관상동맥질환이기 보다는 이형성 협심증일 가능성이 더 높다고 예측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3) 이형성 협심증 환자중 운동부하 심전도 검사를 실시하여 ST 분절의 상승을 보이는 경우 다혈관 관상동맥질환이기 보다는 이형성 협심증일 가능성이 더 높다고 예측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4) 운동부하 심전도 검사 결과에 대한 당뇨병, 고혈압, 비만도, 총 혈청콜레스테롤치, 현재의 흡연여부, 병력상 운동시 흉통의 유무, 내원시 임상적 진단, 협착의 정도 등 어떠한 인자들도 3그룹(ST 분절의 상승, ST 분절의 하강, 음성)간에 유의한 차이를 발견할 수 없었다. 5) ST 분절의 상승 부위와 관상동맥조영술상 관상동맥의 연축이 일어나는 혈관과의 상관관계는 매우 높았다. No reports in the literature describe the results of exercise testings in a large number of patients with pure variant angina(coronary stenosis <50%) in Korea. In this report, We present the results of treadmil exercise testing in 151 patients with variant angina. 151 patients with angiographically proven coronary artery spasm underwent a treadmil exercise test.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of variant angina patients classified according to ST-segment response to exercise were analyzed. Of 151 patients underwent a treadmil exercise test, negative result was seen in 134 patients(88.8%) and positive result was in 17 patients(11.2%). Of 17 patients saw positive result, exercise-induced ST segment elevation was present in 4 patients(2.6%) and ST segment depression was seen in 13 patients(8.6%). There was not a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the ST segment response to exercise and the clinical variables(diabetes, hypertension, obesity, total cholesterol, current smoking, effort angina, clinical diagnosis, and degree of stenosis) assessed. Of 4 patients with ST segment elevation in treadmil exercise test, 1 patient with ST segment elevation in Ⅰ,Ⅲ,aVF had spasm in right coronary artery(100%) on coronary angiography, of 2 patients in V2-V4 had spasm in left anterior descending coronary artery in 1 patient(50%) and 1 patient in V5-V6 had spasm in left circumflex artery(100%). Positive treadmil exercise test was present in 11.2% of variant angina patient. If we have negative treadmil exercise result in patients with clinical manifestation of unstable angina at admission, we may have a suspicion of variant angina rather than multi-vessel disease. If we have exercise-induced ST segment elevation in patients with clinical manifestation of unstable angina at admission, we have a suspicion of variant angina rather than multi-vessel disease. Our result suggests that the correlation between the site of the ST segment elevation and the artery involved is quite good.

      • 완전 방실차단을 동반한 급성 심근염

        이유선,정진옥,박용규,박형서,노상필,정승현,김정희,이재환,최시완,성인환 충남대학교 의학연구소 2003 충남의대잡지 Vol.30 No.2

        급성 심근염환자에서 발행한 완전 방실차단을 영구 심장박동 조율기로 치료한 1예를 경험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Myocarditis, an inflammatory process involving the myocardal wall, may be caused by most infectious agents. Irrespective of its etiology, it presents commonly with evidence of heart failure, hypotension, and various electrocardiographic abnormalities. Patient with myocarditis may be asymptomatic or may have a rapidly progressive fatal disease. Medical management of patients with myocarditis includes specific therapy for underlying infection and control of the complication of myocarditis such as congestive heart failure and arrhythmia. Recently we had experienced myocarditis with complete atrioventricular block in 37-year-old man. Although he had shown complete recovery of heart failure, he had shown complete atrioventricular block, so we inserted permanent pacemaker. We report it with review of the literature.

      • 경연 대회를 통한 초ㆍ중고생의 창의력 신장 효과에 관한 연구

        이희복,육근철,류해일,김현섭,김희수,박달원,유병환,김선효,김여상,서광수,변두원,서명석,배성효,박종석,심규철,이성희 공주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01 과학교육연구 Vol.32 No.1

        미래 사회를 대비하기 위한 개인의 개성을 존중과 창의적인 능력을 지닌 인간을 양성을 목적으로 충청남도 지역의 초 ㆍ 중고등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창의력 경연대회가 공주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에서 개최되었다. 충청남도 초 ㆍ중 ㆍ 고등학생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창의력 경연대회는 창조적 아이디어를 내어 스스로 문제를 해결해 나갈 수 있는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좋은 기회였음이 확인되었으나, 일부의 팀에서만 참신하고 재미있는 아이디어들이 제안되었다. 여학생의 참가자 수가 상당히 증가하였으며, 대체적으로 입상권의 학생들의 상당 부분이 여학생이라는 것이 특이할만하다. 학년이 올라감에 따라서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내는 양이나 질에 있어서 뒤떨어지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토론 학습의 적응력이 미흡하고 발표력 및 청취력에 있어서도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중 ㆍ고등학교의 학교교육에서도 학생들에게 프로젝트형 탐구학습 프로그램의 적용은 물론 토론식 수습을 통한 학생들의 사고의 전환의 기회를 제공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The creativity competition was held to foster the creativity of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students in the Institute of Science Education, Kongju national University. It was found that the creativity competition effected on the improvement of inventing creative ideas and problem solving activities. But, only some competitors participated in semifinal and final contests, presented original and interesting ideas. More female students participated in competition than last year. More female participants were awarded a prize than males. Totally, participants were defective in discussion and communication, and presentation and listening ideas. Increasing grades correlated inversely with creativity and originality. There is need of inquiry project teaming programs and presenting opportunities of conversion of thinking by discussing instructions in school

      • 특수학교 재량활동 교육과정의 편성과 운영

        이유훈,김경진,김규선,김형일 국립특수교육원 2000 교육과정의 편성과 운영 Vol.- No.1

        본 연구는 제7차 특수학교 교육과정에서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재량활동이 각 특수학교에서 보다 효율적으로 운영될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각 시ㆍ도 교육청의 재량활동에 관한 지침서를 분석하였고, 전국 특수학교를 대상으로 재량활동 교육과정 편성ㆍ운영 방안에 대한 현장 교사들의 의견을 수렴하였다. 이러한 자료를 통해 나타난 요구와 시사점을 토대로 특수학교 재량활동 편성ㆍ운영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다른 연구내용별 주요 연구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시ㆍ도 교육청 재량활동 지침 각 시ㆍ도 교육청에서는 특수학교 교육과정 편성ㆍ운영지침을 작성하여 이를 관내의 지역교육청과 각 학교에 제시하고 있었다.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편제 및 시간배당 기준은 국가수준과 동일한 배정을 하고 있었다. 그리고 대부분의 시ㆍ도 교육청에서는 재량활동 시간확보 및 운영, 평가의 질 관리, 치료교육, 평가내용과 방법에 대하여 그 강조점을 두고 있었다. 그러나 일부 영역을 제외하고는 시ㆍ도 교육청 지침의 내용이 국가수준에서 제시한 재량활동의 내용과 거의 동일하였다. 따라서 지역교육청 나름의 특성을 살린 재량활동 지침을 제시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재량활동 교육과정 편성ㆍ운영을 위한 교사요구 분석 재량활동 교육과정 편성ㆍ운영에 대한 실태조사에서 특수학교 대부분이 재량활동을 계획하고 운영하는데 있어 애로를 느끼고 있었다. 그 이유로는 재량활동에 대한 프로그램의 부재와 재량활동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부족, 계획 수립 및 운영 미숙, 시설ㆍ재정적 지원의 부족을 들고 있었다. 이러한 애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먼저 재량활동에 대한 다양한 편성ㆍ운영방안과 교육 프로그램이 개발ㆍ제공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특수학교들의 재량활동 운영주체로는 학교 교육과정 운영위원회를 들고 있고, 재량활동을 편성 할 때 '학생들의 능력과 특성', 학부모 및 교사들의 의견이 반영되어야 한다는 의견이 재배적이었다. 그리고 재량활동 시간배당에 있어서는 국가수준에서 제시한 시간만으로도 충분한 것으로 여기고 있으며, 기본교육과정은 교과 재량활동과 창의적 재량활동 구분 없이 융통성 있게 활용하기를 원하고 있다. 재량활동의 지도주체에 대해 정신지체ㆍ정서장애학교에서는 담임으로 응답한 반면, 시각ㆍ청각ㆍ지체부자유학교 교사는 따라 다양한 반응을 보이고 있었다. 그러나 장애역역에 관계없이 재량활동의 하위영역에 따라 다양한 지도주체를 모색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이것은 학습진단 구성과도 연관될 수 있는데, 많은 교사들은 현재의 집단편성 방식에서 벗어나 재량활동의 모든 하위영역에서 활동중심의 집단편성을 원하고 있었고, 특히 창의적 재량활동에서는 좀더 다양한 집단으로 구성해야 한다는 반응을 보이고 있었다. 시간운영에 있어서는 매주 정해진 날에 실시해야 한다는 반응이 대부분이었지만, 시각ㆍ청각ㆍ지체부자유학교의 범교과 학습과 자기주도적 학습에서는 좀더 다양한 시간배정이 이루어지기를 원하고 있었다. 특히, 자기주도적 학습에서 각 특수학교들이 특정한 정해진 날에 체험학습의 날이나 책가방 없는 날과 같이 별도계획으로 운영해야 한다는 학교들도 있었다. 이러한 시간 운영과 관련한 지도방법에 있어서는 하위영역에 구분됨이 없이 모든 학교가 견학과 체험학습을 선호하고 있었다. 지도내용에 있어서는 기본적인 교과목에 대한 이해를 중심으로 이루어져야 한다는 시각ㆍ청각ㆍ지체부자유학교의 반응을 제외한다면, 사회생활 적응을 위한 기초생활 지도와 일상생활 적응, 그리고 현장학습과 같은 체험학습을 통한 내용을 대부분 선호하였다. 각 특수학교에서 제시한 재량활동 프로그램을 분석한 결과 일부학교를 제외하고는 그 유형들이 비슷하고 영역도 특별활동이나 사회교과 영역과 크게 구분이 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재량활도에 대한 평가는 학생들의 다양한 활동과정을 평가할 수 있는 포트폴리오 방식을 선호하고 있었다. 기타 요구사항 재량활동의 활성화 방안에 있어서는 '교수ㆍ학습자료의 개발 및 보급이 우선되어야 한다'는 반응이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으로 '학교장의 관심과 적극적인 자원', '학교의 잡무감소', '학급당 인원의 감소'등을 요구하였다. 시ㆍ도 교육청에 대한 요구사항으로는 역시 '프로그램의 개발 보급', '잡무 감소', '체험학습 활동에 대한 경비 자원', '교과전담 교사 확보' 및 '다영한 전무교사의 확보', '교사에 대한 재량활동 관련 연수기회 제공', '학교간 재량활동 운영에 관한 정보교환 및 공동 프로그램 운영지원'등을 들고 있었다. 재량활동 편성ㆍ운영방안에 있어서는 단위학교에서 재량활동을 편성할 때 기본적인 도움이 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하위영역별 사항과 이에 따른 운영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하여 첫째, 재량활동 편성ㆍ운영방안을 하위영역별로 나누어 하위영역별 편성방향, 시간배당, 지도내용, 집단구성, 지도방법, 평가내용을 제시하였다. 둘째, 각 하위영역별 시간배당, 지도내용, 집단구성, 지도방법, 평가방안에 대한 여러가지 가능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셋째, 일반학교와 특수학교에서 실제로 활용하고 있는 다양한 예시자료를 제시하였다. 넷째, 일반학교의 재량활동 운영과 관련된 우수 연구보고서와 특수학교에서 운영히고 있는 재량활동 사례를 정리하여 부록에 제시 하여 다양한 실천 자료를 참고할 수 있도록 하였다. This study aims at groping for effective application methods of optional activities for special schools. For this purpose, a close analysis was made on the guidelines for optional activities published by Metropolitan and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MPOE), and extensive opinion on schemes for organizing and implementing the curriculum were collected from school teachers. The data gathered in this process present requirements and suggestions for optimal designs for organizing and implementing optional activities in special school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Clarification of theoretical backgrounds of optional activities. Through clarifying various theoretical backgrounds, we identified its related meaning of character, organization, implementation process and assessment. Guidelines of the Metropolitan and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MPOE) Each MPOE has worked out and provied schools with its own guiding principles on the organization and implementation of special education curricula. The systems of organization and the standards of subject time alloment are almost the same as those of state level issu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Most MPOE give directions that each school should secure and implement optional activities with an emphasis on enhancing the quality of assessment management, therapy education, as well as the contents and methods of assessment. Except some areas, most directions for optional activities from MPOE of education are not much different from those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It is, therefore, necessary that each MPOE should provide its own directions as to optional activities. Analysis of teachers' needs about effective application method of optional activity. An investigation into actual condition activities reveals that most special schools have difficulty in planning and operating the activities, because of lack of diverse programs, shortage of knowledge about the activities, unskilled planning and implementation of the activities, insufficient facilities and financial support. The first thing to break these obstacles is to develop and provide diverse programs and devices for the organization and operation of the activities. The curriculum steering committee is regared as the primary implementation body for optional activities in special schools. Optional activities should reflect each student's ability and specially as well as the opinions of his/her parents and teachers. The time allott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is regarded enough for individual school's optional activities. There are two kinds of optional activities: one by subject matters and the other by creative optional activities, but basic curriculum requires flexible application of both. As to the measurement of optional activities, schools for mentally retarded or handicapped students responded their home-room teachers should take the initiative, but school for the blind, the deaf, or the crippled said that different teachers in different fields should take the lead in their respective major subjects. Regardless of handicap degrees, it is necessaty to set various teaching intiatives according to sub-areas of optional activities, which is closely related to the organization of learning groups. Many teachers wanted to form groups geared to focus on more creative optional activities in sub-areas rather than their present groupings. Most teachers reponded that the time for the activities should be fixed on a specific weekday. Teachers also wanted that more various time should be allotted to the integrated study and self-directed study of the schools for the blind, the deaf, or the crippled. Some special schools had the opinion that self-directed study should be operated on a fixed day as the same way as the day for learning through experience or the day without schoolbag goes. As to the teaching methods, all the schools preferred the field study or learning through experience without regard to the division of sub-areas of optional activities. The contents of special school teaching were maintained to be focused on understanding the basic subjects, but most schools wanted optional activities to comprise learning the basic social life, getting acquainted with everyday life, and on-the-spot learning. An analysis on optional activities of special school showed that most activity types of the schools are nearly the same, and their areas of activities are not greatly different from those of club activities or social science subjects design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As for the assessment method for optional activities, the protfolio system is most preferred because it assesses each student's process of diverse activities. Other requirements In order to activate the optional activities, most schools preferred the development and distribution of teaching-learning materials. Next comes the school principal's concern and support for the activities, diminishing teachers' sundry duties, and reducing class-size. Teachers also required that each MPOE should take active measures to develop and distribute diverse teaching programs, reduce teachers' odd jods, give more financial support for discretionary activities, secure subject teachers, provide training opportunities for optional activities, exchange information on the operation of optional activities among schools, and support joint operation programs. Designs and various examples of its organization and implementation. With analyais of these results, we developed the designs of its organization and implementation method of optional activities for special schools. First, in our designs of its organization and implementation, we approached the sub-activity divisions which composed of two. the first one is optional activities of subject matters which involves the in-dept and supplementary study of therapy education activities and the in-dept and supplementary study of elective-centered subject matters. the second one is creative optional which involves integrated and self-directed study. Second, we conducted to figure out various possible methods in each sub-activities about time allotment, learning group, class time management, teaching method, teaching contents, assessment method. Third, when design of organization and implementation of optional activity, we usually use diverse optional activity examples from regular and special schools. Forth, in appendix of this book, we provided the cases of discretionary activity of regular and special schools's. So, it enables teachers to use as practice resource material, in their schools.

      • KCI등재
      • KCI등재

        활성탄의 급여가 젖소 송아지의 성장 및 배설물의 Ammonia 함량에 미치는 영향

        유선일,박덕섭,명윤아,이인덕,남명수,김용국 충남대학교 농업과학연구소 2007 농업과학연구 Vol.34 No.2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influences of feed containing activated charcoal on the performances of calves The daily weight gain, feed intake, feed requirement and the content of ammonia in the excreta were measured.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with 10 male calves for 30 days. Each were equally divided with treatment group and control group and for the treatment group's animal fed diets containing 1.0% activated charcoal. The daily weight gain of calves were decreased by 1.92% when they were fed activated charcoal(1.02㎏/day) compared to that of control calves(1.04㎏/day) and the daily feed intake of treatment group(2.86㎏/day) was 10.06% lower comparing to the control group(3.18㎏/day). In case of feed requirement, the result showed 8.2% lower in the treatment group(2.80㎏) than control group(3.06㎏). The content of ammonia in excreta was significantly lower for treatment group(0.33ppm) than control group (2.67ppm)(p<0.05), which showed more improvement for reducing ammonia content in the treatment group with 87.6%(p<0.05). 본 연구는 사료에 활성탄을 첨가했을 때 송아지의 일당 증체량, 사료 섭취량, 사료 요구율 및 배설물의 ammonia 함량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위해 실시하였다. 홀스타인 수송아지 10두를 30일 동안 대조구, 시험구(활성탄 1%첨가)로 각5두 공시하여 시험하였으며, 실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송아지의 일당 증체량은 대조구(1.04kg/일)에 비하여 활성탄을 급여했을 때(l.02kg/일) 1.92% 감소하였고, 일당 사료 섭취량은 시험구(2.86kg/일)가 대조구(3.18kg/일)에 비해서 10.06% 낮았으나, 사료 요구율은 대조구(3.06kg/kg증체)에 비해 시험구(2.80kg/kg증체)에서 8.2% 낮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송아지 배설물의 ammonia 함량은 대조구의 2.67ppm에 비하여 시험구가 0.33ppm으로 87.6% 감소되는 개선효과를 보였다(p<0.05).

      • 중환자 가족의 사회적 지지, 부담감 및 삶의 질과의 관계 연구

        이강오,김유선 朝鮮大學校 附設 醫學硏究所 2006 The Medical Journal of Chosun University Vol.31 No.2

        Background and Objectives: The study is aimed at identify social support, burden and quality of life in Intensive Care Unit (ICU) Patient's family,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among social support, burden and quality of life in ICU patient's family. Materials and Method: The data for this study were collected through a research which was conducted to ninety seven in ICU patient's family in C university hospital in Gwangju City, from August 16 to October 23, 2004. The instruments used for this study are the social support measurement tool developed by Brandt & Weinert (1981) and adapted and revised by Ga-SiI Oh & Mi-Hyee Seo, the burden measurement tool developed by Montgomery's and adapted and revised by Sun-Hak, Oh, the quality of life measurement tool developed by Seong-GiI Min in accordance with the guidelines of WHOQOL. The data collected were analysed using SPSS Win to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Scheffe & Tukey post-validation test, and Pearson's correlation. Results: Regarding correlations, while there was a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ocial support and quality of life. There was significantly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burden and quality of life. Also, there was significantly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social support and quality of life. ConclusIon: There were close correlation among social support, burden, and quality of life in ICU patient's family. Thus, the establishment of nursing interventional program is necessary to promote quality of life in ICU patient's family.

      • 특수교육지원센터 운영 방안 연구

        이미선,김태준,이유훈,조광순 국립특수교육원 2005 연구보고서 Vol.- No.7

        우리 나라 교육인적자원부에서 2001년부터 설치 · 운영하기 시작한 지역 중심의 지원체제인 특수교육지원센터의 대부분은 아직까지 실질적으로 제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특수교육지원센터의 운영을 활성화할 수 있는 정책 방안을 모색함으로써 향후 지역 중심의 특수교육 지원체제 구축과 관련된 정책 수립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주요 OECD 국가의 특수교육지원센터 관련 법규, 정책 및 운영 실태에 관한 문헌을 분석하였다. 또한, 우리 나라 특수교육지원센터 관련 법규와 정책에 관한 문헌을 분석하였으며, 특수교육지원센터의 운영 책임을 맡고 있는 교육청의 특수교육 담당 장학사의 특수교육지원센터의 전담 혹은 지원교사 전수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이 외에도 본 연구에서는 문서자료 분석을 실시하였고, 연구자 협의회를 개최하였다. 본 연구는 문헌연구, 설문조사, 문서자료 분석 및 연구자 협의회 결과를 모두 종합하여 다음과 같은 특수교육지원센터 운영의 기본 방향과 구체적인 운영 방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우리 나라 특수교육지원센터이라는 기관의 성격을 특수교육 대상학생에게 적절한 교육을 제공하고, 특수교육 대상학생의 긍정적 결과에 도움이 되는 활동을 지원하며, 이들에게 제공되는 교육 서비스의 질적 수준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지역 중심의 지원기관'으로 규정하고자 한다. 둘째, 위에서 언급한 지원기관으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특수교육지원센터 운영은 다음과 같은 방향으로 운영되도록 한다. 즉, (1) 개인적 차원의 지역사회에 기초하여 운영되어야 하며, (2) 지역 내 관련기관 및 단체와의 연계 · 협력을 통해 효율적으로 운영될 수 있도록 하고, (3) 정상화 원리에 기초하여 운영되어야 하며, (4) 학교 차원에서 특수교육 대상학생에게 지원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고, 학교 차원에서 지원을 제공할 수 없는 경우 지원기관인 특수교육지원센터에서 지원을 제공하는 단계적 지원 모형을 적용하도록 하며, (5) 특수교육 대상학생의 전 생애 주기에 걸쳐 알맞은 지원을 제공하도록 하며, (6) 특수교육 대상학생 뿐 아니라 교사, 학교, 가족, 교육청 특수교육 담당 장학사 및 기타 관련기관의 전문가들까지 지원 대상으로 포함시켜 이들에게 기술적 도움과 지원을 제공하는 방향으로 운영되도록 한다. 셋째, 특수교육지원센터의 설치 장소는 해당 지역의 지원센터에서 계획한 다양한 지원 기능을 수행하는데 충분한 공간이 확보되면서 수요자들에게 접근이 용이한 장소를 지역 실정에 맞게 지역교육청 뿐 아니라 특수학급, 특수학교, 대학, 장애인복지관 혹은 별도의 독립된 공간 등에 융통성있게 설치할 수 있도록 행정 지침을 제시하도록 한다. 넷째, 특수교육지원센터의 지원 기능은 우선적으로 지역 내 특수교육 지원에 대한 요구 조사 결과에 기초하여 지역 실정에 맞게 융통성있게 계획하여 시행하도록 하되, 가능한 다음과 같은 지원 기능을 포함하도록 한다. 즉, (1) 특수교육 관련 정보 제공, (2) 가족지원 활동, (3) 다양한 지원 및 서비스의 연계 · 조정 · 통합, (4) 조기발견 활동, (5) 특수교육 대상학생의 진단, 적격성 판정 및 배치 지원, (6) 특수교육 · 통합교육 · 치료교육에 대한 기술적 도움, (7) 특수교육 · 치료교육 서비스의 제공, (8) 진로, 전환 및 직업 교육 지원, (8) 장애인의 평생교육 지원, (10) 특수교육 관련 연수의 제공과 지원, (11) 기타 특수교육 관련 자료, 기자재 및 공학기구의 대여 활동. 또한, 이러한 특수교육지원센터의 지원 기능과 관련하여 전문가들에게 기술적 지원과 도움을 제공하도록 한다. 다섯째, 위에서 언급한 특수교육지원센터의 지원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특수교육지원센터에는 치료교육 교사, 특수교육 교사, 직업교육 교사, 심리진단 전문가(혹은 교육심리학자), 행동지원 전문가, 상담 전문가, 사회복지사, 가족지원 전문가, 특수교육 관련분야의 연구원, 보조공학 전문가, 사무직 등 최소한 11명의 전담인력을 배치하되, 장기적으로 치료교육 교사는 치료교육 전문 분야별로, 특수교육 교사는 교육 단계별로 세분화하여 배치하도록 한다. 한편, 특수교육지원센터에 필요한 전담인력 분야인 서비스 조정자는 특수교육 교사, 사회복지사, 가족지원 전문가들이 이러한 업무를 담당하도록 하며, 의사는 지역사회 내 의사를 특수교육지원센터 협력 인력으로 지정하여 지원을 받도록 한다. 그러나, 위와 같은 특수교육지원센터 전담인력은 해당 지역의 특수교육지원센터 지원 기능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지역 실정에 맞게 융통성있게 배치하도록 한다. 한편, 특수교육지원센터에 배치할 다양한 분야의 전담인력 배치 순서는 특수교육지원센터의 지원 기능 중 가장 시급하게 활성화되어야 하는 지원 기능으로 나타난, '통합학급과 특수학급에 대한 특수교육 및 다양한 치료교육 서비스 제공이나 지원' 기능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전문인력인 특수교육 교사 1명 및 치료교육 교사 1명을 우선적으로 배치하도록 한다. 또한, 현행 법규 조항 하에서 교사 자격증이 없는 전문가의 경우 특수교육지원센터로의 배치가 어려움을 고려하여 향후 특수교육진흥법의 개정을 통해 특수교육지원센터를 교육청 산하 특수교육기관으로 규정함으로써 특수교육지원센터에 다양한 분야의 전문인력이 배치될 수 있도록 한다. 여섯째, 향후 특수교육지원센터는 교육청의 특수교육운영위원회와 역할을 구분하여 특수교육 대상학생의 진단을 실시하고, 진단 결과에 기초하여 진단 보고서(판정 가능한 장애 범주, 아동에게 필요한 서비스, 적절한 교육환경 결정 및 IEP 개발에 도움이 되는 내용 포함)를 작성하여 특수교육운영위원회에 제시함으로써 특수교육운영위원회에서 특수교육 대상학생을 판정하고, 배치 환경을 심사하는데 도움을 주도록 한다. 일곱째, 특수교육지원센터 다양한 지원 기능을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1) 특수교육지원센터의 구체적인 법적 근거 마련, (2) 특수교육지원센터 운영을 위한 충분한 예산 확보, (3) 단계적 지원 모형의 도입을 위해 학교에 충분한 특수교육 전문가 배치 및 학교와 교사에 대한 기술적 도움과 지원의 제공, (4) 교육청에 특수교육 전담 장학사의 배치 및 이들에 대한 기술적 도움과 지원의 제공, (5) 지역 차원 뿐 아니라 시 · 도 혹은 중앙정부 차원의 특수교육지원센터 운영, (6) 관련 기관간 연계 · 협력체계 구축을 위한 제도적 지원, (7) 특수교육지원센터 시범사업 실시, (8) 특수교육지원센터에 대한 홍보 강화, (9) 특수교육지원센터 전담 혹은 지원교사에 대한 우대책 제공이나 불이익 배제, (10) 특수교육지원센터 관련 전문가에 대한 운영 지침 및 연수 제공과 같은 행정적 지원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It has been reported that the majority of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s, which are locally-based support systems, that have been established and managed locally since 2001 have not been able to do fulfill its purpose. In this respect, this study aimed to provide basic data for relevant policy development for the construction of locally-based support systems by searching for strategies to activate the management of local special educaton support centers. In order to achieve the aforementioned purpose, this study analyzed documents related to the legislation, policies, and management status of the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s of OECD member countries including U.S.A, United Kingdom, Germany, and Japan. In addition, this study analyzed documents related to the laws and policies of Korea's local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s, and surveyed the school inspectors of the offices of education in charge of the management of local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s as well as specialized or support teachers of the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s as well as specialized or support teachers of the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s. In addition, this study adopted a methodology of the review of documents and held researcher conferences. The finding of this study presents guidelines and detailed strategies for management of local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s as follows: First, Korea's local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s need to aim at locally-based support organizations which provide appropriate education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support activities that assist in the positive outcome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play roles in improving the quality of education services for these students. Second, in order for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s to play their role mentioned above, speical education support centers should be managed under the following guidelines. They should (1) be managed based on a individually based-community, (2) be managed effectively throug the nexus and cooperaion of relevant institutions and organizations in community, (3) be managed based on the principle of normalization, (4) adopt a phase-by-phase support model in which support is given by schools to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in cases where schools are unable to provide support, outside support institutions such as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s provide support, (5) provide appropriate support throughout the lifetime of student with disabilities, (6) be managed so that support is given not only to students with disabilities, but so that technical support is also given to teachers, schools, families, school inspectors in charge of special education at the office of education, and professionals of relevant institutions. Third, present administrative guidelines in order for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s to be established with adaptability not only at offices of education but also at special classes, special schools, universities, welfare institutions for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or other independent spaces at easily accessible locations where sufficient areas are secured in order to conduct the various functions that have been planned by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s. Fourth, the support functions of the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s should be planned flexibly, first based on the survey results on the needs of special education support in community, but also include the following support functions. That is, they should (1) provide information related to special education, (2) support the familie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3) link, coordinate, and combine several support and services, (4) engage in early identification activities, (5) support the evaluation, eligibility determination, and placement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6) provide technical support related to special education, inclusive education, and therapeutic education, (7) provide special education and therapeutic education services, (8) support career, transition and vocational education, (9) support lifelong education for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10) provide and support in-service training under collaboration with relevant institutions, and (11) engage in lending materials, aid and equipment related to special education. In addition, provide technical assistance to professionals about the above-mentioned supports. Fifth, in order to conduct the support functions of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s mentioned above,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s should station at least eleven specialists including a therapeutic education teacher, special education teacher, vocational training teacher, psychological diagnosis professional (or educational psychologist), behavioral support professional, counseling professional, social worker, family support professional, researcher in the field of special education, assistive technology specialist, and administrators, and in the long-term, placements should be subdivided so that therapeutic education teachers are available by fields of therapeutic education, and special education teachers by educational levels. Meanwhile,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 social worker, or family support specialist of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s can take a responsibility for service coordination necessary for special education supports. Medical services also necessary for special education support need to be provided by medical doctors in community who agree with collaboration with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s. However, the specialists of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s mentioned above should be placed flexibly according to the needs of community so that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s can act effectively. In addition, regarding the order of placement of specialists in various fields of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s, priority posting should be given to one special eduation teacher and one therapeutic education teacher, who can perform support activities from the most urgent field. Also, considering that it is difficult for specialists without teacher's licenses to be placed in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s under current legislation, the amendment of the Special Education Promotion Act is needed to stipulate that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s are subsidiaries of the offices of education, so that professionals from various fields can be placed in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s. Sixth, the role of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s should be distinguished from that of special education management committees fo the offices of education. Therefore,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s should carry out the evaluation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completion of evalution report (including information that may help determine an eligibilty for special education services, identify services needed for student with disabilities, develop IEPs, and decide appropriate educational environments) based on the evaluation results so that the special education management committees can make an eligibility for special education services and determine educational environments appropriately. Seventh, in order to activate the various support functions of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s, we should (1) provide a specific legal basis for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s, (2) secure a sufficient budget for the management of special education centers, (3) arrange sufficient special education professionals at schools and provide support and technical assistance for the introduction of a phased support model, (4) place school inspectors who undertake only the supervision of special education to the offices of education and provide sufficient support and technical assistance for them, (5) manage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s at the local, provincial, or central government level, (6) provide institutional support to establish a nexus and cooperation system among relevant institutions, (7) enforce a model project of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s, (8) strengthen publicity about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s, (9) give preferential treatment or remove disadvantages for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 specialists or support teachers, and (10) ensure administrative support for professionals associated with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s, such as providing management guidelines and in-service train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