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수평 매복된 상악 중절치의 교정적 견인 : 증례 보고

        김미니,김영재,김정욱,장기택,김종철,한세현,이상훈 大韓小兒齒科學會 2008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35 No.4

        본 증례는 수평 변위 매복과 치근 만곡을 가진 상악 중절치를 폐쇄 노출법을 이용한 교정적 견인을 시행하여 영구 전치의 기능과 심미성을 회복하였다. 상악 영구 전치가 수평으로 매복된 경우,가급적 조기에 발견하는 것이 중요하며, 촉진,시진,방사선 사진 등을 이용한 적절한 치료 계획의 수립이 필요하다. 상악 영구 전치의 매복이 조기에 적절히 치료되지 못하면 정중선의 변위,인접치의 이동에 의한 맹출 공간의 감소,치조골 높이의 차이 뿐만 아니라,이로 인한 심미적인 문제를 야기하여 소아 심리 발달에 해로운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매복치의 치료는 매복치의 형태,위치,상태에 따라 다양하나,주기적 관찰 방법,상부 연조직과 경조직을 단순히 제거하여 맹출을 유도하는 방법,외과적 노출 후 매복치를 교정적으로 견인하는 방법,치아 이식술,발치 등을 시행할 수 있다. 이중 이번 증례에서 시행한 매복치의 교정적 견인은 매복치의 치축이 정상 맹출로와 일치되지 않으며,주기적인 관찰 후 더 이상의 맹출이 기대되지 않을 때 시행하는 가장 일반적으로 적용되는 방법으로 매복의 심도,치아의 발육단계,만곡의 부위와 정도,수술방법과 견인방향 등을 고려하여 치료의 예후를 향상 시킬 수 있다. Maxillary central incisor impactions occur infrequently. Their origins include various local causes, such as odontoma, supernumerary teeth, space loss, and disturbances in the eruption path, also trauma and apical follicular cysts. Impacted teeth can cause serious dental and aesthetic difficulties as well as psychological problems especially in anterior regions. Although the impaction of maxillary incisor occurs less frequently than that of the maxillary canine. it is of concern to parents during the early mixed dentition stage because of the uneruption of the tooth. Forced eruption of impacted teeth should be considered in young patients because this technique can lead to suitable results from a periodontal, occlusal, and esthetic perspective at an earlier stage better than with other treatment options. This report presents the surgical and orthodontic treatment of cases with horizontally impacted and dilacerated maxillary central incisors. For each patient. we used the closed eruption method. placed an attachment on the impacted tooth on surgery, and fully closed the flap. Traction was applied immediately. The impacted tooth erupts through the healed tissue in a manner resembling normal eruption.

      • Could cluster of risk factors predict clinical outcome in patients with acute myocardial infarction?

        ( Sang Mi Park ),( Hong Nyun Kim ),( Se Yong Jang ),( Myung Hwan Bae ),( Dong Heon Yang ),( Hun Sik Park ),( Yongkeun Cho ),( Shung Chull Chae ),( Jang Hoon Lee ) 대한내과학회 2015 대한내과학회 추계학술대회 Vol.2015 No.1

        Purpose: Conventional risk factors are differently contributed to short-term prognosis of acute myocardial infarction (AMI); hypertension and diabetes increase adverse outcome, whereas hyperlipidemia, smoking, and obesity paradoxically decrease adverse outcome of post-MI patient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ssess whether cluster of conventional risk factors, PARADOCS (Pressure of ARtery Abnormality, Diabetes, Obesity, Cholesterol, Smoking) score, would improve the ability to predict major adverse cardiac events (MACEs) in patients with AMI. Methods: Between November 2005 and July 2011, 24,020 patients (17,232 men; mean age=63.0±12.8) with AMI were analyzed from Korean AMI registry. PARADOCS score was calculated as follows; [number of non-paradoxical risk factors (NRF) -number of paradoxical risk factors (PRF)]+3 in which non-paradoxical risk factors are hypertension and diabetes, and paradoxical risk factors are the rest. The 1-year MACEs were defined as death and non-fatal MI. Results: NRF including hypertension and diabetes were present in 49.6% and 27.0%, whereas PRF including hyperlipidemia, smoking, and obesity were present in 12.3%, 43.0%, and 34.6%, respectively. During the follow-up, 1,409 (5.9%) MACEs occurred. PARADOCS scor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patients with 1-year MACEs (3.38±1.03 versus 2.81±1.08, p<0.001). In Cox proportional hazards model, PARADOCS score was an independent predictor of 1-year MACEs (hazards ratio 1.26, 95% confidence interval 1.18-1.34; p<0.001) after adjusting for confounding variables. Patients were categorized into 3 groups according to the PARADOCS score; PARADOCSLOW (0-1, n=2,446), PARADOCSMID (2-3, n=14,594), and PARADOCSHIGH (4-5, n= 6,980). Kaplan-Meier survival curve show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1-year MACEs among three groups including 3.5% in PARADOCSLOW, 8.5% in PARADOCSMID, and 16.4% in PARADOCSHIGH, respectively (long-rank p<0.001). Conclusions: In post-MI patients, conventional risk factors are differently associated with short-term prognosis, and score of these risk factors, PARADOCS score, can provide useful prognostic information to clinicians.

      • 과학문화에 대한 중 · 고등학교 교사들의 인식

        김세미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이화교육논총 Vol.16 No.-

        Science culture is a very wide, diverse and complicated notion, In order to define science culture, it is important to scrutinize it from various angles. In this study, we have performed analysis of western notions of science culture which have been discussed and domestic notions which-exist currently. Based on this consideration, we set up the notion of science culture as the combination between science and culture in order to match it to the intention of the study. From the defined notion, we investigated essential areas which compose science culture and constructed the index system of science culture. The system is divided by science history, science philosophy, science literature and art, social activities concerning science, and science mass media. It is used to probe the difference between cognition of secondary school teachers as their major and gender. The result of research is like this. 1. In the teacher's cognition of history of science,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questions of 'Understanding of science historic discovery and invention', Frequency of visiting science museums and the time and expenses required', 'Expenses required on visiting science-culture historic sites'(P<-05). And in all questions except 'Expenses required on visiting science museums' and 'Expenses required on visiting science-culture historic sites', science teachers showed higher cognition for science culture than humanities and sociology teachers. In the analysis according to their gender, only the question related to 'understanding of science-historical discovery and invention' showed the meaningful difference between male and female(P<.05); cognition of male teachers is higher than that of female teachers. 2. In the teacher's cognition of philosophy of science, science teachers showed higher cognition for science culture than teachers who majored in humanities and sociology in the questions of 'Whether having interests in scientific issues', 'The extent of interest in recent scientific issues' and 'Whether using scientific methods', and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P<.05). In the analysis according to their gender, the questions related to 'Concern about scientific issues', 'Concern about new scientific issues' showed the meaningful difference between male and female(P<05); cognition of male teachers is higher than that of female teachers. 3. In the teacher's cognition of science literature and art, science teachers showed the higher cognition for science culture than teachers majored in humanities and sociology in the questions of 'Frequency of seeing science performance', 'Frequency of seeing science movies' and 'The amount of purchasing science novels', and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P<.05). There wasn't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any question between male and fema1e(P>.05). 4. In the teacher's cognition of science-related social activities/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questions of 'frequency of visiting science museum science pavilion experience halls and the time required', 'Frequency of using scientific information at libraries', 'frequency of participating in science-related events', 'frequency of participating scientific organizations and group activities' and 'The interest in science and technology policies'(P<.05). Among the above-mentioned questions, in all questions except 'frequency of science museum science pavilion experience halls and the time required', teachers majored in science showed higher cognition for science culture than teachers majored in humanities and sociology, In the analysis according to their gender, the questions related to Frequency of participating in science-related events', 'frequency of participating scientific organizations and group activities', 'The interest in science and technology policies' showed the meaningful difference between male and fema1e(P<05); cognition of male teachers is higher than that of female teachers. 5. In the teacher's cognition of scientific massmedia,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questions of 'Subscription of science papers and magazines', 'Frequency of reading science-related books', 'Frequency of watching science education programs', 'Frequency of watching science channels' and 'Frequency of using science-related internet sites' (P<05). Among the above-mentioned questions, in all questions except 'Frequency of watching science channels', science teachers showed higher cognition for science culture than teachers majored in humanities and sociology. In the analysis according to their gender, the questions related to 'Subscription of science magazines', 'Frequency of reading science-related books', 'Frequency of watching science education programs', 'Frequency of watching science channels' and 'Frequency of using science-related internet sites' showed the meaningful difference between male and female(P<.05); cognition of male teachers is higher than that of female teachers. As above results of the study,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y teacher's major of science, humanities and sociology in many questions. Especially, it was found that science teachers were more sensitive to scientific events or issues, participating in scientific historic sites or occasions, using scientific methods in their daily lives, and using scientific mass media than teachers with any other majors, therefore, in modem times when the importance of science is getting increased, we should raise teachers' cognition about science culture through various research activities.

      • KCI등재

        근관 내 불규칙 확장부에서 sealer 적용방법에 따른 충전 효과 평가

        김성용,이미정,문장원,이세준,유미경 大韓齒科保存學會 2005 Restorative Dentistry & Endodontics Vol.30 No.1

        본 실험은 resin 시편을 이용하여 미리 제작한 근관 내 불규칙 확장부에서 근관 충전용 sealer의 적용 방법에 따른 충전 효과를 평가해 보았다. Endo-training Bloc을 절단하여 사십 개의 규격화된 resin 블록 시편을 획득하였다. 각각의 시편에 $, 08taper GT 파일을 사용하여 근관을 형성하였고 근관에 손상이 가지 않도록 시편을 양분한 후 양분된 시편의 한 쪽 근관 벽에 다양한 근관 내 확장부를 표현하는 구를 형성하였다. 양분된 시편을 결찰하고 절단 부위를 밀봉하였으며 AH26 sealer를 사용하여 단일 cone 충전법으로 근관을 충전하였다. 네 가지의 근관 충전용 sealer의 적용방법을 이용하였다: A군,$ K-file : B군, ultrasonic file : C군, lentulo spiral: D군. EZ-Fill bi-directioanl spiral. 모든 시편은 37˚상대습도에서 1주일간 보관한 후 각 시편을 근단에서 3mm, 4mm, 5mm 부위에서 수평으로 절단하고 각각의 절단면을 위상차현미경과 디지털 카메라를 이용하여 30배율로 관찰하고 촬영하였다. 관찰된 절단면은 scoring system을 이용하여 점수를 산정하였고 각 군 간의 통계적인 유의성 유무는 Fisher's Exact Test를 이용하여 시행하였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sealer placement in simulated root canal extensions. Forty resin blocks were attained from the Endo-training Bloc. In each block. The simulated root canal was made with $, 80taper GT file. After each block was longitudinally split into two halves, a standardized groove was prepared on one canal wall of two halves to simulate the canal extensions with various irregularities. The two halves of each block were assembled and all simulated root canals were obturated by single cone method with AH26 sealer. Four different methods of sealer placement were used: group A, $ K-file; group B, ultrasonic file; group C, lentulo spiral; group D, EZ-Fill bi-directional spiral. All obturated blocks were stored in 100% humidity at 37℃ for 1 week, Using a low speed saw, each block was sectioned horizontally. Images of the sections were taken using a stereomicroscope at 30 magnification and a digital camera. The amount of the sealer in the groove was evaluated using a scoring system, a higher score indicated better sealing effectiveness. The data was statistically analysed by Fisher's Exact Test. The sealing score was the lowest, specially at the middle area of canal extensions in group A, and tha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from other groups. In conclusion, the ultrasonic file, lentulo spiral and EZ-Fill bi-directional spiral were effective methods of sealer placement in simulated canal extensions. The K file was the least effective method, specially at the middle area of canal extensions.

      • 흰쥐 중추신경계내 난소로 투사하는 미주신경로에 관한 연구

        김명주,장명세,고미희,노해숙,조해영,오문유,이봉희 濟州大學校 基礎科學硏究所 2001 基礎科學硏究 Vol.14 No.1

        본 실험은 부교감신경의 하나인 미주신경이 난소를 지배하는 신경으로 관여하고 있는지를 pseudorabies 바이러스를 이용하여 난소신경로와 난소주사후 미주신경절단을 통하여 조사한 연구 보고이다. 이를 위하여 Sprague Dawley계 암흰쥐를 대상으로 pseudorabies 바이러스를 난소에 주사한 무리와 난소 주사후 미주신경을 절단한 무리에서 뇌를 적출하여 pseudorabies 바이러스에 대한 면역조직화학 염색을 시행하여 비교하였다. 본 실험결과 미주신경 중추신경로내의 상위신경핵들이 pseudorabied 바이러스에 대하여 양성반응이 줄어들었거나 관찰되지 않는 차이를 보였다. 즉 적색핵, 종말판혈관기관, 줄무늬체, 침상핵과 이마엽겉질은 부분적으로 난소의 미주신경로에 관여하고 있으며 미주신경등쪽핵, 고립로핵, 최후영역, 청색반점, 팔옆핵, 코리케퓨즈핵, 흑색질 및 시각교차위핵은 양성반응이 관찰되지 않아 미주신경으로 투사하는 부교감신경핵으로 조사되었다. The mammalian ovary has been known as receiving its innervation by sympathetic and sensory neurons of the peripheral nervous system from the brain. Recently, there were several functional reports that the vagus nerves were also regulating the ovarian function, but the vagus nerve had not been identified by clear morphological evidence. A viral transneuronal tracing technique has been used to demonstrate the morphological evidence for the central vagal involvement in ovarian innervation in brain areas. Bartha strain of pseudorabies virus injection was made into the ovary of Sprague Dawley rats. In experimental group, the vagus nerve of the same injection side was removed right after ovarian injection. At five days after initial injection, all the rats were sacrificed and brains were processed for immunohistochemistry. Several central nuclei including hypothalamic paraventricular nucleus showed strong bilateral positive labelings after unilateral injection in control rats, but the positive labelings were disappeared or decreased in several hypothalamic nuclei and nuclei of the vagus nerve. I n conclusion, these results provide the morphological evidence that vagus nerve has neural connection to ovary and by which the central nervous system may maintains the state of ovulation and reproduction as a possible parasympathetic routes in mammals.

      • KCI등재후보

        구강악안면 감염 환자에 관한 임상 통계학적 분석

        김미성,남옥현,김수관,조세인 대한악안면성형재건외과학회 2002 Maxillofacial Plastic Reconstructive Surgery Vol.24 No.4

        This is a clinico-statistical study of 532 oral and maxillofacial infected patients who were treated at Chosun University Dental Hospital during the period 1996-2001.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The ratio of male to female ratio was 0.85:1. The highest monthly incidence was shown in June (10.15%) and July (9.77%), and the age distribution peaked in the 60s (15.60%), followed by 50s (14.29%) and 40s (13.53%). The most frequent cause was dental caries (43.05%), periapical abscess (13.72%), periodontal lesion (8.83%), and pericoronitis (8.27%). In terms of the delay time between onset of symptoms and visit, the highest incidence (56.20%) occurred at 1-3 days. In terms of the length of treatment, the highest incidence (36.65%) occurred at 7-9 days. Underlying medical problems were found in 161 patients, the most common being hypertension (27.33%) and diabetes (26.71%). The most common facial space involved was the buccal space (34.85%), followed by the submandiblular space (29.30%), canine space (17.17%), submental space (6.23%), and sublingual space (3.87%). In respect of antibiotics therapy, penicillin, aminoglycoside and metronidazole complex were most prevalent.

      • 중등 특수학급 운영 개선 방안

        김주영,이미선,이유훈,최세민 국립특수교육원 2001 연구보고서 Vol.- No.4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중등 특수학급 운영의 개선 방안과 그에 따를 정책 과제를 제시하는데목적을 두고 중등 특수학급의 개념과 특성, 우리나라 특수학급의 설치 배경과 현황을 상세히 기술하였으며, 특수학급의 문제점을 제시하였다. 또한 중등 특수학급 관련자들을 대상으로 특수학급의 운영을 어렵게 하는 요소들을 분류하고 각 요소별 문제들을 분석하여 개선 방안과 정책과제들을 제안하였다. 학교 사회 인식의 개선 방안 관리자와 교사의 인식 개선:시·도 교육청 단위에서의 연수기회를 늘리고, 연수 내용을 교사와 관리자의 요구에 맞게 조정하며, 일반학교에서의 실제 적용 부분에 대한 구체적인 실제들을 제시해야 한다. 학생과 부모의 인식 개선:학생과 부모는 전문적인 연수보다는 지속적인 자극과 접촉 및 참여 기회 등을 제공함으로써 감정적으로 다가설 수 있도록 체화(體化) 시키는 과정들을 마련해야 한다. 정책 과제:일반학교 관리자 및 교사의 연수기회를 확대 강화하여야 한다. 일반학생의 장애인 이해와 남을 배려하고 함께 살아가는 인성 함양을 위한 교과별 장애인 관련 단윈을 개발해야 한다. 일반학생과 부모들의 장애인에 대한 올바른 인식을 심어줄 수 있는 활동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제공해야 한다. 취학 업무의 개선 방안 특수학급 설치 비율의 불균형 해소:중등 특수학급의 특성을 고려한 운영 정책을 펴 나가야한다. 인구가 밀집되어 있는 도시 지역에서는 장애 유형별 특수학급을 설치하고 인구가 적은 지역에서는 모든 학교에 특수학급을 두어 단 한 명의 학생이라도 제대로 된 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해야 한다. 특수교육 대상자 선정 및 지정ㆍ배치 과정의 현실적 개선:장애학생의 진단ㆍ평가에 필요한전문교사집단의 인적 자원과 각종 검사도구 및 시사ㆍ설비, 인터넷망, 사도 교육청과의 직접적인 연계, 지역사회 협력 네트웍 등의 물적 자원 등 유리한 인프라를 갖추고 있는 특수학교 중심의 '특수교육지원센터'나 지역사회 '장애인복지전문기관' 등을 활용한 실제적 진단ㆍ평가를 하도록 모색해야 한다. 특수교육 대상자 선정 및 지정·배치의 원칙:특수학급 교사는 일단 학교 내 특수교육 대상자를 선별(screening)한 후 선점 및 배치 신청을 한다. 특수교육 대상자 진단평가는 초등학교학생 중심으로 실시한다. 초등학교에서 특수교육 대상자로 선정된 학생들은 상급학교의 특수학급 입급을 희망할 경우 별도의 선정과정 없이 지정ㆍ배치를 받도록 한다. 특수교육대상자로 선정된 학생들이 상급학교로 진학할 때는 반드시 전학년까지의 특수교육 수행자료를 첨부하여 제출하도록 한다. 중학교나 고등학교에서 처음으로 특수교육 대상자로 선정받고자 하는 학생들은, 중학교는 초등학교 6학년 말(중학교 배정 시기), 고등학교는 중학교3학년 말(고등학교 지원 시기) 지역 교육청 및 시·도 교육청에 특수교육 대상자 선정 및 지정ㆍ배치 신청을 한다. 정책 과제:특수교육 대상자 진단ㆍ평가 업무의 효율화를 위한 다양한 방안을 연구하여야 한다. 장애학생들의 타 학교 전학 또는 상급학교 진학에 필요한 최소한의 특수교육 수행자료를 규정하여 구비하도록 하여야 한다. 특수학급 운영 환경의 개선 방안 물리적 여건의 개선:일반학교 내 물리적 환경 개선을 위해 시·도 특수교육 담당 행정가를지원하고 독려해야 한다. 일반학교 내 장애학생 관련 편의시설과 유초ㆍ중고등학교별 특수학급의 시설 및 교구 설비에 관한 명확한 법적 제도적 장치를 마련해야 한다. 학교 순회교육의 개선:특수교육진흥법시행령 제13조의2 제2항을 삭제하고 농촌 등 학교의규모가 작고 원거리에 흩어져 있는 지역은 반드시 모든 학교에 특수학급을 설치하도록 해야 한다. 특수학급 교사의 직무 개선:보조교사, 치료교육 및 직업교육 담당교사, 순회교육교사 등을 특수학급에 함께 배치하여 업무를 상호 분담하고 통합교육 지원 이외의 특수학급 교사의일반학급 수업 지원을 한정하여야 한다. 특수학급 교사의 처우 개선:특수교육 경력에 대한 승진 가산점 부여의 존폐에 대해 신중히대처해야 한다. 특수교육 교사 양성체제가 일반교사와 이원화되어 있는 현 상황을 둔 채로특수학급 교사의 승진 여건을 개선하기 위한 단기적 방안은 찾기 어려운 실정이므로 장기간에 걸친 단계적 해결방안을 찾아야 한다. 정책 과제:특수학급의 시설 설비 기준을 규정하고 일반학교에 설치하여야 할 장애학생편의시설의 종류와 규격, 기준 등을 마련하여야 한다. 보조교사의 안정적인 배치제도를 마련하여야 한다. 특수교육 경력에 대한 승진가산점 부여 제도와 특수학급 교사의 근본적인 승진차별구조에 대한 장기적인 연구와 개선책을 제시해야 한단. 특수학급 운영 지원의 개선 방안 장학 및 행정 지원 개선:각급 교육청의 특수교육 업무 담당 장학 행정 지침서를 개발해야 한다. 신임 특수교육 업무 담당 전문직을 위한 직무연수를 의무화해야 한다. 교육청별로 특수학급 교사 연구회를 조직하고 지원해야 한다. 재정 지원 개선:특수학급 운영에 필요한 제경비를 '학교 운영비'에서 지출하도록 권장해야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총액으로 교부하고 있는 '학교 운영비'와는 별도로 그동안 목적성예산으로 시·도마다 특수학급에 지원해 온 '특수학급 운영비'를 당분간 계속 지원해야 한다.특수학급 교사들의 '학교 운영비' 등 예산 운영에 대한 이해를 높여아 한다. 학교의 지원 개선:교사 스스로 적극적인 태도를 길러 일반교사와 잦은 교류를 통한 원만한인간관계 형성에 주력함은 물론, 학교 관리자를 대상으로 장애학생의 통합교육과 특수학급운영에 대한 적용 가능한 특수교육 직무연수를 확대 실시하여야 한다. 정책 과제:교육청 특수교육 담당 장학관(사)을 위한 장학 행정 지침서를 개발하고 정기 직무연수를 실시해야 한다. 지방교육재정교부금에서 특수학급 운영비를 목적성 경비로 확보해야 한다. 학교 관리자의 장애학생 교육 및 특수학급 운영 지원에 관한 최소한의 지침을 마련하고 그에 따른 직무연수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 특수학급 교사의 자질과 역할의 개선 방안 특수학급 교사의 자질 개선:특수학급 교사들이 자격이나 이력(경력)과 같이 누구나 객관적으르 확인하고 인정할 수 있는 공적 자질도 잘 갖추어야 하지만, 보다 더 근본적인 것은 일반교사에게서 기대하기 힘든 인성과 태도가 요구된다. 특수학급 교사의 역할 개선:특수학급 교사의 역할은 통합교육 개시의 기초를 정립하고,적합한 개별화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며, 학교 전체 환경 내에서 장애학생의 활발한 참여를 촉진시키며, 일반 학급 내에서 장애학생의 구성원 자격을 확보시키며, 일반 학급에서 장애학생의 적극적 수업참여를 촉진하며, 일반학생과 장애학생에게 구체적 상호작용 방법을 교수하며, 일반학급 교사와 지속적인 협력체계를 구축하는 등 특수학급의 설치 목적인 장애학생의통합교육을 제대로 수행할 수 있는 활동에 모아져야 한다. 특수학급 운영 형태의 개선 방안 우리나라의 중등 특수학급 운영 형태는 대부분 시간제로, 특수학급교사의 의지나 관리자의요구, 학교의 형편에 따라 더 많은 형태들이 존재한다. 무엇보다 특수학급의 운영 형태는 학교와학생의 다양성을 고려하여 융통성 있게 운영하는 것이 중요하다. 유연한 특수학급 운영은 장애학생과 일반학생 모두에게 보다 적절한 학습환경을 제공하고 일반학생이 장애학생을 이해하고 긍정적인 태도를 갖는데 도움을 준다. 정책 과제:우리나라의 현실에 맞는 특수학급 운영 형태를 개발해야 한다. 협력 수업과통합학급 교사 지원을 위한 특수학급 교사들의 재교육을 강화해야 한다. 교육과정의 개선 방안 교육과정의 수정:교육과정의 수정이나 운영에 관한 전반적인 사항을 활발히 연구하여 제공해야 할 것이다. 교육과정의 수정은 일반학교 교육과정을 고려하되 장애학생의 특별한교육적 요구에 적절해야 한다. 교육과정의 수정에 필요한 구체적인 지침을 제공할 필요가있다. 교육과정의 수정은 융통성 있게 이루어져야 한다. 중등 특수학급 학생을 지도하는데 요구되는 교수 방법이나 수정된 교육과정의 적용에 관한 다양한 연수기회가 주어져야 한다. 중등 특수학급 학생들을 지도하기 위한 다양한 교수-학습자료의 개발이 필요하다. 교육과정 수정에 대한 적절한 평가가 이루어지도록 해야 한다. 교육과정의 평가:수업에 도움이 되는 요소와 방해가 되는 요소를 밝히기 위해 교실환경 평가가 이루어져야 한다. 준거지향적 평가, 교육과정중심 평가, 수행평가 등 학습수행 평가가이루어져야 한다. 재량활동 및 특별활동의 개선:학교 관리자들의 재량활동에 대한 인식이 바뀌어야 하고, 재량활동에 필요한 인적 물적 자원에 대한 지원체제가 마련되어야 한다. 그리고 원활한활동을 위해 지역사회 기관과 협력할 수 있는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학생의 능력에 맞는 적절한 특별활동에 참여시켜야 한다. 치료교육활동의 개선:중등 특수학급 학생의 장애 상태와 주요 문제에 대한 정확한 진단이 이루어져야 한다. 특수학급 학생은 일반학생들과의 상호작용을 통하여 문제행동을 경감시킬 수 있으므로, 특수학급 학생들의 치료교육에는 일반학생들의 참여와 협조가 필요하다. 부모와 지역사회 인적자원을 활용한다. 보다 전문적인 치료교육을 실시하기 위하여 특수학급에치료교육 교사를 배치해야 한다. 특수학급 학생의 치료교육을 위해서는 지역사회 관련기관(인근 복지관, 치료센터)과의 유기적인 협력체제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 특수학교와 특수학급이 연계체제를 마련할 필요가 있다. 직업 및 전환교육의 개선:성공적인 전환교육을 위해서는 관계기관이나 관련 인사아의 협력체제를 구축하고, 부모의 참여 확대를 위한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해야 한다. 장애학생의 진로 지도를 위한 기구가 마련되어야 한다. 장애학생이 직업과 관련된 적성을 파악하고 그들이 실제 노동 현장을 체험해 볼 수 있도록 근로 현장과 연계 교육할 수 있는 시스템을 마련해야 한다. 장애학생의 직업진로지도를 담당할 수 있는 전문 인력이 충원되어야 한다. 직업훈련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한다. 산학협동체제가 마련되어야 한다.개별화교육계획 개선:특수학급에서 개별학교육계획을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교사는 교과 내용의 수정, 교수방법의 수정, 일반교육과 특수교육의 협력, 평가의 개별화 등의 운영을 잘 해낼 수 있어야 한다. 정책 과제:특수교육 대상자를 위한 일반교육과정의 교과별 수정 자료 등을 개발 보급하여야한다. 중등 특수학급 학생들의 교육과정 평가를 위한 지침을 개발하여야 한다. 특수학급의재량활동 및 특별활동 우수사례를 발굴하고 수집하여 보급해야 한다. 치료교육 및 직업교육교사를 순회 배치해야 한다. 특수학급 교사들의 교육과정 운영에 대한 지도 능력 향상을 위한 연수를 강화해야 한다. 개별화교육계획 작성 및 운영에 관한 전산화 프로그램 등을 개발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esent strategies and policy issues for improving the special classes management of secondary schools in Korea. A review of related-literature was presented to provide (1) the concepts and characteristics of special classes in secondary schools, and (2) the establishment background of secondary special classes. In addition, in-depth interview with people involved in special classes in secondary schools about the current status in and needs for the management of special classes in secondary schools was carried out.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 and interview analysis, the study presented the current status in and problems with secodary special classes and suggested strategies and policy issues for improving the management of special classes in Korean secondary schools. The detail strategies and policy issues are as follows: First, the principals and general education teachers' understanding of and attitudes toward special classes have to be improved. For accomplishing this purpose, teacher training at the level of metropolitan/provincial offices of education must be expanded. Also, efforts for improving the awareness of students without disabilities and their parents have to be made in another direction. Second, improvement in procedures related to entering students with disabilities must be made. The disproportionate ratio of the number of special classes in kindergarte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has to be made balanced. Principles for assessing and placing students with disabilities have to be established, and the procedures of the assessment and placement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have to be improved realistically. Third, environment for the management of special classes have to be improved. Facilities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general schools and educational equipments and materials in special classes must be improved. Special class teachers' work have be reduced, and special class teachers must be given better treatment. Fourth, the management of special classes have to be supported. Administrative support and supervision for special classes must be strengthened and stable support for the budget of special classes be guaranteed, special class teachers must have knowledge about the management of the budget for special classes, and all the staff members in secondary schools have active interests in and support for special classes. Fifth, the quality and roles of special class teachers must be improved. Better personality and attitudes are demanded for special class teachers than general education teachers. And the roles of special class teachers have to be focused on appropriately integrate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to inclusive education settings. Sixth, the management forms of special classes have to be diversified. The management types of special classes appropriate to the current status in Korea must be developed and in-service training in supporting inclusive class teachers and using cooperative teaching has to be provided for special class teachers. Finally, the organization and implementation of curriculum have to be improved. Principles and methods for adapting curriculum must be developed and the evaluation of curriculum be carried out thoroughly. Optional activities, extracurricular activities, therapeutic education activities, vocational education, and transition education have to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appropriate to the conditions of schools and communities. Also, strategies for successfully implementing IEP have to be provided.

      • 유한 차등 방정식과 카오스

        김연미,유세라 弘益大學校 科學技術硏究所 1997 科學技術硏究論文集 Vol.8 No.-

        In this paper, we invesitigate the chaotic behavior which occurs if we use Euler's method to approach to the solution of nonlinear differential equation. We consider the several sufficient conditions for the existence of the chaos in finite difference scheme. The result can be applied to 2-dimensional difference equations and euler's difference schemes.

      • 관심변수 Y를 이용한 단위 무응답 가중치 조정층 형성

        김세미,이석훈 충남대학교 기초과학연구소 2005 忠南科學硏究誌 Vol.32 No.1

        This paper deals with nonresponse adjustment method for handling unit nonresponse in sample surveys. Nonresponse weighting adjustment is well known technique using the estimated response probability which cam be obtained by the segmentation model or logistic model. Our study has focused on how to make segmentation whose segmented classes are assumed to consist of the individuals with similar response probabilities and values for the variable of interest. We suggested a new method for segmentation using the variable of interest as the target variable instead of the variable indicating response. Comparison has done using a real data as an illustr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