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PbO-SiO_2계 유리에서의 유동 특성

        차재민,김웅식,송현진,이병철,류봉기 釜山大學校生産技術硏究所 2002 生産技術硏究所論文集 Vol.61 No.-

        유리에 관한 연구에 있어 점도는 가장 중요한 특성중의 하나로 여겨지며, 용융 상태, 작업 온도, 서냉 온도 또는 결정화 속도에 등과 같은 인자와도 크게 관계가 있다. 특히 각기 다른 조성을 가진 유리에서도 점도는 매우 다양하며, 온도에 크게 영향을 받는다. PbO-SiO_2 이성분계 유리에서는 PbO가 첨가됨에 따라 점도의 온도의존성이 커지고 표면장력이 감소하였다. 온도와 시간에 따른 spreading ratio를 비교한 결과 PbO의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유동성이 증가하였고 온도에 따른 유동성의 증가율도 크게 증가하였다. 그리고 일정한 온도에서 시간의 경과에 따른 유동성의 증가율은 감소하였다. The viscosity of a glass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properties. It determines the melting conditions, the temperatures of working and annealing, fining behavior and devitrification rate. The viscosities of different glasses vary enormously with composition and are strong functions of temperature. On adding PbO in the PbO-SiO_2 binary system, the temperature dependence of the viscosity was large, the surface tension decreased. In the temperature and time dependence of spreading ratio, the spreading ratios of glass increased with increase PbO content and the rate in its increase decreased with time at constant temperature.

      • 기어의 자동설계와 검증에 관한 연구

        한민식,김승현,송호봉,전언찬 한국공작기계학회 2009 한국공작기계학회 춘계학술대회논문집 Vol.2009 No.-

        Gear is main machine element which is used for the power transmit device when it si short in the gear. We use a standard goods in the case of the gear. But in case of special purpose, we need to manufacture the gear that have different angles. In this paper, we manufactured standard gears using W-EDM and Hobbing machine. We got a 3D shape doing reverse engineering manufactured gears. And then compared CAD data and measured data. Finally we verified ADS through comparing ADS data and KISSsoft data.

      • KCI등재
      • Effects of electroacupuncture on oxaliplatin-induced neuropathic cold hypersensitivity in rats

        Moon, Hak Jin,Lim, Bong-Soo,Lee, Dae-Il,Ye, Min Sook,Lee, Giseog,Min, Byung-Il,Bae, Hyunsu,Na, Heung Sik,Kim, Sun Kwang Springer-Verlag 2014 JOURNAL OF PHYSIOLOGICAL SCIENCES Vol.64 No.2

        This study investigated whether and how electroacupuncture (EA) attenuates cold hypersensitivity (allodynia) in a rat model of oxaliplatin-induced neuropathic pain. Cold allodynia [evaluated by immersing the tail into cold water (4 A degrees C) and measuring the withdrawal latency] was induced 3 days after an oxaliplatin administration (6 mg/kg, i.p.). EA stimulation (2/100 Hz, 0.3-ms pulse duration, 0.2-0.3 mA) was delivered to ST36 acupoint or non-acupoint for 20 min. Low-frequency (2 Hz) EA at ST36 relieved cold allodynia more effectively than high-frequency EA at ST36 or low-frequency EA at non-acupoint. Naloxone (opioid antagonist, 2 mg/kg, i.p.) completely blocked such EA-induced anti-allodynia, whereas phentolamine (alpha-adrenergic antagonist, 2 mg/kg, i.p.) did not. Moreover, plasma beta-endorphin levels significantly increased right after the end of EA and subsequently decreased. These results indicate that low-frequency EA at ST36 in rats has a marked relieving effect on oxaliplatin-induced cold allodynia that is mediated by the endogenous opioid, but not noradrenergic, system.

      • 부신 결핵에 의한 Addison씨병 1예

        송치운,구본정,안봉수,전준식,안미애,이진홍,송민호,김영건,노흥규 충남대학교 의과대학 지역사회의학연구소 1995 충남의대잡지 Vol.22 No.2

        Addison's disease is a rare primary adrenal insufficient disorder resulting from chronic deficiency of adrenal cortical hormones. Clinical manefestations are generalized weakenss, weight loss, hyperpigmentation (especially sun exposed area and mucous membrane), hypotension, hyponatremia, hyperkalemia, gastrointestinal symptoms (involving anorexia, nausea, vomiting, abdominal pain). A 34-year-old woman has experienced slowly progressive generalized weakenss and skin pigmentation, anorexia, nausea, vomiting with ascites and diffuse abdominal pain. On the time of admission, her main clinical manifestations were anorexia, nausea, vomiting, fatigue, generalized weakness, amenorrhea, hair loss, diffuse abdominal pain revealed as Addison's disease due to bilateral adrenal tuberculosis. Her adrenal insufficient symptoms were recovered with the replacement of adrenocortical hormones and antituberculous medications. After treatment, Her skin pigmentation was decreased and menstruation was reappeared. Here we experienced one cases of Addison's disease with tuberculous peritonitis.

      • SCOPUSKCI등재
      • 당뇨병과 동반된 화농성 간농양의 임상상 및 예후인자

        오은숙,강무일,이원영,오기원,임동준,이소영,이정민,고승현,김성래,안유배,손현식,윤건호,차봉연,이광우,손호영,강성구 대한당뇨병학회 2000 임상당뇨병 Vol.1 No.1

        연구배경: 감염질환은 혈관질환과 함께 당뇨병의 중요한 사망원인의 하나이며, 혈당조절이 불량할수록 감염 빈도가 증가됨은 잘 알려져 있다. 간농양의 발생이 있어서도 당뇨병은 중요한 기저질환 중의 하나이다. 일반적으로 간농양의 가장 흔한 원인균은 Escherichi coli라고 알려져 있으나, 최근 당뇨병을 가진 간농양 환자에서 Klesiella pneumoniae의 검출이 증가되고 있다. 또 최근 연구에 의하면 K.pneumonie가 간농양의 가장 흔한 원인균이며, K. pneumoniae에 의한 간농양은 K.pneumoniae 이외의 균주에 의한 간농양보다 당뇨병과 밀접히 관련되어 있다고 보고된 바 있다. 이에 저자들은 간농양 환자를 대상으로 당뇨병환자의 빈도를 알아보고, 그 원인균 및 특징을 비당뇨병 환자들의 경우와 비교해 보고자 하였다. 방법: 1992년 1월부터 1999년 6월까지 방사선학적 검사 혹은 수술에 의해 간농양이 확인되거나, 경피적 천자나 수술을 통한 배농액 배양, 혹은 혈액 검사에서 원인균이 증명된 182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후향적 임상고찰을 실시하였다. 결과: 화농성 농양을 가진 167명의 환자(남:94명, 여:73명)중 당뇨병을 가진 환자는 54명 (남:30명, 여:24명)으로 32.3%를 차지하였다. 환자의 평균나이는 당뇨군에서 62.1 ± 13.4세, 비당뇨군에서는 55.1 ±15.5세로 당뇨군에서 높았으며(p=0.0021), 남녀간의 평균나이 비교 시 두 군 모두 여성의 나이가 의미있게 높았다. 비당뇨군에 비하여 당뇨군의 경우 저알부민혈증의 빈도와 aspartate transaminase가 증가되어있었다. 원인균주는 K. pneumoniae (당뇨군54%, 비당뇨군 39.1%), E. coli(당뇨군 17.5%, 비당뇨군 18.8%), Pseudomonas aeruginosa, Streptococcus viridans, Enterococcus 순이었으며 두 군간의 의미는 차이는 없었으나 K. pneumoniae의 경우 다른 균종에 비해 단독감염의 빈도가 높았다(82.8%). 사망률은 당뇨군에서 16.7%, 비당뇨군에서 7.1%로 당뇨군에서 의미있게 높았으며(p=0.019), 당뇨군에서의 사망환자는 모두 패혈증이 동반되어 있었다. 당뇨환자의 사망군은 생존군에 비해 당뇨병 이환기간이 길고 혼합감염의 빈도가 높았다(p=0.046). 검사실 소견에서는 총 빌리루빈 및 알카리성 포스파타제의 증가가 관찰되어 있었다. 결론: E. coli가 간농양의 주된 원인균이라는 기존 보고와는 달리 당뇨군과 비당뇨군 모두 K. pneumoniae가 간농양의 주된 원인균이었다. 또한 당뇨 유병기간이 길고 당뇨조절이 불량한 환자에서 혼합감염이며 총 빌리루빈 및 알카리성 포스파타제의 증가등과 같은 위험인자가 존재할 경우 사망률이 증가될 수 있으므로 이들 군에서는 적극적인 치료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Background: Liver abscesses are commonly associated with underlying disease, particularly diabete mellitus. The number of the liver abscesses caused by Klebslella pneumoniae in diabetic patient has been increased in Korea nowaday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larify the clinical presentation and prognostic factors of pyogenic liver abscesses, especially in diabetic patients and to determine the proportion of K. pneunomiae as a pathogen in liver abscess in Korea. Methods: Medical records of 167 patients treated for pyogenic liver abscess from January, 1992 through June, 1999 were reviewed retrospectively in detail. Major Pathogenic organism, clinical manifestations, prognostic factors, the importance of diabetes mellilus as an underlying disease and its effect on clinical features and prognosis were analyzed. Results: Among 167 cases of pyogenic liver abscess, underlying diabetes mellitus was present in 32.3%. The mean age of patients was 62.7 13.4 years in diabetic liver abscess group and 55.1 15.5 years in non-diabetic liver abscess group. Most liver abscesses were cryptogenic in origin or secondary to the billary tree diseases. The clinical presentations among the two group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When compared to patients without diabetes, patients with diabetes had significantly higher proportions of hypoalbuminemia and elevated aspartate transaminase level. The most common organism of the pyogenic abscess was K. pneumoniae in both groups. Percutaneous drainage of the abscess with appropriate antibiotics was the most commonly used therapeutic modality in liver abscess. The mortality rate of diabetic liver abscess is 16.1 % and 7.1% in nondiabetic liver abscess. Complications, especially septicemla, were found more frequently in patients with diabetes than in patients without diabetes (64.8% vs 28.3%, septicemia : 31.5% vs 9.7%). The factors influencing mortality in the diabetic liver abscess were disease duration, mixed infection, presence of septicemia, elevated bilirubin and alkaline phosphatase. Conclusions: In contrast to prior report that the E. coli was the most common pathogen in liver abscess, we found that K. pneumoniae was the most common organism cultured in liver abscess. Diabetic patients have more complications and higher mortality than patients without diabetes. Early detection and proper treatment are needed to improve the outcome for diabetic patient with liver abscess.

      • SCOPUSKCI등재

        동종골수이식 후 혈당 및 혈중 지질농도의 변화양상 및 관련인자

        이원영,강무일,오은숙,오기원,손현식,윤건호,차봉연,이광우,손호영,강성구,신완식,민우성,김춘주 대한당뇨병학회 2002 Diabetes and Metabolism Journal Vol.24 No.6

        연구배경:골수이식은 비교적 젊은 연령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며 면역억제제의 사용기간이 비교적 짧으므로, 주로 고령의 만성 질환 환자에서 시행되는 고형장기이식에서와는 달리 당대사 및 지단백 대사에 있어서 많은 차이점이 있을 것으로 추측된다. 저자들은 전향적 연구를 통하여 골수이식 후 시기별로 혈당 및 혈중지단백 변화 양상을 알아보고 이와 관련된 임상인자들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방법:1998년 10월부터 1999년 8월까지 가톨릭대학교 성모병원에서 동종골수이식을 시행한 환자들 중 43명을 대상으로 이식 전 및 이식 후 1, 2, 3, 4주와 3개월, 6개월에 공복 혈당, 혈중 총 콜레스테롤, 중성지방, 고밀도지단백을 측정하여 골수이식 후 시기별 변화를 관찰하고 여러 임상인자들에 따른 차이를 알아보았다. 결과:1. 공복혈당은 골수이식 수 첫4주 동안 상승하였고 이후 감소하였으나 이식 6개월 시점의 평균 공복혈당은 이식 전보다 유의하게 높게 관찰되었다. 혈중 총 콜레스테롤은 이식 후 1주에 최고치를 형성하였고 이후 기저수준으로 회복되었다가 이식 수 3,6개월에 다시 증가하여 기저치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 혈중 중성지방은 이식 후 1개월까지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이후 감소하여, 3,6개월에는 기저치와 유의한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다. 혈중 고밀도지단백은 이식 후 2,3주에 이식 전보다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이후 이식 전 수준으로 회복되었다. 혈중 저밀도지단백은 총 콜레스테롤의 변화와 매우 유사하였다. 2. 골수이식 후 6개월 시점에서 공복 혈당이 126㎎/dL이상인 환자는 7명(16%)이었다. 이들 환자들과 공복혈당 126㎎/dL 미만의 환자 36명을 비교한 결과, 공복혈당이 126㎎/dL 이상인 환자군에서 스테로이드 평균 투여량이 많았고 고밀도지단백이 유의하게 낮았다. 3. 이식편대숙주질환이 발생한 환자는 그렇지 않은 환자보다 이식 후 1, 2, 3주 및 6개월의 총 콜레스테롤이 더 낮았고, 3개월의 공복혈당이 더 높았다. 혈연골수이식 환자군은 비혈연골수이식 환자에 비해 투여된 스테로이드 용량이 더 적음에도 불구하고 이식 후 1, 2, 3주 및 6개월의 총 콜레스테롤 수치가 더 높았다. 스테로이드 고용량 투여군(하루 평균 7.5㎎기준)은 저용량군보다 이식 후 3개월 시점의 공복혈당이 더 높았으나 나머지 시점의 혈당, 혈중 지질농도에 있어서는 유의한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다. 결론:골수이식 후 초기시기에 주로 당 대사 및 지질대사이상이 관찰되며 이는 면역억제제 투여와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면역억제제가 고용량 투여되는 합병증 발생 시 이들 대사이상에 관심을 기울여 대처해야 할 것이다. Background: In bone marrow transplantation(BMT), recipients are usually younger and immunosuppressants are open used in shorter period than in solid organ transplantation. Therefore, there might be a difference in glucose and lipid metabolism between BMT and solid organ transplantation. However, the serial changes of metabolic parameters following BMT have not been studied. Therefor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erial changes of blood glucose, lipids and the putative factors that are related with these changes after BMT. Methods: We have prospectively investigated 43 patients who underwent allogeneic BMT. Fasting plasma glucose(FPG), total cholesterol, triglyceride and high-density lipoprotein(HDL) were measured before BMT, and at 1, 2, 3, 4, 12 weeks and 6 months after BMT. The serial changes of these metabolic parameters according to clinical factors including type of BMT, mean daily steroid dosage, and occurrence of graft versus host disease (GVHD) were examined. Results: 1. Mean FPG level increased during 4 weeks after BMT and remained above basal value at post-transplant 6 months. Total Cholesterol level was increased during initial 4 weeks after BMT and was above basal value at post-BMT of 3 and 6 months. Triglyceride level was progressively increased during initial 4 weeks after BMT, but returned to basal value there after. HDL-cholesterol level was significantly decreased during initial 4 weeks after BMT, but returned to basal value there after. 2. Patients with FPG above 126 mg/dL and the other patients, the former received larger amounts of daily steroid and had lower HDL-cholesterol level. 3. The changes of metabolic parameters were different according to type of BMT, steroid dose, and occurrence of GVHD. Conclusion: Although there was increase of FPG, TC, TG and decrease of HDL-C during initial 4 weeks after BMT, these metabolic changes recovered slowly thereafter. Immunosuppressants are thought to be associated with these changes. Further observation will be needed for the long-term effect of BMT on metabolic changes(J Kor Diabetes Asso 24:689~698, 2000).

      • SCOPUSKCI등재

        나피온 폴리머를 이용한 금 전극의 표면 개질 및 이의 삼투압 측정용 임피던스 센서 응용

        길민식 ( Min Sik Kil ),김민재 ( Min Jae Kim ),윤조희 ( Jo Hee Yoon ),장진우 ( Jinwu Jang ),이경균 ( Kyoung G. Lee ),최봉길 ( Bong Gill Choi ) 한국공업화학회 2023 공업화학 Vol.34 No.1

        본 논문에서는 용액의 이온 농도 측정이 가능한 나피온 폴리머(Nafion polymer) 코팅 기반 2상 금 전극의 임피던스(Impedance) 센서를 개발하였다. 스퍼터링(Sputtering) 공정을 통해서 제작된 금 전극의 표면을 나피온 폴리머를 사용하여 표면 개질 하였다. 상기 제작된 전극은 분극 현상 제어가 가능하여 전기화학적 신호를 안정적으로 측정할 수 있도록 하였다. 분광학과 전자주사현미경 관찰을 통하여 박막의 나피온 폴리머 코팅을 확인하였다. 나피온 코팅이 된 전극은 기존 금 전극에 비해 안정적인 임피던스 신호를 보여 주었으며, 표준 염화나트륨(NaCl) 용액 사용 시 임피던스 센서의 신뢰성 높은 검정 곡선(R<sup>2</sup> = 0.983)을 나타내었다. 또한, 임피던스 센서는 상용화 전도도 장치와 인공 눈물의 이온 농도 측정 비교 실험을 진행하였으며, 유사한 결과값을 확인하였다. In this work, we developed a Nafion polymer-coated impedance sensor with two gold electrode configurations to measure the ion concentration in solution samples. The gold electrodes were fabricated through the sputtering process, followed by surface modification using Nafion polymer. The resulting sensors enable the prevention of the polarization phenomenon on the electrode surface, resulting in stable measurement of electrochemical signals. Spectroscopy and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measurements revealed that the thin film of Nafion was coated uniformly onto the surface of the gold electrode. The Nafion-coated sensor exhibited more stable impedance signals than the conventional gold electrode. It showed a highly reliable calibration curve (R<sup>2</sup> = 0.983) of the impedance sensor using a standard sodium chloride solution. In addition, a comparison experiment between the impedance sensor and a commercial conductivity sensor was performed to measure the ion concentration of artificial tears, showing similar results for the two sensors.

      • Optimization of color and COD removal from livestock wastewater by electrocoagulation process: Application of Box–Behnken design (BBD)

        Tak, Bong-yul,Tak, Bong-sik,Kim, Young-ju,Park, Yong-jin,Yoon, Young-hun,Min, Gil-ho Elsevier 2015 Journal of industrial and engineering chemistry Vol.28 No.-

        <P><B>Abstract</B></P> <P>The present work aims to study the removal of color and COD from livestock wastewater by electrocoagulation (EC) process using Al electrodes. The Box–Behnken design and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were us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major operating variables and optimization conditions. The predicted values of responses obtained using the response function agree well with the experimental data. Economical operating conditions and removal efficiencies were found to be pH of 8, current density of 30mA/cm<SUP>2</SUP>, electrolysis time of 30min and NaCl concentration of 1g/L, and 95.2% (<I>Y</I> <SUB>1</SUB>) and 93% (<I>Y</I> <SUB>2</SUB>), respectively.</P>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