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유아의 자연친화적 태도와 유아의 개인변인, 환경변인과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 상대적 기여도를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유아의 자연친화적 태도에 더 많은 영향을 주는 변인을 알...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3062270
2014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5-27(23쪽)
5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유아의 자연친화적 태도와 유아의 개인변인, 환경변인과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 상대적 기여도를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유아의 자연친화적 태도에 더 많은 영향을 주는 변인을 알...
본 연구는 유아의 자연친화적 태도와 유아의 개인변인, 환경변인과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 상대적 기여도를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유아의 자연친화적 태도에 더 많은 영향을 주는 변인을 알아보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하여 U시와 K지역에 위치한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다니는 만 4, 5세 유아 208명의 배 경특징을 조사하고 자연친화적 태도, 정서지능과 창의성을 측정하였다. 유아의 부모들에게는 질문지를 배부하여 부모 배경특징과 부모 인식을 조사하였으며, 자료분석을 위해 적률상관분석과 중다회귀분석 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유아의 모든 개인변인과 자연친화적 태도와는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 째, 유아의 환경변인 중 부모 유년시기의 생태교육경험을 제외한 나머지 변인들과 자연친화적 태도와는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셋째, 자연친화적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상대적 기여도는 유아의 자연체험활동 경험여부와 정서지능, 부모 인식 순으로 나타났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personal and environmental variables, that affect the nature-friendly attitude of young children, and to establish the relative importance between the two types of variables in determining the children’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personal and environmental variables, that affect the nature-friendly attitude of young children, and to establish the relative importance between the two types of variables in determining the children’s attitudes. Research was conducted with 208 children aged four to five and their parents in child care centers and kindergartens in the southern area of Korea. For data analysis,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and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Findings show that: there i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a child’s personal variables (age, educational facility use experience, nature-friendly education facility use experience, emotional intelligence, life respect knowledge, creativity) and nature-friendly attitude. There is also a meaningful relationship between environmental variables (education facility, parental personality) and the nature-friendly attitude of a child. However, there i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parents' childhood nature-friendly educational experiences and the child's experiences. Finally, among personal and environmental variables contributing to a child’s nature-friendly attitude, the largest contribution was the child’s nature-activity experience, followed by the child’s life respect knowledge and emotional intelligence.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영주, "환경과 자연친화 유아교육에 관한 학부모의 인식조사"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2 이혜인, "학교숲이 초등학생의 환경인식 및 친환경적 태도와 행동에 미치는 영향" 서울교육대학교 대학원 2008
3 허윤정, "통합적 접근에 의한 동물 기르기가 유아의 환경친화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 중앙대학교대학원 2002
4 송한얼, "텃밭 가꾸기와 연계한 요리활동이 유아의 식습관 및 편식 행동과 환경 친화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1
5 천미애, "텃밭 가꾸기 활동이 유아의 정서지능 및 과학적 탐구능력에 미치는 영향" 경성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6 김기봉, "텃밭 가꾸기 활동이 유아의 자아개념과 환경 친화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7 마경희, "자연친화적 유아교육에 대한 부모의 인식에 관한 연구" 부산대학교 교육대학원 1999
8 성희미, "자연친화적 유아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창의력 증진에 미치는 효과" 가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1 김영주, "환경과 자연친화 유아교육에 관한 학부모의 인식조사"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2 이혜인, "학교숲이 초등학생의 환경인식 및 친환경적 태도와 행동에 미치는 영향" 서울교육대학교 대학원 2008
3 허윤정, "통합적 접근에 의한 동물 기르기가 유아의 환경친화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 중앙대학교대학원 2002
4 송한얼, "텃밭 가꾸기와 연계한 요리활동이 유아의 식습관 및 편식 행동과 환경 친화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1
5 천미애, "텃밭 가꾸기 활동이 유아의 정서지능 및 과학적 탐구능력에 미치는 영향" 경성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6 김기봉, "텃밭 가꾸기 활동이 유아의 자아개념과 환경 친화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7 마경희, "자연친화적 유아교육에 대한 부모의 인식에 관한 연구" 부산대학교 교육대학원 1999
8 성희미, "자연친화적 유아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창의력 증진에 미치는 효과" 가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9 김태희, "자연친화교육에 대한 유아 교사의 인식에 관한 연구" 강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10 허연숙, "자연친화 교육활동에서 나타난 유아와 교사의 경험 탐색"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11 최귀영, "자연친화 교육프로그램이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 및 부모의 자연친화 교육 인식에 미치는 영향" 경남대학교 대학원 2008
12 윤임귀, "자연체험활동이 유아의 창의성 증진에 미치는 효과"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13 소경희, "자연체험활동이 유아의 자연친화적 태도와 미술표현력에 미치는 효과"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14 노언주, "자연체험활동에서 나타나는 유아의 사회·정서행동의 양상" 경남대학교 대학원 2011
15 임미선, "자연체험을 통한 조형활동이 유아의 정서지능 및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16 송혜경, "자연체험을 통한 동시활동이 유아의 정서지능과 정서창의성에 미치는 효과"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0
17 김명희, "자연체험에 기초한 과학활동이 유아의 호기심 및 환경친화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18 정은숙, "자연체험 프로그램에 관한 교사와 학부모의 인식비교 연구"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19 이은숙, "자연체험 교육에 대한 교사와 부모의 인식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20 홍진주, "자연체험 게임 활동이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과 자연친화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21 정경주, "자연생태체험활동이 학생의 환경태도에 미치는 영향"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22 이지혜, "유치원 현직교사와 예비교사의 자연친화교육에 대한 인식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0
23 변순미, "유치원 재원기간에 따른 유아의 사회성숙도와 인기도와의 관계 : W유치원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1994
24 이영미, "유치원 재원 기간에 따른 유아의 발달 능력의 차이 : K 유치원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1998
25 박혜진, "유치원 만 5세 반 유아의 이전 교육경험과 다중지능과의 관계"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26 박애순, "유아의 창의성과 자연이해지능 향상을 위한 자연체험 교육프로그램 개발"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2010
27 황해익, "유아의 제 변인에 따른 수학학습잠재력의 차이 분석"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1 (11): 343-362, 2007
28 조혜진, "유아의 사회·정서발달에 미치는 가족특성, 보육경험 및 기질 변인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4
29 조형숙, "유아를 위한 자연친화교육 프로그램개발 및 평가" 한국유아교육학회 25 (25): 343-366, 2005
30 교육인적자원부, "유아를 위한 자연체험 활동" 교육부 2002
31 김미경, "유아들의 자연체험활동에 대한 교사와 부모의 인식" 고신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32 문희선, "유아들의 시간활용 및 신체활동 실태조사" 명지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2008
33 김현아, "유아교육기관의 생태유아교육 학급운영 실태조사" 총신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34 신은수, "유아교육과정의 설계와 실행을 위한 구성 요인 분석 : OECD 국가의 유아교육과정 비교를 기반으로"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6 (16): 71-91, 2012
35 전경원, "유아 창의적 특성 검사" 학지사 2002
36 차진선, "유아 생태교육에 대한 학부모의 인식 및 실천정도"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37 손선미, "원내 교재원을 활용한 일상적 자연체험활동이 유아의 창의성 증진에 미치는 효과"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38 黃經惠, "어머니의 환경보전 행동이 아동기 자녀의 환경보전 행동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1999
39 임재택, "얘들아! 산책하자" 양서원 2001
40 Cornell, J. B., "아이들과 함께 나누는 자연체험" 우리교육 2002
41 이귀옥, "식물체험활동이 아동의 정서발달에 미치는 영향"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42 이인숙, "숲 체험활동이 유아의 언어표현력 및 자연친화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성신여자대학교교육대학원 2008
43 이경화, "숲 체험을 포함한 생태중심유아교육프로그램이 유아의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44 안화자, "생태체험활동에 따른 유아의 생명존중 인식과 친사회적 행동에 관한 연구" 진주산업대학교 벤처창업대학원 2007
45 정혜란, "생태중심 유아교육집단의 창의성에 관한 연구"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46 황인숙, "생태적 접근에 의한 텃밭 가꾸기가 유아의 환경친화적 태도와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47 손관숙, "생태유아교육이 유아들의 자연친화적 태도와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48 장하나, "생태유아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운영 실태" 원광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49 박귀자, "생태유아교육에 대한 교사와 학부모의 인식에 관한 연구" 경원대학교 사회정책대학원 2008
50 정소희, "생태유아교육에 관한 학부모와 교사의 인식"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51 김송주, "생태유아교육 프로그램이 유아교사 및 유아의 환경친화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52 민광순, "생태유아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원장·교사 및 학부모의 인식과 요구도에 관한 연구" 가톨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53 배경란, "생태유아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원장, 교사 및 학부모의 인식 비교"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54 이경혜, "생태유아교육 실태에 대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8
55 권경임, "생태그림책을 활용한 유아 명상활동이 생명존중 인식과 자연친화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 동국대학교 대학원 2011
56 신지현, "생태그림책을 활용한 생태미술교육이 유아의 환경보전 및 자연친화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57 정영님, "생태 유아교육에 대한 학부모 인식 및 자연물을 이용한 생태 유아 프로그램" 한양대학교대학원 2007
58 박성혜, "생태 그림책을 활용한 자연친화교육 프로그램의 구성 및 적용효과"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8
59 강현주, "생명존중에 대한 유아의 인식과 실천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60 김귀순, "생명존중 유아교육에 대한 부모와 교사의 인식 연구"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61 이희옥, "생명세계 프로젝트가 유아의 생명존중 태도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62 김진아, "산책활동이 유아의 자연친화적 태도와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63 한상복, "산책을 통한 자연 놀이 활동이 유아의 스트레스 행동 및 자연친화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0
64 윤준일, "산책과 텃밭가꾸기를 통한 자연친화활동에 참여한 유아들의 경험"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65 김윤이, "부모의 환경태도 및 환경보전행동과 유아의 환경태도와의 관계"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66 최정화, "동화를 활용한 자연체험활동이 유아의 창의성과 자연친화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강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67 김경옥, "도농 교류를 통한 생태 프로그램이 유아의 정서 지능에 미치는 영향" 광주대학교 대학원 2010
68 김현숙, "교실에서 동물기르기가 유아의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69 李炳來, "父母의 心理的 姿勢와 幼兒의 情緖知能과의 關係" 중앙대학교 대학원 1998
70 Salovey, P., "What is emotional intelligence?" Basic Books 3-31, 1997
71 Musser, L. M., "The children's attitudes toward the environment scale for preschool children" 30 (30): 23-30, 1999
72 Millbrath, L., "Envisioning a sustainable society: Learning our way"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1989
73 Devall, B., "Deep ecology" Peregrine Smith Books 1985
74 한상경, "'텃밭 가꾸기와 연계한 요리활동'이 유아의 환경친화적 태도와 과학적 탐구능력에 미치는 영향"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2006
영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의 역할지능과 행복감 간의 관계
유아 공동체의식, 정서지능, 친사회적 행동 간의 관계 분석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2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61 | 1.61 | 1.61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73 | 1.7 | 1.654 | 0.4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