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새로운 동기정류기 이용한 고효율 하프브리지 DC-DC 컨버터

        유두희,정강률 순천향대학교 부설 산업기술연구소 2007 순천향 산업기술연구소논문집 Vol.13 No.1

        This paper presents a high efficiency half-bridge dc-dc converter using a novel synchronous rectifier. After conventional self-driven synchronous rectifier technique applied to each conventional converter is briefly reviewed, the new topological self-driven synchronous rectifier applied to the proposed converter is briefly described. The new topological synchronous rectifier increases the system efficiency using low on-resistance of its switches and its switch conduction time extension to the whole switching period, which is one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asymmetrical half-bridge converter. The synchronous rectifier type used in the proposed converter is a little modified type of the conventional synchronous rectifier used in the conventional asymmetrical half-bridge converter, which changes the transformer structure and synchronous rectifier switch connection. The operational principle of the proposed half-bridge dc-dc converter is explained, and according to this, a design consideration is shown. As the proposed converter utilizes the transformer leakage inductance as the resonant inductance, its structure is more simplified. The circuit operation and mathematical analysis of the proposed converter are given in detail. Also it is shown through the experimental results that the proposed converter operates excellently as a high efficiency converter.

      • SCOPUSKCI등재
      • 바이칼린 함유 생약의 제제화 및 생체 이용률 (제 2보) : 황금 및 황련 공침물의 장내 흡수 및 항균 효과 Gastro-Intestinal Absorption and Antibacterial Effect of Coprecipitated Product of Scutellariae Radix and Coptidis Rhizoma

        양재헌,김동수,류희두,이남희 우석대학교 의약품개발연구소 1996 藥學硏究誌 Vol.1 No.-

        Precipitation was formed during the preparation of decoction from mixure of Scutellariae Radix and Coptidis Rhizoma or Phellodendri Cortex according to the prescription of Hwang-ryean-hae-dog-tang. Baicalin and berberine, the active ingredients of the two herbal medicine were identified in coprecipitated product. Pills were prepared using the coprecipitated product and various binders. The dissolution rate of baicalin and berberine from pills was increased in at pH1.2 when acacia or tragacanth was used. The absorption rate of baicalin from the coprecipitated product was raster than the from Scutellaria extract, but the absorption of berberine from CPP was slower in stomach, duodenum and jejunum of rats compared with Coptis expract. The time equired for the maximum serum concentration (Cmax) of baicalin and berberine from CPP in mice were 150 and 200 min after oral administration. respectively. The maximum serum concentration of baicalin from CPP in mice was higher than Scutellaria extract, but the concentration of berberine was lower compared with Coptis extract. The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of CPP was below 50 ug/ml against gram positive bacteria, and was higher than that against gram negative bacteria. The antibacterial activity of CPP was lower than the of berberine.but was more potent than Scutellaria extract. It was found that the ingibition rates of growth by CPP against S. cpidermidis, K. pneumoniae, B cereus and S. aureus were 60.1, 5.11, 45.4, and 39.9%. respectively.

      • KCI등재
      • SCOPUSKCI등재

        백서 뇌하수체 성장호르몬 종양세포의 Chicken Lysozyme 유전자 갑상선호르몬 반응요소에서 갑상선호르몬 수용체 역동학에 미치는 T₃효과 분석

        이성진,박철영,정인경,홍은경,최철수,김현규,김두만,유재명,임성희,최문기,유형준,박성우,Larsen, P. Reed 대한내분비학회 2003 Endocrinology and metabolism Vol.18 No.4

        연구배경: 유전자 전사과정은 증강부위 (enhancer) 또는 억제부위(silencer)의 복합작용을 통하여 조절되며 chicken Iysozyme 유전자의 억제부위는 두 개의독립적인 전사인자 결합부위 (Fl과 F2)를 가지는데 Fl부위는 75~93 kD 크기의 NePl 단백질이 결합하는 위치인 반면 역위회문구조(inverted palindrome, InvPal)의 F2 부위는 갑상선호르몬 수용체가 결합하는 갑상선호르몬 반응요소인 동시에 갑상선호르몬 수용체에 대해 높은 친화력을 가지고 있다. 실험적으로 Fl부위 또는 F2 부위 (이하 F2-TRE 부위)를 각각 다량체화(multimerization) 하였을 때 전사억제효과가 증가하였다는 연구 결과는 Fl 부위와 F2-TRE 부위가 서로 독립적으로 기능하는 구조임을 시사하고 있으며chicken Iysozyme 유전자의 억제부위가 완전한 전사억제효과를 가지기 위해서는 Fl 부위와 F2-TRE 부위가 모두 필요함이 보고 되어 있다. 현재 갑상선호르몬에 의한 chicken Iysozyme 유전자 조절기전을 규명하기 위해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73 자극 전 ·후 갑상선호르몬 수용체의 역동학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거의 보고된 바 없으며 이와 관련하여 저자들은 치근 사람의 간암세포주인 HepG2 세포에서 T₃ 자극전 ·후 갑상선호르몬 반응요소인 IRE2 부위에 대한 갑상선호르몬 수용체의 결합이 교대로 이루어지고 있음을 염색체 면역침전법 (chromatin immunoprecipitation, ChIP) 및 정량적 중합효소연쇄반응을 이용하여 확인한 바 있다. 이에 저자들은 본 연구에서 F2-lRE 부위를 포함하는 백서 뇌하수체 종양세포주인 GC8 세포를대상으로 염색체 면역침전법과 중합효소연쇄반응을 이용하여 갑상선호르몬 자극 전 후 시간적 순서에 따라 F2-TRE 부위에 결합하는 갑상선호르몬 수용체의 결합양상 변화를 분석함으로써 갑상선호르몬 수용체의 역동학적 모델을 제시하여 보고자 하였다. 방법: thymidine kinase(TK) promoter의 5' 부위에 chicken Iysozyme silencer의 고친화력 갑상선호르몬 반응요소(F2-TRE 부위)가 삽입된 플라스미드,mouse TRα gene이 삽입된 플라스미드, neomycinresistance gene이 삽입된 플라스미드를 백서 뇌하수체성장호르몬 종양세포인 GC 세포에 각각 주입하여 제작한 GC8 세포주를 사용하였다. 100 αM T₃를 투여하기 전과 투여한 후 12시간 뒤 TRαl, TRβl, TRβ2 항체를 이용하여 염색체 면역침전법과 고식적 중합효소연쇄반응 및 정량적 중합효소연쇄반응을 시행하였다. 각 갑상선호르몬 수용체 항체의 양을 1.5μL에서 4.5μL로 바꾸어 첨가한 후 동일한 방법으로 염색체 면역침전법을 반복하여 시행하였다. 100nM T₃를 투여하기전과 투여한 후 20분, 1시간, 2시간, 4시간, 6시간, 8시간, 12시간 뒤 TRαl, TRβl, TRβ2 항체를 이용하여 염색체 면역침전법을 시행하였다. 100nM T₃를 투여하기 전과 투여한 후 12시간 뒤 TRαl, TRβl, TRβ2 단백질의 발현량을 알아보고자 Western blot을 시행하였다. 결과: 100 nM T₃를 투여하기 전과 투여한 후 12시간 뒤 염색체 면역침전법과 F2-TRE 시발체를 이용한 고식적 중합효소연쇄반응을 시행하였을 때 T₃를 투여한 후 12시간 뒤 TRα1과 TRβ2의 결합은 증가한 반면 TRβl의 결합은 감소하였다. 정량적 중합효소연쇄반응으로 갑상선호르몬 수용체의 결합량을 측정하였을 때TRα1은 T₃ 투여 전 1.01에서 T₃ 투여 후 2.73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TBβl은 T₃ 투여 전 4.59에서 T₃투여 후 2.06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TRβ2는 T₃ 투여 전 2.53에서 T₃ 투여 후 2.98로 증가하는 경향을보였다(TRα1, Δ=+170.3%, p<0.05; TRαl, Δ=-55.1%, p<0.05; TRβ2, Δ=+17.8%). 정량적 중합효소연쇄반응으로 측정한 갑상선호르몬 수용체의 전체 결합량은 T₃ 투여 전 8.13에서 T₃ 투여 후 7.77로 감소하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Δ=-4.4%).100nM T₃ 투여 전 ·후 시간별로 염색체 면역침전법과 정량적 중합효소연쇄반응을 시행하였을 때 TRα1 결합량은 T₃ 투여 후 20분과 6시간 뒤 각각 증가하였으며 TRβ2 결합량은 T₃ 투여 후 20분 뒤 최고치까지 증가하였다가 2시간 뒤부터 감소하였다. 그러나 TRαl 결합량은 T₃ 투여 후 1시간 뒤 최저치까지 감소되었다가 이후 지속적으로 유지되는 경향을 보였다. 100 nM T₃ 투여 전과 투여 후 2시간 뒤 갑상선호르몬 수용체의 결합량을 비교하였을 때 TRα1은 219.8% (1.01→3.23), TRβ2는 9.9% (2.53→2.78) 증가하였으나 TRβ1은 52.9% (4.59-)2.16) 감소하였으며 결합량 변화의 방향은 100 naM T₃ 투여 후 4시간 뒤와 6시간 뒤 갑상선호르몬 수용체 결합량 변화의 방향과 일치하였다(TRα1, 2.89→4.09, Δ =+41.5%; TRβl, 2.33→2.04, Δ=-12.4%; TRβ2, 2.57→2.59, Δ=10.8%). 갑상선호르몬 수용체 항체를 1.5 μL 또는 4.5 μL 투여한 후 F2-TRE부위에 대한 염색체 면역침전법 및 정량적 중합효소연쇄반응을 각각 시행하였을 때 첨가한 갑상선호르몬 수용체 항체의 양에 따른 갑상선호르몬 수용체결합량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100 nM T₃를 투여하기 전과 투여한 후 12시간 뒤 Western blot을 시행하였을 때 갑상선호르몬 수용체 발현량의 유의한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 결론: 본 연구에서 관찰된 T₃ 자극 전 · 후 chickenIysozyme 유전자의 F2-TBtE 부위에 대한 갑상선호르몬 수용체 이성체의 교대현상 및 시간적 순서에 따른 갑상선호르몬 수용체 결합양상의 변화가 나타내는 의미에 대하여 추시 연구가 필요함은 물론 추가적으로 다른 유전자 또는 다른 종류의 세포주를 대상으로 T₃자극에 따른 갑상선호르몬 수용체 결합양상의 변화와유전자 발현을 검토하여야 할 것이다. 한편 본 연구 결과만으로는 갑상선호르몬 수용체 역동학에 대한 많은 의문점을 풀 수 없음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국내외적으로 갑상선호르몬 수용체의 역동학에 대한 연구 결과가 거의 없는 현실을 고려하여 볼 때 본 연구는 제한적이나마 일정한 농도의 갑상선호르몬 자극 전ㆍ후chicken Iysozyme 유전자의 F2-TRE 부위에서 갑상선호르몬 수용체의 교대현상을 재확인하였다는 점과 갑상선호르몬 자극 전 · 후 시간적 순서에 따른 갑상선호르몬 수용체의 역동학적 모델을 처음으로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Background: The regulation of gene transcription can be controlled by both positive (enhancer) and negative (silencer) regulatory sequences. Several enhancer and silencer elements have been described in the 5' region of the chicken lysozyme gene. The silencer located at -2.4 kb upstream of the chicken lysozyme gene is composed of two separate modules (Fl and F2) that can function as silencers by themselves, but also show synergistic repression after multimerization. The F1 module is bound by a protein termed NePl and F2 module, a F2 thyroid hormone response element (F2-TRE), and can be bound by the thyroid hormone receptor (TR). F2-TRE has an inverted palindromic structure, with high affinity to TR. Although many current reported results have tried to explain the regulatory mechanism of chicken lysozyme gene expression due to the thyroid hormone, there have been few studies that clarify the TR dynamics in the F2-TRE of the chicken lysozyme gene, either with or without exposure of the thyroid hormone. Here, the changes in the TR binding patterns in the F2-TRE of the chicken lysozyme gene are described, both before and after T₃ stimulation over time. Methods: Using the stably transfected rat pituitary somatotroph tumor cell line, GC8 cells, with the F2-TRE inserted 5' to the thymidine kinase (TIC) promoter, together with a mouse TRα - expressing plasmid, a chromatin immunoprecipitation (ChIP) technique was employed to reveal the TR-TRE interaction before and after T₃ stimulation. Following the cross-linking and sonication of the cells, the immunoprecipitation was performed overnight, at 4℃, with TRαl, TRβl and TRβ2 antibodies, respectively. The binding patterns and amounts of TRαl, TRβ1 and TRβ2 to the F2-TRE, before and after 12 hours of 100nM T₃ stimulation, were analyzed using conventional and quantitative real-time polymerase chain reactions (RQ-PCR). The ChIP technique was used to give a basal value for 20 minutes and 1, 2, 4, 6, 8 and 12 hours after the 100nM T₃ stimulation, and RQ-PCR was then performed. Western blot with TRαl, TRβl and TRβ2 antibodies were also performed. Results: After 12 hours of 100 nM T₃ stimulation of the GC8 cells, the TRα1 and TRβ2 binding to the F2-TRE increased, but the TRβ1 binding to the F2-TRE decreased, by conventional PCR. Although all the TR isoforms were bound to the F2-TRE by RQ-PCR, the TRαl binding to the F2-TRE, after 12 hours of l00nM T₃ stimulation, was significantly increased (1.01→2.73, Δ =+170.3%, p<0.05), but the change in the amount of TW2 binding was not significant (2.53→2.98, Δ=+17.8%). The TRβl binding was significantly decreased compared with that of the basal level (4.59→2.06, Δ=-55.1%, p<0.05). The total TR bindings to the F2-TRE had a tendency to decrease after 12 hours of 100 nM T₃ stimulation (8.13→7.77, Δ=-4.4%). The binding patterns and amounts of TRαl, Tβl and Tβ2, both before and after the 100 nM T₃ stimulation, were also identified over time. While the TRβl bindings to the F2-TRE after 1 hour of l00nM T₃ stimulation were acutely reduced, those of the TRαl at 20 minutes and 6 hours were increased. The TRβ2 bindings showed a maximal increase at 20 minutes. The directions of the TR binding patterns, between the before and after 2 hours of 100nM T₃ stimulation, were identical to those for between 4 and 6 hours of T₃ stimulation.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TR bindings to the F2-TRE in relation to the amounts (1.5 vs. 4.5μ I) of TR antibodies used during the ChIP assays. The Western blots showed no significant change of the levels of each TR isoform proteins, either before or after 12 hours of exposure to 100nM T₃. Conclusion: These results show the dynamic binding patterns of the TR isoforms to the F2-TRE of the chicken lysozyme gene, both before and after T₃ stimulation, over time. Further investigation, however, will be needed to clarify the mechanisms of our observations. The ChIP technique may then be used to reveal the dynamic models of the cofactors, as well as TR isoforms, in the TR-regulated transcription machinery (J Kor SOC Endocrinol 18:379-391, 2003).

      • SCOPUSKCI등재

        제1형 탈요오드효소 유전자 갑상선호르몬 반응요소에서 T₃자극에 따른 갑상선호르몬 수용체 역동학 모델

        이성진,박철영,정인경,홍은경,최철수,김현규,김두만,유재명,임성희,최문기,유형준,박성우,Larsen, P. Reed 대한내분비학회 2003 Endocrinology and metabolism Vol.18 No.3

        연구배경: 제1형 탈요오드효소의 발현에 관여하는 hdiol 유전자는 5 flanking region 내 서로 다른 특성을 가진 두 종류의 갑상선호르몬 반응요소, 즉 TREI과 TRE2를 가지고 있음이 알려져 있다. 사람의 간암세포주인 HepG2 세포에서 T₃를 투여하였을 때 hdiol유전자의 전사작용이 급격하게 증가하는데 hdiol mRNA가 충분히 발현하기 위해서는 두 종류의 갑상선호르몬 반응요소가 모두 필요함이 보고 되어 있으나 T₃ 투여시 갑상선호르몬 반응요소와 결합하는 갑상선호르몬 수용체의 역동학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연구된바 없다. 한편 현재까지 보고 된 연구 결과들은 갑상선호르몬 자극이 없더라도 갑상선호르몬 수용체와 갑상선호르몬 반응요소가 서로 지속적으로 상호작용 한다는 전제 조건을 바탕으로 하고 있는데 아직까지 이러한 가정은 간접적으로만 증명되어 있는 상태이다. 이에 저자들은 본 연구에서 사람의 간암세포주인 HepG2세포를 대상으로 염색체 면역침전법과 중합효소연쇄반응을 이용하여 갑상선호르몬 자극 전·후 hdiol 유전자의 갑상선호르몬 반응요소에 결합하는 갑상선호르몬 수용체의 결합양상 변화를 분석함과 동시에 갑상선호르몬 자극 전에도 갑상선호르몬 수용체와 갑상선호르몬 반응요소가 서로 결합된 상태로 존재함을 직접적으로 확인하고자 하였다. 방법: 사람의 간암세포주인 HepG2 세포를 대상으로 100 nM T₃를 투여하기 전과 투여한 후 12시간 뒤 TRα1, TR 1, TR 2 항체와 IREI, TRE2에 상보적인 시발체를 이용하여 염색체 면역침전법과 고식적 중합효소연쇄반응 및 정량적 중합효소연쇄반응을 시행하였다. 100nM T₃를 투여하기 전과 투여한 후 12시간 뒤 hdiol mRNA 발현량의 변화를 정량적으로 측정하기 위하여 역전사 중합효소연쇄반응을 시행하였다. 100 nM T₃를 투여하기 전과 투여한 후 12시간 뒤 TR4'1, TR 1, TR 2 단백질의 발현량을 알아보고자Western blot을 시행하였다. 결과: 100 nM T₃를 투여하기 전과 투여한 후 12시간 뒤 염색체 면역침전법과 TREI 시발체를 이용한 고식적 중합효소연쇄반응을 시행하였을 때 T₃ 투여 전후 TREI 부위에는 TRgl이 결합하였으며 T₃를 투여한 후 TRal 결합이 감소하였다. 정량적 중합효소연쇄반응으로 TR4'1 결합량을 측정하였을 때 T₃ 투여 전3.74에서 T₃ 투여 후 1.97로 감소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Δ=-47.3%, p<0.05). T₃ 투여 전 ·후 TRβl과 TRβ2의 결합은 관찰되지 않았다. 100 nM T₃를 투여하기 전과 투여한 후 12시간 뒤 염색체 면역침전법과 TRE2 시발체를 이용한 고식적 중합효소연쇄반응을 시god하였을 때 T₃ 투여 전ㆍ후 TRE2 부위에는 TRα1, TR 1, TR 2가 모두 결합하였으며 T₃를 투여한 후 TRα1과 TR 1의 결합은 감소하였으나 TR 2의 결합은 증가하였다. 정량적 중합효소연쇄반응으로 갑상선호르몬 수용체의 결합량을 측정하였을 때 TRαl은 T₃ 투여 전 10.41에서 T₃ 투여 후 3.01, TRβl은 T₃ 투여 전 12.56에서 T₃ 투여 후 2.93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TRβ2는 T₃ 투여 전 9.17에서 T₃ 투여 후 9.84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TRα1, Δ=-71.1%, p<0.05; TR 1, Δ=-76.7%, p<0.05; TR2, Δ=+7.3%). 정량적 중합효소연쇄반응으로 측정한 갑상선호르몬 수용체의 전체 결합량은 T₃ 투여 전 32.14에서 T₃ 투여 후 15.78로 감소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Δ=-50.9%, p.0.05). 갑상선호르몬 수용체 항체를 1.5μL와 4.5μL 첨가한 후TREI과 TRE2에 대하여 염색체 면역침전법 및 정량적 중합효소연쇄반응을 각각 시깡하였을 때 첨가한 갑상선호르몬 수용체 항체의 양에 따른 갑상선호르몬 수용체 결합량의 차이는 없었다. 100 nM T₃를 투여하기전과 투여란 후 12시간 뒤 역전사 중합효소연쇄반응 및 hdiol cDNA 시발체를 이용한 정량적 중합효소연쇄반응을 시행하였을 때 T₃를 투여한 후 hdiol mRNA발현량은 2.03배 증가하였다(p<0.001). 100 nM T₃를 투여하기 전과 투여한 후 12시간 뒤 Western blot을 시행하였을 때 갑상선호르몬 수용체 발현량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 현재까지 갑상선호르몬 수용체의 역동학에 대한 연구가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던 실정을고려하여볼 때 본 연구는 제한적이나마 일정한 농도의 갑상선호르몬 자극 전 · 후 갑상선호르몬 수용체 결합양상의 변화, 특히 T₃ 자극 전 hdiol 유전자의 TREI 부위에서 TRal이 억제자 (silencer)로서 작용할 가능성 및 T₃자극 전 · 투 TRE2 부위에서 갑상선호르몬 수용체 교대현상을 처음으로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향후 다른 종류의 세포주 및 체내에서 갑상선호르몬 자극 전 후 갑상선호르몬 수용체 결합양상의 변화 및 유전자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할 필요가 있으리라 생각된다. 한편 염색체 면역침전법을 통해 HepG2 세포에서 T₃ 자극이 없더라도 갑상선호르몬 수용체와 갑상선호르몬 반응요소 사이에 지속적인 상호작용이 존재할 뿐 아니라 갑상선호르몬 반응요소에 대한 갑상선호르몬 수용체의 결합이 교대로 이루어지고 있음을 직접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으며 향후 T₃ 자극 전 · 후 갑상선호르몬 수용체를 통한 유전자 전사조절기전에 관여하는 전사인자와 역동학적 기전을 규명함에 있어서 염색체 면역침전법과 정량적 중합효소연쇄반응이 매우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Background: Type 1 iodothyronine deiodinase (Dl), the product of the hdiol gene, is involved in thyroid hormone activation by the deiodination of thyroxine (T4) to form 3,5,3'-triiodothyronine (T3). Recent studies have identified two thyroid hormone response elements (TREs) in the 5 ' flanking region of the hdiol gene. TRE1, proximal to TRE in the hdiol gene, consists of a direct repeat of thyroid hormone receptor (TR) binding octamers with 10 bp separating the two TR binding sites. The upstream TRE, TRE2, is a classical direct repeat of retinoid X receptor (RXR)/TR binding half-sites with a 4-bp separation. There are few studies clarifying the TR dynamics in the TRE of a specific gene with or without the exposure of activated thyroid hormone. We evaluated TR binding patterns in the proximal and distal TREs of the hdiol gene before and after T₃ stimulation. Methods: We employed chromatin immunoprecipitation (ChIP) technique to investigate the TR- TRE interaction before and after T₃ stimulation in human hepatocellular carcinoma HepG2 cell line. Following cross-linking and sonication of the cells, immunoprecipitation was performed overnight at 4℃ with TRαl, TRβ1 and TRβ2 antibodies. We analyzed the binding patterns and amounts of TRαl, TRβl and TRβ2 to TREl and TRE2 before and after 12 hours stimulation with 100 nM T3 by using conventional and quantitative real-time polymerase chain reactions (RQ-PCR). Reverse transcriptional PCR (RT-PCR) and Western blot with TR 1, TR 1 and TR 2 antibodies were performed to measure the levels of hdiol mRNA and TR 1, TR 1 and TR 2 proteins before and after 12 hours exposure to l00nM T3. Results: In TRE1, TRαl binding was significantly decreased after 12 hours stimulation with l00nM T3 (3.74→97, Δ=-47.3%, p<0.05), but TRβ1 and TRβ2 bindings were not detected by conventional PCR and RQ-PCR. Although all TR isoforms were bound to TRE2, the binding patterns were quite different. While TRα1 and TRβ1 bindings to TRE2 after 12 hours stimulation with 100 nM T3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10.41→3.01, Δ=-71.1%, p<0.05; 12.56 →2.93, Δ =-76.7%, p<0.05, respectively), TRβ2 binding was increased but not significantly (9.17 →9.84, Δ =+7.3%). Total TR bindings in TRE2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after 12 hours stimulation with 1OOnM T₃ (32.14 →15.78, Δ=-50.9%, p<0.05). The TR bindings to TREl and TRE2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y the amounts of TR antibodies used during ChIP assays. The levels of hdiol mRNA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2.03 times, after 12 hours exposure to l00nM T3 (p<O.001). Western blot showed no significant change of the level of each TR isoform protein before and after 12 hours exposure to 100nM T3. Conclusion: Our results demonstrate the dynamics of TRal at proximal TRE (TRE1) and the switching phenomenon of TR isoforms at distal TRE (TRE2) of the hdiol gene after T3 stimulation. Further investigation, however, is needed to clarify the mechanisms of these observations (J Kor SOC Endocrinol 18:283-295, 2003).

      • SCOPUSKCI등재

        부신피질 호산성 과립세포종 1예

        이성진,이호권,박철영,정인경,홍은경,오기원,김현규,김두만,유재명,임성희,최문기,유형준,박성우 대한내분비학회 2004 Endocrinology and metabolism Vol.19 No.1

        저자들은 건강검진에서 시행한 복부 초음파검사상 우연히 좌측 부신 종괴가 발견되어 복부 전산화 단층 촬영검사와 호르몬검사를 시행한 후 부신피질 악성종양과의 감별 진단을 위해 부신절제술과 전자현미경검사를 포함한 병리조직학적 검사를 시행하여 부신피질호산성 과립세포종으로 진단한 증례를 경험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Oncocytomas are neoplasms, histologically are composed of epithelial cells, with abundant, acidophilic and granular cytoplasm. Electron microscopic studies of oncocytomas have shown that the cytoplasm of oncocytes is packed with mitochondria. The adrenal gland is a very rare anatomical site for oncocytomas, and to the best of our knowledge, only thirty-six cases of adrenal oncocytomas have been described. Herein, a case of a large adrenal mass in a forty-year-old man, which was incidentally detected by abdominal ultrasonography, is presented. This patient demonstrated no clinical manifestation associated with adrenal hyperfunction. Hormonal studies showed no abnormal findings, except for a mild elevation of the 24-hour urinary VMA level. Abdominal computed tomography with enhancement revealed a large, well-defined left adrenal mass, measuring 5.0×4.2 ×3.0 cm. The patient underwent a left adrenalectomy, and a light microscopic examination confirmed an adrenocortical oncocytoma, with characteristic oncocytes and polygonal, abundant, eosinophilic and granular cytoplasm. The tumor cells were positive for cytokeratin and vimentin as well as S-100, but negative for chromogranin on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An electron microscopic examination demonstrated closely packed mitochondria, containing intramitochondrial inclusions. After surgery, there was no evidence of a recurrent or distant metastatic disease at the 5 month follow-up. In summary, an extremely rare case of a man with an adrenocortical oncocytoma is reported, which was confirmed by histological examinations, including electron microscopy (J Kor Soc Endocrinol 19:82∼89, 2004).

      • SCOPUSKCI등재
      • SCOPUSKCI등재

        Malignancy in Patients With Inborn Errors of Immunity Beyond Infectious Complication: Single Center Experience for 30 Years

        ( Doo Ri Kim ),( Kyung-ran Kim ),( Hwanhee Park ),( Joon-sik Choi ),( Yoonsun Yoon ),( Sohee Son ),( Hee Young Ju ),( Jihyun Kim ),( Keon Hee Yoo ),( Kangmo Ahn ),( Hee-jin Kim ),( Eun-suk Kang ),( Ju 대한소아감염학회 2023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Vol.30 No.3

        목적: 선천면역장애 환자들은 감염에 취약할 뿐만 아니라, 면역이 정상인 사람들에 비해 암 발생률도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단일 기관에서 추적 중인 선천면역장애 환자들에서의 암 발생을 조사하여 보고자 하였다. 방법: 1994년 11월부터 2023년 9월까지 삼성서울병원에서 선천면역장애 진단 하에 추적하는 환자를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의무기록을 리뷰하였다. 선천면역장애 환자 중에서 암으로 진단된 환자를 확인하였다. 결과: 총 194명의 선천면역장애 환자 중, 7명(3.6%)의 환자에서 암이 진단되었다. 5명의 환자가 림프종으로 진단받았으며 그 중 4명의 환자는 Epstein-Barr 바이러스 연관 림프종이었다. 나머지 암은 위암과 다발 골수종이었다. 암 진단 당시 나이는 중앙값 18세 (범위, 1세-75세)였다. 암이 발생한 환자들의 면역결핍 질환은 X-linked lymphoproliferative disorder-1 (XLP-1) 3명, activated phosphoinositide 3-kinase delta disease (APDS) 2명, cytotoxic T-lymphocyte antigen 4 (CTLA-4) haplo-insufficiency 2명이었다. 개별 질환별로 분석하였을 때, XLP-1 환자의 75.0%, APDS 환자의 40.0%, CTLA-4 환자의 50.0%에서 암이 발생하였다. XLP-1 환자는 APDS 및 CTLA-4 haplo-insufficiency 환자에 비해 더 이른 나이에 암이 발생하였다 (중앙연령 5세, P<0.001). 한 명은 조혈모세포 이식 치료 중 사망하였다. 결론: 국내 단일 기관에서 진료받는 선천면역장애 환자들의 3.6%에서 암이 발생하였다. 선천면역장애 환자들을 진료하는 의료진들은 이들 환자에서 감염이나 염증 등의 문제외에도 암 발생의 가능성, 특히 Epstein-Barr 바이러스 감염과 연관된 암의 비중이 높은 것에 대한 인식을 갖는 것이 중요하다 Purpose: Cancer incidence is known to be higher in patients with inborn errors of immunity (IEI) compared to the general population in addition to traditionally well-known infection susceptibility. We aimed to investigate cancer occurrence in patients with IEI in a single center. Methods: Medical records of IEI patients treated at Samsung Medical Center, Seoul, Korea were retrospectively reviewed from November 1994 to September 2023. Patients with IEI and cancer were identified. Results: Among 194 patients with IEI, seven patients (3.6%) were diagnosed with cancer. Five cases were lymphomas, 4 of which were Epstein-Barr virus (EBV)-associated lymphomas. The remaining cases included gastric cancer and multiple myeloma. The median age at cancer diagnosis was 18 years (range, 1-75 years). Among patients with cancer, underlying IEIs included X-linked lymphoproliferative disease-1 (XLP-1, n=3), activated phosphoinositide 3-kinase delta syndrome (APDS, n=2), and cytotoxic T-lymphocyte antigen 4 (CTLA-4) haplo-insufficiency (n=2). Seventy-five percent (3/4) of XLP-1 patients, 40.0% (2/5) of APDS patients, and 50.0% (2/4) of CTLA-4 haplo-insufficiency patients developed cancer. Patients with XLP-1 developed cancer at earlier age (median age 5 years) compared to those with APDS and CTLA-4 (P<0.001). One patient with APDS died during hematopoietic cell transplantation. Conclusions: Cancer occurred in 3.6% of IEI patients at a single center in Korea. In addition to infectious complications and inflammation, physicians caring for IEI patients should be aware of the potential risk of cancer, especially in association with EBV infec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