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자유의지와 결정론, 그리고 도덕적 책임

        김형철 한국가톨릭철학회 2006 가톨릭철학 Vol.0 No.8

        Everything in the world, including human will, action, inanimate things and etc., is subject to laws of nature, whether it is created by God or existing as it is. Is it possible for the concept of free will to be viable, if that statement is true? If it is the case that whatever we are doing is determined, or is able to be explained by the laws of nature, how could we be morally responsible for something beyond our own control? I would like to argue the following in this paper: 1) if free will means something uncaused, or not subject to the chain of causality, it is not compatible with determinism in the natural world, 2) we should be responsible for some action, even if it is caused by some prior events or action, 3) altho! ugh determinism is not compatible with free will, it is not only compatible with but also required by moral responsibility. We all are born into this world regardless of our own choice. But despite of this forever- unchanging-fact, we are responsible for our own action. As long as we try to hold for the concept of moral responsibility, we can jettison that of free will as something totally free from everything, which is incompatible with determinism. For moral responsibility is a valuable concept for the sake of human society’s order and development. The idea of determinism need not be in conflict with, rather required by that of God, unless God has created the world randomly. Of course, unless we were a radical libertarian arguing that everything is undetermined inherently so that no laws of nature whatsoever is possible, determinism is a consistent belief about the world. 자유의지, 인간 행위, 무생물을 포함한 세계에 존재하는 모든 것들은, 신에 의해서 창조되었건 원래 존재하건 간에, 자연법칙의 지배를 받는다. 만약 이 명제가 참이라면, 자유의지 개념이 온전할 수 있는가? 만약에 우리가 하는 모든 행동이 결정되어 있다면, 혹은 자연법칙에 의해서 설명될 수 있다면, 어떻게 우리는 통제 범위 밖에 있는 것에 대한 도덕적 책임을 질 수 있는가? 나는 다음과 같은 점을 논문에서 주장하고자 한다. 1) 만약 자유의지가 무원인적인 것이거나 혹은 인과 사슬에 구속되지 않는 것이라면, 그러한 의미의 자유의지는 자연 세계 내에 있는 결정론과 양립 가능하지 않다. 2) 우리는 어떤 이전에 존재하는 사건이나 행동에 의해서 결정된 행동에 대해서조차도 책임을 져야 한다. 3) 비록 결정론이 자유의지와는 양립 가능하지 않다고 하더라도, 도덕책임과는 양립 가능할 뿐만 아니라 요구된다. 우리 모두는 우리의 선택과 관계없이 이 세계에 태어난다. 그러나 이러한 영구불변의 사실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자신의 행위에 대하여 책임을 진다. 우리가 도덕책임 개념을 유지하고자 하는 한, 우리는 결정론과 양립 불가능한 자유의지 개념을 포기해야 한다. 도덕책임은 인간 사회의 질서와 발전을 위하여 가치 있는 개념이기 때문이다. 결정론 개념은, 신이 세계를 임의적으로 창조하지 않았다면, 신 개념과 갈등을 일으키지 않을 뿐만 아니라, 오히려 요구된다. 물론 우리가 모든 것이 원래 결정되지 않는 것이라서 어떠한 자연법칙도 불가능하다고 주장하는 극단적 자유주의자가 아니라면, 결정론은 세계에 대한 일관된 믿음이다.

      • KCI등재

        클래스핏 트레이닝이 아동의 체력과 전전두엽 실행기능에 미치는 영향

        김형철,김경래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1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the 12-week Class-fit training exercise program on physical fitness and prefrontal executive function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provide base data needed to use Class-fit training as physical fitness and prefrontal executive function improvement program of students. Methods In order to accomplish the purpose of this study, 36 sixth-grade students at E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Seoul, were selected by convenience sampling and allocated 18 students each for the exercise group and the control group. Each group was measured for physical fitness and prefrontal executive function before and after the exercise. Class-fit training was implemented for 40 minutes of 3 times each week for 12 weeks. Results The results obtained through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muscle endurance, cardiovascular endurance, flexibility, power showed interaction effects in the group and time. Second, raw color-word score showed interaction effects in the group and time. Word raw score, color raw scor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iming, particularly the post score of exercise group increased significantly. Conclusions In conclusion, 12-week Class-fit training had positive effect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for physical fitness and prefrontal execution function. Class-fit training will make a contribution to the exercise program to help improve physical fitness and cognitive function. 목적 본 연구에서는 클래스핏 트레이닝(주 3회 40분씩, 총 12주간)의 참여가 아동의 체력과 전전두엽 실행기능에 미치는 영향을규명함으로써 학교 현장에서 체력 및 실행기능 향상 프로그램으로 클래스핏 트레이닝을 활용하는 데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였다. 방법 실험 참여자는 자발적 참여 의하를 밝힌 초등학교 6학년 2학급을 편의 표집(운동집단 18명, 비교집단 18명)한 후 연구의 목적, 절차, 예상효과를 설명하고 학부모의 연구 참여 동의서를 받은 후 실험에 참여하였으며, 운동 전과 후의 체력과 전전두엽 실행기능을측정하였다. 측정 자료는 SPSS 21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체력은 근지구력, 심폐지구력, 유연성, 순발력 모든 하위 변인에서 집단과 측정시기별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났다. 둘째, 전전두엽 실행기능은 하위 변인 중 색상-단어 점수 변인에서 집단과 측정시기별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났다. 단어 점수와 색상 점수 변인은 측정시기에서 유의한 차가 나타났고, 특히 운동집단의 사후 결과 값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결론 12주간의 클래스핏 트레이닝은 초등학생의 체력과 전전두엽 실행기능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클래스핏 트레이닝이 학교 현장에서 학생들의 체력 및 인지기능 향상을 위한 운동 프로그램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