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흰뺨검둥오리의 지역간 월동서식지이용 비교분석

        황종경,신만석,강용명,윤하정,최지다,정우석,이준우 한국환경생태학회 2016 한국환경생태학회지 Vol.30 No.4

        본 연구는 야생동물위치추적기(WT-300, GPS-Mobile Phone Based Telemetry, KoEco)를 이용하여 도심지역과 농촌지역에서 월동하는 흰뺨검둥오리의 서식지 이용을 파악하여 국내 수조류 서식지 보호∙관리의 기초자료로 활용하 고자 수행하였다. 연구지역은 경기도 안성시의 도심하천인 안성천과 해남의 산수저수지로 지역별로 각각 흰뺨검둥오리 5개체에 위치추적기를 부착하였다. 흰뺨검둥오리의 행동권 분석은 GIS용 SHP 파일과 ArcGIS 9.x Animal Movement Extension을 이용하였으며, 커널밀도측정법(Kernel Density Estimation : KDE)과 최소볼록다각형법(Minimum Convex Polygon Method : MCP)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흰뺨검둥오리의 행동권은 최소볼록다각형법에 의하면 안성은 250.8 ㎢(SD=195.3, n=5), 해남은 89.1㎢(SD=69.6, n=5)이였다. 커널밀도측정법에 의한 50% 이용면적은 안성은 21.8㎢ (SD=26.9, n=5), 해남은 3.5㎢(SD=2.2 n=5)로 해남지역에서 좁은 행동권을 보였다. 흰뺨검둥오리의 서식지 이용을 보면 안성과 해남지역 모두 내륙습지와 논을 주로 이용하였다. 하지만 해남에서는 주간에, 안성에서는 야간에 논 이용률 이 높았으며, 월동후기로 갈수록 해남에서는 주간에, 안성에서는 야간에 논 이용률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using the Wild -Tracker (WT-300, GPS-Mobile Phone Based Telemetry KoEco) to understand the habitats of the spot-billed duck wintering in urban and rural areas and provide the results as the basic data for the protection and management of the habitats of the waterbirds in Korea. Study areas consisted of the Anseong stream in Gyeonggi-do and the Sansu reservoir in Haenam. Five spot-billed ducks were captured by region, and we attached Wild-Tracker to each of the spot-billed ducks. We analyzed the tracking location data using ArcGIS 9.x and calculated Kernel Density Estimation (KDE) and Minimum Convex Polygon (MCP). The average home-range measured by MCP was 250.8㎢(SD=195.3, n=5) in Anseong and was 89.1㎢ (SD=69.6, n=5) in Haenam. 50% home-range measured by KDE was 21.8㎢ (SD=26.9, n=5) in Anseong and3.5㎢ (SD=2.2, n=5) in Haenam, indicating a narrow home range in Haenam. During the winter season, both wetland and paddy field were mostly used as habitats in Anseong and Haenam. While the paddy field utilization rate was high in the daytime in Haenam, it was high in the nighttime in Anseong. By late winter, Haenam’s day time paddy field utilization rate and Anseong’s night time paddy field utilization rate increased.

      • KCI등재

        자기조직화지도를 활용한 정맥의 서식지 환경에 따른 조류 군집 특성 파악 - 금남호남 및 호남정맥, 한남금북 및 금북정맥, 낙남정맥을 대상으로 -

        황종경 ( Jong-kyeong Hwang ),강태한 ( Te-han Kang ),한승우 ( Seung-woo Han ),조해진 ( Hae-jin Cho ),남형규 ( Hyung-kyu Nam ),김수진 ( Su-jin Kim ),이준우 ( Joon-woo Lee ) 한국환경생태학회 2021 한국환경생태학회지 Vol.35 No.4

        본 연구는 정맥의 서식지 관리 및 보전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하였다. 18개의 중점조사지역에서 지형, 서식지 환경을 고려하여 각 지점별로 개발지, 계곡부, 임도 및 능선 3가지 서식지유형으로 총 54개의 고정조사구를 선정하였다. 조사는 2016년부터 2018년까지 겨울철을 제외한 계절별(5월,8월, 10월)로 수행하였다. 서식지 유형별로 관찰된 조류를 자기조직화지도(SOM)를 활용하여 분포 패턴을 분석한 결과, 총 4개의 그룹으로 분류되었다(MRPP, A=0.12, p <0.005). 자기조직화지도 그룹별 종수와 개체수, 종다양도 지수를 비교분석한 결과 종수와 개체수, 종다양도 지수 모두 Ⅲ번 그룹에 가장 높게 나타났다(Kruskal-Wallis, 종수: x<sup>2</sup> = 13.436, P <0.005; 개체수: x<sup>2</sup> = 8.229, P<0.05; 종다양도: x<sup>2</sup> = 17.115, P <0.005). 또한 그룹별 지표종 분석과, 서식지 환경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토지피복도를 랜덤 포레스트 모델에 적용하여 분석한 결과, 4개 그룹간의 서식지환경이 구성하는 비율과 지표종에 차이를 보였다. 지표종 분석은 Ⅱ번 그룹을 제외한 3그룹에서 총 18종의 조류가 지표종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에서 자기조직화지도를 활용하여 4개 그룹으로 분류된 결과를 기초로 랜덤 포레스트 모델과 지표종 분석을 적용하였을 때 그룹별 지표종 구성과 그룹별 서식지 특성과 상호 연관성을 보였다. 또한 그룹별 우점하는 서식환경에 따라 관찰된 종의 분포패턴과 밀도가 뚜렷하게 구분이 되었다. 자기조직화지도와 지표종분석, 랜덤 포레스트 모델을 함께 적용한 분석은 서식지 환경에 따라 조류 서식 특징파악에 유용한 결과를 도출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vide basic data for habitat management and preservation of Jeongmaek. A total of 18 priority research areas were selected with consideration to terrain and habitat environment, and 54 fixed plots were selected for three types of habits: development, valley, and forest road and ridge. The survey was conducted in each season (May, August, and October), excluding the winter season, from 2016 to 2018. The distribution analysis of birds observed in each habitat type using a self-organizing map (SOM) classified them into a total of four groups (MRPP, A=0.12, and p <0.005). The comparative analysis of the number of species, the number of individuals, and the species diversity index for each SOM group showed that they were all the highest in group III (Kruskal-Wallis, the number species: x<sup>2</sup> = 13.436, P <0.005; the number of individuals: x<sup>2</sup> = 8.229, P <0.05; the species diversity index: x<sup>2</sup> = 17.115, P <0.005). Moreover, the analysis by applying the land cover map to the random forest model to examine the index species of each group and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the habitat environment showed a difference in the ratio of the habitat environment and the indicator species among the four groups. The index species analysis identified a total of 18 bird species as the indicator species in three groups except for group II. When applying the random forest model and indicator species analysis to the results of classification into four groups using the SOM, the composition of the indicator species by the group showed a correlation with the habitat characteristics of each group. Moreover, the distribution patterns and densities of observed species were clearly distinguished according to the dominant habitat for each group. The results of the analysis that applied the SOM, indicator species, and random forest model together can derive useful results for the characterization of bird habitats according to the habitat environment.

      • KCI등재

        낙남정맥의 서식지 유형별 조류 군집 분석

        황종경 ( Jong-kyeong Hwang ),한승우 ( Seung-woo Han ),조해진 ( Hae-jin Cho ),남형규 ( Hyung-kyu Nam ),유성연 ( Sung-yeon Yoo ),권인기 ( In-ki Kwon ),이준우 ( Joon-woo Lee ) 한국환경생태학회 2021 한국환경생태학회지 Vol.35 No.2

        본 연구는 낙남정맥의 체계적인 관리 및 보전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하였다. 낙남정맥의 6개의 중점조사지역(길마재, 천왕산, 여항산, 무학산, 천주산, 신어산)에서 지형, 환경특성 등을 고려하여 각 지점별로 조류 서식지 유형별 2개씩의 고정조사구를 선정하여 2018년 5월부터 10월까지 수행하였다. 낙남정맥 6개의 중점조사지역을 조사한 결과 총 48종 1,181개체의 조류가 확인되었다. 서식지 유형별 조류 출현종은 개발지에서 35종 567개체로 가장 많았으며 종다양도는 임도에서 2.66로가장 높았다. 낙남정맥의 서식지 유형별 영소길드 분석결과(Pearson Chi-square test, χ<sup>2</sup>=16.681, p<0.05) 개발지, 계곡부, 임도 모두 수관층(Canopy) 영소길드에 속한 군집의 빈도가 높았다. 채이길드 분석결과(Pearson Chi-square test, χ<sup>2</sup>=16.217, p<0.005) 개발지는 관목층(bush), 계곡부와 임도는 수관층 채이길드에 속한 군집의 빈도가 높았다. 길드 분석결과 낙남정맥의 임도구간은 대경목 임목과 천이된 초본류가 지빠귀류를 비롯하여 다양한 조류에게 충분한 영소 및 먹이자원을 제공하고 있었으며, 이러한 연구결과는 낙남정맥의 다양한 서식지가 조류서식에 다양한 자원을 제공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systematic management and preservation of Nak-nam Jeongmaek. Of the Nak-nam Jeongmaek, six priority research areas, Gilmajae, Mt. Cheonwang, Mt. Yeohang, Mt. Muhak, Mt. Cheonju, Mt. Sineo, with consideration to terrain and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were selected for this study. Two fixed plots for each bird habitat type were selected for each site and were surveyed identified 48 species with 1,181 individual birds. The largest number of species and individuals occupying a particular habitat type were found in the developed land with 35 species and 567 individuals. Species diversity was the highest at 2.66 in the forest roa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nesting guild analysis of Nak-nam Jeongmaek (Pearson Chi-square test, χ2=16.681, p<0.05) by each habitat type, the communities that belong to the canopy nesting guild showed a high frequency in the developed land, the valley, and the forest road. The results of the Pearson Chi-Square test (χ2=16.217, p<0.005) showed that the communities that belonged to the bush foraging guild were the most frequent in the developed land, and the communities that belonged to the canopy foraging guild were the most frequent in the valley and the forest road. The results of these studies suggest that the various habitats of the Nak-nam Jeongmaek provide a variety of resources for bird habitats.

      • KCI등재

        야생동물위치추적기(WT-200)를 이용한 청둥오리의 이동거리 및 행동권 연구

        강태한,김달호,조해진,신용운,이한수,서재화,황종경 한국환경생태학회 2014 한국환경생태학회지 Vol.28 No.6

        청둥오리는 대표적인 한국내 월동 수조류로 넓은 농경지를 월동지로 이용한다. 한국의 중부지역에 위치한 만경강 하류지역에서 청둥오리 월동 행동권 및 월동지에서 이동거리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2011-2013년 월동기에 Cannon-net을 이용하여 포획된 청둥오리 7개체에 GPS-이동통신 시스템을 기반으로 하는 야생동물위치추적장치(WT-200)를 부착하였다. 청둥오리 행동권 분석은 GIS용 SHP 파일과 ArcGIS 9.0 Animal Movement Extension을 이용하였으며, 커널밀도측정법(Kernel Density Estimation : KDE)과 최소볼록다각형법(Minimum Convex Polygon Method : MCP)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청둥오리 행동권은 최소볼록다각형법(MCP)에 의해서 118.8km2(SD=70.1, n=7) 이었으며, 커널밀도측정법(KDE)으로는 60.0km2(KDE 90%), 23.0km2(KDE 70%) and 11.6km2(KDE 50%)이었다. 야생동물위치추적장치(WT-200) 부착지점으로부터 이동거리는 평균 19.4km이었으며, 최대이동거리는 33.2km, 최소이동거리는 9.4km이었다. GPS좌표가 획득된 정점간 거리는 평균 0.8km이었으며, 정점간 이동거리는 최소 6.5km에서 최대 19.7km이었다. 청둥오리는 월동기 동안 매우 짧은 거리를 이동하였으며, 월동지에서 수계 의존성이 매우 높은 경향을 보였다. Mallard (Anas platyrhynchos) is the abundant winter visitor in South Korea. Mallard migrates long distances between Russian Siberia and Korea. This species prefers a rice paddy area as their winter habitat. We captured birds using cannon-net, and attached the GPS-Mobile phone based Telemetry(WT-200) on Seven Mallards in the winter of 2011~2013. We were monitored wintering home-range and movement distance. We analyzed the tracking location data using ArcGIS 9.0 and calculated Kernel Density Estimation (KDE) and Minimum Convex Polygon (MCP). The average home-range in the wintering ground by MCP was 118.8km2(SD=70.1, n=7)and the maximum home-rang was 221.8km2 and the minimum was 27.7km2. Extents of home-range by KDE were 60.0km2(KDE 90%), 23.0km2(KDE 70%) and 11.6km2(KDE 50%). Mallard moved an average of 19.4 km from start site(attach to WT-200 site), maximum moved was 33.2 km and minimum moved was 9.4 km. The average distance of 0.8 km between GPS fixed point(range 0.2~1.6 km), maximum moved was 19.7 km. Mallard moved a very short distance in wintering season and showed a very high water-dependent trends in wintering site.

      • KCI등재

        인공증식 방사 저어새와 야생 저어새의 서식지 이용 및 이주

        유성연,권인기,유정칠,이기섭,황종경,박종현 한국조류학회II 2023 한국조류학회지 Vol.30 No.2

        This study evaluated the wild adaptation of released Black-faced Spoonbills using a headstarting strategy. Rings were attached to five captive-reared spoonbills and five wild spoonbills born in Gaksiam. Additionally, transmitters were attached to three released spoonbills and five wild spoonbills to compare habitat use, migration, and survival rates through re-sight and tracking data. As a result of the tracking data, two of the released spoonbills and five wild spoonbills used the tidal flat on southern Ganghwa Island after release or fledging for migration. One released spoonbill used the tidal flat near Donggeom Island and northern Yeongjong Island. Among the tracked spoonbills, one released spoonbill and three wild spoonbills had migrated from the West Sea to China. After migration, the released spoonbill wintered in Liyang Bay between Hangzhou Bay and Taizhou Bay, which were previously known spoonbill wintering site. One of the spoonbills, which was released with only an attached color band, wintered in Tai Lake, Suzhou, China. Tracking and re-sight record analyses revealed that, two released spoonbills died during the first wintering period. One wild spoonbill died before wintering, and one died during wintering. The survival rate of the released spoonbills was 60%, and the survival rate of the wild spoonbills was 60% one year after release or fledging. Headstarting for spoonbills is still in its early stages, and there is a limit to evaluating its effectiveness because of the small number of released individuals. This study revealed that the released spoonbills succeeded in wintering and migrating, and there is a possibility for future development of this strategy. If headstarting is further improved and expanded, it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population reinforcement of breeding sites with low reproductive success rates. 본 연구는 선제적보전전략 적용 하에 인천광역시 강화군에 위치한 저어새 번식지 각시암에서 알을 구조하여 인공 증식한 4개체와 송도 갯벌에서 구조한 유조 1개체를 원 서식지에 방사 후 야생 적응 여부를 평가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특히, 방사 개체 중 3개체와 각시암에서 태어난 야생 저어새 유조 5개체에게 위치추적기를 부착하여 얻은 자료와 가락지 재관찰 정보를 수집하여 서식지 이용, 이주 행동, 생존율을 비교하였다. 위치추적 결과 방사 개체 중 2개체와 야생개체들은 방사 및 이소 이후부터 이주하기 전까지 강화도 남단 갯벌을 이용했고, 나머지 방사 개체는 동검도 인근 갯벌과 영종도 북단 갯벌을 이용했다. 위치추적기를 부착한 개체들 중 방사개체 1개체와 야생개체 3개체가 서해를 건너 중국으로의 이주에 성공했다. 위치추적 방사개체는 이주 후 기존 저어새 월동지로 알려진 항저우만과 타이저우만 사이의 리양 만에서 월동했으며, 가락지만 부착한 방사개체 중 1개체는 중국 쑤저우시 타이호에서 월동한 것이 확인되었다. 위치추적 및 가락지 재관찰 기록 분석 결과 방사개체들은 첫 월동기에 2마리가 폐사했고, 야생개체들은 월동기 이전에 1개체, 월동기에 1개체가 폐사하여 1년이 지난 시점에서 방사된 저어새와 야생 저어새들의 생존율은 각각 60%로 나타났다. 저어새를 대상으로한 선제적보전전략 연구는 아직 초기 단계로 현재까지 방사한 개체수가 적어 그 효과를 평가하는데는 한계가 있으나, 본 연구 결과 방사된 저어새가 이주와 월동에 성공하여 향후 확대 적용시 번식성공률이 낮은 번식지의 개체군을 보강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Molecular characterization of highly pathogenic avian influenza H5N8 viruses isolated from Baikal teals found dead during a 2014 outbreak in Korea

        김설희,Moonsuk Hur,서재화,우찬진,왕승준,박응로,황종경,안인정,조성덕,Jeong-Hwa Shin,Seung-Do Yu,최경희,이동훈,Chang-Seon Song 대한수의학회 2016 Journal of Veterinary Science Vol.17 No.3

        Nineteen highly pathogenic avian influenza (HPAI) H5N8 viruses were isolated from wild birds in the Donglim reservoir in Gochang, Jeonbuk province, Korea, which was first reported to be an outbreak site on January 17, 2014. Most genes from the nineteen viruses shared high nucleotide sequence identities (i.e., 99.7% to 100%). Phylogenetic analysis showed that these viruses were reassortants of the HPAI H5 subtype and the H4N2 strain and that their hemagglutinin clade was 2.3.4.4, which originated from Eastern China. The hemagglutinin protein contained Q222 and G224 at the receptor-binding site. Although the neuraminidase protein contained I314V and the matrix 2 protein contained an S31N substitution, other mutations resulting in oseltamivir and amantadine resistance were not detected. No substitutions associated with increased virulence and enhanced transmission in mammals were detected in the polymerase basic protein 2 (627E and 701D). Non-structural-1 was 237 amino acids long and had an ESEV motif with additional RGNKMAD amino acids in the C terminal region. These viruses caused deaths in the Baikal teal, which was unusual, and outbreaks occurred at the same time in both poultry and wild birds. These data are helpful for epidemiological understanding of HPAI and the design of prevention strategies.

      • KCI등재

        Prevalence of avian influenza virus in wild birds before and after the HPAI H5N8 outbreak in 2014 in South Korea

        신정화,우찬진,왕승준,Jipseol Jeong,안인정,황종경,조성덕,유승도,최경희,정현미,서재화,김설희 한국미생물학회 2015 The journal of microbiology Vol.53 No.7

        Since 2003, highly pathogenic avian influenza (HPAI) virus outbreaks have occurred five times in Korea, with four HPAI H5N1 outbreaks and one HPAI H5N8 outbreak. Migratory birds have been suggested to be the first source of HPAI in Korea. Here, we surveyed migratory wild birds for the presence of AI and compared regional AI prevalence in wild birds from September 2012 to April 2014 for birds having migratory pathways in South Korea. Finally, we investigated the prevalence of AI in migratory birds before and after HPAI H5N8 outbreaks. Overall, we captured 1617 migratory wild birds, while 18,817 feces samples and 74 dead birds were collected from major wild bird habitats. A total of 21 HPAI viruses were isolated from dead birds, and 86 low pathogenic AI (LPAI) viruses were isolated from captured birds and from feces samples. Spatiotemporal distribution analysis revealed that AI viruses were spread southward until December, but tended to shift north after January, consistent with the movement of migratory birds in South Korea. Furthermore, we found that LPAI virus prevalences within wild birds were notably higher in 2013–2014 than the previous prevalence during the northward migration season. The data from our study demonstrate the importance of the surveillance of AI in wild birds. Future studies including in-depth genetic analysis in combination with evaluation of the movement and ecology of migratory birds might help us to bridge the gaps in our knowledge and better explain, predict, and ultimately prevent future HPAI outbreaks.

      • KCI등재

        서해안에서 번식하는 괭이갈매기의 생존율과 번식지 귀소율 추정

        서해민,이기섭,이후승,김준겸,박세영,강화연,김은정,남현영,권인기,황종경,유성연,최창용 한국조류학회II 2023 한국조류학회지 Vol.30 No.2

        해양 환경의 중요한 지표종으로 알려져 있는 바닷새는 인간에 의한 위협을 크게 받고 있는 분류군 중 하나이다. 집단 번식을 하는 많은 종의 바닷새들은 긴 수명 동안 하나의 번식지에 의존하는 경향이 강하여, 바닷새 번식 개체군의 보전을 위해서는 개체군 변동과 번식지 귀소에 대한 이해가 필수적이다. 본 연구는 국내 서해안에서 번식하는 102개체의 괭이갈매기(Larus crassirostris) 성조를 대상으로 위성항법시스템(GPS) 기반의 위치추적장치를 활용하여 수집한 2년간의 자료를 통해 생존율과 번식지 귀소율을 분석하였다. 위치추적자료와 Known-fate 생존율 모형으로 추정한 괭이갈매기의 연간 생존율은 암컷의 경우 78.85%, 수컷의 경우 88.90%였으며, 암수 모두 다른 시기에 비하여 이동시기에 생존율이 낮게 나타났다. 이런 시기와 성별에 따른 생존율 차이는 이동시기의 에너지 소모량 및 생존 능력 차이에 의한 결과일 수 있다. 번식지 귀소율은 대상 개체들의 공간 좌표 기록을 기반으로 2021년부터 2023년까지 3회의 번식기 동안 기존 번식지로 귀소하는 개체수를 파악하여 산출하였다. 그 결과, 각 해에 통신이 단절되지 않고 살아남은 개체들 중 2022년에는 모든 개체들이 2021년도에 이용한 번식지로 귀소했으며, 2023년에는 94.29%의 개체들이 2021년도 및 2022년도 번식지로 귀소하였다. 현재 국내 바닷새 번식 개체군의 생존율이나 번식지 귀소에 대한 정보는 그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아직 충분하지 않은 실정이다. 본 연구는 국내의 해양 환경을 폭넓게 이용하는 대표적인 바닷새인 괭이갈매기를 대상으로 통계적 검증이 가능한 방법을 통해 바닷새 번식 개체군의 필수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국내 바닷새와 해양 생태계 보전에 기여할 수 있는 연구 사례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Seabirds, considered key indicators of the oceanic environment, are avian species that are highly threatened by human activities. Because many colonial breeding seabirds rely on a single breeding site for their lifetime, understanding the population dynamics and philopatry of these breeding populations is vital for conservation efforts. This study tracked 102 adult Black-tailed Gulls (Larus crassirostris) in Korea usin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telemetry devices for two years to ascertain survival and breeding site return rates. Using the tracking data, a known-fate survival model estimated an annual survival rate of approximately 78.85% for females and 88.90% for males. Both sexes exhibited relatively low survival rates during the migration season, potentially linked to energy expenditure during migration and differing survival capacities. The breeding site return rate was evaluated by observing the returns to breeding sites over three breeding seasons spanning from 2021 to 2023. Among the surviving individuals successfully tracked across the consecutive years, 100% returned to their original breeding sites in the second year, and 94.29% returned in the third year. This study employed robust and statistically testable methods, contributing essential information for conservation efforts. Given the limited understanding of survival and philopatry among seabird breeding populations in Korea, this study provides crucial insights into the population dynamics of Black-tailed Gulls, a representative seabird species in Korean seas.

      • KCI등재

        국내 괭이갈매기(Larus crassirostris) 번식집단의 유전적 개체군 구조

        이윤선,정유진,최유성,이지연,이현정,백승운,오미래,황재웅,허위행,박진영,권인기,유성연,이선주,황종경,강승구,황보연,김양모,진경순,조소연,남현영,최창용,이후승,김동원 한국조류학회II 2023 한국조류학회지 Vol.30 No.2

        국내에서 괭이갈매기(Larus crassirostris) 성조는 번식지 회귀율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러한 습성은 번식 개체군 분화를 일으키는 원인이 될 수 있다. 본 연구는 국내 괭이갈매기의 번식지(동해, 서해, 남해)별 집단 분화를 확인하기 위해 갈매기속(genus Larus)에서 기개발된 마이크로새틀라이트 마커를 이용하여 유전적 집단구조를 파악하였다. 이를 위해 2019부터 2021년까지 국내 13개 번식지에서 포획한 괭이갈매기 성조 326개체의 유전자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 서해, 동해, 남해의 대립유전자수는 각각 5.9, 5.1, 4.4, 그리고 평균 기대이형접합빈도(He)는 각각 0.553, 0.520, 0.549로 확인되었다. 또한 유전적 개체군 구조 분석에서는 하나의 집단(K=1)일 때 가장 높은 likelihood값(-9950.8)을 보였으며, AMOVA 결과에서도 집단 내 개체 간 분석값이 높게 나타났다. 종합적으로 국내 번식지의 괭이갈매기 집단은 보통 수준의 유전적 다양성을 보이며, 지역에 따른 유전적 분화가 없는 하나의 집단으로 번식집단 간 유전자 교류가 일어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괭이갈매기 번식집단 간 유전적 교류를 유발할 수 있는 요인을 고찰하였다. Adult Black-tailed Gulls (Larus crassirostris) are known to have high breeding-site fidelity, which may contribute to the genetic differentiation among breeding populations.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population genetic structure of Back-tailed Gulls on breeding grounds (East, West, and South Seas) in the Republic of Korea using microsatellite markers, which were previously developed for the genus Larus. The genes of 326 adult gulls captured from 13 breeding grounds in Korea from 2019 to 2021 were utilized for the analysis. The number of alleles and means of expected heterozygosity among populations were 5.9 and 0.553, 5.1 and 0.520, and 4.4 and 0.549 for the West, East, and South Seas, respectively. Genetic structure analysis suggested a single population (K = 1) with the highest likelihood value (-9950.8); the analysis of molecular variance showed high values of variation within populations.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Korean Black-tailed Gulls are a single breeding population without regional genetic differentiation, showing moderate genetic diversity; active gene flow is currently occurring among breeding populations in Korea. Based on these results, we have discussed several possibilities that may drive gene flow among populations.

      • KCI등재

        야생동물위치추적기(WT-200)를 이용한 청둥오리의 이동거리 및 행동권 연구1a

        강태한 ( Te Han Kang ),김달호 ( Dal Ho Kim ),조해진 ( Hae Jin Cho ),신용운 ( Young Un Shin ),이한수 ( Han Soo Lee ),서재화 ( Jae Hwa Suh ),황종경 ( Jong Kyung Hwang ) 한국환경생태학회 2014 한국환경생태학회지 Vol.28 No.6

        청둥오리는 대표적인 한국내 월동 수조류로 넓은 농경지를 월동지로 이용한다. 한국의 중부지역에 위치한 만경강하류지역에서 청둥오리 월동 행동권 및 월동지에서 이동거리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2011-2013년 월동기에 Cannon-net을 이용하여 포획된 청둥오리 7개체에 GPS-이동통신 시스템을 기반으로 하는 야생동물위치추적장치(WT-200)를 부착하였다. 청둥오리 행동권 분석은 GIS용 SHP 파일과 ArcGIS 9.0 Animal Movement Extension을 이용하였으며, 커널밀 도측정법(Kernel Density Estimation : KDE)과 최소볼록다각형법(Minimum Convex Polygon Method : MCP)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청둥오리 행동권은 최소볼록다각형법(MCP)에 의해서 118.8 ㎢(SD=70.1, n=7) 이었으며, 커널밀도 측정법(KDE)으로는 60.0㎢(KDE 90%), 23.0㎢(KDE 70%) and 11.6㎢(KDE 50%)이었다. 야생동물위치추적장치(WT-200) 부착지점으로부터 이동거리는 평균 19.4㎞이었으며, 최대이동거리는 33.2㎞, 최소이동거리는 9.4㎞이었다. GPS좌표가 획득된 정점간 거리는 평균 0.8㎞이었으며, 정점간 이동거리는 최소 6.5㎞에서 최대 19.7㎞이었다. 청둥오리는 월동기 동안 매우 짧은 거리를 이동하였으며, 월동지에서 수계 의존성이 매우 높은 경향을 보였다. Mallard (Anas platyrhynchos) is the abundant winter visitor in South Korea. Mallard migrates long distances between Russian Siberia and Korea. This species prefers a rice paddy area as their winter habitat. We captured birds using cannon-net, and attached the GPS-Mobile phone based Telemetry(WT-200) on Seven Mallards in the winter of 2011~2013. We were monitored wintering home-range and movement distance. We analyzed the tracking location data using ArcGIS 9.0 and calculated Kernel Density Estimation (KDE) and Minimum Convex Polygon (MCP). The average home-range in the wintering ground by MCP was 118.8 ㎢(SD=70.1, n=7)and the maximum home-rang was 221.8 ㎢and the minimum was 27.7 ㎢. Extents of home-range by KDE were 60.0 ㎢(KDE 90%), 23.0 ㎢(KDE 70%) and 11.6 ㎢(KDE 50%). Mallard moved an average of 19.4 ㎞from start site(attach to WT-200 site), maximum moved was 33.2 ㎞and minimum moved was 9.4 ㎞. The average distance of 0.8 ㎞between GPS fixed point(range 0.2~1.6 ㎞), maximum moved was 19.7 ㎞. Mallard moved a very short distance in wintering season and showed a very high water-dependent trends in wintering sit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