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어학 · 언어교육] 감정 형용사 ‘HAPPY’ 개념에 대한 어휘적 접근

        정유진(Jung, Eu-Gene) 국제언어문학회 2019 國際言語文學 Vol.- No.42

        이 논문은 감정 형용사 ‘HAPPY’의 개념을 어휘를 통해서 이해하고자 한다. ‘감정’은 어떤 현상이나 일에 대하여 일어나는 마음이나 느끼는 기분으로 정의된다. 감정이라는 심적 개념과 그 감정을 유발하는 환경에 대한 지식과 요인, 즉 맥락에 대한 정보를 기호화된 어휘를 통해서 설명하는 것이 본고의 목적이다. 이를 위해서 Goddard & Wierzbicka(2014)가 제시한 의미 원초소와 프레임넷 데이터의 구성요소를 기반으로 어휘를 관찰한다. 먼저, 감정어 ‘HAPPY’가 나타나는 문맥을 살펴보고 필수 구성 요소인 감정을 일으키는 요인(stimulus)과 선택적 구성 요소인 감정의 정도(degree)를 나타내는 표현을 알아본다. 감정의 정도는 긍정과 부정으로 구분되어 전체문장의 의미에 영향을 준다. Goddard & Wierzbicka(2014)가 ‘HAPPY’의 개념에 대한 의미로 제시한 원초소들이 실제로 어떤 단어로 실현이 되는지 알아보고 그 의미영역(Moe 2003, 정유진•강범모 2015)을 기술한다. 이 연구는 감정이라는 심적 개념이 어휘를 통해 그 의미를 표상하는데 도움이 되며 향후 오피니언 마이닝과 감성분석에 기초 자료로 사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emotional concept of the word ‘HAPPY’ by examining lexical usages in the Corpus of Contemporary American English (COCA). An emotion is defined as a feeling which can be caused by the situation that you are in or the people you are with. Emotions are one of the popular topics in psychological fields. They are the words that conceptualize the emotion, ‘happy’. In order to explicate the concept of the word ‘happy’ through lexical usages, this study adopts semantic primitives by Goddard & Wierzbicka (2014) and Feature Elements in the FrameNet II (2016). First, we extract a group of co-occurring words that come together with the word ‘happy’ in the COCA corpus. Second, we divide the words into the Stimulus as a Core Feature Element (FE) and the Degree as a non-Core Feature Element. We also classify the stimulus based on the sematic domain (Moe 2003). The semantic domains allow us to capture the relationships among words in a speaker’s mind. The domain can be served as generalizing the stimuli of the emotion ‘happy’. We expect the conceptualization of the emotion to be represented via words, which come together with the word ‘happy’. This study can be used efficiently to develop opinion mining and sentiment analysis research. 이 논문은 감정 형용사 ‘HAPPY’의 개념을 어휘를 통해서 이해하고자 한다. ‘감정’은 어떤 현상이나 일에 대하여 일어나는 마음이나 느끼는 기분으로 정의된다. 감정이라는 심적 개념과 그 감정을 유발하는 환경에 대한 지식과 요인, 즉 맥락에 대한 정보를 기호화된 어휘를 통해서 설명하는 것이 본고의 목적이다. 이를 위해서 Goddard & Wierzbicka(2014)가 제시한 의미 원초소와 프레임넷 데이터의 구성요소를 기반으로 어휘를 관찰한다. 먼저, 감정어 ‘HAPPY’가 나타나는 문맥을 살펴보고 필수 구성 요소인 감정을 일으키는 요인(stimulus)과 선택적 구성 요소인 감정의 정도(degree)를 나타내는 표현을 알아본다. 감정의 정도는 긍정과 부정으로 구분되어 전체문장의 의미에 영향을 준다. Goddard & Wierzbicka(2014)가 ‘HAPPY’의 개념에 대한 의미로 제시한 원초소들이 실제로 어떤 단어로 실현이 되는지 알아보고 그 의미영역(Moe 2003, 정유진•강범모 2015)을 기술한다. 이 연구는 감정이라는 심적 개념이 어휘를 통해 그 의미를 표상하는데 도움이 되며 향후 오피니언 마이닝과 감성분석에 기초 자료로 사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emotional concept of the word ‘HAPPY’ by examining lexical usages in the Corpus of Contemporary American English (COCA). An emotion is defined as a feeling which can be caused by the situation that you are in or the people you are with. Emotions are one of the popular topics in psychological fields. They are the words that conceptualize the emotion, ‘happy’. In order to explicate the concept of the word ‘happy’ through lexical usages, this study adopts semantic primitives by Goddard & Wierzbicka (2014) and Feature Elements in the FrameNet II (2016). First, we extract a group of co-occurring words that come together with the word ‘happy’ in the COCA corpus. Second, we divide the words into the Stimulus as a Core Feature Element (FE) and the Degree as a non-Core Feature Element. We also classify the stimulus based on the sematic domain (Moe 2003). The semantic domains allow us to capture the relationships among words in a speaker’s mind. The domain can be served as generalizing the stimuli of the emotion ‘happy’. We expect the conceptualization of the emotion to be represented via words, which come together with the word ‘happy’. This study can be used efficiently to develop opinion mining and sentiment analysis research.

      • KCI등재

        감정 형용사 ‘HAPPY’ 개념에 대한 어휘적 접근

        정유진 국제언어문학회 2019 國際言語文學 Vol.- No.42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emotional concept of the word ‘HAPPY’ by examining lexical usages in the Corpus of Contemporary American English (COCA). An emotion is defined as a feeling which can be caused by the situation that you are in or the people you are with. Emotions are one of the popular topics in psychological fields. They are the words that conceptualize the emotion, ‘happy’. In order to explicate the concept of the word ‘happy’ through lexical usages, this study adopts semantic primitives by Goddard & Wierzbicka (2014) and Feature Elements in the FrameNet II (2016). First, we extract a group of co-occurring words that come together with the word ‘happy’ in the COCA corpus. Second, we divide the words into the Stimulus as a Core Feature Element (FE) and the Degree as a non-Core Feature Element. We also classify the stimulus based on the sematic domain (Moe 2003). The semantic domains allow us to capture the relationships among words in a speaker’s mind. The domain can be served as generalizing the stimuli of the emotion ‘happy’. We expect the conceptualization of the emotion to be represented via words, which come together with the word ‘happy’. This study can be used efficiently to develop opinion mining and sentiment analysis research. 이 논문은 감정 형용사 'HAPPY'의 개념을 어휘를 통해서 이해하고자 한다. ‘감정’은 어떤 현상이나 일에 대하여 일어나는 마음이나 느끼는 기분으로 정의된다. 감정이라는 심적 개념과 그 감정을 유발하는 환경에 대한 지식과 요인, 즉 맥락에 대한 정보를 기호화된 어휘를 통해서 설명하는 것이 본고의 목적이다. 이를 위해서 Goddard & Wierzbicka(2014)가 제시한 의미 원초소와 프레임넷 데이터의 구성요소를 기반으로 어휘를 관찰한다. 먼저, 감정어 ‘HAPPY’가 나타나는 문맥을 살펴보고 필수 구성 요소인 감정을 일으키는 요인(stimulus)과 선택적 구성 요소인 감정의 정도(degree)를 나타내는 표현을 알아본다. 감정의 정도는 긍정과 부정으로 구분되어 전체문장의 의미에 영향을 준다. Goddard & Wierzbicka(2014)가 'HAPPY'의 개념에 대한 의미로 제시한 원초소들이 실제로 어떤 단어로 실현이 되는지 알아보고 그 의미영역(Moe 2003, 정유진·강범모 2015)을 기술한다. 이 연구는 감정이라는 심적 개념이 어휘를 통해 그 의미를 표상하는데 도움이 되며 향후 오피니언 마이닝과 감성분석에 기초 자료로 사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후보

        장애 학생의 자기결정에 관한 실험연구 문헌 고찰

        정유진,정주영 한국통합교육학회 2013 통합교육연구 Vol.8 No.2

        This review was considered quality, intervention methodologies and intervention effects of recent studies performed for a decade of national and international experimental studies on self-determination, using evidence-based quality indicator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single-subject studies were met more qualitative indicators than the group experimental and the quasi-experimental studies. In most areas, all the studies, such as single, group and quasi-experimental researches were shown a high standard. However, the single-subject studies were indicated a low score in an intervention fidelity area, whereas the group and quasi-experimental studies were shown the insufficient description and measurement in terms of an intervention(moderator, intervention fidelity, etc.) and an external validity(maintenance, generalization, etc.). Second, the earlier studies about on self-determination were shown a tendency to repeat studies by borrowing the existing self-determination programs or using as it is. More than half of total, 14 studies, were used that the intervention methodologies using experimental studies on self-determination as an evidence-based practice were shown 'Using researcher developing their own a new self-determination program, based on the existing teaching strategies' and 7studies were used 'Using existing self-determination program' in this case. Additionally, the effect of the intervention on self-determination as an evidence-based practice was summarized the improvement of self-determination and educational achievements. It was reported that most of these studies have both self-determination abilities and educational outcomes at the same time and experimental studies on self-determination as an evidence-based practice have shown the effectiveness of interventions largely improve of self-determination and educational achievements have been summarized. Most of these studies have been reported both self-determination abilities and educational outcomes. 이 연구는 최근 10여 년 동안 이루어졌던 국⋅내외 자기결정 관련 실험연구들을 대상으로 증거기반 실제(evidence-based practices: EBP)의 기준이 되는 실험연구 분석의 질적 지표를 적용하여 자기결정 관련 실험연구의 질적 수준을 가늠하고, 각 기준을 충족시키는 실험연구들에서 사용한 중재 방안과 효과를 파악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단일대상연구가 집단실험 및 준실험연구보다 질적 지표를 더욱 충족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부분의 영역에서 단일대상연구와 집단실험 및 준실험연구는 높은 수준의 질을 보여주고 있지만, 단일대상연구가 중재 충실도 부분에서만 충분하게 설명하고 측정하지 못하여 낮은 점수를 나타낸데 비해, 집단실험 및 준실험연구는 중재자에 대해 적절하게 설명하지 못하였고, 유지와 일반화 등 외적 타당도를 높이기 위한 다양한 결과 제시가 미흡했으며, 중재 충실도를 높이기 위한 설명이나 측정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증거기반 실제 자기결정 실험연구들이 사용한 중재 관련 요소들(연구대상, 연구환경, 중재도구, 측정도구, 중재효과)별로 결과를 살펴보면, 연구대상 측면에서는 지적장애 학생, 초등학년을 대상으로 한 연구들이 많았고, 연구환경 측면에서는 특수학교, 특수학급, 기타환경과 같이 분리된 환경에서 이루어진 연구가 많았다. 측정도구 측면에서는 자기결정 행동의 직접관찰을 실시한 연구가 가장 많았으며, 중재 도구 측면에서는 ‘기존의 교수전략들을 토대로 연구자가 새롭게 개발한 자기결정 프로그램을 사용’한 경우가 절반 이상을 차지하였다. 그리고 중재의 효과는 크게 자기결정 능력의 증진과 교육적 성과로 요약되고 있는데, 이 가운데 대부분의 연구는 자기결정 능력과 교육적 성과를 동시에 효과로 보고하고 있다.

      • KCI등재

        버킷리스트 분석을 통해 본 예술가 집단의 통찰에 관한 연구

        정유진,조택연 한국기초조형학회 2017 기초조형학연구 Vol.18 No.1

        Every human being tends to gain an insight into something as much as people favor beauty. Why do human beings look around and try to have an insight? Desire for insight, is this universal feeling of human being? This study examines human mind and confirms whether it is manifested in individual emotion or universal emotion of human species. Also, if the mind of human being is turned out to be universal emotion, this study further examines intrinsic desire of the emotion and interactive mechanism. This study uses evolutionary psychology that reviews psychological mechanism of human being through the process of evolution in terms of cognitive neuroscience and biology. This study, as theoretical consideration, particularly reviews human mind, especially based on brain in view of cognitive science considering anatomical features and role. In order to understand the mind of human being based on above material, this study sets direction for 'analysis of Bucket List' and conducts survey among expert group of artist. First, unlike hypothesis that there may be characteristics of artist group, this study confirms that universal behavior of human being is commonly manifested in experience, memory and insight in every age group surveyed. Second, this universal emotion is an interactive insight that let people reflect themselves through past experience and memory and also let people collect thoughts together and understand relational structure. This kind of characteristic of insight is more common as the average age group goes up. Third, this categorized universal emotion shows differences according to age group. Particularly, the age group with peak insight was similar to the age group that has increasing myelin. This implies that there is correlation between myelination period of brain and insight period of mature middle-aged brain and this proves to be universal emotion of human being. 아름다움에 호감을 느끼는 것과 마찬가지로 인간은 통찰을 통한 깨달음 얻으려는 속성을 지니고 있다. 인간은 왜 주변을 돌아보고 이를 통찰하려하는 것인가? 과연 통찰의 욕구는 인간의 보편적인 감성인 것인가? 본 연구는 이러한 인간의 속성을 살펴봄으로서, 통찰의 마음이 각각 다른 개별적 속성인지 아니면 인간 종(種)에게 보편적으로 나타나는 감성인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더불어 보편적 감성으로 확인될 경우 그 감성의 본성이 무엇인지 살펴보고 그것이 상호 작용하는 기제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인간의 마음(mind)을 인지과학적 측면과 해부학적 기능을 중점으로 지능을 이해하는 인지신경학과, 진화과정으로 통해 획득한 현생 인류의 심리기제를 설명하는 진화심리학을 통해 살펴보았다. 이를 지능 이론들을 기반으로, 문화예술을 다루는 전문가 집단을 피험자로 삼아 획득한 버킷리스트를 분석함으로써 통찰의 마음을 이해하려고 시도하였다. 그 결과 첫째, ‘예술가 집단만의 특성이 나타날 것’이라는 가설과는 달리, 설문대상 전 연령별로 ‘경험하기, 기억하기, 통찰하기’가 공통적으로 유형화되어 나타나, 통찰이 인간의 보편적 행위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경험을 통해 획득한 기억의 관계구조를 파악하는 통찰의 속성은 평균 연령대가 올라갈수록 그 비율이 증가하였다. 셋째, 유형화된 보편적인 감정의 강화는 연령별로 영역별 차이를 드러내는 데, 특히 통찰의 시기가 정점을 이루는 연령대는 신경세포의 수초가 완성되는 시기와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두뇌의 수초화가 완성됨으로써 지혜로워지는 원숙한 중년의 뇌에 이르는 시기와 통찰의 시기 사이에 연관성이 있음을 시사하며 인간의 보편적 본성임을 방증한다.

      • KCI등재

        Understanding Consumer Intention to Share Native Advertising and Brand Information on Social Media: A Focus on Consumer Socialization

        정유진,김은실 한국소비자·광고심리학회 2020 한국심리학회지 소비자·광고 Vol.21 No.1

        The growing popularity and use of social networking sites (SNSs) have prompted a great deal of research on consumer acceptance of advertising as a crucial factor for advertisers and marketers seeking to deliver relevant advertising content to consumers with minimal disruption. Native advertising is a type of online advertising that is designed to integrate advertising content within the platform on which it appears. By surveying 399 Facebook users, this study examines antecedents of consumer intention to share native advertising and brand information on SNSs, based on the consumer socialization framework. Our findings reveal that positive brand-related peer communication, social media dependency, Facebook usage frequency, and attitude toward social media advertising in general are significant predictors of consumer’s intentions to share native advertising and recommend the brand on SNSs.

      • KCI등재

        사바나 시각 감성에 기반한 스트레스 이완 조형 구조 연구

        정유진,조택연 한국기초조형학회 2016 기초조형학연구 Vol.17 No.4

        도시 환경에서 시각적 요인들에 의해 과도하게 지속되는 긴장은, 신경과 생리적 병증의 원인이 되는 것으로 지적된다. 과도하게 축적된 스트레스가 적절하게 이완되지 못하면, 신체는 심리적 그리고 생리적 이상 상태에 빠진다. 인류가 진화해온 아프리카 사바나 환경 역시 포식자의 공격에 대비해야하는 것 같은 긴장 요소들을 가졌지만, 이와 동시에 다양한 자연적 이완 장치들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는 진화심리학적 고찰을 통해서 물리적 그리고 심리적 활동이 생존에 영향을 끼쳐, 인류 마음으로 적응되었음을 살펴보았다. 생태학자 고든 오리언스(Gordon Orians)의 서식지 선호에 관한 ‘사바나 가설’을 보면, 인류는 자연환경 중에서 낙엽 숲, 침엽수림, 열대우림, 사막보다 사바나 환경을 가장 선호한다는 실험결과가 있다. 기존 연구에서 나타난 자연의 치유 요소는 주로, 경관, 산림, 원예 등 환경적 측면에 머물렀다면, 본 연구는 자연의 형상 질서를 통해 이완할 수 있음을 제시하고자 한다. 인류는 사바나 환경에서 나무를 보호의 수단으로 사용하며 진화해 왔으므로, 나무의 기호로서 조형성을 인지하는 신경 과정이 긴장을 이완시킬 수 있음을, 특히 프랙탈 구조 중 나뭇가지의 분지(Bifurcation)의 패턴이 주는 자연의 형상 질서가 이완환경을 제공할 수 있음을 제안한다. 현대 도시의 카페 내부나 주거 공간 안에 조형디자인의 구조를 적용함으로써 스트레스 자극환경을 줄이는 사례들을 조사하고, 이를 바탕으로 자연의 형상 질서의 형태인 자연 모방적(Biomimcry)인 요소가 어떻게 적용되는지를 도출하고자 한다. In city environment, excessive and continuing tension triggered by visual factor is considered as the cause of nervous and physiological disease. If excessive and accumulated stress is not properly released, body turns in to psychologically and physiologically abnormal condition. African savannah where human being survived has tension factors such as avoiding predator's attack, however, it has a variety of natural relaxing devices at the same time. By considering evolutionary psychology, this study reviews the result that physical and psychological activities affected survival of human being and this is reflected in human mind. In theory of "Savanna hypothesis" about the Habitat preferences of the Ecologist Gordon Orians, it proved that human being preferred Savannah environment than deciduous forest, coniferous forest, tropical rain forest and desert in nature environment. Existing studies are limited to environmental aspects such as landscape, material, tone, outdoor facility, forest and horticulture for natural healing element, however, this study suggests that tension can be eased through shape of nature. This study suggests that human being evolved using tree as protection tool in savannah and provides an idea that nervous process that recognizing tree as a symbol can release tension. Particularly, the pattern of branched tree among fractal structure can be the factor as a relaxing environment. We survey the cases of reducing stress environment by applying the structure of the plastic design in the inside of cafe of modern city and residential space. And we will study how the Biomimcry factor in shape the natural order of things has been applied in plastic design.

      • KCI등재

        생태정보디자인의 개념 제안을 위한 기초연구

        정유진 한국기초조형학회 2007 기초조형학연구 Vol.8 No.1

        With the increasing interests on the preservation of the natural and biological resources, there is necessity of studying the ecosystem in the field of design. After trying to observe the concept and history of ecology and ecological design, the basic cause of ecological crisis is grasped. As the solution for the ecological crisis, the necessity of making a proposal of Ecoinformation design is discussed. Finally one define the concept of Ecoinformation design, and research the field where the application of Ecoinformation design is possible, and the consideration of Ecoinformation design. This study is worth as the preceding research for the design research which could be applied variously in the ecological field. 생물자원을 비롯한 자연자원의 보전에 대한 관심이 증가함에 따라 디자인에 있어서도 생태계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하는 연구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는 생태학과 생태학적 디자인의 개념과 역사에 대해 살펴본 후 생태위기의 근본적인 원인을 파악하고, 이를 극복하는 방안으로서 생태정보디자인 제안의 필요성을 논한다. 그리고 생태정보디자인의 개념을 정의하고 생태정보디자인의 활용 분야와 제반 고려사항에 대해 연구함으로써 앞으로 생태분야에서 다양하게 응용될 수 있는 디자인 적용에 대한 기초연구로서 의의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