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유정칠 통합연구학회 1995 통합연구 Vol.8 No.3-4
The word ecology is widely employed today in various academic field such as politics, economics and theology as well as biology. In these field, ecology is usally used to explain what a sustainable society is and how it can be built. In this context, the sustainable society refers to a social system with ecological harmony. Ecologists believe that present manners of living, encouraging increase of consumption, should be changed fundamentally to solve the impending global environmental crises. They think anti-population measures are needed to build a sustainable society because the only solution to reducing consumption is population control. Therefore, ecologists believe any policies to protect natural resources cannot succeed unless it is related to population control. Ecologists criticize human-centered thinking. In fact, if we protect wildlife only for our use in the future, we may not protect the animals themselves. Ecologists assert animal rights of survival. They also oppose humanism because this conflicts with natural law.
유정칠,이완옥,Yu, Jeong-Chil,Lee, Wan-Ok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2003 과학과 기술 Vol.36 No.12
한강을 흔히 '똥물이 흐르는 강' 이라고 말한다. 그러나 관심을 갖고 보면 한강이 우리가 가진 보물이라는 데 새삼 놀라움을 금치 못할 것이다. '한강에서 만나는 새와 물고기'는 서울시가 실시한 '2000년 한강 생태계 조사'에서 확인된 새 75종, 물고기 56종을 시민들에게 소개할 목적으로 제작한 책으로, 어린 학생들의 눈높이에 맞춰 쉽게 씌어졌다. 여기서는 책의 내용 중 일부를 추려서 소개한다.
유정칠 ( Jeong Chil Yoo ),최유성 ( Yu Seong Choi ) 한국조류학회(鳥類) 2005 논문집 Vol.2005 No.-
본 조사는 서울시가 2002년 12월 지정한 암사동 생태계보전지역의 조류 현황을 알아보고, 보전지역의 효과적인 관리 방안을 모색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2003년 6월과 9월, 2004년 2월과 4월에 걸쳐 계절별로 각 1회씩 조사를 실시하였다. 관찰된 조류는 총 29종이 관찰되었으며, 계절별로는 겨울(16종, 460개체)과 가을(15종, 679개체)에 가장 많은 종과 개체수가 관찰되었다. 우점종은 참새(61.1%), 붉은머리오목눈이(11.0%), 집비둘기(5.9%), 개개비(4.3%) 등 이었다. 번식 가능성이 있는 종은 총 14종으로 판단된다. 암사동 생태계 보전지역에서의 조류의 서식에 방해가 되는 요인으로는 방문객에 의한 방해가 가장 큰 것으로 판단된다. The Amsa-dong Ecosystem Protected Area (EPA) was designated by the city of Seoul in 2002. A Survey of birds in Amsa-dong EPA was conducted from June 2003 to April 2004. 29 species and 818 individuals of birds were recorded in Amsa-dong EPA. The most dominant species was tree sparrows (Passer montanus), consisting of 500 individuals (61.1%), followed by Paradoxornis webbianus (90 individuals, 11.0%), Columba livia domestica (48 individuals, 5.9%), and Acrocephalus orientalis (35 individuals, 4.3%). Fourteen species bred in the Amsa EPA. The main disturbance factor in Amsa-dong EPA was human visitors.
유정칠 ( Jeong Chil Yoo ),권영수 ( Young Soo Kwon ) 한국조류학회(鳥類) 2005 논문집 Vol.2005 No.-
본 연구는 2003년 11월부터 1월까지 총 4회에 걸쳐 아산만일대를 5개 지역으로 분류하여 조류의 분포 및 서식현황을 조사하여 기존문헌과 비교 · 고찰한 것이다. 본 조사에서 관찰된 조류는 총 50 종 62,722개체였으며 기존문헌은 총 132종 305,174개체였다. 종별 우점도는 가창오리(Anas formosa)가 25,250개체(40.26%)로 가장 많이 관찰되었고 다음으로 청둥오리(Anas platyrhnchos) 14,428개체(23.00%), 흰뺨검둥오리(Anas poecilorhyncha) 5,305개체(8.46%), 큰기러기(Anser fabalis) 5,226개체(8.33%) 그리고 혹부리오리(Tadorna tadorna) 2,137개체(3.41%) 순이었다. 남양만지역에서 가장 많은 종이 관찰되었고, 삽교호지역에서는 가장 많은 개체수가 관찰되었다. 지역별 종 다양성(H′) 및 보편지수(e(H′))는 모두 아산만지역에서 가장 높았고, 삽교호지역에서 가장 낮았다. A survey on the distribution and habitat of birds in sites of Asanman Bay was conducted from November 2003 to January 2004. The total number of birds observed was 62,722 individuals of 50 species. The dominant species were baikal teals (Anas formosa), which covered 40.26%(25,250 individuals), 23.00% (14,428 individuals) of mallard (Anas platyrhnchos), 8.46% (5,305 individuals) of spot-billed duck (Aans poecilorhyncha), 8.33% (5,226 individuals) of bean geese (Anser albifrons), 3.14% (2,137 individuals) of shelduck (Tadorna tadorna). In this study, the maximum number of species was recorded at Namyangman Bay, and the maximum number of individuals was observed at Sapkyoho Lake. Species diversity(H′) and index of similarity(e(H′)) were recorded higher at Asanman Bay and lowest at Sapkyoho Lake.
유정칠 ( Jeong Chil Yoo ),권영수 ( Young Soo Kwon ) 한국조류학회(鳥類) 2005 논문집 Vol.2005 No.-
2003년 1월부터 5월까지 총 4회에 걸쳐 한강하류일대(김포대교~이산포)의 조류의 분포 및 서식 현황을 조사한 결과 총 37종 16,417개체가 관찰되었다. 종별 우점도는 청둥오리(Anas platyrhnchos)가 3,757개체(22.9%)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큰기러기(Anser fabalis) 1,493개체(9.1%), 쇠기러기(Anser albifrons) 1,290개체(7.8%) 순이었다; 1지역(김포대교일대)에서 가장 많은 종이 관찰되었고, 5지역(사미섬 부근)에서는 가장 많은 개체수가 관찰되었다. 지역별 종 다양성 및 보편지수는 모두 김포대교 일대에서 가장 높았고 장항IC-신평IC에서 가장 낮았다. 계절별로는 2월에 종 다양성과 보편지수가 가장 높았고 반면에 3월에는 가장 낮았다. A study on the distribution and habitat of birds in Hangang river estuary was conducted from January to May 2003. The total number of birds observed was 16,450 individuals of 37 species. The dominant species were mallards (Anas platyrhnchos) which covered 22.9% (3,757 individuals) of the total number, 9.1 % (1,493 individuals) of white-fronted geese (Anser fabalis), and 7.9%(1,290 individuals) of Bean geese(Anser albifrons). In this study, the maximum number of species was recorded at the site I, and the maximum number of individuals was observed at the site 5. Species diversity(H′) and index of similarity(e(H′)) were recorded higher at site 1(vicinity of Kimpo bridge). Species diversity(H′) and index of similarity(e(H′)) were the highest in February, and the lowest in Mar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