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산학일체형 도제학교 도입에 따른 직업교육훈련촉진법 개정의 기본 원칙 및 방향
정철영,최계영,남중수,전지민,임정훈 한국농·산업교육학회 2017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Vol.49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utline the principle and direction of revision of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Promotion Act’ through analyzing the current state of domestic and foreign apprenticeship system and legal background. It is essential to protect apprentices’ interests and safety at work because Korean government has implemented policy to run the “Apprentice School Integrating Industry and Education”. To meet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 firstly analyze the content about field education and apprenticeship in the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Promotion Act’ and the current state of apprenticeship in Korea. Second, we analyze the current state and legal background of apprenticeship in some countries which run it actively. Third, we outlined the principle and direction of revision of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Promotion Act’ to settle smoothly. The principles of revision are as follows. First, apprentices have a legal nature of worker. Second, it should to add the province for quality assurance of apprenticeship. Third, it should to add the province to protect the interests of apprentices who would receive social discrimination. Finally, upon these three principle, we suggest the revision direction of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Promotion Act’. If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Promotion Act’ revised in these direction, apprenticeship will implement more effectively and efficiently. Furthermore, we expect to avoid social problem and regal battle through statute revision. 이 연구의 목적은 산학일체형 도제학교의 도입 및 운영에 따라 도제교육 학생들의 안전과 근로권익 보호를 위해 국내·외 도제교육 현황 및 관련 법적 근거 분석을 통하여 ‘직업교육훈련촉진법’ 개정의 기본 원칙 및 개정 방향을 도출하는 것에 있다. 이를 위해 국내의 도제교육 도입 현황 분석 및 관련 법령인 직업교육훈련촉진법에서 현장실습 및 도제교육 관련 내용을 분석하고 도제교육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독일, 스위스, 영국, 호주의 도제교육 현황 및 도제교육 관련 법령 내용을 분석하여 국내에서 도제교육의 안정적인 정착을 위한 직업교육훈련촉진법의 개정 원칙 및 개정 방향을 도출하였다. 개정원칙은 첫째, 도제교육 학생의 근로자성을 인정하는 것이며, 둘째, 도제교육의 질 관리를 위한 조항의 신설, 셋째, 도제교육의 실시에 있어서 사회적 약자가 될 수 있는 도제교육 학생의 권익 보호 조항의 신설이 있다. 이러한 기본원칙에 따라 직업교육훈련촉진법의 개정방향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직업교육훈련촉진법이 개정된다면 향후 확대되어 실시될 도제교육이 효과적이고 효율적으로 실시될 수 있으며, 법 개정을 통하여 향후에 나타날 수 있는 사회적 문제 및 법적 분쟁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도·농간 교육격차에 관한 가정 및 학교배경의 효과 분석
정철영,정진화,오창환 한국농·산업교육학회 2011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Vol.43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of home and school effect on educational gals between urban and rural areas. KEDI's 「Korean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1~3」were analyzed. As for data analysis, SPSS for Windows 18.0 program and HLM 6.0 for Windows program were used to conduct analyses of technical statistics and the hierarchical linear model(HLM).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accomplishment gap of students is mostly based on the family background, especially the educational expectation of parents and the status of private education expenses. Second, educational accomplishment of students is depended on what the students experience in school even if having same family background however the size or financial condition of school influenced not much as expecta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recommendations were as follows: First, it is identified that education achievement between urban and rural areas is caused due to difference of family backgroun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focus on primary phenomenon based on above result, and to consider some support policies on the preferential basis. Second, the size or financial condition of school has a little effect on education achievement. Therefore, it would be useful to suggest support policies regarding that school in the rural absorbs some functions which could not meet family in the area compared to urban areas. 이 연구는 도·농간 교육격차와 관련하여 가정배경 효과와 학교배경 효과를 구명하는 데 그 목적이 있었다. 분석 자료로는 한국교육개발원에서 제공하는 「한국교육종단연구」의 1, 2, 3차년도 패널 데이터를 활용하였으며, SPSS for Windows 18.0 프로그램과 HLM 6.0 for Window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분석과 위계적선형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 교육성취에서 나타나는 도·농간의 격차는 도·농이라는 지역수준에서 발생하는 격차라기보다는 상당부분 가정배경에서 기인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부모의 교육기대 및 사교육투자 여부의 영향력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같은 수준의 가정배경을 가진 학생일지라도 학교에서 어떠한 경험을 했느냐에 따라서 교육성취의 결과가 달라질 수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는데, 다만 학교의 규모 및 예산 규모가 교육성취에 미치는 영향력은 기대되는 것만큼 크지는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도·농간에 발생하는 교육성취의 차이가 가정배경의 차이에서 가장 많이 기인하는 만큼, 가정배경의 차이가 교육성취에 영향을 미치는 데에 있어 일차적으로 발생하는 현상에 초점을 맞추고 이를 지원해주는 형식의 정책을 우선적으로 고려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둘째, 학교의 규모나 재정 상태가 학생의 교육성취에 미치는 영향력은 생각보다 크지 않으며, 따라서 도시지역의 가정과 비교하여 농촌지역의 가정에서 상대적으로 충족시키지 못하는 기능들을 농촌지역의 학교에서 흡수하는 방향으로 정책적 지원방안을 제시하는 것이 보다 효과적일 것이다.
정철영,박미정,김정년 인제대학교 1998 仁濟醫學 Vol.19 No.2
최근, 외국에서는 갑성선호르몬 및 thyrotropin releasing hormone(TRH)이 surfactant phospholipid 생성을 증가시켜 태아의 폐를 성숙시킨다고 연구되고 있으나 surfactant 부족으로 인해 호흡곤란증후군이 있는 미숙아에서 갑상선호르몬농도에 대해 아직 국내에서는 연구된 바 없다. 이에 저자들은 미숙아 39명(호흡곤란증후군이 있는 미숙아 18명, 건강한 미숙아 21명)을 대상으로 T4, T3 및 TSH 농도를 측정하여 본 결과, 호흡곤란증후군이 있는 미숙아에서 건강한 미숙아보다 T4 및 T3농도가 유의하게 낮았으나 TSH는 차이가 없었다. 출생직후의 T4 농도가 낮은 환아와 정상인 환아에서 예후에 차이는 없었다.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3, T4 and TSH concentrations in preterm infants with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RDS) and healthy preterm infants, and so evaluate the relationship bewteen initial thyroid hormone levels and neonatal morbidity. Methods: 39 Premature infants(21 with RDS. 18 control infants) born at Sanggye Paik Hospital were evaluated. Serum T3, T4 and TSH concentrations were measured. Gestational age of the subjects were 30.8±1.9 weeks(range : 27∼34 weeks). Birth weights were 1,490±260g(range : 1,060∼ 1.950g). Results: T4 and T3 concentrations in infants with RDS were significantly lower compared to those in the control infants. TSH values in the RDS and control group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Transient high levels of TSH and transient low thyroid hormone levels were normalized by the time of the follow-up test. Neonatal morbidity (bronchopulmonary dysplasia, intraventricular hemorrhage, pulmonary hemorrhage) was not different compared to initial thyroid hormone levels. Conclusion: There were lower T4, T3 levels in preterm infants with RDS than healthy preterm infants. These findings may be an associated factor indicating the severity of acute illness rather than a contributing factor in RDS.
정철영,민무숙,방재현,주홍석,임효신,김보경 한국농·산업교육학회 2013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Vol.45 No.2
This study has researched concept of work-family compatibility and support policies synthetically in order to develop a policy for work family compatibility, to prepare institutional base to improve working condition for professional soldiers, and to make a strategy to expand system. Vision of work-family compatibility policy of professional soldiers was chosen to "balanced life of work and family of professional soldiers". Purpose of the policy is (1) "to expand parenting and educational support for professional soldiers", (2) "to build family-friendly circumstance to build a healthy family of professional soldiers", (3) "to improve understanding of army members and family for professional soldiers' work and family compatibility, (4) "to vitalize support policies for work and family compatibility of professional soldiers, and 3 sections of policy and the detailed plans has been made. The first section is "support for birth/parenting and the detailed plan consists of (1) to offer prior opportunity to enter day care center, (2) to build more day care centers in army, (3) emergency support in parenting service, (4) support for going see a obstetrician regularly. The second section is "family support" and the detailed plans are (1) offer mentoring for soldiers' children, (2) provide information for parenting and education, (3) consult soldiers' children, (4) offer family harmony program. The third section is "organizational culture and environmental support", and (1) support Return-to-Work program for users of Parental Leave, (2) offer a program to improve understanding of work and family compatibility for Military Commanders, (3) to make good examples of work and family compatibility and its promotion, (4) DB management and monitoring circumstance of work and family compatibility of professional soldiers, (5) to create manual of work and family compatibility and its distribution, (6) to operate a support system for work and family compatibility have been proposed. 이 연구는 직업군인의 일-가정 양립 지원을 위한 정책방안을 수립하기 위해 일반적인 일-가정 양립의 개념 및 직업군인의 일-가정 양립 지원의 의의·지원정책 현황·지원요구 등을 분석하여 직업군인의 일-가정 양립 지원 방안을 도출하였다. 직업군인의 일-가정 양립 지원을 위한 정책방안의 비전으로는「직업군인의 일과 가정의 조화로운 삶」으로 선정되었다. 정책방안의 목표로는 ①「직업군인의 자녀 양육 및 교육 지원 확대」, ②「직업군인의 건강한 가족 형성을 위한 가족친화 여건 조성」, ③「직업군인의 일-가정 양립을 위한 군 구성원 및 군인가족의 인식 제고」, ④「직업군인의 일-가정 양립을 위한 지원 정책 활성화」가 도출되었고 이에 따라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정책영역과 영역별 세부 추진방안이 도출되었다. 첫째 영역은 「출산/육아·보육 지원」이며, 세부 추진 방안으로 ① 보육시설 입소 우선권 제공, ② 군내 보육시설 운영 확대, ③ 긴급 보육서비스 지원, ④ 부인과 통원진료 지원으로 구성되어 있다. 둘째 영역은 「가족 지원」이며, 세부 추진 방안으로 ① 군 자녀 멘토링 프로그램 제공, ② 자녀양육 및 교육정보 제공, ③ 군 자녀 상담제공, ④ 가족화합 프로그램 제공을 제시하였다. 셋째 영역은 「조직문화 및 환경지원」이며, ① 육아휴직자 복귀지원 프로그램 운영, ② 상급지휘관 일-가정 양립 인식 개선 프로그램 제공, ③ 일-가정 양립 우수사례 발굴 및 홍보, ④ 직업군인의 일-가정 양립 현황 DB 관리 및 모니터링, ⑤ 일-가정 양립제도 사용 매뉴얼 개발 및 배포, ⑥ 일-가정 양립 지원 시스템 운영을 새로운 정책으로 제시하였다.
정상 영아에서 DPT 백신 접종 후 체온 변화에 대한 조사
정철영 인제대학교 1994 仁濟醫學 Vol.15 No.1
저자는 2∼3개월된 정상 영아에서 DPT 백신 접종 전과 후 일정한 간격으로 액와 체온을 측정하여 DPT 백신이 체온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 보고자 하였다. Vaccination, a highly standardised infective challenge, leads to a disturbance of th normal night time rhythm of body temprature in most babies, thought the extent of the change varies between individuals. In this study, axillary temeraures were rcorded every 3∼4 hour after the first DPT vaccination for 24 hours and compared with axillary temperatures before the vaccination from 2∼3 month old aged 156 normal infants in their home. Of the 156 subjects 4 babies had a raised axillary temperature, so they needed antipyretics after the immunization. Except of the 4 febrile subjects, 152 subjects showed no differences between axillary temperatures before and after the vaccination. I concluded that the vaccination did not lead to a disturbance of the normal temperature, even thought it did, the disturbance might be small.
정철영,양안나,이종범,주홍석,조영아,심지연,박성혜 한국농·산업교육학회 2014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Vol.46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for Index to measure level of Public Consciousness for Veterans. Based on the literature, a definition of the Veterans was derived and a prototype of three sub-elements, nine indicators were derived. With the Delphi method, the validity of the draft was confirmed by two rounds. Data from each rounds of Delphi surveys were analyzed for means, standard deviations, degree of coincidence and convergence in opinion, agreement rate, and degree of consensus by SPSS 18.0 version. Whether Delphi survey would continue or not an additional round, was determined by agreement rate(80% or more), CVR(>0.56 in case of 12 experts), and degree of consensus(standard deviations<0.80). As the results of two rounds of Delphi surveys, Public Consciousness Index for Veterans is consisted of three sub elements(Understanding Index for Veterans, attitude Index for Veterans, sympathy Index about policy for Veterans), nine indicators. Public Consciousness Index for Veterans is such as a goal index and it is derived respectively from veterans on mandatory service and veterans as a career for medium-and-long-term service. It is converted to 100 point scale, and it scores between 0 to 100. 이 연구의 목적은 제대군인 관련 정책수립과 실행, 평가의 기반이 되는 「제대군인에 대한 국민의식지수」를 개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제대군인 개념, 정책영역, 제대군인 관련 조사 및 설문지 문항을 분석하였고, 다양한 지수 및 지표 등을 분석하여 제대군인에 대한 국민의식지수를 구성하는 하위지수 및 개별지표를 도출하고 구조화하였다. 개발된 지수는 델파이 조사를 통해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이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제대군인에 대한 국민의식지수」는 제대군인 및 제대군인 정책에 대한 국민의 의식을 파악하기 위하여 사회적·역사적으로 형성된 개인적·집단적 인식, 태도 및 감정의 정신작용에 대한 지표들을 종합하여 산출한 단일 값을 의미하며 둘째, 「제대군인에 대한 국민의식지수」는 ⑴제대군인에 대한 이해지수, ⑵ 제대군인에 대한 태도지수, ⑶ 제대군인지원 정책에 대한 공감지수 3개의 하위지수로 구성된다. 셋째, 하위지수는 다시 ① 제대군인에 대한 기본 이해, ② 제대군인의 사회복귀 애로사항에 대한 이해, ③ 제대군인의 기여 인식, ④ 제대군인에 대한 대우, ⑤ 제대군인 능력에 대한 인식, ⑥ 제대군인 지원정책에 대한 관심도, ⑦ 제대군인 지원정책에 대한 이해, ⑧ 제대군인 지원정책의 적절성, ⑨ 제대군인 지원정책 확대의 필요성의 총 9개의 개별지표로 구성된다. 넷째, 제대군인에 대한 국민 의식지수는 목표지수 성격으로 의무복무 제대군인과 중·장기복무 제대군인에 대한 국민 의식지수로 각각 산출되며 각 대상에 대한 국민 의식지수는 100점 환산점수로 산정되어 0에서 100사이의 값을 가지게 된다.
네트워크 텍스트 분석을 이용한 세계적 수준의 전문대학(WCC) 운영 우수사례 분석
정철영,주홍석,조영아,전지민,정지은 한국농·산업교육학회 2015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Vol.47 No.3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draw implications for an effective management of korean colleges through the study of exemplary management cases of World Class College(WCC) using the Network Text Analysis. To do this, best practices in management and administration of each WCC colleges were first collected (38 cases), then using the Network Text Analysis, key words of those cases were extracted and analyzed by looking at their structural characteristics as well as the relationships between those key word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words ‘improvement’, ‘global’, ‘training’, ‘abroad’, ‘employment’, ‘reinforcement’ had high level of degree centrality and Eigen vector centrality. This implies that those key words have high frequency of exposure as well as degree of influence, meaning that they are forming a hub within the whole network. It was also found out that there were four types(cluster 1~4) of clusters formed by the networks between the 65 key words that were extracted. Cluster 1 was found to mainly explain aspects related to the word ‘global’, ‘management’ and that were linked with key words such as ‘reinforcement’, 'system', ‘building’, 'ability' and 'abroad'. For cluster 2, the following words ‘employment’, ‘student counselling’, were found to be linked together to with key words such as 'student', 'development', ‘support’, and ‘career’. Cluster 3 was found to mainly explain aspects of training talented individuals that were linked to the key words ‘talented person’, ‘personality’, ‘leadership’ and ‘innovation’. In the case of cluster 4, industrial-college cooperation were represented by key words such as ‘industry’, ‘professionalism’, ‘in business’,‘association’, ‘manpower’, and ‘cooperation’, that were interconnected and were found to be associated with industry-college cooperation. Based on these results, future orientations and policies for education and management of korean colleges were proposed as well as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이 연구의 목적은 네트워크 텍스트 분석방법을 이용하여 세계적 수준의 전문대학 운영 우수사례를 분석함으로써, 전문대학의 효과적인 교육 및 운영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서 세계적 수준의 전문대학(WCC) 운영과 관련된 각 WCC 대학의 운영 우수사례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를 통해 수집된 총 38편의 우수사례 내용을 네트워크 텍스트 분석방법을 적용하여 WCC 운영 우수사례의 주요어를 도출하고, 주요어 간의 구조적 특성과 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향상, 글로벌, 양성, 해외, 취업, 강화 등의 주요어가 연결중심성과 아이겐벡터중심성 모두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이 주요어들이 노출빈도가 높은 동시에 영향력이 높은 중심 주요어로 전체 네트워크에서 허브 역할을 하는 것을 의미한다. 즉, WCC로 선정된 우수한 전문대학들은 향상, 글로벌, 양성, 해외, 취업, 강화 등의 주요어로 대표되는 특성을 강조하고 있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65개의 핵심 주제어 사이의 네트워크는 4개 유형의 클러스터를 형성하고 있었다. 클러스트 1은 글로벌과 운영을 중심으로 향상, 시스템, 구축, 능력, 해외 등의 주요어와 연계되어 글로벌 역량 강화 및 지원시스템 구축을 의미하고 있었다. 클러스트 2는 취업과 상담을 중심으로 학생, 개발, 지원, 커리어, 관리 등의 주요어와 연계되어 학생 취업 및 경력관리지원을 의미하며, 클러스트 3은 양성과 융합을 중심으로 인재, 인성, 리더십, 창의 등의 주요어와 연계되어 차별된 인재 양성을 의미하고 있었다. 클러스트 4는 산업체와 전문성을 중심으로 실무, 연계, 인력, 협력, 산학 등의 주요어와 연계되어 현장 전문성을 의미하고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전문대학의 교육 및 운영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고 연구결과 활용 및 후속연구를 위한 사항을 제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