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고령 임금근로자의 주된 일자리 퇴직사건과 업무수행능력의 관계

        정성지,하재영 한국노동연구원 2023 노동정책연구 Vol.23 No.3

        이 연구는 중고령 임금근로자를 대상으로 업무수행능력이 주된 일자리의 퇴직사건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한국노동패널 18차년도 장년층 부가조사에서 주된 일자리(임금근로)에 종사하거나 종사한 경험이 있다고 응답한 중고령자를 연구대상으로 설정하였다. 해당 자료와 한국직업정보시스템(KNOW)에 수록된 일자리 업무수행능력 데이터를 매칭하여 업무수행능력(인지ㆍ사회능력, 신체능력, 기술능력)이 주된 일자리 재직기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개인, 가정 및 직업특성을 통제했을 때, 업무수행능력은 중고령 임금근로자의 주된 일자리 퇴직 가능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일자리 인지ㆍ사회능력이 높을수록 특정 시점 이후 퇴직사건 발생 가능성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신체능력이 증가할수록 퇴직 가능성이 높아졌으나 재직기간이 경과할수록 그 효과가 유의하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기술능력은 중고령 임금근로자의 퇴직 가능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이외에 성별, 연령, 학력, 건강지장 여부, 사회연금 수급 여부, 로그 연 가구총소득, 주된 일자리의 기업 규모, 산업은 중고령층의 주된 일자리 재직기간에 유의한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중고령 근로자 대상 사회정책과 관련된 시사점 및 제언을 도출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effect of work ability on retirement events from the main job among middle-aged wage workers. Using the 18th wave of the Korean Labor and Income Study (KLIPS), we selected the 55-65 year-old adults who responded that they had worked or were working in their main jobs at the time of the survey. We matched them to the Korea Network for Occupations and Workers (KNOW) data, which includes various work ability factors. Using survival analysis, the result showed that the increase in the cognitiveㆍsocial ability factor positively affected the expected hazard of retirement events occurring after a specific point in time. Also, the physical ability factor increased the probability of retirement events, but the effect gradually and significantly decreased with increasing job tenure. On the other hand, the technical ability factor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the possibility of retirement events. In addition, gender, age, educational background, health disruption, social pension receipt, log gross household yearly income, firm size, and industry were associated with a significant effect on the hazards of retirement from the main job.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related to the social policy of middle-aged workers were derived.

      • KCI등재

        이중매개분석을 적용한 농업인의 영농성과와 영농교육만족도, 영농교육성취도 및 현업적용도의 관계 분석

        정성지,하재영,김고헌 한국농·산업교육학회 2021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Vol.53 No.3

        This study empirically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farming performance, satisfaction with farming education achievement, and field application continuously studied in the context of agricultural education evaluation. To this end, Hayes (2012)'s SPSS PROCESS Macro Model 6 was used and the double mediation effect was verified.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satisfaction with farming education does not directly affect farming performance. Second, the mediating effect of farming education achievement is 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atisfaction with farming education and farming performance. Third, the mediating effect of field application is not 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atisfaction with farming education and farming performance. Fourth, satisfaction with farming education increases farming education achievement, which increases field application and, as a result, indirectly affects farming performance.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implications were proposed for reflecting evaluation indicators of farming performance and operating follow-up management programs for graduates.

      • KCI등재

        귀농준비자의 귀농의지 검사 도구 개발

        정성지,최수 한국농·산업교육학회 2022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Vol.54 No.1

        본 연구의 목적은 귀농준비자의 귀농의지 검사 도구를 개발하고 타당화하는 데 있다. 기존 연구에서는 의도와 의지의 개념적인 차이에도 불구하고 귀농의도와 귀농의지의 개념을 구분하지 않고 혼용하여 측정하였다는 점에서 한계를 지닌다. 한편, 귀농의지는 귀농에 대한 계획을 세우고 귀농을 실행하기 위하여 자발적으로 자기 생각과 행동을 제어한다는 점에서 귀농의도보다 더 나아간 개념이며, 준비 과정이 오랜 시간과 큰 노력을 요구하는 귀농의 특성에도 부합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귀농준비자의 귀농의지를 구인화하고, 예비문항을 도출하여 최종적으로 타당성과 신뢰성을 확보한 검사 도구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먼저, 이론적 개념 고찰을 통해 예비문항을 도출한 후 전문가를 대상으로 내용타당도를 진행하였으며, 최종 문항에 대하여 411명을 대상으로 문항 분석, 상관관계 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의도, 자기결정성, 주의제어 3개의 구인이 도출되었고,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모형적합도 및 요인적재량 값을 확인하였다. 최종적으로 의도 3문항, 자기결정성 4문항, 주의제어 5문항을 총 12문항을 확정하였다. 수렴타당도와 판별타당도를 통해 구성타당도를 검증하였으며, 준거타당도 및 신뢰도 또한 적절한 것으로 나타났다. 후속연구 및 교육현장을 위한 제언으로 검사 대상의 확대, 예언 타당도 확보, 실증적 인과관계 분석, 귀농교육 현장에서 사전진단 및 성과지표로의 활용 등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validate the instrument of agricultural entrepreneurship volition. Previous studies showed a limitation that intention and volition in the context of agricultural entrepreneurship were defined and measured interchangeably despite the conceptual difference between them. On the other hand volition is a concept that has gone further than intention in that it deals with not only having a plan and a goal but also voluntarily keeping self-determination and controlling one's thoughts and actions. It is suggested volition is adequate for using as a proxy of agricultural entrepreneurship behavior. Therefore, this study developed an instrument of agricultural entrepreneurship volition ensuring secured validity and reliability. After deriving preliminary questions through a review of theoretical concepts, content validity was conducted among experts. Item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ere conducted using 411 observations with final items. In EFA, three factors were derived: intention, self-determination, and attention control. Goodness of model fit and factor loading values were confirmed through CFA. Finally, 4 items for intention, 5 items for self-determination, and 6 items for attention control were confirmed. Composition validity was verified through convergence validity and discriminant validity, and reference validity and reliability were also found to be appropriate. As follow-up studies and practical suggestions, the expansion of test subjects, securing predictive validity, empirical causal analysis were presented as well as applying this instrument as preliminary diagnosis or performance indicators in educational field.

      • KCI등재

        평생학습도시 연구동향 : 2003년-2017년 국내 학술지 게재 논문 대상으로

        정성지,최수 한국농·산업교육학회 2018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Vol.50 No.2

        As the government launched the Lifelong Learning Initiative in 2001, many studies were conducted on the promotion system, programs, and effectiveness of lifelong learning cit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trends of domestic journals on lifelong learning cities which were conducted from 2003 to 2017. Using the database of RISS and KISS, a total of 105 articles were reviewed in terms of publication year, research topics and research methods. The research was carried with the analysis framework composed of research characteristics, research contents and method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mong three periods (2003-2007, 2008-2012, 2013-2017) based on the implementation period of the Basic Plan for Lifelong Education Promotion, the second term of 2008-2012 showed the largest number of studies. Second, when it comes to research topics, most of the studies were related to institution, policies, the systematic section of the learning cities with the keywords of system, rules, policies, evaluations, etc, . Followed by studies related to community learning community-based programs, conceptual and theoretical foundations. Third, in terms of research method, the most frequently studied were used by literature research, followed by ase studies, research studies, and ethnography studies. Based on the above analysis results, conclusions and suggestions were presented. 2001년 정부에서 평생학습조성사업을 시작함에 따라, 많은 연구가 평생학습도시의 추진체제, 프로그램, 효과성에 관하여 수행되었다. 이 연구는 평생학습도시에 관한 국내 학술지 연구동향을 살펴보는 것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한국교육학술정보원(KERIS)'에서 제공하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RISS)' 및‘한국학술정보원(KISS)’의 학술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하여 학회지명과 주제어 중에서 175편의 학술지 게재 논문을 검색하였고, 이중 최종 분석대상 논문으로 105편이 선정되었다. 이 논문에 대하여 연구물 특성, 연구 내용 및 방법으로 구성된 분석틀을 가지고 빈도 및 퍼센트 통계를 사용하여 연구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평생교육진흥기본계획 시행 시기를 참고하여 3개의 시기(2003-2007년, 2008-2012년, 2013년-2017년)로 구분되었고, 2008년-2012년 사이에 발표된 논문이 가장 많았다. 둘째, 연구주제의 경우, 제도, 정책 및 체제 영역에 관련된 연구가 가장 많았고, 체제, 법과 정책, 평가에 대한 주제어가 많았다. 지역학습공동체, 지역사회기반프로그램, 개념 및 이론적 토대 영역과 관련된 연구가 그 뒤를 이었다. 특히 셋째, 연구방법 측면에서는 문헌연구, 사례연구, 조사연구, 문화기술연구 순으로 연구되었다. 이 가운데 조사연구는 주로 평생학습에 대한 인식이나 현황을 조사하는 방법으로 빈도분석을 사용하고 있었다. 이상의 분석결과를 기초로 결론 및 제언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대졸 남성의 직업 경력 유형에 따른 노동시장 성과 분석

        정성지,최수 한국농·산업교육학회 2020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Vol.52 No.1

        In the late 1990s, after the financial crisis, the youth experienced an economic crisis, which shows various characteristics as they progress their careers. Focusing on the family background effect in terms of intergenerational mobility, this study tried to analyze whether their occupational career types differ according to their family background characteristics and their labor market outcomes throughout their life cycle. Using data from the Korean Labor and Income Panel Study throughout 20 years, multi-channel(using criteria of occupational types and labor status) sequence analysis with the optimal matching method was applied to cluster groups of occupation mobility. Occupation mobility groups were identified as 'clericals type', 'management and professionals type', ‘quasi-professional and technicians type’, ‘agriculture, craft, and elementary occupation type', 'mixed occupation type'. Especially, ‘mixed occupation type’ was divided into two subcategories as 'Delayed entry type' and 'Self-employment entry type' as follows. Overall, each type of respondents experienced a duration of non-economically production or duration of education & training. Although family background effect was not significant according to occupational career type, respondents’ occupational characteristics were partly similar to their fathers’ occupation. Applying age-earning profile formula, the results showed wages increased by 2% for 'clericals type', 'management and professionals type', ‘quasi-professional and technicians type’, ‘agriculture, craft, and elementary occupation type', compared to mixed occupation type. Those who answered their household economic situation was high at the age of 14 showed 4% higher of their income than those who did not. On this basis, conclusions and limitations were presented. 90년대 말 외환위기를 지나면서 청년층은 경기침체, 고학력화 등의 현상을 경험하였으며, 이는 향후 직업 경력을 전개해가는 과정에서 다양한 특징을 보인다. 이 연구는 사회 구조적 차원의 세대 간 특성인 가정 배경에 주목하여 이러한 특성에 따라 이들의 직업 경력 유형이 차이를 보이는지 분석하고, 거시적 차원에서 직업 경력 유형의 생애에 따른 노동시장 성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한국노동패널(KLIPS)의 1차년도-20차년도 데이터를 활용하여 1998년 2000년 사이에 전문대 및 대학을 졸업한 남성 349명을 대상으로 다채널배열분석과 최적일치법을 활용한 결과, 이들의 경력 유형을 다음과 같이 ‘사무직 진입형’, ‘관리·전문직 진입형’, ‘준전문·기술직 진입형’, ‘농업·기술·단순직 진입형’, ‘직업 혼재형'('진입유예형', '자영업 진입형')’등 6개로 구분하였다. 각 유형은 전반적으로 비경활상태 및 교육훈련을 경험하며, 직업 경력은 첫 직업의 직종을 반영하고 있었다. 직업 경력 유형별로 가정 배경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이러한 특성의 유사한 특징이 부분적으로 발견되어 눈여겨 볼 필요가 있다. 또한, 경력 유형을 5개로 축소하여 연령 함수를 기반으로 노동시장 성과를 분석한 결과, ‘직업혼재형’보다 ‘사무직 진입형’, ‘관리전문직 진입형’, ‘준전문·기술직 진입형’일 경우 임금이 2%씩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4세 당시 가정경제형편이 높을수록 임금이 4% 높아져 부분적으로 가정 배경이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 KCI등재

        토픽 모델링을 적용한 국내 환경교육 연구 동향: 『환경교육』 학술지를 중심으로

        정성지 한국환경교육학회 2020 環境 敎育 Vol.33 No.2

        Recently, as environmental problems became an issue, efforts have been undertaken to analyze trends in research on the subject of environmental education.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research trend of domestic environmental education, based on the paper published in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Environmental Education』 by applying topic modeling and semantic network analysis metho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program development and outcomes in terms of education, climate change and sustainable development in terms of the environment are mainly discussed. The keyword trend has been expanding over time from program development on specific environmental issues to issues on the program evaluation and the integrated approach to environmental education. Secondly, Environmental education is actively researched in the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units, whereas issues on lifelong education or special education have been of little account. It is necessary to clarify the characteristics of various target audiences and to develop environmental interventions for them. Thirdly, Topic modeling generated 5 topics such as ‘1.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 Materials and Evaluation’, ‘2. Sustainable Development Education and Target’, ‘3. Program Development and Practice’, ‘4. Course Topics of environmental education in school’ and ‘5. Environmental Literac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Lastly, there has been an increase in interest in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 results and effectiveness. Also, research using an integrated approach (eg sustainable development, competence) has become an issue rather than research using specific environmental materials. By combining the results of topic modeling with network analysis, it was possible to grasp the trend changes and semantic connectivity of environmental education research. 최근 환경문제에 대한 관심이 증대됨에 따라 환경교육을 주제로 이루어진 연구의 동향을 분석하려는 노력이 이어지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환경교육에 대한 연구 동향을 탐색적으로 살펴보기 위하여 지난 30년간 『환경교육』에 게재된 논문명을 토대로 토픽모델링 및 의미네트워크분석을 적용하여 국내 환경교육의 연구 동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교육 측면에서는 프로그램 개발 및 결과적 측면의 논의가, 환경 측면에서는 기후변화, 지속가능개발에 대한 논의가 주를 이루었으며, 시간에 따라 환경 이슈, 생태 등을 소재로 한 프로그램 개발 외에도 평가적 측면과 통합적 접근에 대한 이슈로 확대되고 있었다. 둘째, 환경교육은 초․중․고등학교의 단위학교 장면에서 활발히 연구되는 반면, 사회교육대상 또는 특수교육대상에 관한 연구는 비중이 적은 편으로, 다양한 대상층에 관한 특성을 밝히고, 이에 따른 환경교육적 개입과 실천 연구가 필요하다. 셋째, 토픽모델링을 활용했을 때, 환경교육 관련 주제어는 ‘환경교육 프로그램 소재와 평가’, ‘지속가능발전교육과 대상’, ‘3. 환경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실천,’, ‘학교환경교육 수업주제’ ‘초등학교 환경소양’ 등의 5가지 토픽으로 구분되었다. 넷째, 연대별로 토픽 비중을 확인했을 때, 프로그램의 개발과 실천 외에 최근 들어 결과와 효과성 측면에 관심이 많아졌으며, 특정 환경 소재를 활용한 연구보다 통합적인 접근(e.g. 지속가능발전, 역량 기반)을 활용한 연구가 꾸준한 관심을 갖고 있는 추세였다. 토픽모델링의 결과를 네트워크 분석과 결합함으로써 환경교육의 주제의 변화 추이와 연관성을 파악할 수 있었다.

      • KCI등재

        어패럴업계 전문직 종사자의 직무스트레스와 이직에 관한 연구

        정성지,하유선 한국의류학회 2000 한국의류학회지 Vol.24 No.8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level and the major causes of job stress, and the causes of the high level of job turnover rate of fashion merchandisers and fashion designers. The study also examined the correlations among the major causes of job stress, job results and job turnover rate. A part of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questions on major causes of job stress, job result, and intention and trial to leave a job. The subjects were to rate on 5 point Likert-type scales. The other part included the questions on demographic and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and their company characteristics. For the survey, the subjects were 99 fashion merchandisers and 128 fashion designers who are employed by men's or women's wear manufacturers. The SAS PC^+ package was used to calculate frequency, Cronbach α, multiple regression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1. The high degree of the job results were resulted from the high degree of specialties in their job characteristics, high contentment in human relations, career development and income, and low role conflict. 2. Stronger intentions and more trials to leave their job were correlated to better task performance in the workplace, lower commitment to their job, and lower job satisfaction. 3. Higher level of job stress caused by interpersonal relationship in the organization and contentment in career development and income affected stronger intentions and more trials to leave their job

      • KCI등재

        귀농·귀촌인의 농촌사회 적응, 무엇이 결정하는가? -귀농·귀촌 동기와 직업만족을 중심으로-

        정성지,마상진 한국농·산업교육학회 2021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Vol.53 No.1

        In-migration to rural areas can be viewed as a life-changing event accompanied by overall changes in workplaces, communities, social norms, culture as well as residences. Therefore, the adaptation to rural communities is the key event for rural in-migrants and we need to pay attention to the difference of adaptation to rural communities depending on their rural in-migration motive. This study identified the effect of type of motivation to rural in-migration (retirement, alternative value, livelihood, and economic types) on the adaptation of rural communities and the mediation effect of job satisfaction(job content satisfaction, job income satisfaction) between them. Using the panel data collected by the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the mediation effects were examined with the help of bootstrapping procedures utilizing SPSS Process Macro version 3.5 (model 4)(Hayes, 2017).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ly, people with non-economic motivation felt they are well adapted to rural communities than people with economic motivation did. Secondly, non-economic motivation showed a positive mediation effect of job satisfaction (job content satisfaction, job income satisfaction) on adaptation to rural communities, whereas economic motivation showed a negative or non-significant mediation effect. In other words, different mediation effects of job satisfaction on adaptation to rural communities were found depending on the motivation to rural in-migration. Based on these findings, practical suggestions are as follows: diagnosing individual job value at the beginning of rural in-migration preparation period, helping him/her to explore adequate job fields of rural communities, and providing information such as job searching and related policies at the local government level regularly. 귀농·귀촌은 당사자들에게는 단순히 거주지뿐 아니라 직업, 지역사회, 사회적 규범, 문화 등의 전반적인 변화를 동반하는 삶의 전환사건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중대 전환에 있어, 귀농·귀촌인의 이주 동기와 직업 만족은 지역사회 적응에 중요한 결정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귀농·귀촌인들의 귀농·귀촌 동기(은퇴전원형, 대안가치형, 생계형, 경제형)가 직업만족(일 내용 만족, 일 수입 만족)을 매개로 하여 농촌사회 적응에 미치는 영향에서 구명하고자 하였다. 이에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의 귀농·귀촌인 장기추적조사 자료를 기반으로 SPSS Process macro 3.5의 모델 4를 적용하여 부트스트래핑 방법을 이용한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Hayes, 2017). 분석 결과, 귀농·귀촌인들이 경제적 동기(생계형, 경제형)보다는 비경제적 동기(은퇴전원형, 대안가치형)로 귀농·귀촌할 경우 농촌 사회에 더 적응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비경제적 동기의 경우, 귀농·귀촌의 농촌사회 적응에 대한 직업만족(일 내용 만족, 일 수입 만족)의 정적 매개 효과가 있었으나 경제적 동기의 농촌사회 적응에 대한 직업 만족의 매개 효과는 없거나 부적으로 작용하였다. 즉, 귀농·귀촌 동기에 따라서 직업만족을 매개하여 농촌사회 적응에 미치는 영향이 달랐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귀농·귀촌 교육에서 개개인이 기대하는 직업가치의 진단 및 직업분야 탐색, 이에 따라 준비할 수 있는 지역이나 정보·지원 사업 매칭, 지자체 단위에서의 주기적인 구인 정보 제공 등을 제언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