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전북지방 쌍유관속아속(雙維管束亞屬) 송류(松類)의 유전변이의 연구
정진철,이경래,임경빈 한국임학회 1987 한국산림과학회지 Vol.76 No.3
全北地方 海岸에 分布하는 群山 및 高敞의 海松集團과 內陸에 分布하는 南原, 任實, 그리고 完州地域의 赤松天然集團을 골라 各集團의 Gene flow 現象을 究明하기 위해서 本 硏究가 遂行되었다. 各集團에서 20株의 個體를 選拔하고 各個體에서 20個의 針葉을 採取하여 針葉의 形態學的 特性을 調査하였다. 1. 主樹脂道數는 各集團이 모두 平均 2個로 나타났으며 그 位置는 海松集團에서는 主로 中位였고 赤松集團은 外位였으나 微弱한 例外가 着取되었다. 2. 副樹脂道數는 海松集團에서는 平均 1個 以下였으며 赤松集團은 1個 以上이었고 完州赤松은 平均치 個로 다른 集團보다 많았으며 그 位置는 主樹脂道처럼 海松集團은 中位였고 赤松集團은 外位로 나타났다. 3. 維管束의 接近度는 海松集團에서는 '中'이 많았고 南原集團은 '中'과 '떨어져 있는 型'이 비슷한 比率로 나타났으며 任實集團은 主로 '떨어져 있는 型'이였고 完州集團은 接近度가 '中'이 많았다. 4. 下表皮層數는 海松集團에서는 二層이고 赤松集團은 一層으로 細胞層數는 可型性이 거의 없는 種的 形質로 認定되었다. 5. 針葉鋸齒密度는 針葉 0.5㎝當 海松集團은 平均 30.6個 以上이고 赤松集團은 平均 25.1∼27.7個로 나타났다. 6. 以上을 綜合할 때 海岸에 分布하는 2個 集團은 거의 純粹하다고 볼 수 있는 海松이였고, 內陸의 3個 集團은 赤松이였으나 사소한 정도의 遺傳子 侵入을 認定할 수 있었다.
정진철,강유연,박진경,최혜빈,서예린,김동주 한국진로교육학회 2023 진로교육연구 Vol.36 No.4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진로교육학회가 1993년부터 2022년까지 30년간 발행한 진로교육연구에 게재된 논문을 분석․종합하여 진로교육연구의 발전과정을 확인하고 추후 연구 방향을 모색하는 데 있다. 기존 선행연구에서 활용한 분석준거 틀을 바탕으로 이 연구의 목적에 맞게 수정․보완하였으며, 이에 따라 내용분석을 실시하였다. 30년간 게재된 853편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진로교육연구는 창간 이후 연간 1~2호씩 비주기적으로 발행하는 패턴을 보이다가, 2007년을 기점으로 연간 4호 정기적인 발행주기를 가지게 되었고, 연간 30편 이상의 논문이 게재되어 진로연구의 양적 성장이 이루어진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진로교육연구의 연구자는 초반에는 단독연구의 비중이 많았으나, 최근에는 2인 이상 공동 연구의 비중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연구의 대다수가 4년제 대학교 소속 연구자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진로교육연구의 연구유형은 초반에는 분석연구가 주를 이뤘으나, 최근에는 조사연구의 비중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연구유형 중 조사연구에 한하여 자료 분석방법을 확인한 결과, 초반에는 회귀분석 계열의 분석에서 최근에는 다변인 간 인과관계 분석의 방법이 많이 활용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기존보다 고도화된 분석방법의 활용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진로교육연구의 연구대상은 초·중·고등학생 및 대학생을 연구한 비중이 대다수를 차지하고 있었다. 초·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비중이 감소하는 한편,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비중이 증가하고 있었다. 또한, 진로연구의 주요한 연구대상이 진로개발의 주체가 되는 학생뿐만 아니라 성인, 취약계층 및 진로교육의 효과성을 높이기 위하여 진로개발을 지원하는 대상으로까지 연구대상이 확대되고 있었다. 여섯째, 진로교육연구의 연구주제는 초반에는 진로교육, 지도 및 상담의 방향성 논의 연구가 주를 이루었고, 최근에는 진로발달 행동 및 특성 연구가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밖에 추후 진로교육연구가 나아갈 방향으로는 진로교육의 주제 및 방법 측면의 다양화 필요를 제언하였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a 30-year span of papers in The Journal of Career Education Research from 1993 to 2022 published by The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Career Education. The objective is to comprehend the developmental trajectory of The Journal of Career Education Research and explore potential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Findings from the analysis of 853 articles are as follows: The Journal of Career Education Research, since its inception, transitioned to a regular publication cycle of four issues per year starting in 2007, demonstrating quantitative growth. While researchers initially predominantly conducted individual studies, collaborative research involving two or more individuals has increased, with a majority conducted by researchers affiliated with four-year universities. The research type has shifted from primarily analytical studies to a predominant focus on survey research, especially utilizing multivariate causal relationship analysis in survey research. Additionally, the research subjects, initially primarily comprised of students, have diversified to include adults, and vulnerable populations, broadening the scope of career development studies. Future research directions suggest the need for diversification in both topics and methodologies within the field of career education.
Four-channel GaAs multifunction chips with bottom RF interface for Ka-band SATCOM antennas
정진철,임준한,장동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2024 ETRI Journal Vol.46 No.2
Receiver and transmitter monolithic microwave integrated circuit (MMIC) multifunction chips (MFCs) for active phased-array antennas for Ka-band satellite communication (SATCOM) terminals have been designed and fabricated using a 0.15-μm GaAs pseudomorphic high-electron mobility transistor (pHEMT) process. The MFCs consist of four-channel radio frequency (RF) paths and a 4:1 combiner. Each channel provides several functions such as signal amplification, 6-bit phase shifting, and 5-bit attenuation with a 44-bit serial-to-parallel converter (SPC). RF pads are implemented on the bottom side of the chip to remove the parasitic inductance induced by wire bonding. The area of the fabricated chips is 5.2 mm X 4.2 mm. The receiver chip exhibits a gain of 18 dB and a noise figure of 2.0 dB over a frequency range from 17 GHz to 21 GHz with a low direct current (DC) power of 0.36 W. The transmitter chip provides a gain of 20 dB and a 1-dB gain compression point (P1dB) of 18.4 dBm over a frequency range from 28 GHz to 31 GHz with a low DC power of 0.85 W. The P1dB can be increased to 20.6 dBm at a higher bias of +4.5 V.
정진철,이승엽,강민지,김기민 한국농·산업교육학회 2024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Vol.56 No.1
이 연구는 성인 진로교육을 실천하기 위한 방향성을 제시하기 위해서 성인 진로교육 목표 및 내용체계를 개발하는 데 목적이 있었다. 이에 성인 진로교육의 개념 및 관련 이론, 성인 진로교육 목표 및 내용체계 선행연구를 분석하고 성인 진로교육 목표 및 내용체계 초안을 개발하여 성인 진로교육 전문가 12인을 패널을 대상으로 두 차례 수정된 델파이 기법을 통해 타당화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인 진로교육 목표는 ‘성인이 다양한 삶의 맥락에서 자신과 직업세계에 관한 이해를 바탕으로 진로를 탐색하고, 자신의 진로를 설계, 준비 및 관리하여 진로를 개발·유지·전환할 수 있는 역량을 함양한다.’로 도출되었다. 둘째, 성인 진로교육 내용체계는 ‘자신과 직업세계에 대한 이해’, ‘진로탐색’, ‘진로설계와 준비’, ‘진로관리’ 4가지 영역으로 구분하고 각각의 영역에 해당하는 목표와 내용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국가 차원에서 성인 진로교육 가이드라인을 개발하고, 우리나라 성인 진로교육의 지향점 마련, 성인 진로개발에 중요한 영역 및 학습요소 도출 등에 기초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direction for the practical implementation of adult career education by developing goals and a content framework for adult career education. To achieve this, the study analyzes the concept and relevant theories of adult career education, reviews previous studies on the goals and content framework of adult career education, and develops a draft of goals and content framework for adult career education. The validity of these drafts is then confirmed through two rounds of Modified Delphi method with a panel of 12 adult career education experts. The key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The primary objectives of adult career education are as follows: "Adults cultivate the ability to explore, design, prepare, and manage their careers based on understanding themselves and the world of work in various life contexts, enabling them to develop, maintain, and transition their careers." Second, adult career education's content framework is structured around four key domains: 'Understanding oneself and the world of work,' 'Career exploration,' 'Career design and preparation,' and 'Career management.' Detailed objectives and substance are assigned to each domain. These research findings are significant in that they can serve as foundational data for the development of national guidelines for adult career education, establishing the direction of adult career education in our country, and deriving important areas and learning elements for adult career development.
정진철,최대희 한일경상학회 2006 한일경상논집 Vol.34 No.-
A Comparative Analysis on the Business Ethics Perception of Korean and Japan Managers
사회과 논쟁문제 수업이 법적 의사결정능력 함양에 미치는 효과
정진철 한국법과인권교육학회 2009 법과인권교육연구 Vol.2 No.2
본 연구는 최근 사회과 법 교육에서 강의식 수업의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는 논쟁문제 수업이 학습자의 학업성취도, 법적 분쟁상황에서의 문제해결력, 기본적 인권을 존중하는 태도의 함양 등 법적 의사결정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논쟁문제' 와 '논쟁문제수업' 의 개념과 '의사결정' 과 '의사결정능력' 의 개념에 대해 알아보았으며 '법적 의사결정능력' 의 개념 정의를 시도하였다. 그리고 논쟁문제 수업이 사회과 교육의 목표를 탄생할 수 있는 효과적인 교수 학습방법이 될 수 있음을 논의하였다. 본 연구에서 주로 논의할 내용을 간추려 보면 다음과 같다. 첫재, 법적 의사결정능력의 개념 정의의 단초의 제공이다. 여기서는 아직 국내 학계에서는 활발하지 않은 개념 정의의 시도를 통하여 효율적인 법교육 목표를 탐색하고자 한다. 둘째, 논쟁문제 수업이 법적 의사결정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서 실험연구을 진행하였다. 이를 위해 전북 군산여자고등학교 2학년 4개 학급을 대상으로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으로 나눈 후, 법에 대한 사전 지식 및 문제해결력, 인권존중 태도 등에 대한 사전검사를 실시하였다. 이후 실험집단에는 논쟁문제 수업을 실시하고 비교집단에는 강의식 수업을 각각 6차시 동안 하였으며, 법단원의 학업성취도, 법적 분쟁상황에서의 문제해결력, 기본적 인권 존중태도를 알아보는 사후검시를 시행하였다. 분석방법은 사전검사정수와 사후검사정수를 t 검증을 하였다. 셋째, 고등학교 사회과 법교육에서 사용할 수 있는 논쟁문제 수업 모형 및 예시 자료 제공이다. 학교 현장에서 사용할 수 있는 논쟁문제를 예시로 제공하여 일선 사회과 교사들의 고민을 덜고자 한다. 넷째, 법교육 분야에서 법 가치교육의 강조이다. 법 지식과 법 기능이 뛰어나더라도 결국 가치가 올바르지 못하연 정의로운 사회가 될 수 없을 것이다. 이에 따라 법 가치교육에 대한 관심 제고를 들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