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장기복무 제대군인의 직업전환과정 연구

        양안나,정철영 한국진로교육학회 2011 진로교육연구 Vol.24 No.2

        This study intended to understand the job transition of veterans focusing on implications for dynamism of the mechanism and subject for job transition. Job transition of veterans includes a series of events such as the awareness on retirement, job seeking, employment, and occupational and social adjustment at the same time. There were two types of preparation for job transition. These two types were based on dynamics of the subjects of job transition on job transition structure and showed differences in terms of activities and results of job transition. In the case of extending career life after military discharge, those moved to new jobs linked to their military career. Their job transition was successful helped by their military background as they attempted to link between military career and non-military occupation focusing on their own capability or set up their career targets in consideration of military experience. This study carried out data collection, analysis, and interpretation from October 2008 to April 2010. The main method for data collection was in-depth interviews and relevant literature and material provided by informants were additionally used. In-depth interview consisted of three phases including warm-up and in-depth research and 14 veterans participated as major informants. 이 연구는 연금수혜 장기복무 제대군인이 전역 후 사회의 직업을 찾아가는 경험을 수집하고 분석함으로써 이들의 직업전환과정에 대한 이해를 넓히고, 이를 통해 장기복무 제대군인의 전직지원정책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에 따라 첫째, 직업전환의 설계는 어떤 구조로 이루어지고 있는가, 둘째, 직업전환 전략은 무엇이고, 직업전환 설계와 어떤 관련이 있는가, 셋째, 직장생활은 어떠하며 그것은 직업전환의 설계, 전략과 어떤 관련이 있는가를 탐구하였다. 이 연구는 장기복무 제대군인의 직업전환이 일어나는 전 과정을 주목하고 전환 주체자의 체험을 그들의 관점에서 해석하고 이해하고자 질적연구방법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심층면담은 예비조사와 본조사 3차례를 실시하였으며, 주요제보자는 13명이었다. 연구결과, 제보자들의 직업전환 설계는 전역에 대한 관점, 일 지향, 목표, 군 경력에 대한 태도에 따라 ‘직업생애 확장’과 ‘제대군인 적합직종 탐색’의 두 가지 양상으로 나타났다. ‘직업생애 확장’의 제보자들은 ‘체험하기’, ‘인맥창출’, ‘포장하기’, ‘바꿔쓰기’의 전략을 활용했고, 두 양상에 따라 ‘제대군인 적합직종 탐색’의 제보자들에게서는 ‘눈높이 낮추기’, ‘거리두기’, ‘기존 인맥 의존’이 나타났다. 직업전환 설계와 구직 활동을 통해 제보자들은 자신의 군 경력을 기반으로 취업을 하거나 취업한 뒤 일에 대한 갈등으로 전직을 하기도 했으며, 직장생활의 다양한 측면을 경험하며 사회의 직장인이 되어가고 있었다. 연구 결과, 장기복무 제대군인의 군 경력을 연계한 직업전환 가능성을 발견하였으며, 그것은 직업전환지원을 기술적인 측면에서 접근하기 이전에 전직지원 관점의 전환이 필요함을 시사하는 것으로서 이에 따른 전직지원정책의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 [부록] NCS 기반 교육과정 개발 매뉴얼

        양안나 한국방송통신대학교 2015 정책과제 Vol.14 No.-

        매뉴얼 구성 NCS 기반 교육과정 개발 매뉴얼은 NCS에 대한 기본 개념을 이해하고, 개별 전공에서 인력양성목표 및 유형에 매칭되는 NCS를 선정하고, 선정된 NCS의 능력단위를 반영한 교육과정 개편을 용이하도록 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이를 위해 본 매뉴얼은 목차에 따라 ❶ NCS 개념 및 구성요소 ❷ NCS 기반 교육과정 개발에 관한 내용을 제시하였다. 또한, 교육과정 운영의 효과성을 고려하여 담당자가 활용할 수 있는 워크시트 또는 예시를 포함하였다.

      • NCS 기반 후진학 교육과정을 위한 매뉴얼 및 시범 교육과정 개발

        양안나 한국방송통신대학교 2015 정책과제 Vol.14 No.-

        본 연구는 선취업 후진학 교육과정을 운영하는 프라임칼리지 고졸 재직자를 대상으로 전문역량 및 실무능력을 위한 교육과정을 제공하는 대학의 목적과 능력중심의 직업교육을 강화하기 위하여 국가직무능력표준(NCS) 중심의 교육과정 적용을 골자로 한 교육부의 고등교육 종합 발전 방안에 부합하기 위하여 프라임칼리지의 NCS 기반 교육과정 구성을 위한 매뉴얼을 개발하고, NCS 기반 교육과정의 체계적인 개발과 운영의 효율성을 증대시키기 위해 금융·서비스학부 회계금융전공의 교육과정을 시범적으로 개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우선적으로 NCS 기반 교육과정 구성 매뉴얼을 NCS 기반 교육과정 개발 매뉴얼 Format 분석·설계 단계와 NCS 기반 교육과정 개발 매뉴얼 내용 도출 단계를 통해 단계적으로 개발하였다. NCS 기반 교육과정 개발 매뉴얼 Format 설계를 위해 유사 매뉴얼 개발 선행 사례 분석과 매뉴얼 구성요소 설계, 매뉴얼 제시 양식 및 가이드라인 설정을 통해 분석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개발된 매뉴얼 Format은 핵심 전달사항(Key Message), 내용, 작성방법, 워크시트(Work Sheet), 예시, 개발 팁(Tip)으로 구성하였다. NCS 기반 교육과정 개발매뉴얼 내용으로는 NCS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와 NCS 교육과정 개발 프로세스를 바탕으로 NCS 기반 교육과정 NCS 기반 교육과정 개발 기본방향, 추진체계, 개발절차 및 방법 지침 개발 등을 고려하여, NCS 개념 및 구성요소, NCS 기반 교육과정 개발(교육환경분석, NCS 및 교육과정 벤치마킹, NCS 기반 직무역량 모델링, NCS 기반 교과목 개발)에 대한 목차를 구성하고 관련 내용을 도출하였다. 다음으로 NCS 기반 교육과정의 체계적인 개발과 운영의 효율성을 증대시키기 위해 프라임칼리지 내부적으로 1개 교육과정 전체에 대해 매뉴얼 프로세스에 따라 교육과정을 시범적으로 개발해달라는 요구가 있었으며, 이에 따라 우선적으로 금융·서비스학부의 회계금융전공 교육과정을 교육환경 분석(외부환경 분석, 내부환경 분석), 교육과정 및 직무분석 벤치마킹을 실시하고 이에 따라 NCS 기반 직무역량 모델링과 NCS 기반 교육과정을 개발하였다. 회계금융 분야 산업동향을 분석한 결과, 회계 분야의 경우 사업체 수, 종사자 수 매출액 등이 지속적으로 증가추세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세무업에 비해 금융분야 역시 사업체 수, 자금조달, 자산규모, 자금운용 측면에서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회계산업은 기존 회계·감사업무에서 기업 재무 컨설팅 업무 비중이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기업의 재무·자금 업무와 회계 업무를 결합한 인력양성의 필요성이 대두되었으며, 세무 산업은 따로 독립될 필요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금융산업의 경우 금융시장이 점진적으로 개방되고 자본시장통합법에 따라 금융인력의 수요가 지속적으로 확대될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새로운 금융상품들이 개발되면서 금융전문인력의 수요가 특히 증가할 것으로 분석되었다. 회계금융분야 인력동향을 분석한 결과, 회계·금융분야 관련 인력은 재무관리자, 회계사무원, 총무사무원, 금융관리자, 금융자산운용가, 금융관련사무원, 리스크매니저, 신용분석가, 증권중개인, 선물거래중개인, 투자분석가, 투자인수심사원, 외환딜러 등으로 나타났으며, 이들 인력은 주로 사회계열 전공자들이 많았고, 학력수준은 대졸자가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다. 회계산업과 세무산업은 회사 운영에 반드시 필요한 산업으로 산업 규모 확대와 기업 규모 증가에 따라 그 중요성이 강조되어 항상 일정수요 이상의 고용규모를 유지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며, 금융산업은 새로운 금융상품들이 개발되면서 금융전문인력의 수요가 특히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었다. 회계금융분야 정책동향을 분석한 결과 회계산업은 저가 출혈 경쟁 등으로 외부감사업무가 낮은 품질로 제공되어 회계업 전체에 대한 불신이 초래된 것에 대한 대응으로 정부는 회계산업 자정노력인 ‘회계산업 선진화 방안’을 추진 중에 있으며, 금융산업은 금융산업의 글로벌화에 따라 금융중심지 위상 공고화를 위한 정책으로 국제 경쟁력 있는 자본시장 수립과 금융인프라,구축, 금융전문인력 양성방안 등의 정책을 실시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다음으로 NCS 기반 교육과정 개편 방향 및 교과목 선정의 시사점 도출을 위해 타 대학 회계 및 금융 전공 학과에 대한 벤치마킹을 실시하였다. 벤치마킹 대학은 1차적으로 프라임칼리지 설립목적에 부합하는 재직자 특별전형 과정 운영 경험이 있는 대학을 바탕으로, 2차적으로 회계금융전공과 전공명이 유사한 학과를 운영하고, 산학협력선도대학(LINC) 사업에 참여하고 있는 대학을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타 대학을 벤치마킹 한 결과, 교육목표 측면에서 회계 관련 학과의 경우, 기업 활동과 연계한 회계 전문 지식과 세무 전문지식 습득을 목표로 제시하였으며, 금융 관련 학과의 경우, 금융시장 개방에 따른 국제 감각을 갖춘 전문 인력양성을 목표로 하고 있었다. 교육과정 측면을 살펴보면, 타 대학들은 해당 분야의 최신 경향을 반영한 교육과정을 운영하고

      • KCI등재

        A Study of Advanced Reservation Scheduling Structure for Smartfarm Actuator Control

        양안나,김송강,박희동 사단법인 미래융합기술연구학회 2019 아시아태평양융합연구교류논문지 Vol.5 No.4

        As the growing aging and decline in population in a rural area, smartfarm system based on Information Technology (IT) and Internet of things (IoT) convergence are attracting as an alternative to improve agriculture productivity and self-sufficiency. The smartfarm control system, an option to solve food problems in the future, manages various sensors and actuators in the greenhouse. We propose in this paper an advanced reservation scheduling structure for base-level smartfarm automation having environmental condition dependency. Using this structure briefly, actuators are managed by corresponding thread with scheduling list which contains sensor-based constraint information. If there is scheduling list for each actuator, the configuration items in the list are continuously checked including control mode and availability and operation time of the actuator. The operation condition would be examined to avoid the repetition of a command delivered. The pre-defined sensor list which is relevant to the actuator should be referred for adapting quickly to sudden changes or constraints in the environment. With this system, the smartfarm actuators can be controlled and managed and controlled efficiently with consideration of environmental sensor values.

      • 선취업 후진학 허브대학의 교육협력모델개발 및 운영방안 연구

        양안나 한국방송통신대학교 2014 정책과제 Vol.13 No.-

        본 연구는 선취업 후진학 생태계 환경조성에 있어 한국방송통신대학의 역할이 점차 강조되는 시점에서 한국방송통신대학이 선취업 후진학의 허브대학으로서 역할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하여 선취업 후진학 허브대학 교육협력모델 및 운영방안을 제안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우선적으로 선취업 후진학에 대한 개념 이해 및 실제적 특성을 파악하고자 선취업 후진학 관련 선행연구, 법령과 정책 등을 분석하였다. 선취업 후진학 개념은 고교 졸업 후 재직상태를 유지하면서 대학학위를 취득할 수 있는 있는 대안적 학습경로라는 개념에서 재직자가 직업능력개발 및 학습을 위해 교육에 참여하는 개념으로 점차 그 의미가 확장됨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후진학을 고교 졸업 후 구직상태에 있거나 재직상태를 유지하면서 대학학위 및 학위취득을 위한 학습경로 그리고 학위취득과 무관한 계속기회를 제공하는 학습경로까지 포함하는 개념으로 정의하였다. 선취업 후진학을 위한 법령 및 정책 분석을 통해 선취업 후진학을 촉진하고 지원하는 다양한 법령 및 정책이 수립되고 있지만 각 정책 및 지원 사업들이 개별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어 본 연구가 추진하고자 하는 기관 간 교육협력 촉진 및 운영을 위한 법령 및 정책, 사업 등의 마련이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현재의 선취업 후진학 정책 및 사업들이 보다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재직자들의 후진학 장애요인 해소를 도와줄 수 있는 보다 실제적인 방안들이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그 다음으로 선취업 후진학의 보다 구체적인 실태를 파악하기 위하여 선취업 후진학 운영 유형별 현황을 분석하였다. 현재 선취업 후진학과 관련하여 각 기관이 운영하거나 개인이 활용하고 있는 운영 유형은 크게 학위과정과 비학위과정으로 구분할 수 있었으며 학위과정은 재직자 특별전형, 취업자 특별전형, 사이버대학, 사내대학, 기술대학, 산업체 위탁교육, 계약학과, 학점은행제, 독학학위제를 중심으로 살펴보고 비학위과정은 직업능력향상교육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선취업 후진학 운영은 주로 학교주도로 이루어지고 있었으며 학교와 산업체가 연계되어 운영되더라도 학교가 주도적으로 운영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었다. 또한 주로 학위과정으로 운영되고 있었으며 온라인 교육과 오프라인 교육이 연계되기 보다는 개별적으로 운영되는 모습을 확인하였다. 이에 선취업 후진학을 위한 산업체 주도의 운영 유형이 보다 확대될 필요가 있으며 학위과정 외에 후진학자들의 직업능력향상을 위한 다양한 지원이 확대되어야 하고 후진학자들의 수업부담을 경감시켜줄 수 있는 온라인과 오프라인 연계가 보다 강화되어야 한다는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었다. 이후 선취업 후진학 교육협력을 위한 구체적인 요소 도출 및 운영 방안을 탐색하기 위하여 선취업 후진학 관련 교육협력 사례를 분석하였다. 국·내외 선취업 후진학 관련 교육협력 사례를 분석함으로써 교육협력 주체 및 내용 등의 교육협력 요소를 도출하고 교육협력모델의 구체적인 운영방안에 대한 시사점들을 확인하였다. 선취업 후진학 생태계 활성화를 위해서는 현재 대학 간 협력을 통해 운영되는 학점교류 및 학위과정 외에도 고등학교, 산업체, 공공 및 민간 직업훈련기관 등 보다 다양한 협력주체들과의 긴밀한 교육협력이 필요하며 기관 간 교육협력 외에도 개별학습자 중심의 교육협력이 이루어져 보다 다양한 학습경로를 구축하는 것이 필요하며 학위과정 외에도 후진학자들의 직업능력향상을 위한 과정들이 확대될 필요가 있었다. 또한 학습경험 및 교육과정단위의 학점 또는 자격인증을 위한 체계가 마련되어 후진학에 대한 접근성을 높이고 후진학 장애요소를 경감시켜주는 방안 또한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이를 종합하여 방송통신대학의 선취업 후진학 허브대학 교육협력모델을 개발하고 운영방안을 도출하였다. 선취업 후진학 허브대학의 교육협력모델은 크게 [1]학점 및 학위취득 교육협력모델, [2]직업능력향상 교육협력모델, [3]스마트러닝 교육협력모델로 구분하였으며 각 교육모델별 세부 유형을 구분하여 운영방안을 도출하였다. 한국방송통신대학과 협력기관 간 학점인정 및 학점교류 더 나아가 공동학위 취득이 이루어질 수 있는 모델인 학점 및 학위취득 교육협력모델은 6개의 세부 유형으로 구분하여, ① 협력기관의 교육 및 경력(경험)의 학점인정 모델, ② 학점인정 및 교류를 위한 강의 콘텐츠 교류 모델, ③ 학점인정 및 교류를 위한 교육과정 공동개발 모델, ④ 학점인정 및 교류를 위한 위탁운영 모델, ⑤ 학점인정 및 교류를 위한 실습교과목 공동운영 모델, ⑥ 공동학위 수여 모델로 구성하였다. 선취업 후진학자들의 직업능력향상을 위하여 한국방송통신대학과 협력기관이 관련 콘텐츠를 제공하거나 교류, 공동 개발하여 운영하는 모델인 직업능력향상 교육협력모델은 5개의 유형으로 구분하여, ① 직업능력향상을 위한 콘텐츠 제공 모델, ② 직업능력향상을 위한 콘텐츠 교류 모델, ③ 직업능력향상을 위한 교육과정 공동개발 모델, ④ 직업능력향상을 위한 위탁운영 모델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개인학습자 중심의 교육협력모델로 개인학습자 간 자율적으로 학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자생적 학습생태계를 조성해주는 모델인 스마트러닝 교육협력모델은 ① 스마트러닝을 위한 가상캠퍼스 구축 및 지원모델, ② 스마트러닝을 위한 팟 캐스트(Pod cast)구축 및 운영모델로 구성하였다. 선취업 후진학 허브대학의 각 교육협력 모델 및 운영방안에서 도출된 한국 방송통신대학의 주요 역할은 교육협력의 중심(Center)역할과 연결(Bridge or link) 역할로 구분할 수 있다. 한국방송통신대학은 고등학교, 대학, 기업체 및 기업부설 교육기관, 공공 및 민간 교육훈련기관 더 나아가 개개인과 콘텐츠, 인적자원, 물적자원 등의 교류를 통해 폭 넓게 교육협력을 수행 할 수 있으며, 지원주체인 중앙정부 및 지방자치단체 그리고 산업계 관련 단체로부터 재정 및 제도적 지원, 기타 물적 및 인적자원 들을 지원 받을 수 있다. 이 연구에서 제안한 교육협력모델이 보다 효과적으로 운영되기 위해서는 ①선취업 후진학 교육협력모델에 있어 기관중심의 교육협력모델 외에 개인학습자 중심의 교육협력모델 구축 및 운영에 대한 보다 체계적인 연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으며, ②교육협력 주체의 참여 확대를 통해 보다 다양한 선취업 후진학 교육협력모델을 지속적으로 개발 및 구출할 필요가 있다. ③직업능력향상을 위한 교육협력모델 운영을 위해서는 교육과정 단위의 인증체계 마련이 수반되어야 한다. ④선취업 후진학을 위한 교육협력을 촉진하고 지원하는 법령 제정이 시급하며 ⑤선취업 후진학을 위한 교육협력에 대한 산업체 및 산업체 관련 기관들의 긍정적인 인식 변화가 이루어져 산업계 주도의 연계가 강화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⑥수요자 및 협력기관의 관점을 반영하기 위한 추가적인 연구가 이루어져 더 실제적인 운영방안들이 도출되어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